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6644B1 -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44B1
KR102086644B1 KR1020130169271A KR20130169271A KR102086644B1 KR 102086644 B1 KR102086644 B1 KR 102086644B1 KR 1020130169271 A KR1020130169271 A KR 1020130169271A KR 20130169271 A KR20130169271 A KR 20130169271A KR 102086644 B1 KR102086644 B1 KR 10208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lines
area
line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206A (ko
Inventor
이호영
강창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44B1/ko
Priority to US14/572,232 priority patent/US9786229B2/en
Priority to EP21182694.6A priority patent/EP3907728B1/en
Priority to EP14198548.1A priority patent/EP2889866B1/en
Priority to EP25171836.7A priority patent/EP4568461A2/en
Priority to EP24189668.7A priority patent/EP4426088B1/en
Priority to EP19150928.0A priority patent/EP3496082B1/en
Priority to CN201810052134.6A priority patent/CN108109529B/zh
Priority to CN201410858321.5A priority patent/CN104752485B/zh
Priority to CN201810442552.6A priority patent/CN108520893B/zh
Publication of KR2015007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206A/ko
Priority to US15/699,562 priority patent/US10692442B2/en
Priority to US15/808,482 priority patent/US106795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44B1/ko
Priority to US16/849,974 priority patent/US11282450B2/en
Priority to US17/671,506 priority patent/US20220172678A1/en
Priority to US18/523,716 priority patent/US20240096277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플렉서블표시장치는 벤딩영역에서 배선들을 동일한 층에 나란하게 형성하여 교차시키지 않음으로써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배선의 단선 또는 배선들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최소의 베젤 폭을 구현하기 위해 벤딩을 수행할 때 벤딩 영역에서 배선들의 단선 또는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표시장치를 대체하기 위해 제안된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는, 표시패널에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가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명암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특성이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표시 소자들을 형성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유연성이 없는 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 호일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가 제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는 표시영역(A/A)과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하는 플렉서블기판(10) 상에 구성된다.
표시영역(A/A)은 실질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다수의 화소(P)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다수의 화소(P) 각각은 스위칭트랜지스터(ST1), 구동트랜지스터(DT), 센싱트랜지스터(ST2), 커패시터(C)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한다.
화소(P)의 스위칭트랜지스터(ST1)는 표시영역(A/A)에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어 있다. 또, 구동트랜지스터(DT)는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구동전압(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라인(14b)에 연결되어 있다. 센싱트랜지스터(ST2)는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기준전압(Vref)을 공급하는 기준전압라인(14a)에 연결되어 있다.
비표시영역(N/A)은 표시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베젤(bezel) 등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다. 이러한 비표시영역(N/A)에는 표시영역(A/A)의 화소(P)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와 배선들이 형성된다.
구동회로는 하부의 비표시영역(N/A)에 칩(chip) 형태로 실장되어 배치된 데이터구동부(20)와 적어도 일측의 비표시영역(N/A)에 GIP(Gate In Panel) 형태로 형성된 게이트구동부(13) 및 발광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배선들은 전원라인(14a~14c)과 신호라인(GSL, DSL)을 포함한다. 전원라인(14a~14c)은 구동전압라인(14a), 기준전압라인(14b) 및 접지라인(14c)을 포함하고, 신호라인(GSL, DSL)은 게이트신호라인(GSL), 데이터신호라인(DSL) 및 발광신호라인(미도시)을 포함한다.
전원라인(14a~14c)의 구동전압라인(14a)은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제공된 구동전압(VDD)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한다. 기준전압라인(14b)은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제공된 기준전압(Vref)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한다. 접지라인(14c)은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제공된 접지전압(GND)을 표시영역(A/A)와 화소(P)에 출력한다.
구동전압라인(14a), 기준전압라인(14b) 및 접지라인(14c)은 하부의 비표시영역(N/A)에서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수직하게 뻗어 형성된 부분과 데이터구동부(20)와 나란하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구동전압라인(14a), 기준전압라인(14b) 및 접지라인(14c)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서 데이터구동부(20)와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수직하게 뻗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비표시영역(N/A)에서 표시영역(A/A)과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데이터구동부(20)와 나란하도록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신호라인(GSL, DSL)의 게이트신호라인(GSL)은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제공된 게이트신호를 게이트구동부(13)로 출력한다. 데이터신호라인(DSL)은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신호를 표시영역(A/A)의 데이터라인(DL)으로 출력한다. 발광신호라인(GSL, DSL)은 데이터구동부(20)로부터 제공된 발광신호를 발광제어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배선들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서 서로 적어도 한번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배선들의 교차로 인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라인(14a~14c)과 신호라인(GSL, DSL)은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에서는 하부의 비표시영역(N/A)이 나머지 비표시영역(N/A)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는 하부의 비표시영역(N/A)에 벤딩영역(B/A)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일부분을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의 배면으로 벤딩(bending)하여 하부 비표시영역(N/A)의 폭을 줄인다.
도 2b는 도 1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벤딩한 단면도이다.
도 2b에서 도면부호 11은 표시영역(A/A)에 형성된 유기발광소자(OLED)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2는 유기발광소자(OLED)를 봉지하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나타낸다.
도 2b를 보면,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는 하부 비표시영역(N/A)을 벤딩영역(B/A)을 기준으로 벤딩하여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일부분을 유기발광표시장치(1)의 배면에 배치시킨다. 여기서, 벤딩영역(B/A)이 벤딩되는 곡률의 반지름(R)은 대략 0.3mm이다.
한편, 앞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의 하부 비표시영역(N/A)에는 배선들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전원라인(14a~14c)과 신호라인(GSL, DSL)은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배선들이 벤딩영역(B/A)에서도 교차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벤딩영역(B/A)의 벤딩에 따른 스트레스, 예컨대 벤딩 장력 등에 의해 배선들의 단선 또는 단락이 발생된다.
도 3은 도 2b를 Ⅲ~Ⅲ'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벤딩영역(B/A)에서 신호라인(GSL, DSL)과 전원라인(14a~14c)은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되어 절연된다.
예컨대, 플렉서블기판(10) 상에 게이트신호라인(GSL)과 데이터신호라인(DSL)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게이트신호라인(GSL)과 데이터신호라인(DSL) 상에는 제1절연층(15)이 형성된다.
제1절연층(15) 상에는 구동전압라인(14a)과 접지라인(14c)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구동전압라인(14a)과 접지라인(14c)은 각각 게이트신호라인(GSL)과 데이터신호라인(DSL)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구동전압라인(14a)과 접지라인(14c) 상에는 제2절연층(16)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벤딩영역(B/A)이 소정의 곡률 반지름으로 벤딩되는 경우에, 벤딩 스트레스로 인하여 도 3의 a, b와 같이 배선에 크랙(crack)이 발생되어 단선되거나 또는 절연층이 파손되어 배선들이 단락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배선의 단선 및 단락은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의 오동작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비표시영역의 벤딩영역에서 배선들을 동일 층에서 형성하여 교차시키지 않음으로써, 벤딩 시 배선의 단락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가 구비된 화소가 형성된 표시영역,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중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벤딩영역을 구비하는 플렉서블기판;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데이터구동부;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신호를 상기 표시영역에 공급하는 다수의 전원라인; 및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구동신호를 상기 표시영역에 공급하는 다수의 신호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동일 층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영역,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중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벤딩영역을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 상에 상기 표시영역과 연결되는 다수의 전원라인과 다수의 신호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동일 층에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비표시영역의 벤딩영역에서 배선들이 동일한 층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중첩되거나 교차되지 않음으로써, 벤딩영역의 벤딩 시 배선의 단선 또는 배선들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플렉서블표시장치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벤딩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b를 Ⅲ~Ⅲ'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Ⅵa~Ⅵa'과 Ⅵb~Ⅵ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Ⅷ~Ⅷ'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벤딩영역의 배선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표시영역(A/A)과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하는 플렉서블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영역(A/A)은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표시영역(A/A)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GL)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이 서로 교차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게이트라인(GL)과 나란하게 다수의 센싱라인(S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A/A)에는 화소영역에 구동전압(VDD), 기준전압(Vref), 접지전압(GND)을 공급하는 전원라인, 예컨대 구동전압라인(146b), 기준전압라인(147b) 및 접지라인(145b)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영역에는 다수의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는 화소(P)가 형성될 수 있다. 화소(P)는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및 센싱라인(SL)에 각각 접속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영역(A/A)의 화소(P)는 3개의 스위칭소자(ST1, DT, ST2)와 1개의 커패시터(C)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구비하는 3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화소(P)는 2T1C, 4T1C, 5T1C, 6T1C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위칭소자(ST1, DT, ST2)는 스위칭트랜지스터(ST1), 구동트랜지스터(DT) 및 센싱트랜지스터(ST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소자(ST1, DT, ST2)는 비정질실리콘 또는 다결정실리콘으로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일 수 있다.
화소(P)의 스위칭트랜지스터(ST1)는 게이트전극이 표시영역(A/A)의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되고, 소스전극이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며, 드레인전극이 구동트랜지스터(DT)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트랜지스터(ST1)는 게이트라인(GL)에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구동트랜지스터(DT)로 출력할 수 있다.
화소(P)의 구동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전극이 스위칭트랜지스터(ST1)의 드레인전극에 연결되고, 소스전극이 유기발광소자(OLED)에 연결되며, 드레인전극이 구동전압(VDD)이 공급되는 구동전압라인(146a, 146b)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트랜지스터(ST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구동전압(VDD)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화소(P)의 커패시터(C)는 구동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과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C)는 구동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으로 구동트랜지스터(DT)의 턴-온 상태를 1프레임(frame)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화소(P)의 센싱트랜지스터(ST2)는 게이트전극이 센싱라인(SL)에 연결되고, 소스전극이 구동트랜지스터(DT)의 소스전극에 연결되며, 드레인전극이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는 기준전압라인(147a, 147b)에 연결될 수 있다. 센싱트랜지스터(ST2)는 구동트랜지스터(DT)의 문턱전압(Vth)을 센싱하여 유기발광소자(OLED)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화소(P)는 스위칭트랜지스터(ST1)가 게이트라인(GL)에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에 의해 턴-온되고, 데이터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해 커패시터(C)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그리고,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과 구동전압(VDD)과의 전위 차이에 따라 구동트랜지스터(DT)의 채널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에 따라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센싱트랜지스터(ST2)는 센싱라인(SL)을 통해 제공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스위칭트랜지스터(ST1)보다 먼저 턴-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위칭트랜지스터(ST1)의 초기 동작에서 커패시터(C)에 데이터신호가 충전되기 전에 구동전압(EVDD)에 의해 유기발광소자(OLED)가 발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비표시영역(N/A)은 표시영역(A/A)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A)에는 표시영역(A/A)의 화소(P)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와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회로는 데이터구동부(230), 게이트구동부(210) 및 발광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230)는 하부의 비표시영역(N/A), 즉 표시영역(A/A)의 하부 비표시영역(N/A)에 칩(chip) 형태로 실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230)는 외부 회로, 예컨대 외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데이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신호는 배선을 통해 표시영역(A/A)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으로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230)는 외부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신호와 발광신호를 배선을 통해 게이트구동부(210)와 발광제어부(220)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 데이터구동부(230)는 외부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신호, 예컨대 구동전압(VDD), 기준전압(Vref), 접지전압(GND) 등을 포함하는 전원신호를 구동전압라인(146a, 146b), 기준전압라인(147a, 147b) 및 접지라인(145a, 145b)으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210)는 표시영역(A/A)의 일측 비표시영역(N/A)에 GIP(Gate In Pane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210)는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배선, 즉 게이트신호라인(141a)을 통해 제공된 게이트신호를 표시영역(A/A)의 다수의 게이트라인(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발광제어부(220)는 표시영역(A/A)의 타측 비표시영역(N/A)에 게이트구동부(210)와 대응되도록 GI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제어부(220)는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배선, 즉 발광신호라인(141c)을 통해 제공된 발광신호를 표시영역(A/A)의 다수의 센싱라인(S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배선들은 데이터구동부(230)와 표시영역(A/A) 사이에 형성된 전원라인과 신호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라인은 구동전압라인(146a, 146b), 기준전압라인(147a, 147b) 및 접지라인(145a, 145b)을 포함하고, 신호라인은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및 발광신호라인(141c)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라인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전원신호를 표시영역(A/A)에 공급할 수 있다. 신호라인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구동신호, 예컨대 게이트신호, 데이터신호 및 발광신호를 표시영역(A/A), 게이트구동부(210) 및 발광제어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구동전압라인(146a, 146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며,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구동전압(VDD)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구동전압라인(146a, 146b)은 데이터구동부(230)와 연결되는 제1구동전압라인(146a) 및 상기 제1구동전압라인(146a)과 연결되며 제1방향, 예컨대 데이터구동부(23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바(bar) 형태로 형성된 제2구동전압라인(14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전압라인(146b)은 일측이 제1구동전압라인(146a)과 연결되며, 타측이 표시영역(A/A)의 화소(P)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구동전압라인(146a)을 통해 제공된 구동전압(VDD)을 각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기준전압라인(147a, 147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며,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기준전압(Vref)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기준전압라인(147a, 147b)은 데이터구동부(230)와 연결되는 제1기준전압라인(147a) 및 상기 제1기준전압라인(147a)과 연결되며, 제2구동전압라인(146b)과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바 형태로 형성된 제2기준전압라인(14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준전압라인(147b)은 일측이 제1기준전압라인(147a)과 연결되고, 타측이 표시영역(A/A)의 화소(P)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기준전압라인(147a)을 통해 제공된 기준전압(Vref)을 각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접지라인(145a, 145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며,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접지전압(GND)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접지라인(145a, 145b)은 데이터구동부(230)와 연결되는 제1접지라인(145a) 및 상기 제1접지라인(145a)과 연결되며, 제2구동전압라인(146b) 및 제2기준전압라인(147b)과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바 형태로 형성된 제2접지라인(14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지라인(145b)은 일측이 제1접지라인(145a)과 연결되고, 타측이 표시영역(A/A)의 화소(P)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접지라인(145a)을 통해 제공된 접지전압(GND)을 각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라인(141a)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데이터구동부(230)와 게이트구동부(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신호라인(141a)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게이트신호를 게이트구동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는 게이트구동부(210)를 통해 표시영역(A/A)의 다수의 게이트라인(GL)에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신호라인(141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데이터구동부(230)와 표시영역(A/A)의 데이터라인(DL)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신호라인(141b)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신호를 표시영역(A/A)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발광신호라인(141c)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데이터구동부(230)와 발광제어부(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신호라인(141c)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발광신호를 발광제어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발광신호는 발광제어부(220)를 통해 표시영역(A/A)의 다수의 센싱라인(SL)에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하부 비표시영역(N/A)은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일부가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배면으로 벤딩될 때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벤딩영역(B/A)에 의해 하부 비표시영역(N/A)은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비표시영역(N/A)은 벤딩영역(B/A)과 표시영역(A/A) 사이의 제1영역, 벤딩영역(B/A) 및 벤딩영역(B/A)과 데이터구동부(230)가 실장된 부분 사이의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1영역은 나머지 비표시영역(N/A)과 함께 베젤(bezel) 등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영역은 벤딩영역(B/A)의 벤딩에 의해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배면에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1영역에는 제2구동전압라인(146b), 제2기준전압라인(147b), 제2접지라인(145b)을 포함하는 전원라인이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 제1영역에는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및 발광신호라인(141c)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이 전원라인과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의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은 플렉서블기판(110) 상의 서로 다른 층에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비표시영역(N/A)의 벤딩영역(B/A)에는 제1구동전압라인(146a), 제1기준전압라인(147a), 제1접지라인(145a)을 포함하는 전원라인이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 벤딩영역(B/A)에는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및 발광신호라인(141c)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이 전원라인과 교차되지 않도록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의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은 플렉서블기판(110) 상의 동일 층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2영역에는 제1구동전압라인(146a), 제1기준전압라인(147a), 제1접지라인(145a)을 포함하는 전원라인이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영역에는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및 발광신호라인(141c)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이 전원라인과 교차되지 않도록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나란하게 뻗어 형성되되, 제2영역에서 적어도 두 번 이상 절곡되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영역의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은 플렉서블기판(110) 상의 동일 층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벤딩이 이루어지는 하부 비표시영역(N/A)의 벤딩영역(B/A)에서 배선들을 동일 층에 나란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와 같이 벤딩 스트레스로 인해 배선들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2영역과 벤딩영역(B/A)에서는 배선들이 서로 동일한 층에서 형성되고 있으나, 제1영역에서는 배선들이 서로 다른 층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벤딩영역(B/A)에 형성된 배선들은 홀(미도시) 등을 통해 제1영역에서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배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Ⅵa~Ⅵa'과 Ⅵb~Ⅵ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표시영역(A/A)에 형성된 화소(P)와 비표시영역(N/A), 예컨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들이 형성된 하부 비표시영역(N/A)은 벤딩영역(B/A)일 수 있다.
표시영역(A/A)의 플렉서블기판(110)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기판(110)의 전면에는 보호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11) 상에는 비정질 또는 다결정실리콘으로 형성된 반도체층(121)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1) 상에는 게이트절연막(113)이 형성되고, 게이트절연막(113) 상에는 반도체층(121)의 일정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전극(123)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123) 상에는 층간절연막(115)이 형성되고, 층간절연막(115) 상에는 소스전극(125a)과 드레인전극(125b)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125a)과 드레인전극(125b)은 층간절연막(115)과 게이트절연막(113)에 형성된 콘택홀(미도시)을 통해 반도체층(1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층(121), 게이트전극(123), 소스전극(125a) 및 드레인전극(125b)은 플렉서블기판(110)의 표시영역(A/A)에서 박막트랜지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박막트랜지스터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구동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박막트랜지스터 상에는 평탄화막(11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평탄화막(117) 상에는 콘택홀(미도시)을 통해 드레인전극(125b)과 연결되는 제1전극(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131) 상에는 제1전극(13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화소정의막(130)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30) 상에는 발광층(133)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133)은 화소정의막(130)에 의해 노출된 제1전극(1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133) 상에는 제2전극(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전극(131), 발광층(133) 및 제2전극(135)은 플렉서블기판(110)의 표시영역(A/A)에서 유기발광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의 플렉서블기판(110) 상에는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데이터신호라인(141b)을 포함하는 신호라인과 제1접지라인(145a) 및 제1구동전압라인(146a)을 포함하는 전원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기판(110)의 전면에는 보호층(111)이 형성될 수 있고, 보호층(111) 상에는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제1접지라인(145a) 및 제1구동전압라인(146a)이 각각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영역(B/A)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은 앞서 표시영역(A/A)에 형성된 소스전극(125a) 및 드레인전극(125b)과 동일한 금속물질로 동일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영역(B/A)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의 상부에는 표시영역(A/A)에서와 같이 평탄화막(117)이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벤딩영역(B/A)에서 배선들을 동일한 금속물질로 동일 층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벤딩영역(B/A)의 벤딩에 따른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평탄화막(117)이 파손되더라도 벤딩영역(B/A)의 배선들은 서로 단락되지 않으며, 이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도들이다.
표시영역(A/A)과 비표시영역(N/A)이 구획된 기판, 예컨대 유리기판(101)의 전면에 보호층(111)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111)은 후술될 유리기판(101)의 탈착 공정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 유기발광소자 및 배선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비표시영역(N/A)은 표시영역(A/A)의 하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N/A)의 벤딩영역(B/A)일 수 있다.
보호층(111)이 형성된 유리기판(101) 상의 표시영역(A/A)에 비정질실리콘 또는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반도체층(121)을 형성할 수 있다. 반도체층(121)은 불순물이 포함된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과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채널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21)이 형성된 유리기판(101)의 전면에 게이트절연막(113)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막(113)은 실리콘산화막(SiOx), 실리콘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유리기판(101)의 비표시영역(N/A)에는 게이트절연막(113)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게이트절연막(113) 상에는 반도체층(121)의 일정 영역, 예컨대 반도체층(121)의 채널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전극(123)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123)은 게이트절연막(113) 상에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티타늄(Ti),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물질 또는 이들의 합금인 금속물질을 증착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123)이 형성된 유리기판(101)의 표시영역(A/A)의 전면에는 층간절연막(115)을 형성할 수 있다. 층간절연막(115)은 SiOx, SiNx 또는 이들의 다중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층간절연막(115)과 게이트절연막(113)의 일부를 식각하여 콘택홀(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층(121)의 일부 영역, 예컨대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층간절연막(115) 상에는 소스전극(125a)과 드레인전극(125b)을 형성할 수 있다. 소스전극(125a)은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21)의 소스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드레인전극(125b)은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21)의 드레인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125a)과 드레인전극(125b)은 층간절연막(115) 상에 Ti, Al, Mo 또는 이들의 합금인 Ti/Al/Ti, Mo/Al의 금속물질을 증착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유리기판(101)의 표시영역(A/A)에서 반도체층(121), 게이트전극(123), 소스전극(125a) 및 드레인전극(125b)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예컨대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구동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리기판(101)의 비표시영역(N/A)에는 보호층(111) 상에 배선들, 예컨대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제1접지라인(145a) 및 제1구동전압라인(14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선들은 보호층(111) 상에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제1접지라인(145a) 및 제1구동전압라인(146a)은 앞서 설명된 소스전극(125a) 및 드레인전극(125b)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표시영역(A/A)과 배선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N/A)의 전면에 평탄화막(117)을 형성할 수 있다.
평탄화막(117)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을 액상 형태로 코팅한 다음 경화시키는 스핀 코팅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영역(A/A)의 평탄화막(117)의 일부를 식각하여 콘택홀(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드레인전극(125b)을 노출시킬 수 있다.
표시영역(A/A)의 평탄화막(117) 상에는 제1전극(1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전극(131)은 평탄화막(117)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극(131)은 투명한 도전물질,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ZnO(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의 애노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전극(131) 상에는 화소정의막(130)을 형성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30)은 제1전극(13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화소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3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을 액상 형태로 코팅한 다음 경화시키는 스핀 코팅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화소정의막(130) 상에는 발광층(133)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층(133)은 화소정의막(130)의 개구부, 즉 화소정의막(130)에 의해 노출된 제1전극(1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133) 상에는 제2전극(13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전극(135)은 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유리기판(101)의 표시영역(A/A)의 박막트랜지스터 상에는 제1전극(131), 발광층(133) 및 제2전극(135)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영역(A/A)에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고, 비표시영역(N/A)에 배선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의 유리기판(101)을 탈착시킬 수 있다. 이어, 플렉서블기판(110)을 유리기판(101) 대신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기판(110)은 유리기판(101)과 동일한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기판(110)은 폴리카본(polycarbon),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스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PE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리기판(101)은 레이저 등이 조사되어 탈착될 수 있고, 플렉서블기판(110)은 OCA(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점착 테이프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표시영역(A/A)과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하는 플렉서블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영역(A/A)은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다수의 게이트라인(GL)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이 교차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또, 다수의 센싱라인(SL)이 다수의 게이트라인(GL)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표시영역(A/A)에는 화소영역에 구동전압(VDD), 기준전압(Vref) 및 접지전압(GN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라인(146b), 기준전압라인(147b) 및 접지라인(145b)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영역에는 다수의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는 화소(P)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소(P)는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비표시영역(N/A)은 표시영역(A/A)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A)에는 표시영역(A/A)의 화소(P)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와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회로는 데이터구동부(230), 게이트구동부(210) 및 발광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230)는 표시영역(A/A)의 하부 비표시영역(N/A)에 실장되어 배치될 수 있고, 게이트구동부(210)와 발광제어부(220)는 표시영역(A/A)의 양측 비표시영역(N/A)에 GI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230)는 외부 회로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배선을 통해 표시영역(A/A)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에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210)는 배선을 통해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게이트신호를 표시영역(A/A)의 다수의 게이트라인(GL)에 출력할 수 있다. 발광제어부(220)는 배선을 통해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발광신호를 표시영역(A/A)의 다수의 센싱라인(SL)에 출력할 수 있다.
배선들은 구동전압라인(146a, 146b), 기준전압라인(147a, 147b) 및 접지라인(145a, 145b)을 포함하는 전원라인과,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및 발광신호라인(141c)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전압라인(146a, 146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며,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구동전압(VDD)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구동전압라인(146a, 146b)은 데이터구동부(230)와 연결되는 제1구동전압라인(146a) 및 상기 제1구동전압라인(146a)과 연결되며 제1방향, 예컨대 데이터구동부(23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바(bar) 형태로 형성된 제2구동전압라인(14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전압라인(146b)은 일측이 제1구동전압라인(146a)과 연결되며, 타측이 표시영역(A/A)의 화소(P)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구동전압라인(146a)을 통해 제공된 구동전압(VDD)을 각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기준전압라인(147a, 147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며,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기준전압(Vref)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기준전압라인(147a, 147b)은 데이터구동부(230)와 연결되는 제1기준전압라인(147a) 및 상기 제1기준전압라인(147a)과 연결되며, 제2구동전압라인(146b)과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바 형태로 형성된 제2기준전압라인(14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준전압라인(147b)은 일측이 제1기준전압라인(147a)과 연결되고, 타측이 표시영역(A/A)의 화소(P)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기준전압라인(147a)을 통해 제공된 기준전압(Vref)을 각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접지라인(145a, 145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며,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접지전압(GND)을 표시영역(A/A)의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접지라인(145a, 145b)은 데이터구동부(230)와 연결되는 제1접지라인(145a) 및 상기 제1접지라인(145a)과 연결되며, 제2구동전압라인(146b) 및 제2기준전압라인(147b)과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바 형태로 형성된 제2접지라인(14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지라인(145b)은 일측이 제1접지라인(145a)과 연결되고, 타측이 표시영역(A/A)의 화소(P)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접지라인(145a)을 통해 제공된 접지전압(GND)을 각 화소(P)에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라인(141a)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데이터구동부(230)와 게이트구동부(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신호라인(141a)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게이트신호를 게이트구동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는 게이트구동부(210)를 통해 표시영역(A/A)의 다수의 게이트라인(GL)에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신호라인(141b)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데이터구동부(230)와 표시영역(A/A)의 데이터라인(DL)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신호라인(141b)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신호를 표시영역(A/A)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발광신호라인(141c)은 하부 비표시영역(N/A)에 데이터구동부(230)와 발광제어부(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신호라인(141c)은 데이터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된 발광신호를 발광제어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발광신호는 발광제어부(220)를 통해 표시영역(A/A)의 다수의 센싱라인(SL)에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하부 비표시영역(N/A)은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일부가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배면으로 벤딩될 때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벤딩영역(B/A)에 의해 하부 비표시영역(N/A)은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비표시영역(N/A)은 벤딩영역(B/A)과 표시영역(A/A) 사이의 제1영역, 벤딩영역(B/A) 및 벤딩영역(B/A)과 데이터구동부(230)가 실장된 부분 사이의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1영역은 나머지 비표시영역(N/A)과 함께 베젤(bezel) 등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영역은 벤딩영역(B/A)의 벤딩에 의해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배면에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1영역에는 바 형태로 형성된 전원라인, 즉 2구동전압라인(146b), 제2기준전압라인(147b), 제2접지라인(145b)으로부터 표시영역(A/A)의 화소(P)로 연장되는 다수의 라인들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영역에는 표시영역(A/A)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데이터신호라인(141b)이 상술한 전원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비표시영역(N/A)의 벤딩영역(B/A)에는 앞서 제1영역에 형성된 전원라인으로부터 표시영역(A/A)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라인들과 다수의 데이터신호라인(141b),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발광신호라인(141c)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벤딩영역(B/A)의 배선들, 즉 전원라인으로부터 표시영역(A/A)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라인들, 다수의 데이터신호라인(141b),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발광신호라인(141c)은 플렉서블기판(110) 상의 동일 층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2영역에는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및 발광신호라인(141c)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이 전원라인과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라인은 제1 및 제2구동전압라인(146a, 146b), 제1 및 제2기준전압라인(147a, 147b), 제1 및 제2접지라인(145a, 145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의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은 플렉서블기판(110) 상의 서로 다른 층에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영역에 형성된 신호라인은 제2영역에서 적어도 두 번 이상 절곡되어 상술한 벤딩영역(B/A) 및 제1영역에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하부 비표시영역(N/A) 중 벤딩영역(B/A)에 의해 벤딩되어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배면에 위치되는 제2영역에 다수의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을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비하여 하부 비표시영역(N/A)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어 내로우 베젤을 가지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하부 비표시영역(N/A)의 벤딩영역(B/A)에서는 다수의 신호라인과 전원라인을 동일 층에서 나란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와 같이 벤딩 스트레스로 인해 절연층이 파손되어도 배선들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1영역과 벤딩영역(B/A)에서는 배선들이 서로 동일한 층에서 형성되고 있으나, 제2영역에서는 배선들이 서로 다른 층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영역에서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배선들은 홀(미도시) 등을 통해 벤딩영역(B/A)에서 동일 층에 형성된 배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Ⅷ~Ⅷ'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하부 비표시영역(N/A)중 벤딩영역(B/A)에서는 다수의 배선들이 동일 층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벤딩영역(B/A)에서는 플렉서블기판(110) 상에 보호층(111)이 형성되고, 보호층(111) 상에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제2접지라인(145b) 및 제2구동전압라인(146b)이 각각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신호라인(141a), 데이터신호라인(141b), 제2접지라인(145b) 및 제2구동전압라인(146b) 상에는 제1절연층(117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비표시영역(N/A)중 벤딩영역(B/A)의 벤딩에 의해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에서는 다수의 배선들이 서로 다른 층에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영역에서는 플렉서블기판(110) 상에 보호층(111)이 형성되고, 보호층(11) 상에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데이터신호라인(141b)이 각각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데이터신호라인(141b) 상에 제1절연층(117a)이 형성되고, 제1절연층(117a) 상에 제2접지라인(145b) 및 제2구동전압라인(146b)이 각각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데이터신호라인(141b)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지라인(145b) 및 제2구동전압라인(146b) 상에는 제2절연층(117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표시영역(A/A)의 화소영역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화소영역의 단면과 동일하며,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선들, 즉 제2접지라인(145b) 및 제2구동전압라인(146b)을 포함하는 전원라인과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데이터신호라인(141b)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은 화소영역의 소스전극(미도시) 및 드레인전극(미도시)과 동일한 금속물질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배선들은 Ti, Al, Mo 또는 이들의 합금인 Ti/Al/Ti, Mo/Al의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벤딩영역의 배선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하부 비표시영역(N/A)의 벤딩영역(B/A)에서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배선들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배선의 폭을 넓혀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비표시영역(N/A)의 벤딩영역(B/A)에서의 배선의 폭(d2)은 나머지 영역, 즉 하부 비표시영역(N/A)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의 배선의 폭(d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영역(B/A)에서의 배선은 삼각형, 마름모꼴, 반원, 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벤딩영역(B/A)의 벤딩 시 스트레스로 인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벤딩영역(B/A)에서 배선의 형상 변경을 통해 벤딩 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의 형상 변경에 따라 배선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벤딩영역(B/A)에서의 배선 폭을 나머지 영역에서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벤딩영역 (B/A)의 벤딩 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선은 제1접지라인(145a) 및 제1구동전압라인(146a)을 포함하는 전원라인과 게이트신호라인(141a) 및 데이터신호라인(141b)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100':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 110: 플렉서블기판
121: 반도체층 123: 게이트전극
125a: 소스전극 125b: 드레인전극
131: 제1전극 133: 발광층
135: 제2전극 141: 신호라인
145, 146, 147: 전원라인 210: 게이트구동부
220: 발광제어부 230: 데이터구동부

Claims (20)

  1. 유기발광소자가 구비된 화소가 형성된 표시영역,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중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벤딩영역을 구비하는 플렉서블기판;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데이터구동부;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신호를 상기 표시영역에 공급하는 다수의 전원라인; 및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구동신호를 상기 표시영역에 공급하는 다수의 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동일 층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상기 벤딩영역과 인접한 상기 비표시영역에서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플렉서블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과 상기 데이터구동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 및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동일 층에서 적어도 두 번 이상 절곡되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 및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적어도 한번 이상 중첩되는 플렉서블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과 상기 데이터구동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 및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적어도 한번 이상 중첩되어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게이트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게이트구동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게이트신호를 상기 게이트구동부에 공급하는 게이트신호라인; 및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신호를 상기 표시영역의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신호라인 및 상기 데이터신호라인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동일 층에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센싱라인과 연결된 발광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제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발광신호를 상기 발광제어부에 공급하는 발광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신호라인, 상기 데이터신호라인 및 상기 발광신호라인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동일 층에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은,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구동전압을 상기 표시영역의 화소에 공급하는 구동전압라인;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기준전압을 상기 표시영역의 화소에 공급하는 기준전압라인; 및
    상기 데이터구동부로부터 제공된 접지전압을 상기 표시영역의 화소에 공급하는 접지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압라인, 상기 기준전압라인 및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동일 층에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배선 폭이 증가되어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삼각형, 마름모꼴, 반원, 원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동일 공정에서 함께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Ti, Mo, Al, Ti/Al/Ti, Mo/Al 중 하나의 금속물질로 형성된 플렉서블표시장치.
  12. 표시영역,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중 하부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벤딩영역을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 상에 상기 표시영역과 연결되는 다수의 전원라인과 다수의 신호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동일 층에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벤딩영역과 인접한 상기 비표시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는 데이터구동부가 실장되고,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형성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반도체층, 게이트절연막, 게이트전극 및 층간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과 함께 형성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전극, 상기 드레인전극,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 및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 상에 평탄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Ti, Mo, Al, Ti/Al/Ti, Mo/Al 중 하나의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의 배선 폭을 증가시켜 형성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은 삼각형, 마름모꼴, 반원, 원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비표시영역에 상기 다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다수의 신호라인이 형성된 후,
    상기 기판을 탈착하고 플렉서블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전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0169271A 2013-12-31 2013-12-31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08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71A KR102086644B1 (ko) 2013-12-31 2013-12-31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4/572,232 US9786229B2 (en) 2013-12-31 2014-12-16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14198548.1A EP2889866B1 (en) 2013-12-31 2014-12-17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25171836.7A EP4568461A2 (en) 2013-12-31 2014-12-17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24189668.7A EP4426088B1 (en) 2013-12-31 2014-12-17 Flexible display device
EP19150928.0A EP3496082B1 (en) 2013-12-31 2014-12-17 Flexible display device
EP21182694.6A EP3907728B1 (en) 2013-12-31 2014-12-17 Flexible display device
CN201410858321.5A CN104752485B (zh) 2013-12-31 2014-12-24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201810052134.6A CN108109529B (zh) 2013-12-31 2014-12-24 显示装置
CN201810442552.6A CN108520893B (zh) 2013-12-31 2014-12-24 柔性显示装置、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15/699,562 US10692442B2 (en) 2013-12-31 2017-09-08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5/808,482 US10679567B2 (en) 2013-12-31 2017-11-09 Display device
US16/849,974 US11282450B2 (en) 2013-12-31 2020-04-15 Display device
US17/671,506 US20220172678A1 (en) 2013-12-31 2022-02-14 Display Device
US18/523,716 US20240096277A1 (en) 2013-12-31 2023-11-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71A KR102086644B1 (ko) 2013-12-31 2013-12-31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267A Division KR101865007B1 (ko) 2017-12-01 2017-12-01 플렉서블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206A KR20150079206A (ko) 2015-07-08
KR102086644B1 true KR102086644B1 (ko) 2020-03-09

Family

ID=5214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271A Active KR102086644B1 (ko) 2013-12-31 2013-12-31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6) US9786229B2 (ko)
EP (5) EP4426088B1 (ko)
KR (1) KR102086644B1 (ko)
CN (3) CN10475248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6976B2 (en) 2020-07-17 2022-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94395B2 (en) 2020-12-30 2024-0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2349564B2 (en) 2020-12-23 2025-07-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33B1 (ko) * 2013-06-1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14942B1 (ko) * 2013-12-20 2021-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24425A (ko) * 2014-08-25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91326B2 (en) * 2015-01-14 2018-06-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flexible substrate and light-emitting element
KR102323242B1 (ko) * 2015-03-10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CN104916660B (zh) * 2015-04-20 2018-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63838B1 (ko) * 2015-08-24 2022-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CN204884440U (zh) * 2015-08-27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KR102374751B1 (ko) * 2015-08-31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인 기판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424443B1 (ko) * 2015-09-14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43703B1 (ko) * 2015-09-30 2022-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8394B1 (ko) * 2015-10-21 2022-08-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57206B1 (ko) * 2015-11-26 2022-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46889B1 (ko) * 2015-12-28 2022-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EP4386734A1 (en) * 2016-01-21 2024-06-19 Apple Inc. Power and data routing structur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KR102542963B1 (ko) * 2016-02-04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43637B1 (ko) * 2016-03-02 202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4128B1 (ko) * 2016-03-11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1726B1 (ko) 2016-03-28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86046B1 (ko) * 2016-03-31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3894B1 (ko) * 2016-04-05 2023-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25124B1 (ko) * 2016-04-05 2023-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7229B1 (ko) * 2016-04-22 2023-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7244B1 (ko) * 2016-05-19 2022-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2221B1 (ko) * 2016-06-08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1789B1 (ko) * 2016-06-15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3234B1 (ko) * 2016-06-20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9544B1 (ko) 2016-07-01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5363B1 (ko) * 2016-07-11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56883B1 (ko) * 2016-08-23 2023-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671042B1 (ko) * 2016-09-06 2024-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77195B1 (ko) * 2016-10-13 2025-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59422B1 (ko) * 2016-10-17 202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8066933A (ja) * 2016-10-21 2018-04-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32269B1 (ko) * 2016-11-30 2024-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75575B1 (ko) 2016-12-12 2024-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08773B1 (ko) * 2016-12-26 2024-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18109683A (ja) * 2016-12-28 2018-07-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777558B2 (ja) * 2017-01-20 2020-10-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511479B (zh) * 2017-02-24 2021-06-22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amoled结构及制备方法
KR102455038B1 (ko) * 2017-04-12 2022-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1286B1 (ko) * 2017-05-18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219696A (zh) * 2017-06-20 2017-09-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液晶面板及液晶显示器
US10693087B2 (en) * 2017-06-23 2020-06-2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with a metal wire array disposed on the bending region of a flexible substrate
CN107134475A (zh) * 2017-06-23 2017-09-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102370406B1 (ko) 2017-07-10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7357068A (zh) * 2017-07-21 2017-11-1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窄边框显示面板及制造方法
KR102261213B1 (ko) * 2017-07-28 2021-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17092B1 (ko) * 2017-08-02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1017B1 (ko) * 2017-08-16 2022-10-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71194B1 (ko) * 2017-08-16 2022-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8104B1 (ko) * 2017-08-21 2021-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7564921B (zh) * 2017-09-01 2019-09-2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7622749B (zh) * 2017-09-08 2019-10-0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678196B (zh) 2017-10-10 2021-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连接器及显示屏
CN107887422B (zh) * 2017-10-31 2020-12-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显示器及移动通信设备
JP7246534B2 (ja) * 2017-11-22 2023-03-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アレイ基板
JP7028616B2 (ja) 2017-11-22 2022-03-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013216B2 (ja) * 2017-11-28 2022-01-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65788B1 (ko) * 2017-11-30 2022-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2034B1 (ko) * 2017-12-06 2020-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73434B1 (ko) * 2017-12-19 2020-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04981B1 (ko) * 2017-12-19 2020-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85116B1 (ko) * 2017-12-19 2020-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9399B1 (ko) * 2018-01-02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96984B1 (ko) * 2018-03-05 2019-07-08 주식회사 지2터치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선 실장 방법
WO2019186812A1 (ja) * 2018-03-28 2019-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391252A (zh) * 2018-04-19 2019-10-29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0473896A (zh) * 2018-05-11 2019-11-1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493226B (zh) * 2018-05-14 2021-04-30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08807476B (zh) * 2018-06-07 2020-1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面板
KR102543918B1 (ko) * 2018-06-08 2023-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10658B (zh) * 2018-06-15 2022-04-0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拼接式电子装置
CN109065571B (zh) * 2018-07-19 2021-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109065575A (zh) * 2018-07-24 2018-12-2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8962850B (zh) * 2018-07-26 2020-06-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装置、掩膜板
CN110782804B (zh) * 2018-07-30 2021-11-12 上海雷舞照明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亮化系统
KR102550689B1 (ko) 2018-08-23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118956B (zh) * 2018-08-24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面板、显示装置和透明显示面板的制作方法
KR102427303B1 (ko) 2018-09-10 2022-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326628B (zh) * 2018-09-12 2020-03-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
CN109300912B (zh) * 2018-09-17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电致发光器件的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706503B1 (ko) * 2018-10-08 2024-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89906B (zh) 2018-11-26 2020-05-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753465B1 (ko) 2018-11-30 2025-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48570A (zh) * 2018-12-17 2019-03-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模组
CN109377888A (zh) * 2018-12-18 2019-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568299B1 (ko) * 2018-12-20 2023-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621005B1 (ko) * 2018-12-26 2024-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768108B1 (ko) * 2019-01-03 2025-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686746B (zh) * 2019-01-04 2021-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移动终端及显示基板的制备方法
CN109742115B (zh) * 2019-01-08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装置
KR20200094885A (ko) 2019-01-30 2020-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83959B1 (ko) * 2019-03-22 2025-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190103B (zh) * 2019-05-31 2022-10-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317130B1 (ko) * 2019-07-05 2021-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KR102809753B1 (ko) * 2019-07-26 2025-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00494A (zh) * 2019-09-17 2019-12-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WO2021072600A1 (zh) * 2019-10-14 2021-04-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显示装置
CN112750397B (zh) * 2019-10-31 2022-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20210074489A (ko) * 2019-12-12 2021-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706958B2 (en) 2019-12-17 2023-07-1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method of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KR20210086908A (ko) 2019-12-31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820490B1 (ko) * 2020-02-03 2025-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21141197A (ja) * 2020-03-05 2021-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半導体装置、および表示装置
EP4002337A4 (en) * 2020-05-22 2022-10-1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10149967A (ko) * 2020-06-02 2021-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342083A (zh) * 2020-08-10 2022-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4120811A (zh) * 2020-08-26 2022-03-0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785814B2 (en) 2020-08-31 2023-10-10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2102725B (zh) * 2020-09-21 2022-07-1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模组
KR20230140623A (ko) * 2022-03-29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7501851A (zh) * 2022-05-31 2024-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172428B (zh) * 2022-07-22 2025-03-07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5798330A (zh) * 2022-11-24 2023-03-1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和电子设备
TWI843438B (zh) * 2023-02-10 2024-05-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32B1 (ko) 2006-06-29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US20110007042A1 (en) * 2009-07-07 2011-0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101337253B1 (ko) 2013-05-28 2013-12-05 주식회사 테라닉스 구부림이 가능한 방열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969B2 (ja) * 1999-09-30 2005-10-26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4596582B2 (ja) * 1999-11-05 2010-12-08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TW507258B (en) * 2000-02-29 2002-10-21 Semiconductor Systems Cor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546857B (en) 2001-07-03 2003-08-1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40019207A (ko) 2002-08-27 2004-03-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와 그의 구동장치 및 방법
JP2005235567A (ja) * 2004-02-19 2005-09-02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600332B1 (ko) * 2004-08-25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KR100583138B1 (ko) 2004-10-08 2006-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KR100671660B1 (ko) * 2004-10-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그것을 채용한 표시 장치
KR100700653B1 (ko) * 2005-02-03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7232795A (ja) * 2006-02-27 2007-09-13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KR20080040505A (ko) * 2006-11-03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4300490B2 (ja) * 2007-02-21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KR101711678B1 (ko) 2009-05-02 2017-03-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장치
CN201408604Y (zh) * 2009-05-19 2010-02-17 威海市泓淋电线电缆有限公司 高频信号传输线
US8629965B2 (en) * 2009-06-17 2014-01-14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KR101633116B1 (ko) * 2009-12-14 2016-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59816B2 (en) * 2010-05-25 2013-01-29 Juno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hipping a child-resistant medicate container
TWI419094B (zh) * 2010-09-10 2013-12-11 Au Optronics Corp 可撓性顯示面板
US10061356B2 (en)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482629B1 (ko) * 2011-06-30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79188B1 (ko) 2012-05-09 2020-02-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929427B1 (ko) * 2012-06-14 2018-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40004240A1 (en) * 2012-06-29 2014-01-02 Darren Hatherell Beverage carbon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bonating a beverage
US9419065B2 (en) * 2012-08-07 2016-08-16 Apple Inc. Flexible displays
KR101971201B1 (ko) * 2012-08-20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965257B1 (ko) 2012-10-08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102045244B1 (ko) * 2012-11-14 2019-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소자
KR20140066830A (ko) * 2012-11-22 2014-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6391B1 (ko) * 2012-12-03 2019-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92665B1 (ko) * 2012-12-26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97150B1 (ko) * 2013-02-01 2020-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TWI864535B (zh) * 2013-03-07 2024-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3337491B (zh) * 2013-06-26 2016-01-27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用于全向连接的金属电容及布图方法
KR102099865B1 (ko) * 2013-08-12 2020-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3474435A (zh) * 2013-09-17 2013-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JP6310668B2 (ja) * 2013-10-02 2018-04-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32B1 (ko) 2006-06-29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US20110007042A1 (en) * 2009-07-07 2011-0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101337253B1 (ko) 2013-05-28 2013-12-05 주식회사 테라닉스 구부림이 가능한 방열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6976B2 (en) 2020-07-17 2022-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40789B2 (en) 2020-07-17 2023-05-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2142206B2 (en) 2020-07-17 2024-1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2349564B2 (en) 2020-12-23 2025-07-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94395B2 (en) 2020-12-30 2024-0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2450B2 (en) 2022-03-22
US20150187279A1 (en) 2015-07-02
EP4426088B1 (en) 2025-05-14
US10692442B2 (en) 2020-06-23
EP3907728B1 (en) 2024-09-04
KR20150079206A (ko) 2015-07-08
US20200243022A1 (en) 2020-07-30
US20180012551A1 (en) 2018-01-11
CN104752485B (zh) 2018-06-05
EP3496082B1 (en) 2021-07-14
EP4426088A2 (en) 2024-09-04
CN108520893B (zh) 2022-10-28
US20180068621A1 (en) 2018-03-08
US10679567B2 (en) 2020-06-09
CN108109529A (zh) 2018-06-01
EP3496082A1 (en) 2019-06-12
EP2889866A2 (en) 2015-07-01
EP4568461A2 (en) 2025-06-11
EP2889866A3 (en) 2015-09-09
CN108520893A (zh) 2018-09-11
EP4426088A3 (en) 2024-12-18
US20220172678A1 (en) 2022-06-02
US9786229B2 (en) 2017-10-10
EP2889866B1 (en) 2019-02-27
CN108109529B (zh) 2020-05-22
CN104752485A (zh) 2015-07-01
EP3907728A1 (en) 2021-11-10
US20240096277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644B1 (ko)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5007B1 (ko) 플렉서블표시장치
US1060805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electrode
KR1022967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437439B2 (en) Display device
KR2015005293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60017276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809122A (zh) 显示装置
KR20210069779A (ko) 터치 센서,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9006808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980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4503179B (zh) 显示装置
US20240074265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240076029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20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71201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