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7788B1 -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 Google Patents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788B1
KR100967788B1 KR1020090113107A KR20090113107A KR100967788B1 KR 100967788 B1 KR100967788 B1 KR 100967788B1 KR 1020090113107 A KR1020090113107 A KR 1020090113107A KR 20090113107 A KR20090113107 A KR 20090113107A KR 100967788 B1 KR100967788 B1 KR 10096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floor
pipe
horizontal pipe
sla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중석
Original Assignee
노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중석 filed Critical 노중석
Priority to KR102009011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7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80Combined water inlet and outle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욕실이 직하층 배관 방식의 슬라브 구조를 가지며 욕실의 바닥마감의 상측에 양변기, 세면기 및 욕조가 구비되는 욕실에 있어서, 상기 욕실의 슬라브의 상측의 바닥마감을 거실바닥마감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한 후, 상기 욕실의 슬라브의 상면과 바닥마감과의 사이공간에는, 상기 양변기의 하측에 연결되는 오수수평관과 상기 세면기와 욕조의 하측에 연결되는 배수수평관이 시공되고; 상기 오수수평관과 배수수평관은, 각각 상기 욕실 외측공간인 PD내 수직관에 각각 섹스티아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양변기와 오수수평관의 연결은, 상기 양변기의 하측과 오수수평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엘보와, 상기 엘보가 슬라브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엘보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고정받침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세면기와 욕조 및 배수수평관의 연결은, 상기 욕실의 슬라브의 상면과 바닥마감과의 사이공간에 상측이 바닥마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면기의 하측에 연결된 세면기배수관과 상기 욕조의 하측에 연결된 욕조배수관이 연결되는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들을 통해 인입된 배수가 PD내 수직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PD내 수직관에 일측이 연결된 배수수평관의 타측이 연결되는 배수구 및 상기 연결구와 배수구 사이에 위치되는 봉수트랩을 포함하는 종합바닥육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이 제공된다.
층상배관, 당해층배관, 욕실마감바닥 업(up), 기포콘크리트, 모르타르, 엘보, 고정받침대, 종합바닥육가, 욕실 난방, 섹스티아

Description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Bathroom constructing method capable of floor level up and pipe on slab}
본 발명은 공동주택(아파트, 오피스텔 등)내의 욕실 오배수 배관에서 발생되는 소음 저감과 시공방법 개선에 대한 것으로, 슬라브(slab) 골조공사 후, 욕실 오배수 배관을 당해층에 설치하여 오배수 배관을 바닥채움재(기포콘크리트,모르타르)에 매립 시공하는 방법으로, 욕실 마감바닥을 업(up)시켜, 슬라브와 욕실 마감바닥과의 사이공간에 오배수 배관을 매립하여 시공하는 층상 배관과, 욕실 난방 시공 시, 별도의 욕실 바닥 단열재 및 난방코일배관 고정방법을 강구하지 않고, 거실과 같은 동일 방법으로 1차 기포콘크리트 타설 후, 욕실 난방코일배관을 시공하고, 2차로 모르타르를 덮어 시공 가능토록 하고, 단위세대에서 발생한 오배수를 취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수평관과 욕실 측면의 PD(pipe duct)에 시공되는 수직관과의 연결방식 및 수직관을 고정할 수 있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에 대한 것이다.
도1과 도2는 아파트등과 같은 공동주택 욕실의 일반적인 배관구조인 직하층 배관 방식의 단면도와 평면도로, 욕실 마감바닥(12)에 슬리퍼를 놓았을 때, 출입문에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거실 마감바닥(11)과의 높이차이(14)의 구조를 이루고, 욕실에 설치된 양변기(80), 세면기(81) 욕조(82) 및 바닥육가(40)로 부터 발생하는 오수와 잡배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층 천장에 설치되는, 오배수 수평관(30,52)과 욕실 측면의 PD(pipe duct)에 설치되는 오배수 수직관(31,53)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욕실 난방을 위하여,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75), 난방코일(70), 난방코일 고정을 위한 와이어메쉬(72)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욕실 배관 방법은, 아래층 욕실 천장에 배관이 설치됨으로 위층에서 물을 버릴 때 발생되는 소음이 배관을 통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고, 오배수관 및 소제구, 트랩이 아래층에 있어 유지보수 시, 아래층 거주자에게 피해와 불편을 초래하는 시공법 이었고,
욕실 난방을 위해 난방코일배관(70) 설치 시, 액체방수(13)위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75)와 난방코일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메쉬(72) 설치 등, 거실 난방코일배관과는 상이한, 시공으로 경제적인 부담 뿐 아니라, 시공상 어려운 점이 많은 시공법 이었다.
또한, 직하층 배관 방식의 시공방법은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전, 욕실의 각종 위생기구(양변기, 세면기, 욕조 등) 및 바닥육가 등의 슬리브(sleeve)를 거푸집 바닥에 정확한 위치를 찾아 먼저 매설하고,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오배수 수평관(30,52)을 아래층 천장 부근에서 배관을 시공 하여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과 작업량이 많이 소요 되어, 시공 단가가 상승하는 시공 방법이었으며,
최근 개발된 당해층 층상배관공법은 욕실 슬라브를 풀 다운(full down) 시키거나, 배관시공 부위에 대한 부분 다운(down)으로 오배수 배관을 시공하는 공법으로 이는 형틀(거푸집)의 제작이 어렵고, 욕실 다운 부위(단차부위) 슬라브의 균열 발생 가능성 및 응력의 집중으로 구조적 문제 발생 가능성으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사비가 상승하는 시공 방법이었다.
그리고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과 주택건설업계로 하여금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도록 하는 주택성능등급 표시대상을 확대(2,000세대에서 1,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실시 하고 있고, 주택성능 등급을 평가표시하기 위한 성능항목 중 소음관련 등급의 평가는 경량충격음, 중량충격음, 화장실 소음 및 경계소음의 4가지 성능범주로 구분되어 평가 되는데, 여기에서 화장실 소음평가의 오배수관 당해층 배관방식은 채택 시, 높은 배점(4점)으로 당해층 배관 공법의 채택을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 오배수 수평관에 대한 당해층 배관방식을 채택하여 욕실 배수 소음 및 배관 유지보수 시, 아래층 거주자에 대한 피해와 불편을 해소 하고, 소음관련등급 중 화장실 소음등급을 향상시키기 위한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욕실 오배수 수평관에 대한 당해층 배관을 통해, 욕실의 높은 천장고를 확보하고, 아래층에 오배수 수평관을 시공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시공성과 경제성을 도모 할 수 있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 슬라브(slab)를 다운시키지 않고, 직하층 배관 시공법의 슬라브를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슬라브 다운부위의 응력집중에 대한 구조적 문제점 및 형틀(거푸집)시공의 어려움 등 공사비 상승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세대에서 발생한 오배수를 취합하는 수평관과 이를 배출하기 위해 욕실 측면의 PD(pipe duct)에 시공되는 수직관의 합류개소에 사용하는 섹스티아를 수직관 고정 가능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수직관 고정 시, 사용하던 고정가대 또는 일체형 고정틀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시공성 및 경제성을 도모 할 수 있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 슬라브(slab)와 욕실 마감바닥과의 사이 공간에 바닥채움재를 기포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로 시공함으로써, 욕실 난방코일 배관방식을 개선하여, 시공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도모 할 수 있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욕실이 직하층 배관 방식의 슬라브 구조를 가지며 욕실의 바닥마감의 상측에 양변기, 세면기 및 욕조가 구비되는 욕실에 있어서, 상기 욕실의 슬라브의 상측의 바닥마감을 거실바닥마감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한 후, 상기 욕실의 슬라브의 상면과 바닥마감과의 사이공간에는, 상기 양변기의 하측에 연결되는 오수수평관과 상기 세면기와 욕조의 하측에 연결되는 배수수평관이 시공되고; 상기 오수수평관과 배수수평관은, 각각 상기 욕실 외측공간인 PD내 수직관에 각각 섹스티아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양변기와 오수수평관의 연결은, 상기 양변기의 하측과 오수수평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엘보와, 상기 엘보가 슬라브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엘보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고정받침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세면기와 욕조 및 배수수평관의 연결은, 상기 욕실의 슬라브의 상면과 바닥마감과의 사이공간에 상측이 바닥마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면기의 하측에 연결된 세면기배수관과 상기 욕조의 하측에 연결된 욕조배수관이 연결되는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들을 통해 인입된 배수가 PD내 수직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PD내 수직관에 일측이 연결된 배수수평관의 타측이 연결되는 배수구 및 상기 연결구와 배수구 사이에 위치되는 봉수트랩을 포함하는 종합바닥육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첫째, 층상배관 방식을 이용하여, 욕실의 오배수 수평관을 당해층에 시공하여 욕실 배수소음에 대한 아래층 거주자의 피해와 불편을 해소하고, 주택성능등급 중 소음관련 등급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층상배관 방식 중, 욕실 바닥마감을 업(up) 시키는 시공방법으로 거실 바닥마감과 욕실 바닥마감의 차이를 최소화(-20㎜~-10㎜)하여 노약자, 장애자, 어린이 등의 욕실 이용에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였고, 습식개념에서 건식개념으로 욕실 이용방식에 대한 역발상을 통해 거주자들의 욕실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층상배관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욕실의 천장고를 높이고, 개방감과 환기성, 공간 활용도를 높여 욕실의 성능을 개선 할 수 있다.
넷째, 욕실 오배수 배관 시공방법 및 욕실 난방코일배관 시공방법을 개선하여 공정을 줄이고, 자재개발을 통해 배관 및 사용 부속의 양을 줄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도모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층상 배관방식은 도1의 직하층 배관방식의 거실 바닥마감(11)과 욕실 바닥마감(12)과의 높이차이(14)를 줄여, 도3과 도4와 같이 욕실 슬라브(10)와 욕실 바닥마감(12)과의 사이공간(17)에 오수수평관(30)과 배수수평관(52)을 시공하고, 기포콘크리트(15)와 모르타르(16)를 채워 배수 소음을 흡음 하도록 하는 시공방법으로, 양변기(80)와 오수관을 연결하는 엘보(20) 및 고정받침대(25), 오배수 수평관(30,52)과 수직관(31,53)을 결합시키는 섹스티아(60,61), 세면기(81)와 욕조(82), 욕실바닥의 배수를 통합하여 배수 할 수 있는 종합바닥육가(41), 욕실 난방을 위한 난방코일배관(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층상 배관을 위해서는 도3의 욕실 슬라브(10)와 욕실 바닥마감(12)과의 사이공간(17)에 오배수 수평관(30,52)을 시공 할 수 있도록, 욕실 바닥마감을 업(up)시키는 것으로, 거실 바닥마감(11)과 욕실 바닥마감(12)과의 도1의 높이차이(14)를 -80㎜~-70㎜에서 도3의 높이차이(18) -20㎜~-10㎜로 변경 시공하여, 사이공간(17)을 확보하고, 사이공간(17)에 오배수 수평관(30,52) 시공이 가능하도록, 양변기(80) 연결 엘보(20)와 고정받침대(25)를 이용하여 오수 흐름구배 및 오수수평관(30)을 고정하고, 세면기(81)와 욕조(82)및 욕실바닥의 배수를 통합하여 배수 할 수 있는 종합바닥육가(41)를 통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오배수 수평관(30,52)을 당해층에 시공함으로써, 아래층에 배수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기포콘크리트(15)와 모르타르(16)를 사이공간(17)에 채워, 배수소음 흡음구조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동시에 욕실 난방을 위한 난방코일배관(70) 시공 시, 오배수 수평관(30,52) 시공 후, 거실의 난방코일배관 시공과 동일한 방식으로, 1차로 기포콘크리트(15)를 타설 하여 열손실을 막을 수 있는 단열역할을 하고, 그 위에 도4와 같이 욕실 난방코일배관(70)을 시공하고 고정용U핀(74)를 이용하여 난방코일배관(70)을 기포콘크리트(15)에 고정, 2차로 모르타르(16) 시공 시, 부력에 의해 뜨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욕실 난방코일배관(70)을 위해 욕실 바닥에 도1과 도2와 같이 별도의 단열재(75) 및 난방코일배관(70) 고정을 위한 와이어메쉬(72)를 사용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단위세대에서 발생하는 오배수를 취합하는 수평관(30,52)과 이를 배출하기 위한 욕실측면 PD(pipe duct)내의 오배수 수직관(31,53)과의 합류개소에 설치되는 섹스티아(60,61)의 설치 위치를 슬라브(10) 위에 시공하여, 수평관(30,52)이 당해층에서 수직관(31,53)과 연결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5와 도6은 양변기(80)와 오수수평관(30)을 연결하는 엘보(20)부속과 오수수평관(30)의 구배 및 엘보(20) 고정을 위한 고정받침대(25)로, 욕실 슬라브(10) 타설 후, 고정받침대(25)를 바닥에 먼저 고정하고, 욕실 액체방수(13)를 실시하여 누수가 없도록 하고, 오수수평관 시공 시, 엘보(20)와 고정받침대(25)의 결합 부위를 원형돌출부(21)와 원형홈(26)으로 구성,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엘보(20)와 고정받침대(25)의 결합력을 높이고, 오수수평관(30)이 도7과 같이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현장의 여건에 따라 변형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엘보(20)의 상부를 욕실 바닥마감(12) 보다, 높이고 막힘(22) 구조로 제작하여, 양변기(80)와 결합 시, 상부를 욕실 바닥마감 면에 절단 시공하는 방법으로, 욕실 바닥마감 높이의 오차에 대하여 시공이 가능하고, 배관 설치 후, 양변기(80) 설치 전까지 배관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엘보(20)와 고정받침대(25)를 이용한 오수수평관(30)의 시공은, 상기 고정받침대(25)가 상기 슬라브(10)의 상면에 먼저 고정된 후 욕실 액체방수(13)가 실시되며, 상기 고정받침대(25)에 형성된 원형홈(26)에 상기 엘보(20)의 하측을 지지하는 원형돌출부(21)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엘보(20)와 고정받침대(25)를 이용한 오수수평관(30)의 시공시, 상기 엘보(20)의 상부는 막힘(22)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욕실의 바닥마감(12) 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양변기(80)와 결합시 상기 엘보(20)의 상부가 욕실의 바닥마감(12)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절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8,도9,도10은 세면기(81)와 욕조(82)및 욕실바닥의 배수 모두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배수 할 수 있는 종합바닥육가(41)로, 세면기 배수관(51)과 결합하는 연결구(43)와 욕조 배수관(50)과 결합하는 연결구(42), 인입된 배수를 도4의 PD내 수직관(53)에 연결된 배수수평관(52)으로 배출하는 배수구(44)로 구성되어 있고, 세면기 배수관(51)과 욕조 배수관(50)을 종합바닥육가(41)의 봉수트랩(45) 상부에 연결 하여, 배수구를 통해 발생 하는 악취와 하수가스,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게 하였고, 배수 연결구(42,43)를 종합바닥육가(41) 원형 몸통의 측면에 결합하고, 몸통 내부에 배수유도날개(46)를 부착하여, 배수 시, 원형 몸통과 배수유도날개(46)를 따라 자연스럽게 배수를 회전, 에어벤트를 형성 하여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몸통 내부에 부착된, 배수유도날개(46)에 의해 세면기(81) 및 욕조(82) 각각의 배수가 연결구(42,43)를 통해 역류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도11은 수평관(30)과 욕실 측면 PD(pipe duct)내의 수직관(31)을 결합하기 위한 부속 섹스티아(60)로서, 슬라브(10) 아래쪽 수직관(32)이 연결되는 부분은 슬라브(10)에 매립 시공된 관통슬리브(33) 보다, 관경을 작게하여 안쪽으로 들아가게 하고, 수평관(30)과 연결되는 부위는 관통슬리브(33) 관경보다 크게 제작하여 관통슬리브(33)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수직관(31)의 무게를 지지함과 동시에, 수직관(31) 무게에 의해 수직하중을 가함으로써, 섹스티아(60)와 관통슬리브(33)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별도로 고정하는 부속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고, 수평관(30) 시공 시, 배관 방향의 변동에 따라 도12와 같이 좌우로 조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섹스티아(60)로 수평관(30)과 수직관(31)을 고정, 지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 한다.
도면1은 직하층 배관방식의 단면도
도면2는 직하층 배관방식의 평면도
도면3은 층상 배관방식의 단면도
도면4는 층상 배관방식의 평면도
도면5의 (a)는 엘보 단면도, (b)는 엘보부속 평면도
도면6의 (a)는 고정받침대 평면도, (b)는 고정받침대 단면도
도면7은 엘보와 고정받침대 결합 평면도
도면8은 종합바닥육가 상부 평면도
도면9는 종합바닥육가 하부 평면도
도면10은 종합바닥육가 A-A’단면도
도면11은 섹스티아 설치 단면도
도면12는 섹스티아 설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욕실 슬라브
11. 거실 마감바닥
12. 욕실 마감바닥
13. 액체 방수
14. 직하층 배관 시, 거실 마감바닥 과 욕실 마감바닥의 높이 차
15. 기포콘크리트
16. 모르타르
17. 욕실 슬라브와 마감바닥의 사이공간
18. 층상배관 시, 거실 마감바닥 과 욕실 마감바닥의 높이 차
20. 양변기 엘보 부속
21. 양변기 엘보 부속의 고정용 원형돌출부
22. 양변기 엘보 부속의 상부 막힘구조
25. 고정받침대
26. 고정받침대의 고정용 원형홈
30. 오수 수평관
31. 오수 수직관(층상)
32. 오수 수직관(층하)
33. 슬라브 관통스리브
34. 오수관 일체형 고정틀
40. 바닥육가
41. 종합바닥육가
42. 욕조 배수관 연결구
43. 세면기 배수관 연결구
44. 종합바닥육가 배수구
45. 종합바닥육가 봉수트랩
46. 배수유도날개
50. 욕조 배수관
51. 세면기 배수관
52. 배수 수평관
53. 배수 수직관
54. 배수관 일체형 고정틀
60. 오수 섹스티아
61. 배수 섹스티아
70. 난방코일배관
71. 클립바
72. 와이어메쉬
73. 와이어 타이
74. 고정용U핀
80. 양변기
81. 세면기
82. 욕조

Claims (8)

  1. 욕실이 직하층 배관 방식의 슬라브 구조를 가지며 욕실의 바닥마감(12)의 상측에 양변기(80), 세면기(81) 및 욕조(82)가 구비되는 욕실에 있어서,
    상기 욕실의 슬라브(10)의 상측의 바닥마감(12)을 거실바닥마감(11)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한 후,
    상기 욕실의 슬라브(10)의 상면과 바닥마감(12)과의 사이공간(17)에는,
    상기 양변기(80)의 하측에 연결되는 오수수평관(30)과 상기 세면기(81)와 욕조(82)의 하측에 연결되는 배수수평관(52)이 시공되고;
    상기 오수수평관(30)과 배수수평관(52)은,
    각각 상기 욕실 외측공간인 PD내 수직관(31,53)에 각각 섹스티아(60,61)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양변기(80)와 오수수평관(30)의 연결은,
    상기 양변기(80)의 하측과 오수수평관(3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엘보(20)와,
    상기 엘보(20)가 슬라브(1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엘보(20)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고정받침대(25)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세면기(81)와 욕조(82) 및 배수수평관(52)의 연결은,
    상기 욕실의 슬라브(10)의 상면과 바닥마감(12)과의 사이공간(17)에 상측이 바닥마감(1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면기(81)의 하측에 연결된 세면기배수관(51)과 상기 욕조(82)의 하측에 연결된 욕조배수관(50)이 연결되는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43,42),
    상기 연결구(43,42)들을 통해 인입된 배수가 PD내 수직관(53)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PD내 수직관(53)에 일측이 연결된 배수수평관(52)의 타측이 연결되는 배수구(44) 및
    상기 연결구(43,42)와 배수구(44) 사이에 위치되는 봉수트랩(45)을 포함하는 종합바닥육가(4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공간(17)에는,
    상기 오수수평관(30)과 배수수평관(52)의 시공 후,
    1차로 기포콘크리트(15)가 타설된 후 그 상측에 고정용U핀(74)에 의해 난방코일배관(70)이 고정되며 그 상측에 2차로 모르타르(16)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20)와 고정받침대(25)를 이용한 오수수평관(30)의 시공은,
    상기 고정받침대(25)가 상기 슬라브(10)의 상면에 먼저 고정된 후 욕실 액체방수(13)가 실시되며,
    상기 고정받침대(25)에 형성된 원형홈(26)에 상기 엘보(20)의 하측을 지지하는 원형돌출부(21)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20)와 고정받침대(25)를 이용한 오수수평관(30)의 시공시,
    상기 엘보(20)의 상부는 막힘(22)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욕실의 바닥마감(12) 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양변기(80)와 결합시 상기 엘보(20)의 상부가 욕실의 바닥마감(12)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바닥육가(41)의 봉수트랩(45)은 몸체 내부에 배수유도날개(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 외측공간인 PD내 수직관(31,53)에 각각 오수수평관(30)과 배수수평관(52)을 연결하는 섹스티아(60,61)는,
    ‘T’자 형상을 제1 내지 제3의 연결구를 가지며,
    제1연결구가 상기 PD내 슬라브(10)를 수직 관통하여 매립 시공되는 관통슬리브(33)에 관통되어 하층의 수직관(31,53) 상단과 연결되고,
    제2연결구가 상기 제1연결구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기 슬라브(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오수수평관(30) 또는 배수수평관(52)의 일측이 연결되며,
    제3연결구가 상기 제1연결구에 대향되도록 상층의 수직관(31,53) 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7. 삭제
  8. 삭제
KR1020090113107A 2009-11-23 2009-11-23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67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07A KR100967788B1 (ko) 2009-11-23 2009-11-23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07A KR100967788B1 (ko) 2009-11-23 2009-11-23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788B1 true KR100967788B1 (ko) 2010-07-05

Family

ID=4264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7788B1 (ko) 2009-11-23 2009-11-23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7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64B1 (ko) 2010-03-26 2012-04-17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230260B1 (ko) 2012-10-29 2013-02-07 (주)칠칠공사 고층 건물의 배관라인 교체 방법
KR101304310B1 (ko) 2012-02-20 2013-09-11 노중석 섹스티아와 관통슬리브 및 이들의 욕실시공법
KR101342860B1 (ko) * 2012-09-26 2013-12-18 이종태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KR20160116928A (ko) 2015-03-31 2016-10-10 (주) 스카이시스템 욕실 바닥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99A (ko) * 2000-09-01 2002-03-08 성재갑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KR20090040817A (ko) * 2007-10-22 2009-04-27 최해권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20090055245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당해층 배관을 위한 욕실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08348A (ko) * 2008-04-11 2009-10-15 유희종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99A (ko) * 2000-09-01 2002-03-08 성재갑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KR20090040817A (ko) * 2007-10-22 2009-04-27 최해권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20090055245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당해층 배관을 위한 욕실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08348A (ko) * 2008-04-11 2009-10-15 유희종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64B1 (ko) 2010-03-26 2012-04-17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304310B1 (ko) 2012-02-20 2013-09-11 노중석 섹스티아와 관통슬리브 및 이들의 욕실시공법
KR101342860B1 (ko) * 2012-09-26 2013-12-18 이종태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KR101230260B1 (ko) 2012-10-29 2013-02-07 (주)칠칠공사 고층 건물의 배관라인 교체 방법
KR20160116928A (ko) 2015-03-31 2016-10-10 (주) 스카이시스템 욕실 바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2028838B1 (ko)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CN204491758U (zh) 一种卫浴室的排水系统及卫浴室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WO1995002736A1 (en) A device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20090108348A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CN216075365U (zh) 一种酒店卫生间下排外检结构
KR20100081861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20130095536A (ko) 섹스티아와 관통슬리브 및 이들의 욕실시공법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101192942B1 (ko) 공동주택 화장실 설비 층간세대 종합 독립 및 리모댈형씨스탬 (kktts)
KR102569017B1 (ko) 씽크 이중배관을 이용한 주방 및 세탁실 통합 배수 시스템
JPH0732772Y2 (ja) 水回りユニット連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