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8838B1 -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838B1
KR102028838B1 KR1020180085052A KR20180085052A KR102028838B1 KR 102028838 B1 KR102028838 B1 KR 102028838B1 KR 1020180085052 A KR1020180085052 A KR 1020180085052A KR 20180085052 A KR20180085052 A KR 20180085052A KR 102028838 B1 KR102028838 B1 KR 10202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ayer
concrete slab
side wall
toi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Priority to KR102018008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8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공동주택에서 배수에 따른 상층의 소음이 배관을 통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Drainage system in the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동주택에서 배수에 따른 상층의 소음이 배관을 통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다층 구조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층간소음 및 진동은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결정짖는 주요한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층간소음 및 진동의 원인은, 상층세대의 바닥에 대한 중량체의 충격 외에 욕실등에 있는 배관을 통해 유체가 유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에 따른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욕실 바닥 배수시스템은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욕실의 일측면에 파이프덕트(10)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덕트(10) 내에 복수의 취합관(聚合管)(12a, 12b, 12c)을 설치한 후 각층 단위세대에서 발생한 오수 및 폐수를 상기 취합관(12a, 12b, 12c)에서 취합하여 오수처리시설로 배출시키게 된다.
욕실의 양변기(16), 세면기(18) 및 욕조(20)로부터 연결된 배관들은 상기 취합관(12a, 12b, 12c)에 연결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하층세대의 천정틀(24) 내에 가로배관(14a,14b,14c)을 설치하고, 상층세대의 각종 배관들을 하층세대 천정슬래브(S)를 관통시켜 상기 가로배관(14a,14b,14c)에 연결한 후, 이를 상기 취합관(12a, 12b, 12c)에 연결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관시스템은 상기 가로배관(14a,14b,14c)들이 하층세대 욕실 천정틀 내에 설치됨으로써 상층세대에서 발생하는 배수 소음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되어 하층세대 거주자에게 소음에 따른 불면, 스트레스 등의 피해를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이 한국특허등록 제1188012호에 개시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콘크리트 슬래브(C)의 상부에 세면기(4)와 욕조(6)의 배수관(P4)과 양변기(5)의 오수관(P5)을 배치시키되 선반식 벽체(2)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들 배수관(P4)(P5)들을 파이프 덕트내의 입상배출관(P1)과 입상오수관(P2)에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하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트랩(1)을 콘크리트 슬래브(C) 상면에 안착시키고, 마감층(3)을 트렌치(13)의 높이에 맞춰 콘크리트 슬래브(C)의 상부에 시공한다. 이에 따라, 마감층(3)의 상면에 하수가 발생하면 하수는 트렌치(13)의 구멍(131)을 통해 배수 트랩(1)에 유입되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 시스템은 배수관(P4)과 오수관(P5)을 콘크리트 슬래브(C)의 상부에 시공함으로써,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층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마감층(3)은 통상적으로 무근 콘크리트로 형성하고 그 상면에 타일을 시공하게 되는데, 추후 타일의 줄눈 및 마감층(3)에 균열이 발생될때 하수가 트렌치(13) 측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균열 틈새를 통하여 마감층(3) 내부로 침투되어 머무르게 됨으로써 세균이 번식되고 미생물이 기생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1880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공동주택에서 배수에 따른 상층의 소음이 배관을 통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층의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하수가 균열된 무근 콘크리트의 마감층으로 침투되더라도 배수가 원할하여 미생물의 기생발생을 줄여 악취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를 기준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되며,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 측벽이 형성되어 세면기, 욕조 및 양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 인접하여 폐수수집관과 오수수집관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덕트가 형성되어 상기 세면기, 욕조 및 양변기가 상기 폐수수집관과 오수수집관에 연결되어 폐수 및 오수가 배출되는 공동주택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층의 바닥 폐수를 하층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트랩과;
일단이 상기 배수트랩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와 하층의 천정판 사이에 배치되어 타단이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폐수집수관과 연결되는 바닥배수관과:
상기 바닥배수관을 감싸며 배수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체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상면과 측벽의 경계부분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벽과 콘크리트 슬라브 상면에 고정되며 전면부에 상기 세면기와 양변기가 고정되는 박스형 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상면에 배치되고 일단이 폐쇄되며 타단이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폐수수집관과 연결되는 수평관과;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면기와 수평관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과;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욕조와 폐수수집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에 도포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상면에 상기 수평관이 매립되도록 무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마감층과;
상기 마감층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트랩과 동일높이로 시공되는 타일층과;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양변기와 오수수집관을 연결하는 오수관;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층에 대응되는 상기 배수트랩의 상부측 외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층의 상면 전체에 걸쳐서 안착되며 그 상면부가 상기 배수트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합성수지재의 경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 상면부에 상기 마감층과 타일층이 형성되어서, 상기 마감층으로 침투한 폐수가 상기 경사판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배수공으로 배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본 발명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은 박스형 프레임 (200) 외측에 세면기(310) 및 양변기(320)를 고정시키고,제l연결관(311)과 오수관(321)을 박스형 프레임(200) 의 내부공간에 배치시킴으로써 번잡한 배관에 따른 실내공간의 환경개선에 효과가 있다.
둘째,수평관(340)을 상층의 마감층(120)에 매립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하층과 상관없이 세면기 욕조 및 양변기의 배치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세째,화장실 바닥의 폐수가 배수되는 바닥배수관 외주면에 흡음체를 감싸므로 하층에서의 배수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네째,타일층(13이 및 마감층(120)의 균열시 균열 틈새로 침투한 폐수가 배수공(401)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균 번식에 따른 위생 및 냄새문
제를 해결하였으며, 특히 방수층(110)의 상면에 배수트랩(40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합성수지재의 경사판(500)을 구비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마감층(120)의 균열 틈새로 스며든 폐수가 방수층(110)에 잔존없이 배수공(401)으로 원할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바닥 배수시스테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종 래 다른 바닥 배수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바닥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 정단면도,
도 7은 도 5의 개략적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배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배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배수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화장실에서 배수에 따른 상층의 소음이 배관을 통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층의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하수가 균열된 무근 콘크리트의 마감층으로 침투되더라도 배수가 원할하여 미생물의 기생발생을 줄여 악취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배수 시스템이 채용된 공동주택의 화장실을 평면도로 나타낸 도 5, 도 5의 일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 도 6 및 도 5의 타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슬라브(100)를 기준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에 측벽(140)이 형성되어 세면기(310), 양변기(320) 및 욕조(330)가 구비되는 화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화장실의 측벽(140)에 인접하여는 폐수수집관(370)과 오수수집관(380)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덕트(150)가 형성되어서 상기 세면기(310), 양변기(320) 및 욕조(330)가 상기 폐수수집관(370)과 오수수집관(380)에 연결되어 폐수 및 오수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배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세면기(310) 및 욕조(330)로부터 화장실 바닥으로 배출되는 폐수는 배수트랩(400)을 통하여 배출되는 데, 상기 배수트랩(400)은 상부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콘크리트 슬라브(100)에 결합된다.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와 하층의 천정판(600)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배수트랩(4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측벽(140)을 관통하여 상기 폐수집수관(370)과 연결되는 바닥배수관(410)이 배치된다.
상기 바닥배수관(410)에는 배수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체(420)가 감싸진다.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면과 측벽(140)의 경계부분에 내부공간(210)이 형성되도록 박스형 프레임(200)이 형성되어 있으며,이 박스형 프레임(200)의 전면부에는 상기 세면기(310)와 양변기(320)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면에는 일단이 폐쇄되며 타단이 상기 측벽(140)을 관통하여 상기 폐수집관(370)과 연결되는 수평관(34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박스형 프레임(20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세면기(310)와 수평관(340)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311)과,상기 욕조(330)와 폐수집관(370)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33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의 상면에는 방수층(110)이 도포되고,상기 방수층(110) 상면에 상기 수평관(340)이 매립되도록 무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마감층 (120)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층(120)의 상면에는 상기 배수트랩(400)과 동일높이로 타일층(130)이 시공된다.
또한,상기 박스형 프레임(20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측벽(140)을 관통하여 상기 양변기(320)와 오수집관(380)을 연결하는 오수관(321)이 배치된다.
한편,도 8을 참조하면,상기 마감층(120)에 대응되는 상기 배수트랩(400)의 상부측 외면에는 배수공(401)이 형성되어서, 상기 타일층(130) 및 마감층(120)의 균열시 균열 틈새로 침투한 폐수가 상기 배수공(401)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른 실시예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도 9를 참조하면,이는 상기 방수층(110)의 상면에 상기 배수트랩(40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합성수지재의 경사판(500)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500) 상면부에 상기 마감층(120)과 타일층(130)이 형성되어서, 상기 마감층(120)으로 침투한 폐수가 상기 경사판(500)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배수공(401)으로 배수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마감층(120) 자체 상면부를 상기 배수트랩 (40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시공할 수도 있으나, 상기 방수층(110)과 마감층(120)의 경계면은 수평면이므로 마감층(120)의 균열 틈새로 스며든 폐수의 일부는 상기 방수층(110) 상면에 잔존하게 되어 세균 번식 및 악취가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재의 경사판(500)은 마감층(120)의 균열 틈새로 스며든 폐수가 잔존없이 상기 배수공 (401) 으로 원할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은 상기 박스형 프레임(200) 외측에 세면기(310) 및 양변기(320)를 고정시키고,제1연결관(311)과 오수관(321)을 박스형 프레임(200)의 내부공간에 배치시킴으로써 번잡한 배관에 따른 실내공간의 환경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상기 수평관(340)을 상층의 마감층(120)에 매립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하층과 상관없이 상기 세면기(310) 및 욕조(330)의 배치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화장실 바닥의 폐수가 배수되는 바닥배수관(410) 외주면에 흡음체(420)를 감싸므로 하층에서의 배수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상기 타일층(130) 및 마감층(120)의 균열시 균열 틈새로 침투한 폐수가 상기 배수공(401)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균 번식에 따른 위생 및 냄새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특히 상기 방수층(110)의 상면에 상기 배수트랩(40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합성수지재의 경사판(500)을 구비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마감층(120)의 균열 톰새로 스며든 폐수가 방수층(110)에 잔존없이 상기 배수공(401)으로 원할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100 ... 콘크리트 슬라브 110 ... 방수층
120 ... 마감층 130 ... 타일층
140 ... 측벽 150 ... 파이프 덕트
200 ... 박스형 프레임 210 ... 내부공간
310 ... 세면기 311 ... 제1연결관
320 ... 양변기 321. .. 오수관
330 ... 욕조 331. .. 제2연결관
400 ... 배수트랩 410 ... 바닥 배수관
420 ... 흡음체 500 ... 합성수지재 경사판

Claims (3)

  1. 콘크리트 슬라브를 기준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되며,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 측벽이 형성되어 세면기, 욕조 및 양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 인접하여 폐수수집관과 오수수집관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덕트가 형성되어 상기 세면기, 욕조 및 양변기가 상기 폐수수집관과 오수수집관에 연결되어 폐수 및 오수가 배출되는 공동주택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층의 바닥 폐수를 하층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트랩(400)과;
    일단이 상기 배수트랩(40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와 하층의 천정판(600)사이에 배치되어 타단이 상기 측벽(140)을 관통하여 상기 폐수집수관(370)과 연결되는 바닥배수관(410)과:
    상기 바닥배수관(410)을 감싸며 배수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체(420)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면과 측벽(140)의 경계부분에 내부공간(210)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벽(140)과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면에 고정되며 전면부에 상기 세면기(310)와 양변기(320)가 고정되는 박스형 프레임(200)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면에 배치되고 일단이 폐쇄되며 타단이 상기 측벽(140)을 관통하여 상기 폐수수집관(370)과 연결되는 수평관(340)과;
    상기 박스형 프레임(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면기(310)와 수평관(340)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311)과;
    상기 박스형 프레임(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욕조(330)와 폐수수집관(370)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331)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의 상면에 도포되는 방수층(110)과;
    상기 방수층(110) 상면에 상기 수평관(340)이 매립되도록 무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마감층(120)과;
    상기 마감층(12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트랩(400)과 동일높이로 시공되는 타일층(130)과;
    상기 박스형 프레임(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140)을 관통하여 상기 양변기(320)와 오수수집관(380)을 연결하는 오수관(321);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층(120)에 대응되는 상기 배수트랩(400)의 상부측 외면에 배수공(401)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층(110)의 상면 전체에 결쳐서 안착되고 그 상면부가 상기 배수트랩(40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합성수지재의 경사판(500)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500) 상면부에 상기 마감층(120)과 타일층(130)이 형성되어서,
    상기 마감층(120)으로 침투한 폐수가 상기 경사판(500)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배수공(401)으로 배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배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5052A 2018-07-20 2018-07-20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Active KR102028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52A KR102028838B1 (ko) 2018-07-20 2018-07-20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52A KR102028838B1 (ko) 2018-07-20 2018-07-20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838B1 true KR102028838B1 (ko) 2019-10-04

Family

ID=6820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052A Active KR102028838B1 (ko) 2018-07-20 2018-07-20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8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414A (zh) * 2020-03-03 2020-06-26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同层排水预埋集水器排水施工方法
CN112031084A (zh) * 2020-05-22 2020-12-04 康泰塑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预埋排水用旋流器
KR20220086021A (ko) 2020-12-16 2022-06-23 박영범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KR20240107925A (ko) 2022-12-30 2024-07-09 박영범 오/배수와 공기통기 통합용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듀얼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42U (ko) * 1996-04-30 1997-11-10 이학철 바닥배수용 배수트랩
KR100711839B1 (ko) * 2005-11-21 2007-04-30 서만복 드레인 시스템
KR20100025172A (ko) * 2008-08-27 2010-03-09 임성균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1188012B1 (ko) 2012-03-02 2012-10-08 전영세 배수 트랩 및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469385B1 (ko) * 2013-09-30 2014-12-04 이화인 층간 소음 방지용 배관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105966A (ko) * 2016-03-11 2017-09-20 조현승 조립식 욕실 바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42U (ko) * 1996-04-30 1997-11-10 이학철 바닥배수용 배수트랩
KR100711839B1 (ko) * 2005-11-21 2007-04-30 서만복 드레인 시스템
KR20100025172A (ko) * 2008-08-27 2010-03-09 임성균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1188012B1 (ko) 2012-03-02 2012-10-08 전영세 배수 트랩 및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469385B1 (ko) * 2013-09-30 2014-12-04 이화인 층간 소음 방지용 배관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105966A (ko) * 2016-03-11 2017-09-20 조현승 조립식 욕실 바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414A (zh) * 2020-03-03 2020-06-26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同层排水预埋集水器排水施工方法
CN112031084A (zh) * 2020-05-22 2020-12-04 康泰塑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预埋排水用旋流器
KR20220086021A (ko) 2020-12-16 2022-06-23 박영범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KR20240107925A (ko) 2022-12-30 2024-07-09 박영범 오/배수와 공기통기 통합용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듀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38B1 (ko)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CN210369162U (zh) 一种卫生间同层防水排水结构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CN204491758U (zh) 一种卫浴室的排水系统及卫浴室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100926825B1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0981324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101229734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