[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90817B1 -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817B1
KR101290817B1 KR1020110045477A KR20110045477A KR101290817B1 KR 101290817 B1 KR101290817 B1 KR 101290817B1 KR 1020110045477 A KR1020110045477 A KR 1020110045477A KR 20110045477 A KR20110045477 A KR 20110045477A KR 101290817 B1 KR101290817 B1 KR 10129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pipe
bathroom
waterproof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776A (ko
Inventor
최현우
Original Assignee
이현배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배쓰(주) filed Critical 이현배쓰(주)
Priority to KR102011004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81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8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 세대의 각종 배관이 매립 설치되는 바닥에 침투하는 침출수를 쉽게 흡수하여 배출하도록 하여 쾌적한 욕실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욕실 바닥 슬래브;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에 씌워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세워지며,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이 관통되는 방수막과, 상기 바닥판과 방수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을 가지는 방수판재; 상기 배관공간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을 매립하는 콘크리트층; 및 상기 콘크리트층 상면에 난방배관을 매립하는 시멘트몰탈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재는 일측 방수막을 관통하여 방수판재 바닥에 고이는 침출수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침출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of discharge apparatus for leachate water}
본 발명은 침출수 배출이 용이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세대의 각종 배관이 매립 설치되는 바닥에 침투하는 침출수를 쉽게 흡수하여 배출하도록 하여 쾌적한 욕실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욕실(Unit Bath Room; UBR)"은 욕실의 바닥, 벽면 및 천정의 구성에 필요한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하여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완성하는 욕실을 말한다.
상기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는 욕실의 바닥층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된 방수막을 가지는 방수판재를 슬래브 상에 설치하고, 타일이 부착된 벽판넬을 방수판넬의 방수막 안쪽 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하며, 방수판재의 바닥판 위에 시멘트몰탈층을 타설하고 그 위에 바닥타일을 부착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방수판재는 제작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의 대응성이 월등하다는 측면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주거환경에 있어 층간소음 및 진동은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층간소음 및 진동의 원인으로는 위층 세대 욕실에서의 배관을 통한 유체소음 및 진동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용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는 해당 욕실의 바닥슬래브의 위에 방수판재가 설치되어 있고, 욕실의 각종 위생기구(예: 양변기, 세면기 등으로부터 연결된 배관들을 해당 세대의 바닥슬래브 상에 설치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그 바닥슬래브를 관통시켜 아래층 세대의 천정 내에서 연결한 후 아래층 세대의 욕실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수직관 설치영역의 수직관에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는 위층 세대의 욕실의 배관이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기 때문에 위층 세대에서 발생하는 배수 소음 및 진동이 그대로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아래층 세대 거주자에게 소음 및 진동에 따른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이나 공동주택의 조립식 욕실에서는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의 노후나 막힘, 누수 등의 하자 발생으로 인한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그 작업이 어렵고 장기간의 작업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당 세대가 아닌 아래층 세대에서 공사를 해야 하므로 아래층 세대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 피해를 주고, 사생활을 침해하게 되며, 많은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는 배관들이 설치되고 콘크리트나 시멘트몰탈층으로 배설되는 배관공간의 바닥 영역에서 침출수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매립된 배관들 사이에 틈(공극)이 생겨 진동이 생길 수 있으며, 틈에서 발생된 침출수가 바닥에 고일 경우는 습기와 냄새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타일 줄 눈을 통한 바닥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침출수 배출이 용이한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모세혈관 작용을 이용한 침출수 흡수부재를 제공하여 쉽고 빠르게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바닥에서 침투하는 침출수를 방수판재의 외부로 침출수 유용하게 배출함으로써 유해 세균과 곰팡이로부터 자유롭고 쾌적한 욕실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욕실 바닥 슬래브와;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에 씌워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세워지며,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이 관통되는 방수막과, 상기 바닥판과 방수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을 가지는 방수판재와; 상기 배관공간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을 매립하는 콘크리트층과; 상기 콘크리트층 상면에 난방배관을 매립하는 시멘트몰탈층; 및 상기 방수판재의 바닥에 고이는 침출수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침출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침출수 배출수단은, 상기 방수판재의 방수막을 관통하는 침출수 배출관과; 상기 침출수 배출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방수판재의 바닥판에 놓이도록 위치하는 침출수 흡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침출수 흡수부재는 다공성의 스폰지 또는 섬유재, 모세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수관과 배수관 등이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욕실바닥 슬래브 상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배수 소음 및 진동이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아래층 세대 거주자에게 소음 및 진동에 따른 피해를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바닥 슬래브에 대하여 슬래브 다운하고 방수판재를 설치하여 방수판재 상에 일정한 높이로 콘크리트층과 시멘트몰탈층을 시공하여 욕실의 오·배수배관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따라서 욕실바닥에 매설되는 배관영역의 균열에서 생길 수 있는 바닥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침출수 배출수단을 제공하여 쉽고 빠르게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실바닥에서 침투하는 침출수를 방수판재의 외부로 침출수 유용하게 배출함으로써 쾌적한 욕실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배출장치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배출장치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배출장치가 설치된 욕실을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배출장치가 설치된 욕실을 보인 종단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배출장치가 설치된 욕실을 보인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P1)보다 낮게 시공된 욕실바닥 슬래브(P10)와;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P10)의 가장자리와 상기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P1)를 연결하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이 관통하는 벽체(10B)와; 상기 벽체(10B)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오수관(4)과 수직배수관(5)이 설치되는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P10)에 씌워지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벽체(10B)에 밀착되며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이 관통되는 방수막(103)과, 상기 바닥판(101)과 방수막(103)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S20)을 가지는 방수판재(100)와; 상기 배관공간(S20)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을 매립하는 콘크리트층(200) 및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난방배관(60)을 매립하는 시멘트몰탈층(3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벽체(10B)와 방수막(103)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배수관(5)에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층(200)을 통하여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에 고이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침출수 배출수단은,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을 관통하는 침출수 배출관(110)과, 상기 침출수 배출관(110)에 일측이 연결되어 타측으로 방수판재(100)의 바닥판(101)에 걸쳐 위치하는 침출수 흡수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멘트몰탈층(300)의 상면에는 욕실 바닥 타일(70)이 부착된다. 그리고 벽판넬(20F, 20B, 20L, 20R)의 전면에는 벽 타일(80)이 부착된다.
상기 벽체(10F, 10B, 10L, 10R)와 벽판넬(20F, 20B, 20L, 20R)의 도면 부호에서 'F'는 전면, 'B'는 배면, 'L'은 좌측면, 'R'은 우측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5에서 '1'은 양변기, '2'는 세면기, '3'은 욕조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시공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바닥 슬래브(P10)의 위에 네 벽체(10F, 10B, 10L, 10R)를 세워서 네 벽체(10F, 10B, 10L, 10R)에 의해 욕실공간과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한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해당 세대의 욕실 바닥에서 양변기(1), 세면기(2) 및 욕조(3)와 같은 각종 위생기구가 설치되는 위치의 면적에만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슬래브다운(down)하여 시공된 욕실바닥 슬래브(P10)의 위에 일정한 면적으로 규격화된 방수판재(100)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조립식 욕실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관(40) 및 배수관(50)이 욕실바닥 슬래브(10)에서 위생기구인 양변기(1)와 세면기(2), 욕조(3) 등이 설치되는 바닥에만 형성된 방수판재(100) 위의 배관공간(S20) 내에 설치되어 있어, 오수 및 배수에 따른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층간 소음을 줄여주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아래층 세대의 욕실 천장에서 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래층 세대의 간섭 없이 배관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마감처리 상태도 매우 깔끔하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측 벽체(10B)는 수직배수관(5)이 설치되는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과 해당 세대의 실내 영역을 구분하는 벽체이며, 기타 벽체는 욕실바닥 슬래브(P10)를 한정하는 벽체이다.
상기 방수판재(100)는 욕실바닥 슬래브(P10)에 부착되며, 내측에 바닥판(101)과, 내측 가장자리에서 위로 절곡 형성되는 방수막(103)로 구성된다. 상기 방수판재(100)는 TPR(Thermoplastic Resin)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벽판넬(20F, 20B, 20L, 20R)을 설치한다.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은 상기 벽체(10F, ,10B, 10L, 10R)의 방수막(103) 내면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수판재(100)의 일측에는 상기 오수관(40), 배수관(5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각각의 관통공(미도시)이 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측 벽판넬(20L)은 배면측 벽체(10L)와의 사이에 세면기(2)의 배수구(32)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공간(S20)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면측 벽판넬(20L)은 그 전체 높이에 걸쳐서 배면측 벽체(10R)와 이격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반부는 배면측 벽체(10L)에 밀착되고, 하부만 배면측 벽체(10L)에서 이격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들의 하단부는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의 상단에는 천정판넬(미도시)이 조립된다.
상기 천정판넬(미도시)은 위층 세대의 바닥 슬래브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오수관(40)과 배수관(50)과 양변기(1)의 배수구(31)와 세면기(2)의 배수구(32) 및 욕조(3)의 배수구(33) 및 배수트랩(35)을 설치한다.
상기 오수관(40)은 상기 배면측 벽판넬(20B)과 배면측 벽체(10B)를 관통하여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관(50)은 방수판재(100) 상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과 배면측 벽판넬(20B) 및 배면측 벽체(10B)를 관통하여 수직오수관(4)과 수직배수관(5)이 있는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된다.
상기 양변기(1)의 배수구(31)는 오수관(40)에 연결된다.
상기 세면기(2)의 배수구(32) 및 욕조(3)의 배수구(33)는 배수트랩(35)을 통해 배수관(50)에 연결된다.
또한 바닥 난방 적용시 상기 방수판재(100) 위에 난방배관(60)을 설치한다. 상기 난방배관(60)은 방수판재(100)의 상부에서 위로 이격 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수판재(100)는 방수막(103)의 일측에 방수판재(100)의 바닥판(101)에 고일 수 있는 침출수를 방출하는 침출수 방출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침출수 방출수단은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을 관통하는 침출수 배출관(110)이 형성되며, 상기 침출수 배출관(110)에 일측이 연결되어 타측으로 상기 방수판재(100)의 바닥판(101)에 걸쳐 위치하는 침출수 흡수부재(12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출수 흡수부재(120)는 방수판재(100)의 바닥판(101)에 고이는 침출수를 빨리 흡수할 수 있도록 모세관 효과를 줄 수 있는 다공성의 스펀지(sponge) 재질 또는 섬유재, 모세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판재(100)는 상기 방수막(103)에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 및 침출수 배출관(110)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수판재(100)의 상부에 오수관(40) 및 배수관(50)을 매립하는 콘크리트층(200)을 타설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층(200)은 콘크리트에 기포를 주입하여 단위중량을 줄인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말하는 것으로, 기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은 가볍고 단열 성능도 있으며, 열저장 효과도 있어 난방배관 하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방배관을 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상부로 난방배관(60) 등이 매설되는 시멘트몰탈층(300)을 타설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오수관(40) 및 배수관(50), 양변기(1)의 배수구(31)와 세면기(2)의 배수구(32)와 욕조(3)의 배수구(33), 배수트랩(35)의 일부와 난방배관(60)은 시멘트몰탈층(300)에 매설된다.
상기 오수관(40)은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배면측 벽판넬(20B)과 배면측 벽체(10B)를 통해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되어 수직오수관(4)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50)은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배면측 벽판넬(20B)과 배면측 벽체(10B)를 통해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되어 수직배수관(5)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배수관(50)은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욕실바닥 슬래브(10) 상에서 방수판재(100)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층(200)에 욕조(3)의 배수구(33)와 배수트랩(35)과 함께 매설되는 것이므로, 양변기(1)의 배수구(31), 세면기(2)의 배수구(32), 욕조(3)의 배수구(33) 및 배수트랩(35)이 연결된 오수관(40)과 배수관(50) 등에서 발생하는 배수 소음 및 진동이 아래층 세대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과 시멘트몰탈층(70) 위에는 벽 및 바닥 타일(70, 8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배수트랩(35)은 바닥 타일(70) 위로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양변기 3 : 세면기
3 : 욕조 4 : 수직오수관
5 : 수직배수관 P1 : 세대 바닥 슬래브
P10 : 욕실바닥 슬래브 S10 : 파이프샤프트(PS) 영역
S20 : 배관공간 10F, 10B, 10L, 10R : 벽체
20F, 20B, 20L, 20R : 벽판넬 31, 32, 33 : 배수구
40 : 오수관 50 : 배수관
60 : 난방배관 70 : 바닥 타일
80 : 벽 타일 100 : 방수판재
101 바닥판 103 : 방수막
110 : 침출수 배출관 120 : 침출수 흡수부재
200 : 콘크리트층 300 : 시멘트몰탈층

Claims (3)

  1. 욕실 바닥 슬래브(P10)와;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P10)에 씌워지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에서 세워지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이 관통되는 방수막(103)과, 상기 바닥판(101)과 방수막(103)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S20)을 가지는 방수판재(100)와;
    상기 배관공간(S20)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0을 매립하는 콘크리트층(200)과;
    상기 콘크리트층(200) 상면에 난방배관(60)을 매립하는 시멘트몰탈층(300); 및
    상기 방수판재(100)의 바닥에 고이는 침출수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침출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침출수 배출수단은,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을 관통하는 침출수 배출관(110)과;
    상기 침출수 배출관(1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방수판재(100)의 바닥판(101)에 놓이도록 위치하는 침출수 흡수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흡수부재(120)는 다공성의 스폰지 또는 섬유재, 모세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20110045477A 2011-05-16 2011-05-16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Active KR10129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477A KR101290817B1 (ko) 2011-05-16 2011-05-16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477A KR101290817B1 (ko) 2011-05-16 2011-05-16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776A KR20120127776A (ko) 2012-11-26
KR101290817B1 true KR101290817B1 (ko) 2013-07-29

Family

ID=4751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477A Active KR101290817B1 (ko) 2011-05-16 2011-05-16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629A (zh) * 2015-08-12 2015-12-16 刘泽坤 整体浴室卫生间同层排污系统
CN105557384A (zh) * 2015-12-17 2016-05-11 广西防城金花茶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处 一种沿海地区抗台风金花茶育苗荫棚建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51U (ko) * 1994-07-13 1996-02-14 안정애 욕실용 방수 바닥판
JPH08289852A (ja) * 1995-04-24 1996-11-05 Aoi Kogyo Kk 組立式浴室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259010B1 (ko) 1997-12-17 2000-06-15 성재갑 조립식 프리 사이즈 방수판(욕실 바닥 파넬)
KR100759586B1 (ko) 2004-12-21 2007-09-18 김원대 욕실용 바닥방수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51U (ko) * 1994-07-13 1996-02-14 안정애 욕실용 방수 바닥판
JPH08289852A (ja) * 1995-04-24 1996-11-05 Aoi Kogyo Kk 組立式浴室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259010B1 (ko) 1997-12-17 2000-06-15 성재갑 조립식 프리 사이즈 방수판(욕실 바닥 파넬)
KR100759586B1 (ko) 2004-12-21 2007-09-18 김원대 욕실용 바닥방수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629A (zh) * 2015-08-12 2015-12-16 刘泽坤 整体浴室卫生间同层排污系统
CN105557384A (zh) * 2015-12-17 2016-05-11 广西防城金花茶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处 一种沿海地区抗台风金花茶育苗荫棚建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776A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20160101767A (ko)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926825B1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CN207004112U (zh) 一种适用于木结构的装配式卫生间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100981324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