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6876B1 - 조립식 욕실 바닥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욕실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76B1
KR101716876B1 KR1020140102262A KR20140102262A KR101716876B1 KR 101716876 B1 KR101716876 B1 KR 101716876B1 KR 1020140102262 A KR1020140102262 A KR 1020140102262A KR 20140102262 A KR20140102262 A KR 20140102262A KR 101716876 B1 KR101716876 B1 KR 10171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throom
pipe
floor
waterp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122A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14010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욕실의 오수관과 하수관을 내장한 배수 일체형 조립식 욕실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식 욕실 바닥판은 바닥과 측면들로 구성된 욕실 바닥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다수개의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진공성형 방법에 의해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된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시공되는 욕조, 세면기,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입상관과 연결되는 FD를 포함하는 하수관 및 좌변기의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과, 상기 하수관 및 오수관을 덮으며 상면에 타일을 부착할 수 있도록 지지대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상판들로 구성되어서 별도의 방수공사 등의 공정 없이 욕실 시공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욕실 바닥판{prefabricated Bathroom Floor Board}
본 발명은 공동주택 욕실의 오수관과 하수관을 내장한 배수 일체형 조립식 욕실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식 욕실 바닥판은 바닥과 측면들로 구성된 욕실 바닥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다수개의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진공성형 방법에 의해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된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시공되는 욕조, 세면기,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입상관과 연결되는 FD를 포함하는 하수관 및 좌변기의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과, 상기 하수관 및 오수관을 덮으며 상면에 타일을 부착할 수 있도록 지지대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상판들로 구성되어서 별도의 방수공사 등의 공정 없이 욕실 시공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욕실의 바닥에는 방수구조가 필수적으로 시공되어야 하며 욕실 시공방법에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구분된다.
상기 습식공법은 사면이 내력벽과 조적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 슬라브상에 액체방수공사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바닥타일 공사를 실시하고 벽면에 대해서도 액체방수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표면에 벽타일 공사를 실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습식공법은 액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건조시키고, 방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물을 채워 방수시험을 해야 하는 등 그 시공방법에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서 정밀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동절기에 기온이 낮은 경우 시공이 불가능하며 시공 세대마다 균일한 품질의 확보가 어렵고 시간이 지나면서 방수층의 균열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에, 건식공법은 일명 '조립식 세면욕실(Unit Bath Room; 이하, UBR이라 함)'이라 칭하며 욕실 바닥 및 천장의 형성에 필요한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한 후,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완성하는 욕실 시공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습식 및 건식 시공방법은 모두 종래의 배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세면대 및 욕조와 하수관에 의해 연결되며 세면대 및 욕조에서 사용한 하수와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관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에 좌변기 오수관(14)과 세면기 하수관(12), 욕조 하수관(13), 그리고 바닥의 물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플로우 드레인(이하, FD라 함; 11)가 지나갈 통로를 확보하고, 그 통로를 통해 상층의 배관을 하층의 천장에 천장배관(15)을 시공한 후 입상관(16)과 연결하였다.
통상적으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저층의 천장에 구성되기 때문에 상층으로부터 하수가 배출되는 소음이 그대로 하층으로 유입되고, 상층과 하층이 배수관장치와 배수관 등의 얇은 PVC 막으로 막힌 형태이기 때문에 상층의 욕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변기의 물내리는 소리, 소변보는 소리, 샤워하는 소리 등)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되어 상층의 욕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하층의 사람들에게는 그 소리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 시스템에 UBR을 적용할 경우 상기 배수관 장치의 상부장치를 체결하기 위해 UBR을 구성하는 방수판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고, 방수판 밑의 콘크리트에 배수관 장치 하부와 배수관들이 묻혀 있기 때문에 방수판 밑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방수판을 제거하거나 하층의 천장을 통해 보수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많은 건설사에서 층상배관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도2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욕실의 층상배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층상배관 공법은 욕실의 슬라브를 다운 시공한 후, 그 다운 시공된 슬라브(1)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방수층 상부에 욕조 및 좌변기와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관(22)과, 좌변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수관(21)을 시공한 다음, 상기 하수관(22) 및 오수관(21)을 경량 기포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매설한다. 다음에 상기 타설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2)가 양생된 후, 그 경량 기포콘크리트 상부에 타일을 부착하고, 위생도기들을 안치시키는 순서로 시공되는 욕실 배관 공법이었다.
상기 층상배관 공법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방수공정, 담수테스트, 배관공정, 경량 기포콘크리트 타설, 타일부착 등의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또한, 건축공정과 연계가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욕실을 형성하기 위해, 방수공정, 배관공정, 경량기포콘크리트 타설공정, 타일공정 등 다수의 공종이 각각 다른 업체에 의해 시공되기 때문에 추후 욕실에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그 책임소재를 가리기가 불분명하며, 상호간에 책임을 미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층상 이중배관 시스템에 상기 UBR을 적용할 경우 기본적인 배관이 이루어진 후 UBR을 구성하는 방수판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 및 배수관들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하층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누수가 발생할 경우 방수판을 제거한 후 보수공사를 시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보수비용과 과다하게 소요되고 보수공정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수공정부터 타일공정 전까지 제품을 모듈화하여 한번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화장실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고, 욕실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동주택 욕실의 바닥에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판을 설치한 후 벽면과 천정에 조립식 욕실 시공에 사용되는 벽판과 천정재를 시공하는 등 건식방식에 사용하거나, 상기 조립식 바닥판을 시공한 후 습식방식에 의해 벽타일과 천정을 시공함으로써 습식방식에도 적용하는 등 습식방식과 건식방식에 욕실 시공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을 제공함으로써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배관 누수나 교체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초 골조 공사가 완료된 공동주택의 욕실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는 일정한 높이의 측면들을 갖도록 진공성형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의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관들과; 상기 배수관을 덮으며 욕실 바닥을 구성하는 타일을 부착할 수 있는 상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욕실에 방수공정부터 타일공정 전까지 제품을 모듈화하여 한번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화장실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고, 욕실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 욕실의 습식방식과 건식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바닥판을 제공한다.
또한, 욕실 배수관이 방수판 상부에 설치된 욕실 바닥판을 제공함으로써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욕실 바닥판을 방수판과 상판 사이에 배수관이 설치됨으로써 추후 배수관에서의 누수 발생시 하층에 피해를 주지 않고도 용이하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도1은 종래 공동주택 욕실의 화장실 배관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의 공동주택 욕실에서 적용된 층상배관을 나타낸 도면.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바닥판을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바닥판(100)의 한 실시예를 나타 낸 것으로 도3a 및 도3b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100)을 구성하는 방수판(110)을, 도3c는 배관이 체결된 방수판(110)을, 도3d는 방수판(110)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들(130)이 부분 설치된 상태를, 그리고 도3e는 조립된 욕실 바닥판(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3a의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판을 구성하는 방수판(110)을 나타낸 것으로, 일정한 두께의 합성주지 판을 진공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크기의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통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공동주택의 화장실의 형태에 따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판재는 ABS, PVC, PP, PE, PET 판재를 사용한다.
상기 진공성형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의 판 또는 파일을 가열 열화시켜 곳곳의 형틀에 눌러 형과 판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으로 하고, 형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것을 냉각 경화시키면서 취출하는 성형법이다.
또한, 상기 네측면 중 PD실에 면하는 일측면에 입상관의 위치를 고려하여 오수관과 하수관이 관통될 배관 홀들(111, 112)과, 상기 방수판(110) 내부에 작업과정이나 누수로 인해 고일 수 있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방수판 배수용 홀(113)을 형성한다.
또한, 진공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때문에 배관이 설치되는 위치와, FD의 설치위치, 좌변기 엘보의 설치 위치에 FD와 엘보 고정부 및 배관 고정부들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추후 배관 공정에서 FD와 엘보 그리고 배수관을 유동 없이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3d의 상판(130)들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114)들을 방수판(110)의 진공성형 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배면에는 형성된 지지부(114)들에 대응되는 부분에 홀(118)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지부(114)들은 오수관 배관부(115), FD 설치부(116), 하수관 배관부(117)을 제외한 방수판 전체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수판 저면에 형성된 홀(118)들은 추후 방수판(110)과 상판(130) 사이에 모래 등의 충진재를 채울 경우 충진재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이며, 상기 홀(118)들에는 차음 성능을 갖는 스폰지 등의 차음제를 채워 넣고 시공함으로써 지지부(114)에 의해 형성된 홀 공간에서의 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들을 형성하지 않고 별도록 제작된 동일한 높이의 지지대들을 방수판 바닥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3c는 상기 방수판(110)에 배관을 설치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방수판의 오수관 설치부(115)에 좌변기 엘보(121)와 오수관(122)를 설치하고, FD 설치부(116)에는 FD(123)를 고정설치한 후 세면기에 연결할 세면기용 하수관(124)과 욕조용 하수관(125)를 FD(123)에 연결하고, FD(123)의 출수구에 하수관(126)을 연결하여 방수판(110)의 PD측 측면에 형성된 배관홀들을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3d는 상기 배관이 설치된 방수판(110)의 지지부(114) 상부에 상판(130)들을 부분적으로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일정한 크기와 강도를 가지며 추후 보수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판이 아닌 200mm*200mm의 면적을 기준으로 2n(n은 자연수)만큼 증가된 크기로 형성하여 통상적으로 욕실에 설치되는 200mm*200mm 크기의 타일이 하나의 상판에 한장 또는 짝수의 장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 보수 공사기 타일의 손실을 최소화 한다. 이때, 상기 방수판에 형성된 지지부의 간격은 상판의 크기를 고려하여 하나의 상판을 다수개의 지지부가 지지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들 상부에 상판들을 설치하기 전에 지지부 또는 지지대 상단에 일정한 두께의 충격완화제를 설치함으로써 상판 설치후 거주자의 행동에 의해 방수판과 상판사이에 공명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상판들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배관부를 덮으면서도 상기 지지부 또는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충격완화제의 상면만이 노출되도록 모래, 황토, 기포콘크리트, 우레탄 폼 등의 충진제를 채워넣어 쿵쿵거림이나 울림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들 중 FD가 설치된 위치의 상판은 FD를 구성하는 FD 상부의 상단이 후 시공되는 타일의 두께만큼 노출되도록 중앙에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형성된 FD용 상판(131)과, 욕조가 설치되는 부분의 욕조 배수구 위치와 좌변기 엘보가 설치된 위치의 상판도 엘보 상단이 노출되도록 원형의 홀이 형성된 욕조용 상판(132) 및 좌변기용 상판(133)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상판은 적어도 통상적인 욕조에 물이 가득 찾을 때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철판, 강화플라스틱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다음에,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조립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방수판의 테두리는 상판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습식 욕실에서 파일을 부착할 경우 일정 부분까지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벽타일을 응결되는 물이 방수판 내부로 유입되도록하고, 건식일 경우 벽판을 상기 방수판 안쪽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벽판에 응결된 물이 방수판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PD쪽에 위치한 방수판 측면 안쪽에는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경량벽체를 방수판 안쪽에 시공할 수 있도록 상판과 방수판 측면 사이의 간격을 경량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형성한 조적부(134)를 둘 수도 있다.
다음에, 도4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수관들이 설치된 방수판(110) 상부에 진공성형 방법에 의해 성형된 방수판 배누 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하나의 일체형 상판(15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일체형 상판(150)은 FD 노출홀, 좌변기 엘보 노출홀, 욕조 배수구 노출 홀이들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은 외부에서 조립한 후 슬라브가 형성된 욕실부분에 안치시킬수도 있고, 방수판, 배수관 자재, 상판 등을 별도로 포장하여 욕실이 설치될 슬라브 위치에 방수판, 배수관 배관, 상판 결합 등의 공정을 거쳐 욕실 바닥판을 조립시공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욕실 바닥판이 슬라브 위에 시공되면 상기 방수판 안쪽에 경량벽체를 이용하여 조적벽을 형성하고 그 조적벽과 내력벽에 타일 시공을 한후, 상기 바닥판의 상판 상부에 타일 본드 또는 백색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바닥 구배를 잡은 후 바닥타일을 부착한 후, 세면기, 좌변기, 욕조 등을 설치함으로써 욕실의 시공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일체형 욕실 바닥은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설계된 치수에 맞게 사전 제작한 후, 현장의 골조가 시공된 후 물 공사 없이 조립하는 것만으로 욕실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어 공기단축, 공종간의 간섭 최소화, 비용절감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슬라브 2 : 경량기포콘크리트
11 : 층하배관용 FD 12 : 세면기 하수관
13 : 욕조 하수관 14 : 좌변기 오수관
15 : 천장배관 16 : 입상관
21,122 : 오수관 22,126 : 하수관
100 : 조립식 욕실 바닥판 110 : 방수판
111,112,113 : 배관 홀 114 : 상판 지지부
115 : 오수관 배관부 116 : FD 설치부
117 : 하수관 배관부 118 : 지지부 형성홀
121 : 좌변기 엘보 123 : FD
124 : 세면기용 하수관 125 : 욕조용 하수관
130 : 상판 131 : FD용 상판
132 : 욕조 배수구용 상판 133 : 좌변기용 상판
34 : 조적부 150 : 일체형 상판

Claims (11)

  1. 기초 골조 공사가 완료된 공동주택의 욕실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는 일정한 높이의 측면들과, 바닥에 동일한 길이로 융기된 다수개의 상판 지지부들이 한번의 성형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의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관들과;
    상기 배수관을 덮으며 욕실 바닥을 구성하는 타일을 부착할 수 있는 각각 한개의 FD용 상판, 욕조배수구용 상판, 좌변기용 상판을 포함하는 상판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정은 진공성형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은 PVC, ABS, PP, PE, PET 중 어느 하나를 원료로 하는 판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에 형성된 지지부들의 배면 홀에는 차음재를 채워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각각의 크기는 200mm*200mm 크기의 2n(n은 자연수) 배수를 갖도록 형성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진공성형에 의해 FD 노출홀, 좌변기 엘보 노출홀, 욕조 배수구 노출 홀이 형성된 하나의 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20140102262A 2014-08-08 2014-08-08 조립식 욕실 바닥판 Active KR10171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62A KR101716876B1 (ko) 2014-08-08 2014-08-08 조립식 욕실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62A KR101716876B1 (ko) 2014-08-08 2014-08-08 조립식 욕실 바닥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22A KR20160018122A (ko) 2016-02-17
KR101716876B1 true KR101716876B1 (ko) 2017-03-20

Family

ID=5545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62A Active KR101716876B1 (ko) 2014-08-08 2014-08-08 조립식 욕실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649B1 (ko) * 2021-07-21 2022-01-17 주식회사 성일 다중 진공성형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제작방법
KR102423010B1 (ko) 2021-04-20 2022-07-19 주식회사 성일 코너 및 t자 형상의 욕실용 바닥판의 물 구배 및 벽체 시공이 용이하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방법
KR102682077B1 (ko) 2024-04-02 2024-07-05 주식회사 성일 타일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중앙배수형 욕실 바닥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018A (ko) * 2016-07-08 2018-01-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CN106760374B (zh) * 2017-03-20 2022-05-31 李西安 一种分体组合式底盘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54Y1 (ko) 2000-05-01 2000-11-01 주식회사한상인텍 건축용 패널
JP2005240461A (ja) 2004-02-27 2005-09-08 Takiron Co Ltd 浴室用フロア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54Y1 (ko) 2000-05-01 2000-11-01 주식회사한상인텍 건축용 패널
JP2005240461A (ja) 2004-02-27 2005-09-08 Takiron Co Ltd 浴室用フロア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10B1 (ko) 2021-04-20 2022-07-19 주식회사 성일 코너 및 t자 형상의 욕실용 바닥판의 물 구배 및 벽체 시공이 용이하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방법
KR102352649B1 (ko) * 2021-07-21 2022-01-17 주식회사 성일 다중 진공성형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제작방법
KR102682077B1 (ko) 2024-04-02 2024-07-05 주식회사 성일 타일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중앙배수형 욕실 바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22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20160028809A (ko) 욕실 시공용 방수판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935725B1 (ko) 공동주택 방수 바닥구조
KR20160101767A (ko)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01469385B1 (ko) 층간 소음 방지용 배관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935726B1 (ko) 공동주택 방수구조용 지지 조립체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979062B1 (ko) 층상배관용 바닥판
KR20160035876A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488639B1 (ko) 층상배관을 적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CN111677061A (zh) 不降板同层排水系统及其施工方法
KR20130022698A (ko) 배관 매설 슬래브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07404B1 (ko) 욕실 슬라브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