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503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038B1
KR102455038B1 KR1020170047589A KR20170047589A KR102455038B1 KR 102455038 B1 KR102455038 B1 KR 102455038B1 KR 1020170047589 A KR1020170047589 A KR 1020170047589A KR 20170047589 A KR20170047589 A KR 20170047589A KR 102455038 B1 KR102455038 B1 KR 10245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ummy
wiring
wires
wirin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395A (ko
Inventor
진창규
곽원규
김광민
김기욱
김동수
문중수
박현애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038B1/ko
Priority to US15/871,255 priority patent/US10243024B2/en
Priority to CN202311248270.XA priority patent/CN117250788A/zh
Priority to CN202311247028.0A priority patent/CN117080226A/zh
Priority to CN201810325896.9A priority patent/CN108695343B/zh
Publication of KR2018011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395A/ko
Priority to US16/364,483 priority patent/US10665643B2/en
Priority to US16/883,513 priority patent/US11056545B2/en
Priority to US17/363,849 priority patent/US11678556B2/en
Priority to KR1020220130007A priority patent/KR102559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038B1/ko
Priority to US18/208,404 priority patent/US12108651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7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1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characterised by materials, geometry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10D86/443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adapted for preventing breakage, peeling or short circui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6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wherein the TFTs are in active matr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상기 벤딩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순차로 지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가지며 서로 제1 피치(pitch)로 이격되는, 제1 배선부; 및 상기 벤딩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더미배선들은 복수개의 홀들을 갖는, 더미 배선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를 벤딩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비디스플레이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이와 같이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줄어든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상기 벤딩 영역이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순차로 지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서로 제1 피치(pitch)로 이격되는, 제1 배선부; 및상기 벤딩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을 포함하는, 더미 배선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각각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복수개의 홀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순차로 지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 배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2 배선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제2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배선들 각각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서브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순차로 지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3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3 배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보다 큰 제3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치는 상기 제1 피치의 n배(n≥2, n은 자연수)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과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중 서로 최 인접하게 배치된 제3 배선과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무기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끝 단은 상기 개구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배선부 및 상기 더미 배선부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끝 단은 사익 유기물층의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덮도록, 일단부 및 타단부 상에 절연막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중 상기 벤딩 영역 상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중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상기 벤딩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배선들;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가지며,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각각은 서로 동일한 피치(pitch)로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인 기판(100)의 일부가 벤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이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다만 도시의 편의상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관한 단면도들이나 평면도들 등에서도 도시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하는 기판(100)은 제1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 영역(BA)을 갖는다. 이 벤딩 영역(BA)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x 방향)에 있어서,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기판(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BAX)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A)은 디스플레이 영역(DA)을 포함한다. 물론 제1 영역(1A)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에도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2 영역(2A) 역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을 포함한다.
한편, 기판(10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는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는 제1 영역(1A), 벤딩 영역(BA), 제2 영역(2A)에 순차적으로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의 일부 영역은 벤딩 영역(BA) 과 중첩되어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부(310u)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배선부(320u)는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는 각각 디스플레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부(310u)는 디스플레이부(200)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배선부(310u)는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제2 배선부(320u)는 제1 배선부(310u)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배선부(320u)는 데이터 라인 이외의 디스플레이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321) 및 스캔 구동 회로(550)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 배선(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구동 회로(55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일 수 있다. 예컨대 전원 배선(321)은 ELVDD, ELVSS 등 일 수 있으며, 구동 회로 배선(322)은 스캔 라인 또는 게이트 라인 등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타이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의 끝 단이 위치하는 기판(100)의 가장자리에는 패드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패드부(500)에는 별도로 구비된 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는 칩을 통해 패드부(500)에 인가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BA) 상에 더미 배선부(300u)를 구비할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은 제1 방향(+y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과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배선부(300u)는 제1 배선부(310u) 및 제2 배선부(320u)와는 달리 디스플레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더미 배선부(300u)는 벤딩 영역(BA) 상에 주로 위치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의 일부로 연장될 수는 있지만, 상술한 것과 같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패드부(50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더미 배선부(300u)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타이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미 배선부(300u)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1 배선부(310u) 및 더미 배선부(300u)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의 일 측에는 제1 배선부(310u)가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배선부(310u)와 인접하여 더미 배선부(300u)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배선부(310u)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배선부(310u)의 일 측 또는 타 측 영역에는 전기적인 배선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이러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의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들을 배치하고, 이러한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벤딩하는 경우,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들 중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응력 및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하고 나아가 단선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1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벤딩 영역(BA) 상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복수개의 홀(H)들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또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도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벤딩 영역(BA)에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이 복수개의 홀(H)들을 갖는 것은 벤딩 시 스트레스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함인 바,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이 벤딩되지 않는 경우라면 복수개의 홀(H)들을 구비하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더미 배선부(300u)를 이루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도 벤딩 영역(BA) 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더미 배선부(300u)는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패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전체적으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복수개의 홀(H)들은 평면도 상의 평면(x-y 평면)에 있어서,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배선들(300, 310) 각각을 관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들(300, 310)들은 벤딩 영역(BA)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갖는 패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형태, 형상이라고 함은, 상기 배선들(300, 310)의 평면(x-y 평면)의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배선들(300, 310) 각각의 폭, 너비 또는 두께 등의 차이가 아닌 전체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형태, 형상을 의미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서로 제1 피치(P1)(pitch)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피치(pitch)라고 함은,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최 인접한 두 배선들의 중심축들 간의 간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피치(pitch)의 개념은 단순히 최 인접한 두 배선들 간의 간격 또는 거리가 아니라, 중심축들 간의 간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각각의 폭이 일정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이 제1 피치(P1)로 이격됨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간의 간격 또는 거리도 일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의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벤딩 영역(BA)에 있어서 제1 배선부(310u)와 인접하며 전기적 배선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선부(310u)와 인접하여 더미 배선부(300u)가 배치됨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더미 배선부(300u)와 최 인접한 제1 배선(310)과 더미 배선(300) 사이도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1')로 이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결과적으로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모든 배선들(300, 310)의 피치(P1, P1', P)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배선들(300, 310, 320)의 가요성(flexibility)를 위하여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홀(H)들은 대체로 수 마이크로 수준의 크기로 형성되어 정밀한 패터닝 작업이 요구된다.
일 실험예로서,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더미 배선부(300u)들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제1 배선부(310u)의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외각 측에 배치되는 제1 배선(310)들에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때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고 함은, 설계된 사이즈보다 더 작게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홀(H)들 간에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등의 불량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10u)와 인접하여 더미 배선부(300u)가 위치하고,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이 복수개의 제1 배선부(310u)들의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배선부(300u)의 패턴 보상 구조를 통해,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는 배선들(300, 310)의 패턴 밀도(pattern density)를 동일하게 구현하여, 패터닝으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배선들(300, 310)에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균일한 패터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1 배선부(310u), 제2 배선부(320u) 및 더미 배선부(300u)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의 일 측에는 제1 배선부(310u)가 위치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타 측에는 제2 배선부(320u)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는 더미 배선부(300u)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의 영역에는 전기적인 배선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이러한 영역에 위치하여,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의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들을 배치하고, 이러한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벤딩하는 경우,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들 중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응력 및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하고 나아가 단선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1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벤딩 영역(BA) 상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배선부(32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은 벤딩 영역(BA) 상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은 복수개의 홀(H)들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또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도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벤딩 영역(BA)에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이 복수개의 홀을 갖는 것은 벤딩 시 스트레스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함인 바,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이 벤딩되지 않는 경우라면 복수개의 홀(H)들을 구비하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더미 배선부(300u)를 이루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도 벤딩 영역(BA) 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더미 배선부(300u)는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패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전체적으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복수개의 홀(H)들은 평면도 상의 평면(x-y 평면)에 있어서,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배선들(300, 310, 320) 각각을 관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들(300, 310, 320)들은 벤딩 영역(BA)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갖는 패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형태, 형상이라고 함은, 상기 배선들(300, 310, 320)의 평면(x-y 평면)의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배선들(300, 310, 320) 각각의 폭, 너비 또는 두께 등의 차이가 아닌 전체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형태, 형상을 의미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서로 제1 피치(P1)(pitch)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피치(pitch)라고 함은,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최 인접한 두 배선들의 중심축들 간의 간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피치(pitch)의 개념은 단순히 최 인접한 두 배선들 간의 간격 또는 거리가 아니라, 중심축들 간의 간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각각의 폭이 일정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이 제1 피치(P1)로 이격됨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간의 간격 또는 거리도 일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배선부(320u)들은 서로 제2 피치(P2)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과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각각은 모두 동일한 피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의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벤딩 영역(BA)에 있어서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의 전기적 배선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 더미 배선부(300u)가 배치됨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더미 배선부(300u)와 최 인접한 제1 배선(310)과 더미 배선(300) 사이도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1')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중 더미 배선부(300u)와 최 인접한 제2 배선(320)과 더미 배선(300) 사이도 제2 피치(P2)와 동일한 피치(P2')로 이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피치(P2)와 제1 피치(P1)는 동일하므로, 결과적으로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모든 배선들(300, 310, 320)의 피치(P1, P1', P2, P2', P)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배선들(300, 310, 320)의 가요성(flexibility)를 위하여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홀(H)들은 대체로 수 마이크로 수준의 크기로 형성되어 정밀한 패터닝 작업이 요구된다.
일 실험예로서,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더미 배선부(300u)들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제1 배선부(310u)의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외각 측에 배치되는 제1 배선(310)들 또는 제2 배선부(320u)의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중 외각 측에 배치되는 제2 배선(320)들에 홀(H)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때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고 함은, 설계된 사이즈보다 더 작게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홀(H)들 간에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등의 불량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 더미 배선부(300u)가 위치하고,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이 복수개의 제1 배선부(310u)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부(320u)들과 동일한 피치(P)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배선부(300u)의 패턴 보상 구조를 통해,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는 배선들(300, 310, 320)의 패턴 밀도(pattern density)를 동일하게 구현하여, 패터닝으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배선들(300, 310, 320)에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균일한 패터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의 일 측에는 제1 배선부(310u)가 위치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타 측에는 제3 배선부(330u)가 위치할 수 있으며, 더미 배선부(300u)는 제3 배선부(330u)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배선부(310u)의 위치 및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배선부(330u)는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선부(330u)는 제1 배선부(310u)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200)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제3 배선부(330u)는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 제3 배선부(330u)는 데이터 라인 이외의 디스플레이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 및 스캔 구동 회로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 배선일 수도 있다.
한편 기판의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들을 배치하고, 이러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의 일부를 벤딩하는 경우,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들 중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응력 및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하고 나아가 단선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1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벤딩 영역(BA) 상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부(33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은 벤딩 영역(BA) 상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더미 배선부(300u)를 이루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도 벤딩 영역(BA) 에서 복수개의 홀(H)들을 가질 수 있다.
제3 배선부(33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은 서로 제3 피치(P3)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이 이격된 제3 피치(P3)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이 이격된 제1 피치(P1)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는 더미 배선(3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 각각 1개의 더미 배선(300)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300)의 수는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이 배치되는 제3 피치(P3)의 간격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이 배치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과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이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서로 최 인접한 더미 배선(300)과 제3 배선(330)은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3')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더미 배선과 최인접하게 배치된 제1 배선(310)과 더미 배선(300) 사이의 간격은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1')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된 모든 배선들(300, 310, 330)은 모두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3 피치(P3)는 제1 피치(P1)의 n배(n≥2, n은 자연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된 모든 배선들(300, 310, 330)이 모두 동일한 피치로 배치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 배선(300)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제3 피치(P3)는 제1 피치(P1)의 n배(n≥2, n은 자연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피치(P3)가 제1 피치(P1)의 2배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는 1개의 더미 배선(3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피치(P3)가 제1 피치(P1)의 3배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는 2개의 더미 배선(3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부(300u)는 제1 배선부(310u)와 제3 배선부(330u)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의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로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배선들(300, 310, 330)의 가요성(flexibility)를 위하여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홀(H)들은 대체로 수 마이크로 수준의 크기로 형성되어 정밀한 패터닝 작업이 요구된다.
일 실험예로서,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더미 배선부(300u)들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제1 배선부(310u)의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외각 측에 배치되는 제1 배선들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 배선들의 제1 피치(P1)보다 큰 제3 피치(P3)로 형성되는 제3 배선부(330u)의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에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때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고 함은, 설계된 사이즈보다 더 작게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홀(H)들 간에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등의 불량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 더미 배선부(300u)가 위치하고,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이 복수개의 제1 배선부(310u)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부(320u)들과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배선부(300u)의 패턴 보상 구조를 통해,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는 배선들(300, 310, 320)의 패턴 밀도(pattern density)를 동일하게 구현하여, 패터닝으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배선들(300, 310, 320)에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균일한 패터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배선부(310u)의 선폭(w1)과 제2 배선부(320u)의 선폭(w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에 있어서, 제2 배선부(320u)의 선폭(w2)은 제1 배선부(310u)의 선폭(w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에서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의 피치는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배선부(320u)의 피치가 제1 배선부(310u)의 피치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벤딩 영역(BA)에서 제2 배선부(320u)는 복수개의 제2 배선들(3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배선부(320u)는 벤딩 영역(BA)에서 제1 배선부(310u) 또는 더미 배선부(300u)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멀티 라인(multi-lin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배선부(310u), 제2 배선부(320u) 및 제2 배선부(320u)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더미 배선부(300u) 역시 모두 동일한 선폭 및 피치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의 일 측에는 제1 배선부(310u)가 위치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타 측에는 제2 배선부(320u)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는 더미 배선부(300u)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의 영역에는 전기적인 배선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이러한 영역에 위치하여,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영역(BA)은 전술한 도 4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도 8에서는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 일부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배선부(300u)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 각각의 양 끝 단에는 절연막(40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 각각의 끝 단은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 각각의 일단부는 제1 영역(1A)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제2 영역(2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패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패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또는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과는 달리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서 단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 각각의 끝 단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의 끝 단에 절연막(400)을 배치할 수 있다. 절연막(400)은 무기 절연막일 수도 있고, 유기 절연막일 수도 있으며, 유무기 복합막일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절연막(400)이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더미 배선부(300u)의 끝 단을 한꺼번에 덮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절연막(400)은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 각각 마다 패터닝 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더미 배선을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막(400)은 평탄화막(207)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 절연막(40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막으로 형성되면 족하며, 평탄화막(207) 이외의 화소정의막(208) 등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공정을 거쳐서 형성해도 무방하다.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배선(300)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더미 배선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더미 배선이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층에 배치된다고 함은, 층간 절연막(205)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선부(310u)는 예컨대, 데이터 배선으로,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배선부(310u)는 제1 영역(1A)에서 디스플레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영역(2A)에서 패드부(500)와 연결된다.
제1 배선부(310u)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포함하는데,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각각은 제1-1 배선(310a) 및 제1-2 배선(3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배선(310a)은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2 배선(310b)은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 상에 위치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1 배선(310a) 및 제1-2 배선(310b)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1 배선(310a)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며, 제1-2 배선(310b)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204)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1 배선(310a)과 제1-2 배선(310b)은 서로 다른 층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1 배선(310a) 및 제1-2 배선(310b)이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1 배선(310a)과 제1-2 배선(310b)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1 배선(310a)과 제1-2 배선(310b)은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동일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배선부(320u)는 예컨대, 전원 배선 또는 구동 회로 배선으로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 배선부(320u)는 제1 영역(1A)에서 디스플레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영역(2A)에서 패드부(500)와 연결된다.
제2 배선부(320u)는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을 포함하는데,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각각은 제2-1 배선(320a) 및 제2-2 배선(3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배선(320a)은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2-2 배선(320b)은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 상에 위치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1 배선(320a)은 제1 서브 배선(320a1) 및 제2 서브 배선(320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각각은 벤딩 영역(BA) 상에서 복수개의 서브 배선들(320a1, 320a2)로 갈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1 배선(320a)이 제1 서브 배선(320a1) 및 제2 서브 배선(320a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2 배선(320b)의 두께에 따라서 복수개의 서브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의 가요성(flexi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서브 배선들(320a1, 320a2) 간의 피치(P2)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간의 제1 피치(P1)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제2-2 배선(320b)의 폭은 제2-1 배선(320a)의 폭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배선부(320u)가 예컨대, 전원 배선 또는 구동 회로 배선인 경우 제2 배선부(32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2 배선(320)들 각각의 폭은 제1 배선부(310u)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1 배선(310a) 및 제1-2 배선(310b)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1 배선(310a)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며, 제1-2 배선(310b)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204)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1 배선(310a)과 제1-2 배선(310b)은 서로 다른 층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1 배선(310a) 및 제1-2 배선(310b)이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1 배선(310a)과 제1-2 배선(310b)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1 배선(310a)과 제1-2 배선(310b)은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동일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0)의 화소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이소자(250)로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액정소자 또는 ILED와 같은 무기발광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에는 디스플레이소자(250)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소자(2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소자(250)로서 유기발광소자가 디스플레이부(200)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가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화소전극(220)이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기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에도 박막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FT)는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00) 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의 일부일 수 있다.
먼저 기판(100) 상에는 기판(100)의 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202)으로 불순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201)이 배치되고, 이 버퍼층(201) 상에 반도체층(202)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도체층(202)의 상부에는 게이트 전극(204)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 전극(204)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 전극(206a) 및 드레인 전극(206b)이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게이트 전극(204)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202)과 게이트 전극(204)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203)이 반도체층(202)과 게이트 전극(20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04)의 상부에는 층간 절연막(205)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05)의 상부에는 소스 전극(206a) 및 드레인 전극(206b)이 배치된다. 소스 전극(206a) 및 드레인 전극(206b)은 층간 절연막(205)과 게이트 절연막(203)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2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 전극(206a) 및 드레인 전극(206b)은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보호를 위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는 보호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은 예컨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100)의 상에 평탄화막(207)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탄화막(207)은 보호막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평탄화막(207)은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경우 박막트랜지스터(TFT) 의 상면을 대체로 평탄화하게 하고,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각종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평탄화막(207) 은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BCB(Benzocyclobut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퍼층(201), 게이트 절연막(203), 층간 절연막(205) 및 평탄화막(207)은 기판(100)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는 화소정의막(208)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208)은 상술한 평탄화막(207)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08)은 기판(100) 상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08)은 예컨대 유기 절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유기 절연막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스티렌(PS), phenol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평탄화막(207) 상부에는 디스플레이소자(25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소자(250)는 화소전극(220),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는 중간층(230) 및 대향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2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예컨대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화소정의막(208)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는 중간층(23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23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며, 발광층(EML)을 이외에도 발광층(EML)과 화소전극(220) 사이에 배치되는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및 발광층(EML)과 대향전극(24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중간층(23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중간층(230)을 덮으며 화소전극(220)에 대향하는 대향전극(240)이 기판(100) 전면(全面)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4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40)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반)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대향전극(240)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40)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선택적 실시예로 대향전극(240) 상부에 봉지층, 편광층, 컬러필터 등의 기능층들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배선(300)은 층간 절연막(20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전술했던 것과 같이, 더미 배선(300)의 양 끝 단에는 절연막(400)이 배치되어, 더미 배선(300)의 끝 단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서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의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배선(300) 하부에는 유기물층(42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배선(300)은 유기물층(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물층(420)은 벤딩 영역(BA)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벤딩 영역(BA)의 외곽으로 연장되어,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의 일부에 걸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물층(420)은 버퍼층(201), 게이트 절연막(203), 층간 절연막(205)을 포함하는 무기절연막에 비하여 경도가 낮기 때문에, 기판(100) 등이 벤딩할 시 배선부들(300u, 310u, 320u)에 가해지는 인장 스트레스를 월등히 완화시킬 수 있어, 배선부들(300u, 310u, 320u)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유기물층(420)이 층간 절연막(205)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물층(420)은 무기절연층에 형성된 개구(420a)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유기물층(420)이 개구(420a)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개구(420a)가 게이트 절연막(203), 층간 절연막(205)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420a)는 버퍼층(201)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1과 같이 개구(420a)가 게이트 절연막(203), 층간 절연막(205)에 형성되어 버퍼층(20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유기물층(420)은 개구(420a)를 통해 버퍼층(201)과 직접 컨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개구(420a)가 버퍼층(201)까지 연장되어 기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유기물층(420)은 개구(420a)를 통해 기판(100)과 직접 컨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더미 배선(300)은 이러한 유기물층(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더미 배선(300)이 유기물층(420)의 외곽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는 각각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상술한 것과 같이 더미 배선(300)이 유기물층(420)의 외곽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더미 배선(300)은 벤딩 영역(BA)으로부터 연장되어, 일부가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하는 배선들의 형상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배선들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부(310u), 제2 배선부(320u), 제3 배선부(330u) 또는 더미 배선부(300u)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의 설명에서는, 제1 배선부(310u), 제2 배선부(320u), 제3 배선부(330u) 또는 더미 배선부(300u)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통칭하여 '벤딩 배선'으로 서술한다.
도 15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벤딩 배선(410)은 복수개의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일단이 서로 접하는 두 직선과 두 직선의 타단을 연결하는 곡선부로 이루어진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홀(410h)들의 평면의 형상이 부채꼴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홀(410h)들의 평면의 형상은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홀(410h)들의 평면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의 그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홀(410h)들은 제1 홀(410h1) 및 제2 홀(410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410h1)은 제1 축(ax1)을 따라 배치되고, 제2 홀(410h2)은 제1 축(ax1)과 소정 간격을 갖는 제2 축(ax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410h1)은 제2 방향(+x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1 곡선부(r1)를 갖고, 제2 홀(410h2)은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x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 곡선부(r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홀(410h1) 및 제2 홀(410h2)은 제2 방향(+x 방향) 및 제3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y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벤딩 배선(410')은 복수개의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홀(410h')들은 복수의 행(row)들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홀(410h')들의 개수나 행(row)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의 홀(410h')들이 2개 이상의 복수의 행(row)들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이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n번째 행의 홀들은 n-1 번째 행의 홀들로부터 제2 방향(+x 방향)을 따라 제1 거리(d)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연속된 행에서 홀들은 제1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홀들의 제1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n번째 행의 홀들의 중심축은 n-1 번째 행의 홀의 중심축으로부터 제1 방향(+y 방향)을 따라 제1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n-1 번째 행의 홀들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임의의 제1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배선들(300, 310, 330)의 가요성(flexibility)를 위하여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홀(H)들은 대체로 수 마이크로 수준의 크기로 형성되어 정밀한 패터닝 작업이 요구된다.
일 실험예로서,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더미 배선부(300u)들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제1 배선부(310u)의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외각 측에 배치되는 제1 배선들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 배선들의 제1 피치(P1)보다 큰 제3 피치(P3)로 형성되는 제3 배선부(330u)의 복수개의 제3 배선(330)들에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때 홀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고 함은, 설계된 사이즈보다 더 작게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홀(H)들 간에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등의 불량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10u)와 제2 배선부(320u) 사이에 더미 배선부(300u)가 위치하고,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이 복수개의 제1 배선부(310u)들 및 복수개의 제2 배선부(320u)들과 동일한 피치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배선부(300u)의 패턴 보상 구조를 통해,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되는 배선들(300, 310, 320)의 패턴 밀도(pattern density)를 동일하게 구현하여, 패터닝으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한 배선들(300, 310, 320)에 복수개의 홀(H)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균일한 패터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선부 및 더미 배선부는 직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제1 배선부 및 더미 배선부는 홀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한 직선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은 서로 제1 피치(P1)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BA)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300)들은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의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부(300u)는 벤딩 영역(BA)에 있어서 제1 배선부(310u)와 인접하며 전기적 배선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선부(310u)와 인접하여 더미 배선부(300u)가 배치됨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배선(310)들 중 더미 배선부(300u)와 최 인접한 제1 배선(310)과 더미 배선(300) 사이도 제1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1')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벤딩 영역(BA)에 있어서 제1 배선부(310u)와 인접하며 전기적 배선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더미 배선부(300u)가 배치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모든 배선들(300, 310)이 동일한 피치(P1, P1', P)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A: 제1 영역
2A: 제2 영역
100: 기판
200: 디스플레이부
204: 게이트 전극
205: 층간 절연막
206b: 드레인 전극
206a: 소스 전극
207: 평탄화막
208: 화소정의막
250: 디스플레이소자
300: 더미 배선
300u: 더미 배선부
310: 제1 배선
310u: 제1 배선부
320: 제2 배선
320u: 제2 배선부
330: 제3 배선
330u: 제3 배선부
400: 절연막
500: 패드부
550: 스캔 구동 회로

Claims (23)

  1.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상기 벤딩 영역이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순차로 지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서로 제1 피치(pitch)로 이격되는, 제1 배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순차로 지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3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3 배선부; 및
    상기 벤딩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을 포함하는, 더미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보다 큰 제3 피치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은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은 전원이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각각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복수개의 홀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순차로 지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 배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2 배선부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제2 피치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배선들 각각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서브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은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복수개의 홀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치는 상기 제1 피치의 n배(n≥2, n은 자연수) 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3 배선들과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중 서로 최 인접하게 배치된 제3 배선과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무기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끝 단은 상기 개구 외곽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배선부 및 상기 더미 배선부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끝 단은 사익 유기물층의 외곽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덮도록, 일단부 및 타단부 상에 절연막이 더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중 상기 벤딩 영역 상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중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상기 벤딩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배선들;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무기절연층;을 구비하고,
    상기 벤딩 영역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배선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은 각각은 서로 동일한 피치(pitch)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 각각의 끝 단은 상기 개구 외곽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47589A 2017-04-12 2017-04-12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45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89A KR102455038B1 (ko) 2017-04-12 2017-04-12 디스플레이 장치
US15/871,255 US10243024B2 (en) 2017-04-12 2018-01-15 Display apparatus
CN202311247028.0A CN117080226A (zh) 2017-04-12 2018-04-12 显示装置
CN201810325896.9A CN108695343B (zh) 2017-04-12 2018-04-12 显示装置
CN202311248270.XA CN117250788A (zh) 2017-04-12 2018-04-12 显示装置
US16/364,483 US10665643B2 (en) 2017-04-12 2019-03-26 Display apparatus
US16/883,513 US11056545B2 (en) 2017-04-12 2020-05-26 Display apparatus
US17/363,849 US11678556B2 (en) 2017-04-12 2021-06-30 Display apparatus
KR1020220130007A KR102559834B1 (ko) 2017-04-12 2022-10-11 디스플레이 장치
US18/208,404 US12108651B2 (en) 2017-04-12 2023-06-12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89A KR102455038B1 (ko) 2017-04-12 2017-04-12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007A Division KR102559834B1 (ko) 2017-04-12 2022-10-1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395A KR20180115395A (ko) 2018-10-23
KR102455038B1 true KR102455038B1 (ko) 2022-10-17

Family

ID=63790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89A Active KR102455038B1 (ko) 2017-04-12 2017-04-1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130007A Active KR102559834B1 (ko) 2017-04-12 2022-10-11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007A Active KR102559834B1 (ko) 2017-04-12 2022-10-1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5) US10243024B2 (ko)
KR (2) KR102455038B1 (ko)
CN (3) CN108695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89B1 (ko) * 2015-12-28 2022-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55038B1 (ko) * 2017-04-12 2022-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0639B1 (ko) * 2017-08-31 2022-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42079B2 (en) * 2017-10-25 2020-05-05 Apple Inc. Displays with delamination stopper and corrosion blocking structures
KR102452529B1 (ko) * 2017-12-12 2022-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720589B2 (en) * 2018-04-03 2020-07-2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428731B (zh) * 2018-05-17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柔性oled显示装置
US11094775B2 (en) * 2018-06-15 2021-08-17 Innolux Corporation Tiled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nd a flexible substrate
CN110610658B (zh) * 2018-06-15 2022-04-0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拼接式电子装置
US11957015B2 (en) * 2018-09-25 2024-04-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615116B1 (ko) * 2018-10-10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85515A (zh) * 2018-12-12 2019-04-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走线结构
CN109599403B (zh) * 2018-12-19 2021-02-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金属走线
KR20200094885A (ko) * 2019-01-30 2020-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85754B (zh) * 2019-02-01 2021-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柔性显示装置
CN110246849A (zh) * 2019-05-17 2019-09-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
CN110265569A (zh) * 2019-06-10 2019-09-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10581140B (zh) * 2019-08-12 2022-01-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tft阵列基板及其显示面板
KR20210074489A (ko) 2019-12-12 2021-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3192929B (zh) * 2020-01-14 2023-07-25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电阻式存储器结构及其制作方法
KR20210149967A (ko) 2020-06-02 2021-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582430B (zh) * 2020-11-26 2024-04-0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覆晶薄膜及显示面板
CN114690921B (zh) 2020-12-25 2025-05-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显示面板的方法
KR20220106892A (ko) * 2021-01-22 2022-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78904A (ko) * 2021-11-26 2023-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14628062B (zh) * 2022-03-28 2023-06-0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导电薄膜及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3685A1 (en) * 2014-09-30 2016-03-3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129B2 (ja) * 2004-10-25 2009-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25492B1 (ko) * 2005-09-2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2012083597A (ja) 2010-10-13 2012-04-26 Sony Corp 表示装置
JP5671948B2 (ja) 2010-11-04 2015-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9102540B2 (en) 2011-07-31 2015-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ene nanomesh based charge sensor
CN107065345A (zh) 2012-06-15 2017-08-18 索尼公司 显示装置
JP2014109590A (ja) 2012-11-30 2014-06-12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864535B (zh) * 2013-03-07 2024-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085961B1 (ko) * 2013-12-24 2020-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86644B1 (ko) 2013-12-31 2020-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062499A1 (en) * 2014-09-02 2016-03-03 Apple Inc. Touch pixel design for reducing visual artifacts
KR102586046B1 (ko) 2016-03-31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5038B1 (ko) 2017-04-12 2022-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3685A1 (en) * 2014-09-30 2016-03-3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108651B2 (en) 2024-10-01
US20190221617A1 (en) 2019-07-18
KR102559834B1 (ko) 2023-07-27
US11056545B2 (en) 2021-07-06
US10243024B2 (en) 2019-03-26
KR20220141273A (ko) 2022-10-19
US10665643B2 (en) 2020-05-26
CN108695343A (zh) 2018-10-23
KR20180115395A (ko) 2018-10-23
US20230329074A1 (en) 2023-10-12
CN117080226A (zh) 2023-11-17
CN108695343B (zh) 2023-10-20
US20210327974A1 (en) 2021-10-21
US20180301520A1 (en) 2018-10-18
US11678556B2 (en) 2023-06-13
CN117250788A (zh) 2023-12-19
US20200295098A1 (en)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0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632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785816B2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7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