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3529B1 -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 Google Patents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29B1
KR101393529B1 KR1020120078739A KR20120078739A KR101393529B1 KR 101393529 B1 KR101393529 B1 KR 101393529B1 KR 1020120078739 A KR1020120078739 A KR 1020120078739A KR 20120078739 A KR20120078739 A KR 20120078739A KR 101393529 B1 KR101393529 B1 KR 10139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slab
fixing member
sew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297A (ko
Inventor
최해권
정상철
Original Assignee
청암피앤피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암피앤피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청암피앤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면욕실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층상배관 방식에 적용되며, 하수 또는 오수 배관의 깊이를 확보하여 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슬라브) 타설전에 거푸집 상부에 설치하며, 슬라브 타설 후 몰타르 등의 마감재 타설 전에 하수 또는 오수 배관을 슬라브 상면에서 일정부분 함입되게 설치하여 제한된 마감재의 높이에 맞게 층상배관 시공 가능하도록 하는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Lay in state Device for Pipe Laying on Floor}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면욕실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층상배관 방식에 적용되며, 하수 또는 오수 배관의 깊이를 확보하여 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슬라브) 타설전에 거푸집 상부에 설치하며, 슬라브 타설 후 몰타르 등의 마감재 타설 전에 하수 또는 오수 배관을 슬라브 상면에서 일정부분 함입되게 설치하여 제한된 마감재의 높이에 맞게 층상배관 시공 가능하도록 하는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세면욕실의 세면기, 욕조, 그리고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 배관들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으로는 층하배관 방식과 층상배관 방식이 있다.
종래 세면욕실의 하수 배출을 위한 층하배관 방식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이나 방과 같은 높이로 기초 콘크리트층인 슬라브(10)를 형성하고, 거실 또는 방과 세면욕실의 마감재층의 높이를 달리하여 거실 또는 방과 세면욕실 바닥이 단차지게 형성하여 세면욕실 출입시 내부에 비치한 슬리퍼 등이 문에 걸리지 않도록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세면욕실 바닥에는 층하배관 방식을 구성하는 배수관 장치와 집수관 및 배수관 등을 매설할 정도로 바닥 마감재(30)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없어 세면욕실의 슬라브(10) 상부에 욕조(60)용 집수관 및 세면기(50)용 집수관, 그리고 상기 욕조 및 세면기용 집수관을 체결하고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관 장치(70)를 성치하고, 상기 배수관 장치(70)에 연결된 배수관(80)을 세면욕실의 슬라브(10)를 관통시켜 하층 세면욕실 천장을 통해 측면으로 관통시켜 PD실의 입상관과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층하배관 방식은 세면욕실 사용시 하수의 배출소음과 세면욕실에서 행해지는 거주자의 행위(샤워, 용변 소리 등)에 따른 소음이 하수관과 오수관을 통해 하층으로 전달되거나 세면욕실 층간의 바닥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세면욕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플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하층의 사람들에게는 상기 소음으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층의 배관이 하층의 천장에 시공되기 때문에 누수 발생시 하층에 피해가 발생하고, 누수의 보수는 하층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층간 분쟁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배관 방식이 층상배관 방식이다. 층상배관 방식은 층하배관 방식과는 다르게 세면욕실의 슬라브에 구멍을 뚫지 않고, 슬라브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방수층 상부에 배관을 실시한 후, 그 배관의 끝단을 PD실의 입상관에 연결하고, 배관된 상부에 마감재를 타설하고 위생도기들을 설치함으로써 구현되었다.
상기와 같은 층상배관 방식은 슬라브를 관통하여 배수관을 하층 천장에 시공하지 않고, 슬라브 상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층하배관 방식의 문제점인 상층의 소음유입 및 누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층상배관 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하수관과 오수관이 충분이 매설될 수 있는 마감재의 높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층상배관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세면욕실의 슬라브 높이를 거실 또는 주방의 슬라브의 높이 보다 낮게 시공하는 다운 슬라브 공법(특허 제10-0981324호, 발명의 명칭: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 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운 슬라브 공법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욕실의 슬라브(110) 높이를 거실이나 방의 슬라브(120) 높이 보다 180mm 전후로 단차지게 다운 시공하고, 그 다운된 슬라브 상부에 하수관(150) 및 오수관(140)을 설치한 후, 단차진 높이를 기포 콘크리트(130) 등을 이용하여 타설함으로써 층상배관 방식을 구현하였다.
이와 같은 다운 슬라브 공법은 거푸집을 절곡하고, 다운된 슬라브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강근을 추가로 시공해야하는 등 비용이나 시공방법 등에 있어 건축적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에 다운 슬라브 공법을 이용한 층상배관 방식은 현장이나 건설사에서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층하배관 방식의 문제점과 층상배관 방식 구현을 위한 다운 슬라브 방식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특허 제918851호(명칭: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과, 현대산업개발주식회사의 특허 제1081970호(명칭: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이 등록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918851호는 종래 층하배관 방식을 적용하던 규격화된 세면욕실의 슬라브를 타설하기 전에 집수관 및 배수관과 배수관 장치를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일정 부분이 함입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슬라브 타설전에 거푸집 상부에 설치되고, 슬라브 타설 후 제거되어 배층상배관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배수관 장치 고정부재를 갖는 배수관 장치 설치홈과, 집수관 및 배수관 설치홈이 형성할 수 있는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특허 제1089709호는 다층 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면욕실 슬라브에 각 배수수평 지관과 배수수평 주관 및 통합 트랩수단이 부분 매립될 수 있는 매립홈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배수수평 지관과 배수수평 주관 및 통합트랩수단을 상기 매립홈에 부분매립하여 배치하며, 세면욕실 바닥 슬라브를 타공간의 바닥 슬라브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들은 슬라브 상부에 배관을 설치하되 규격화된 마감재의 높이를 충족하기 위해 슬라브에 배관 설치를 위한 홈을 형성하기 위한 설치틀 또는 홈을 형성하여 층상배관을 구현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라브에 배관 설치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 것은, 설치틀이나 요철 슬리브 등을 슬라브 타설전에 거푸집 상부에 설치하고, 슬라브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 설치틀이나 요철 슬리브 등을 제거해야 하고, 형성된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홈들이 매끄럽지 못하기 때문에 홈의 면들을 일일이 정리하여야 하는 등 시공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층상배관을 하기 위해서는 슬라브 바닥에 방수를 실시하여야 하고 대체적으로 액체 방수를 실시하기 때문에 형성된 배수관 설치 홈들에 방수액이 고여 홈을 메울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방수작업이 필요하므로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시공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10-0918851호(2009년 9월 17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08197호(2011년 11월 3일 등록)
상기와 같은 다운 슬라브 없이 층상배관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거실 또는 방과 단차없이 형성한 세면욕실 슬라브에 하수관 및 오수관이 일정부분 함입되도록 형성하던 배관 설치홈을 형성하기 위한 설치틀과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의 층상배관용 안치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가볍고 운반이 쉬우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상부에 설치한 후 슬라브가 양생되더라도 제거하지 않고 바로 상부에 하수관 및 오수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공정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층상배관용 안치대를 홈부와 방수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하부에 레일 형상의 고정부재 삽입 홈을 형성하여, 원하는 부분에 고정부재를 삽입한 후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고정부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층상배관용 안치대를 구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배관 설치시 별도의 구배작업 없이 상기 안치대에 안치하는 것만으로도 하수관 및 오수관의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치대 상부에 임시덮개를 제공하고, 슬라브가 타설된 후 지수부만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작업시 임시마개의 지수부 부분만을 절단하고 방수작업을 실시함으로써 하수관 및 오수관의 배관 전에 상기 안치대의 홈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치대의 배관이 함입되는 부분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양면테이프나 차음제를 부착하여 하층으로 전달되는 배수 소음을 차단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출성형 공법으로 일체로 제조되며, 배수관의 적어도 1/3 이상이 함입되는 배수관 안치부, 상기 배수관 안치부 양측에 형성되며 측단에 방수턱이 형성된 지수부, 상기 지수부 하단에 안치부와 평행하게 레일형태로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부로 구성된 배수관 안치부재와; 상기 안치부재의 고정부재 삽입부의 삽입홈에 체결되어 유동되는 헤드와 그 헤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기둥을 갖는 피치부로 구성된 너트와, 상기 너트의 피치부에 체결되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시키기 위한 제1너트으로 구성된 높이 조절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의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체결부와, 그 볼트 체결부의 저면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푸집 고정부로 구성된 제2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층상배관용 안치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가볍고 운반이 쉬우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상부에 설치한 후 슬라브가 양생되더라도 제거하지 않고 바로 상부에 하수관 및 오수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공정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층상배관용 안치대를 홈부와 방수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하부에 레일 형상의 고정부재 삽입 홈을 형성하여, 원하는 부분에 고정부재를 삽입한 후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고정부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층상배관용 안치대를 구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배관 설치시 별도의 구배작업 없이 상기 안치대에 안치하는 것만으로도 하수관 및 오수관의 구배가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치대 상부에 임시덮개를 제공하고, 슬라브가 타설된 후 지수부만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작업시 임시마개의 지수부 부분만을 절단하고 방수작업을 실시함으로써 하수관 및 오수관의 배관 전에 상기 안치대의 홈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배관이 안치되는 부분에 두꺼운 양면 테이프나 차음제를 부착하여 하층으로 전달되는 배수 소음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1은 종래의 층하배관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다운 슬라브 공법을 이용한 층상배관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3a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b는 도3a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후시공되는 하수관 또는 오수관이 함입 안치되는 홈이 형성된 안치부재(210)와, 상기 안치부재를 거푸집에 구배를 갖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20),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마개(2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안치부재(210)는 후시공되어 함입 안치되는 배수관이 적어도 1/3 이상이 함입되는 배수관 안치부(211)와, 상기 배수관 안치부(211) 양측에 형성되며 측단에 방수턱(214)이 형성된 지수부(212)들과, 상기 지수부들 하단에 안치부(211)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레일형태로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부(2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 안치부는 용도에 따라 오수관으로 주로 사용되는 직경이 100mm인 파이프 또는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직경 50mm 파이프가 합입되어 안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설계된 세면욕실의 마감층의 높이를 고려하여 함입되는 깊이를 깊거나 얕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213)는 지수부(212)들 하단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지수부(212) 하단에서 끝단이 마주보게 안쪽으로 절곡된 두개의 연장부재를 형성하여 하단의 개방된 부분은 좁고, 상단의 고정부재 삽입부는 넓은 홈이 레일형태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안치부(211) 하단에는 다수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후 안치부재(21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함입된 안치부(211) 상면에 두꺼운 양면 테이프나 차음제를 부착하여 설치되는 배관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추후 배수관의 소음이 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안치부재(210)를 거푸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20)는, 상기 안치부재(210)의 고정부재 삽입부(213)의 삽입홈에 체결되어 유동되는 헤드(221)와 그 헤드(221)와 일체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원기중 형상의 피치부(222)로 구성되고, 상기 피치부(222)에 체결되어 상기 헤드(221)를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213)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221)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223)로 구성된 높이 조절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의 피치부(222)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224)와, 그 체결부(224)의 저면에서 측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푸집 고정부(2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의 볼트를 구성하는 피치부는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치부재의 구배에 따른 고정위치에서 높이를 조절하여 안치부재의 전체 구배를 조정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임시마개(230)은 상기 안치부재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평평한 마개 몸체(231)와, 상기 마개 몸체(231) 양단에 형성되고 안치부재 양측단 외측으로 체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방수홈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턱(232)들과; 상기 마개 몸체(231) 하부에 연장형성되고 안치부재의 배관 안치부의 일부분을 밀착하여 덮을 수 있는 굴곡진 리브(23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된 세면욕실의 슬라브(A)에 상기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200)에 의해 일정한 구배를 갖는 홈을 형성하게 되고, 그 홈에 오수관 또는 하수관을 시공하고, 일단에 배수관 장치를 타단에는 입상관을 연결하고 마감재를 타설한 후 위생도기들을 설치함으로써 세면욕실을 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관 안치대는 거푸집에 설치한 후 이전과 동일한 공정에 의하더라도 세면욕실 슬라브에 배관이 일부분 합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고, 이질재 층의 증가로 인해 하층으로 전달되는 배수 소음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110,A: 세면욕실 슬라브 20,120: 거실 또는 방의 슬라브
30, 130: 마감재 50 : 세면기
60 : 욕조 70 : 배수관 장치
80, 150 : 하수 배관 140 : 오수 배관
210 : 안치부재 211 : 배수관 안치부
212 : 지수부 213 : 고정부재 삽입부
214 : 방수턱 220 : 고정부재
221 : 헤드 222 : 피치부
223 : 너트 224 : 볼트 체결부
225 : 거푸집 고정부 230 : 임시마개
231 : 마개 몸체 232 : 방수턱
233 : 리브

Claims (6)

  1. 세면욕실의 하수와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층상배관 방식에 있어서,
    세면욕실 슬라브 상부에 설치되는 하수관 또는 오수관이 함입 안치되는 배수관이 적어도 1/3 이상이 함입되는 배수관 안치부(211)와, 상기 배수관 안치부(211) 양측에 형성되며 측단에 방수턱(214)이 형성된 지수부(212)들과, 상기 지수부들 하단에 안치부(211)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레일형태로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부(213)로 구성된 안치부재(210)와;
    상기 안치부재를 거푸집에 구배를 갖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213)는,
    상기 지수부(212)들 하단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지수부(212) 하단에서 끝단이 마주보게 안쪽으로 절곡된 두개의 연장부재를 형성하여 하단의 개방된 부분은 좁고, 상단의 고정부재 삽입부는 넓은 홈이 레일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된 안치부(211) 상면에 두꺼운 양면 테이프나 차음제를 부착하여 설치되는 배관을 고정시키고, 배수소음의 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안치부재(210)의 고정부재 삽입부(213)의 삽입홈에 체결되어 유동되는 헤드(221)와 그 헤드(221)와 일체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원기중 형상의 피치부(222)로 구성되고, 상기 피치부(222)에 체결되어 상기 헤드(221)를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213)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221)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223)로 구성된 높이 조절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의 피치부(222)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224)와, 그 체결부(224)의 저면에서 측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푸집 고정부(2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는,
    상기 안치부재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평평한 마개 몸체(231)와, 상기 마개 몸체(231) 양단에 형성되고 안치부재 양측단 외측으로 체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방수홈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턱(232)들로 구성된 임시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관용 안치대.

KR1020120078739A 2012-07-19 2012-07-19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Active KR10139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739A KR101393529B1 (ko) 2012-07-19 2012-07-19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739A KR101393529B1 (ko) 2012-07-19 2012-07-19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297A KR20140012297A (ko) 2014-02-03
KR101393529B1 true KR101393529B1 (ko) 2014-05-09

Family

ID=5026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739A Active KR101393529B1 (ko) 2012-07-19 2012-07-19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64A (ko) * 2015-06-26 2017-01-04 주식회사 티아이씨 층상 배관용 배수관
KR101935726B1 (ko) 2018-06-12 2019-01-04 권영훈 공동주택 방수구조용 지지 조립체
KR101935725B1 (ko) 2018-06-12 2019-01-04 권영훈 공동주택 방수 바닥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332A (ja) * 1999-03-30 2000-10-13 Inax Corp 配管支持具
KR100871412B1 (ko) * 2008-04-24 2008-12-03 주식회사 안성테크 악세스 후로아 판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332A (ja) * 1999-03-30 2000-10-13 Inax Corp 配管支持具
KR100871412B1 (ko) * 2008-04-24 2008-12-03 주식회사 안성테크 악세스 후로아 판넬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64A (ko) * 2015-06-26 2017-01-04 주식회사 티아이씨 층상 배관용 배수관
KR101711494B1 (ko) * 2015-06-26 2017-03-02 주식회사 티아이씨 층상 배관용 배수관
KR101935726B1 (ko) 2018-06-12 2019-01-04 권영훈 공동주택 방수구조용 지지 조립체
KR101935725B1 (ko) 2018-06-12 2019-01-04 권영훈 공동주택 방수 바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297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1677028B1 (ko)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101229734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101291882B1 (ko)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20160035876A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073851B1 (ko) 층상 배수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