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4993B1 -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 Google Patents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93B1
KR101564993B1 KR1020140065917A KR20140065917A KR101564993B1 KR 101564993 B1 KR101564993 B1 KR 101564993B1 KR 1020140065917 A KR1020140065917 A KR 1020140065917A KR 20140065917 A KR20140065917 A KR 20140065917A KR 101564993 B1 KR101564993 B1 KR 10156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throom
elbow
sewage
drain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14006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93B1/ko
Priority to CN201580028603.5A priority patent/CN106414867A/zh
Priority to PCT/KR2015/005482 priority patent/WO20151830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loor Finish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욕실의 오수관과 하수관을 내장한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은 바닥과 측면들로 구성된 욕실 바닥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다각형 통형상의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시공되는 욕조, 세면기,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입상관과 연결되는 FD를 포함하는 하수관 및 양변기의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과, 상기 배수관 및 오수관을 덮으며 상면에 타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수판 밑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분리 시공되는 경량바닥 블럭을 포함하여 별도의 방수공사 없이 간단하게 욕실 바닥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Drain Assembled Bathroom Floor Board}
본 발명은 공동주택 욕실의 오수관과 하수관을 내장한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은 바닥과 측면들로 구성된 욕실 바닥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다각형 통형상의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시공되는 욕조, 세면기,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입상관과 연결되는 FD를 포함하는 하수관 및 양변기의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과, 상기 배수관 및 오수관을 덮으며 상면에 타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수판 밑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분리 시공되는 경량바닥 블럭을 포함하여 별도의 방수공사 없이 간단하게 욕실 바닥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세면욕실의 바닥에는 방수구조가 필수적으로 시공되어야 하며 세면욕실 시공방법에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구분된다.
상기 습식공법은 사면이 옹벽과 조적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 슬라브상에 액체방수공사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바닥타일 공사를 실시하고 벽면에 대해서도 액체방수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표면에 벽타일 공사를 실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습식공법은 액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건조시키고, 방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물을 채워 방수시험을 해야 하는 등 그 시공방법에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서 정밀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동절기에 기온이 낮은 경우 시공이 불가능하며 시공 세대마다 균일한 품질의 확보가 어렵고 시간이 지나면서 방수층의 균열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에, 건식공법은 일명 '조립식 세면욕실(Unit Bath Room; 이하, UBR이라 함)'이라 칭하며 욕실 바닥 및 천장의 형성에 필요한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한 후,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완성하는 욕실 시공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습식 및 건식 시공방법은 모두 종래의 배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세면대 및 욕조와 하수관에 의해 연결되며 세면대 및 욕조에서 사용한 하수와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관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에 좌변기 오수관(14)과 세면기 하수관(12), 욕조 하수관(13), 그리고 바닥의 물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FD(11)가 지나갈 통로를 확보하고, 그 통로를 통해 상층의 배관을 하층의 천장에 시공한 후 입상관(16)과 연결하였다. 통상적으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저층의 천장에 구성되기 때문에 상층으로부터 하수가 배출되는 소음이 그대로 하층으로 유입되고, 상층과 하층이 배수관장치와 배수관 등의 얇은 PVC 막으로 막힌 형태이기 때문에 상층의 욕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변기의 물내리는 소리, 소변보는 소리, 샤워하는 소리 등)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되어 상층의 욕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하층의 사람들에게는 그 소리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 시스템에 UBR을 적용할 경우 상기 배수관 장치의 상부장치를 체결하기 위해 UBR을 구성하는 방수판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고, 방수판 밑의 콘크리트에 배수관 장치 하부와 배수관들이 묻혀 있기 때문에 방수판 밑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방수판을 제거하거나 하층의 천장을 통해 보수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많은 건설사에서 층상배관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도2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욕실의 층상배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층상배관 공법은 욕실의 슬라브를 다운 시공한 후, 그 다운 시공된 슬라브(1)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방수층 상부에 욕조 및 양변기와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관(22)과, 좌변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수관(21)을 시공한 다음, 상기 하수관(22) 및 오수관(21)을 경량 기포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매설한다. 다음에 상기 타설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2)가 양생된 후, 그 경량 기포콘크리트 상부에 타일을 부착하고, 위생도기들을 안치시키는 순서로 시공되는 욕실 배관 공법이었다.
상기 층상배관 공법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방수공정, 담수테스트, 배관공정, 경량 기포콘크리트 타설, 타일부착 등의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또한, 건축공정과 연계가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욕실을 형성하기 위해, 방수공정, 배관공정, 경량기포콘크리트 타설공정, 타일공정 등 다수의 공종이 각각 다른 업체에 의해 시공되기 때문에 추후 욕실에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그 책임소재를 가리기가 불분명하며, 상호간에 책임을 미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층상 이중배관 시스템에 상기 UBR을 적용할 경우 기본적인 배관이 이루어진 후 UBR을 구성하는 방수판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 및 배수관들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하층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누수가 발생할 경우 방수판을 제거한 후 보수공사를 시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보수비용과 과다하게 소요되고 보수공정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수공정부터 타일공정까지 제품을 모듈화하여 한번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화장실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고, 욕실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동주택 욕실의 습식방식과 건식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UBR욕실의 바닥판을 제공함으로써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바닥과 방수판 사이에 공간으로 인행 발생하던 퉁퉁거림이나 울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초 골조 공사가 완료된 공동주택의 욕실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는 일정한 높이의 측면들을 갖는 욕실 면적과 같은 바닥을 갖는 사각 통 형상의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관들과; 상기 배수관을 덮으며 욕실 바닥을 구성하는 블럭들과; 상기 블럭들 상부에 부착되는 타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욕실에 방수공정부터 타일공정까지 제품을 모듈화하여 한번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화장실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고, 욕실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 욕실의 습식방식과 건식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바닥판을 제공한다.
또한, UBR욕실의 바닥판을 제공함으로써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바닥과 방수판 사이에 공간으로 인행 발생하던 퉁퉁거림이나 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공동주택 욕실의 화장실 배관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의 공동주택 욕실에서 적용된 층상배관을 나타낸 도면.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욕실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3a 내지 도3d는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욕실 바닥판을 나타낸 것으로, 도3a는 배관 일체형 욕실 바닥판을 구성하는 방수판(110)과, 그 방수판(110)에 설치된 배수관(120)을, 도3b는 상기 방수판(110)에 체결하여 배수관(120)을 덮고 욕실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 블럭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3a의 방수판(110)은 길기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충격에 파손되지 않는 합성수지재 판넬을 설계된 욕실의 바닥 면적과 동일하거나 약간 적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네측면이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통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욕실의 형태에 따라 다각형의 통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측면 중 PD실에 면하는 일측면에 입상관의 위치를 고려하여 하수관과 오수관이 관통될 배관 홀들(111,112)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수판(110)의 바닥면에 배수관(120)을 설치한다. 상기 배수관(120)은 세면기, 욕조 및 바닥의 물을 배출하는 하수관은 좌변기의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으로 구성되며, 하수관은 세면기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유도하는 세면기 하수관(121)과, 욕조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유도하는 욕조 하수관(122)이 바닥의 물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FD(123)에 연결되고, 상기 FD(123)에 집수된 하수를 입상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24)으로 구성되며, 이를 세면기 및 욕조가 설치될 위치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밀착 고정 시킨다. 또한, 상기 오수관은 좌변기가 설치될 위치에 좌변기 엘보(126)를 설치하고, 그 좌변기 엘보(126)에 오수관(127)을 연결하여 상기 방수판의 측면에 형성된 배관홀을 통해 입상관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3a와 같이 방수판(110)에 배수관들이 설치되면, 상기 배수관들을 덮을 수 있으며 욕실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3b의 블럭들을 퍼즐이 결합되듯이 방수판(110) 상부에 체결한다. 상기 블럭들은 통상적인 욕실의 규격을 분리하고 시공이 간편하도록 작업자가 이동가능한 무게를 갖도록 형성하며, 배관이 없는 부분에 설 치되는 평블럭(210)과, 직선으로 시공된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덮을 수 있도록 밑면에 일자의 배관 안치홈(221)이 형성된 배관매립 블럭(220)과, 상기 하수관 또는 오수관이 90도 절곡시공된 엘보 부분에 설치되도록 밑면에 10자 형태의 엘보 안치홀(231)이 형성된 엘보 매립블럭(230)과, 상기 FD 상부에 설치되며 FD가 장입되고 FD 상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사각의 FD장입부(241)가 형성되며 FD의 집수구와 출수구에 연결되는 하수관이 장입되는 홀 또는 홈(242)이 형성된 FD 장입 블럭(2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관매립 블럭(220)은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50P 파이프와 오수관으로 사용되는 100P 또는 75P가 장입되도록 두가지 이상의 형태로 형성한다. 또한, 엘보 매립블럭(230)은 블럭 배면에 십자형의 홈만을 형성하거나, 엘보의 외경과 동일한 구멍을 상기 십자형의 홈(231) 중앙에 형성하여 양변기 엘보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엘보 노출구(232)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십자형 홈(231)의 크기도 50P, 75P, 100P의 파이프가 모두 장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3a와 같이 구성된 방수판(110)을 설계된 크기의 욕실 바닥면적에 맞게 제작하고, 설치될 배관을 재단하여 FD와 함께 포장하고, 도3b의 블럭들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방수판, 배수관 그리고 블럭들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욕실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3c 및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의 바닥에 상기 방수판(1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방수판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수관 배관 홀들(11,112)이 PD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상기 방수판(110) 바닥면에 욕조와 세면기가 설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FD(123)와 각각의 하수관들(121,122,124)을 설치하고, 좌변기가 설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좌변기 엘보(126)와 오수관(127)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하수관과 오수관을 입상관에 연결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방수판(110)에 설치된 하수관과 오수관을 덮기 위해 직관의 하수관과 오수관이 설치된 위치에는 배관매립 블럭(220)을 설치하여 배관을 덮고, FD가 설치된 곳에는 FD 매립 블럭(240)을, 좌변기 엘보가 설치된 위치와 엘보가 설치된 위치에는 엘보매립 블럭(230)을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배관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평블럭(21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방수판 바닥에 상기 각각의 블럭들을 설치하더라도 규격화된 블럭들의 크기와 방수판 바닥이 정확히 구획되지 않는 경우 남은 면적에 맞게 재단된 평블럭(250)을 설치하여 방수판(110) 바닥 전체를 블럭으로 채움으로써 배관 일체용 욕실 바닥판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일체형 욕실 바닥은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설계된 치수에 맞게 사전 제작한 후, 현장의 골조가 시공된 후 물 공사 없이 조립하는 것만으로 욕실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어 공기단축, 공종간의 간섭 최소화, 비용절감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10 : 방수판 111,112 : 배관 홀
120 : 배수배관 121 : 세면기 하수관
122 : 욕조 하수관 123 : FD
124 : 하수관 126 : 좌변기 엘로
127 : 오수관 210 : 평블럭
220 : 배관매립 블럭 221 : 배관홈
230 : 엘보매립 블럭 231 : 십자형 홈
232 : 엘보 노출부 240 : FD 매립 블럭
241 : FD 장입부 242 : 배관 홀 또는 홈

Claims (5)

  1. 기초 골조 공사가 완료된 공동주택의 욕실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는 일정한 높이의 측면들을 갖는 욕실 면적과 같은 바닥을 갖는 사각 통 형상의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 배관들과;
    상기 배수 배관을 덮으며 욕실 바닥을 구성하되 배관이 없는 부분에 설치되는 평블럭(210)과, 선으로 시공된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덮을 수 있도록 밑면에 일자의 배관 안치홈(221)이 형성된 배관매립 블럭(220)과, 기 하수관 또는 오수관이 90도 절곡시공된 엘보 부분에 설치되도록 밑면에 10자 형태의 엘보 안치홀(231)이 형성된 엘보 매립블럭(230)과, 기 FD 상부에 설치되며 FD가 장입되고 FD 상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사각의 FD장입부(241)가 형성되며 FD의 집수구와 출수구에 연결되는 하수관이 장입되는 홀 또는 홈(242)이 형성된 FD 장입 블럭(240)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은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매립 블럭(220)은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50P 파이프와 오수관으로 사용되는 100P 또는 75P가 장입되도록 두가지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일체형 욕실 바닥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 매립 블럭은 중앙에 에 십자형의 홈만을 형성하거나, 엘보의 외경과 동일한 구멍을 상기 십자형의 홈(231) 중앙에 형성하여 양변기 엘보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엘보 노출구(232)를 구성하고, 상기 십자형 홈(231)의 크기도 50P, 75P, 100P의 파이프가 모두 장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20140065917A 2014-05-30 2014-05-30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Active KR10156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17A KR101564993B1 (ko) 2014-05-30 2014-05-30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CN201580028603.5A CN106414867A (zh) 2014-05-30 2015-06-01 排水一体型浴室地板
PCT/KR2015/005482 WO2015183057A1 (ko) 2014-05-30 2015-06-01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17A KR101564993B1 (ko) 2014-05-30 2014-05-30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993B1 true KR101564993B1 (ko) 2015-11-02

Family

ID=5459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17A Active KR101564993B1 (ko) 2014-05-30 2014-05-30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64993B1 (ko)
CN (1) CN106414867A (ko)
WO (1) WO201518305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398A (zh) * 2016-04-11 2016-06-15 河南城建学院 一种虹吸式上下层节水卫生间系统
WO2018016888A1 (ko) * 2016-07-20 2018-01-25 유영근 화장실 바닥 방수체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N111593794A (zh) * 2020-06-08 2020-08-28 四川海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下沉式卫生间防积水结构
CN113914674A (zh) * 2021-11-04 2022-01-11 北京世纪天创智业系统集成技术有限公司 一种板体复合的卫浴集成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9208B (zh) * 2022-05-30 2024-01-30 威信广厦模块住宅工业有限公司 用于模块化建筑的室内排水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8019Y (zh) * 1993-02-08 1994-06-08 颜仁河 组合式浴室结构
JPH08289852A (ja) * 1995-04-24 1996-11-05 Aoi Kogyo Kk 組立式浴室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592790Y (zh) * 2002-12-23 2003-12-17 千宝实业股份有限公司 改进底盘结构后的整体浴室
NL1022957C2 (nl) * 2003-03-18 2004-09-21 Easy Sanitairy Solutions Bv Driehoekige afvoerput.
KR101064614B1 (ko) * 2009-01-07 2011-09-16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75701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398A (zh) * 2016-04-11 2016-06-15 河南城建学院 一种虹吸式上下层节水卫生间系统
WO2018016888A1 (ko) * 2016-07-20 2018-01-25 유영근 화장실 바닥 방수체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US11359385B2 (en) 2016-07-20 2022-06-14 Yeong Geun YOO Bathroom floor waterproofing syste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CN111593794A (zh) * 2020-06-08 2020-08-28 四川海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下沉式卫生间防积水结构
CN111593794B (zh) * 2020-06-08 2021-07-09 四川海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下沉式卫生间防积水结构
CN113914674A (zh) * 2021-11-04 2022-01-11 北京世纪天创智业系统集成技术有限公司 一种板体复合的卫浴集成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14867A (zh) 2017-02-15
WO2015183057A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137931A (ko)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20160028809A (ko) 욕실 시공용 방수판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01935725B1 (ko) 공동주택 방수 바닥구조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20160035876A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979062B1 (ko) 층상배관용 바닥판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101677028B1 (ko)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8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