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2621B1 - 모듈형 mcc - Google Patents

모듈형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621B1
KR102042621B1 KR1020190040841A KR20190040841A KR102042621B1 KR 102042621 B1 KR102042621 B1 KR 102042621B1 KR 1020190040841 A KR1020190040841 A KR 1020190040841A KR 20190040841 A KR20190040841 A KR 20190040841A KR 102042621 B1 KR102042621 B1 KR 10204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guide
horizontal
bracket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새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인텍
Priority to KR102019004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이 용이한 모듈형 MCC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직부스바와 수평부스바가 내장된 캐비닛,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는 제1보호커버,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을 보호하고,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보호커버, 상기 수평부스바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수평부스바에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접속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모듈형 MCC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모듈형 MCC{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확장이 용이한 모듈형 MCC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함(cubicle)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한층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부스바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도 증설 작업이 용이하면서 작업자가 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형 모터 콘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 컨트롤 센터(Motor Control Center)는 플랜트, 공장, 빌딩, 병원, 공동주택 등 각종 산업설비에 적용하여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개폐 및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 등과 같은 각 부하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제어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터 컨트롤 센터는 유지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압강하 및 전류 트랜스포머, 개폐기, 릴레이, 분기차단기,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퓨즈, 타이머 등과 같은 각종 제어기기를 한데 조합한 여러 개의 부하용 MCC 유닛(unit)을 하나의 외함(캐비닛) 내에 다층으로 구획하여 집합하고, 그 각각의 유닛을 인입 및 인출 등 위치 조작이 가능한 서랍식 구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7668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모선(131)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인슐레이터(133)와 좌우 한 쌍의 수직프레임(135)으로 이루어진 수직모선 어셈블리(130), 수평모선(141)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인슐레이터(143)와 고정프레임(145) 및 각각의 수직모선(131)과 수평모선(141)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147)로 이루어진 수평모선 어셈블리(140)를 포함하는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는 표준화 및 규격화가 어려운 특성상 전력수요 및 사양에 적합하게 설계하고, 이를 열반(列盤) 작업을 통해 일렬 또는 여러 열로 줄을 맞추어서 연결함으로써 필요한 규모로 증설할 수 있다.
그런데 증설 작업 시에는 수평모선(141)들의 연결 부분은 절곡 또는 홀 가공을 하여 일일이 볼팅 방식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번 설치하면 그 위치를 변경 혹은 재배치하거나 다른 모터 컨트롤 센터로 교체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수고로운 한계가 있다.
또한, 외함을 호이스트나 크레인과 같은 운반용 기계를 이용하여 각기 구축 위치로 순서대로 이동시킨 후 서로 간의 설치 높낮이 및 열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열반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 외함은 모선 격실, 유닛 격실, 케이블 덕트 격실로 나누어져 있고, 각 유닛의 상하 간은 돌발 사고가 발생하여도 타 유닛으로 파급되는 일이 없도록 금속판으로 격리 및 차폐되어 있으며, 하나의 외함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단면형과, 두 개의 외함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편면형 및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양면형 등이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중에서 양면형으로 증설 시에는 수직부스바의 활선 상태에서 정격 용량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자칫 감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커 안전성이 상당히 떨어지고, 그에 따른 작업자의 심리적 불안감으로 인해 작업능률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1058547 B1(2011.08.16) KR 10-0993898 B1(2010.11.05) KR 10-1336969 B1(2013.11.28) KR 10-1925949 B1(2018.11.30) KR 10-0540204 B1(2005.12.23) KR 10-0916804 B1(2009.09.03) KR 10-0917668 B1(2009.09.09) KR 10-0896926 B1(2009.05.01) JP 2005-137086 A(2005.05.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모터 컨트롤 센터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외함(cubicle)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증설 작업 시 부스바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도 확장이 용이하면서 작업자가 수직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모듈형 MCC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MCC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활선 상태에서도 증설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MCC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뒤쪽에 다수 개의 수직부스바가 내장되고, 상단부에 다수 개의 수평부스바가 내장된 캐비닛,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 양쪽 및 위아래쪽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제1플랜지가 형성된 제1보호커버,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보호커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보호커버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된 제2보호커버, 상기 수평부스바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수평부스바에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접속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MCC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외함(cubicle)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한층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활선 상태에서도 증설 작업을 위한 확장이 용이하면서 작업자가 수직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캐비닛의 양쪽 측면과 뒤쪽 상하단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과 다른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의 상대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다른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캐비닛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한층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다른 캐비닛의 측면이 나란히 연결 또는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다른 캐비닛의 뒤쪽이 대칭으로 수월하고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복수 개의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한쪽에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접촉 간섭 및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그 미끄러짐을 유도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롤러브래킷, 상기 롤러브래킷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며 다른 캐비닛의 진입 시 유동을 줄여 주는 경사브래킷, 상기 경사브래킷의 끝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더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이 상기 경사브래킷 말단의 정확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팁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캐비닛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면서 정확한 연결을 유도하여 열반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롤러브래킷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여러 개의 캐비닛을 일렬로 나란히 열반한 후, 그 중 하나의 기준 캐비닛에 다른 캐비닛을 대칭적으로 배치할 때 고정브래킷을 기준 캐비닛과 나란히 배치된 또 다른 캐비닛 뒤쪽의 하단 프레임에 탈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고정브래킷의 측면 중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롤러브래킷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을 향해 돌출한 길이만큼 두껍게 튀어나오도록 간격조절판이 부착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두 가이드롤러 간의 간격이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이 갖는 전후 길이보다 넓게 벌어지거나 동일하도록 조절하여 캐비닛의 이동 시 균형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여러 개의 캐비닛을 일렬로 나란히 열반하는 작업 시 수평부스바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와 접촉 간섭에 의해 벌어지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꽉 물어 자동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수평부스바 간의 접속 작업이 한층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수직부스바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 증설을 위해 두 개의 캐비닛을 대칭으로 배치하는 연결 작업 시 제2보호커버가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으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홀과 가이드핀이 완전하게 합치시키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확장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직부스바가 그대로 노출되지 않고 제2보호커버에 의해 안전하게 차단되어 작업자가 수직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등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구나 캐비닛 간의 열반 및 연결 작업 시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에 부착되는 안내장치가 캐비닛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유도하기 때문에 열반 및 연결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열반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양면에 대칭적으로 열반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국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나란히 열반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 구성요소 중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 구성요소 중 안내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 구성요소 중 안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는 크게 캐비닛(10), 제1보호커버(20), 제2보호커버(30), 접속단자(40), 스프링(50), 안내장치(60)로 구성되어 있다.
캐비닛(10)은 다수 개의 프레임(13)과 패널 및 플레이트를 박스 형태로 조립한 함체로 이루어지며, 뒤쪽에는 외부로부터 1차측 전원을 공급받는 R, S, T, N 각 상의 모선용 수직부스바(11)가 내장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각각의 수직부스바(11)와 대응 결합된 분기용 수평부스바(12)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캐비닛(10)의 전방에는 여러 개의 MCC 유닛을 서랍식으로 장치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다층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즉, 캐비닛(10)은 수직부스바(11)를 수용하는 격실, 수평부스바(12)를 수용하는 격실, 유닛을 수용하는 격실 및 케이블을 수용하고 덕트 역할을 하는 격실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서 수직부스바(11)와 수평부스바(12)는 통상의 절연용 인슐레이터에 의해 배선 및 지지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의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닛을 수용하는 격실 및 케이블을 수용하고 덕트 역할을 하는 격실은 그 각각의 전면에 내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달려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양쪽 측면과 뒤쪽 상하단에 위치하는 프레임(13)에는 가이드홀(14)이 복수 개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홀(14)들 중에는 캐비닛(10)의 측면 및 뒤쪽과 다른 캐비닛(10')의 측면 및 뒤쪽의 상대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다른 캐비닛의 가이드홀(14')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핀(15)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프레임(13) 중 하단, 즉 바닥면 등과 접촉되는 프레임(13) 상에는 안내장치(60)를 볼팅 방식으로 조여서 부착하거나 풀어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사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보호커버(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스바(11)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기 위해 마치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쪽 단부에는 제2보호커버(30)를 접속 고정하기 위해 제1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보호커버(20)는 수직부스바(11)가 캐비닛(10)의 안쪽을 향해 전체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부품의 유지보수 및 점검, 교체 시 등에 작업자가 높은 전류가 흐르는 수직부스바(11)와 접촉하거나 그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수직부스바(11)의 앞쪽, 양쪽 및 위아래쪽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캐비닛(10)의 뒤쪽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보호커버(20)는 대칭으로 배치되는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에 고정, 즉 다른 캐비닛(10')의 뒤쪽 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부착된 제2보호커버(30)와 포개어 겹쳐지듯이 연결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뒤쪽 면에서 앞쪽을 향해 함몰된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2보호커버(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스바(11)의 뒤쪽을 보호하기 위해 마치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쪽 단부에는 제1보호커버(20)에 고정하기 위해 그 제1플랜지(21)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보호커버(30)는 수직부스바(11)의 뒤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보호커버(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보호커버(30)는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1보호커버(20)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보호커버(30)는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 속에 삽입하지 않을 때 캐비닛(10)의 뒤쪽으로 수직부스바(11)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개폐판(32)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개폐판(32)은 수직부스바(11)의 활성 상태에서 제2보호커버(30)를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 속에 삽입 시 수직부스바(11)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탈착하여 분리할 수 있고, 삽입하지 않을 때는 제2보호커버(30)가 수직부스바(11)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보호커버(20)와 제2보호커버(3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그 각각의 제1플랜지(21)와 제2플랜지(31)를 서로 맞대어 놓고 볼팅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또 제2보호커버(30)와 개폐판(32)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볼팅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보호커버(20)와 제2보호커버(30)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전기 절연체 등을 절곡 작업으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속단자(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스바(12')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그 양쪽 측면과 밀착 접속되도록 수평부스바(12')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즉, 접속단자(40)는 수평부스바(12)에 다른 캐비닛(10')의 수평부스바(12')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그 바깥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단자(40)는 수평부스바(12)와 동일한 구리(Cu)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50)은 수평부스바(12')가 접속단자(40)의 틈으로 끼워질 때 접속단자(40)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위해 접속단자(40)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즉, 접속단자(40)의 틈새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12')가 끼워지면 접속단자(40)는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벌어지고, 이때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함으로써 그 수평부스바(12')의 양쪽 측면과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스프링(50)은 접속단자(40)를 수평부스바(12')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키도록 탄성한도가 높고 피로강도가 큰 스프링강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장치(60)는 캐비닛(10)의 측면에 다른 캐비닛(10')의 측면을 나란하게 연결하고, 캐비닛(10)의 뒤쪽에 다른 캐비닛(10')의 뒤쪽이 대칭으로 수월하고 정확하게 연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장치(6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 롤러브래킷(62), 가이드롤러(63), 경사브래킷(64), 팁가이드(65), 간격조절판(66)을 포함하고 있다.
고정브래킷(61)은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브래킷(61)에는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과 볼팅 결합을 위해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에 형성된 나사구멍(16)과 통하는 관통구멍(67)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롤러브래킷(62)은 구름 운동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63)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고정브래킷(61)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롤러(63)는 다른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이 안내장치(60)의 마주하는 면을 따라서 미끄러질 때 그 접촉에 의하여 일어나는 운동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미끄러짐을 유도하기 위해 다수 개가 롤러브래킷(62)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경사브래킷(64)은 다른 캐비닛(10')의 진입 시 유동을 줄여 주기 위해 롤러브래킷(62)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브래킷(64)은 안내장치(60)가 전후 또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될 경우 마주하는 두 경사브래킷(64) 사이의 거리가 그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브래킷(64)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롤러(63)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은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하거나 혹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직각으로 꺾어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은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형태의 안내장치(60)를 복수 개로 구비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직각으로 꺾인 형태의 안내장치(60-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이 서로 수직으로 꺾인 형태의 안내장치(60-1)는 여러 개의 캐비닛(10)(10')을 일렬로 나란히 열반한 후, 그 중 하나의 기준 캐비닛(10)에 또 다른 캐비닛(10')을 대칭적으로 배치할 때 고정브래킷(61) 부분을 하나의 기준 캐비닛(10)과 나란히 배치된 다른 캐비닛(10') 뒤쪽의 하단 프레임(13')에 탈부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정브래킷(61)과 직각을 이루는 경사브래킷(64) 부분이 또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그 프레임(13')과 마주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팁가이드(65)는 다른 캐비닛(10')의 하단 프레임(13')이 경사브래킷(64) 말단의 정확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경사브래킷(64)의 끝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더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팁가이드(65)는 다른 캐비닛(1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적으로 이동하도록 조정하는 입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안내장치(60)가 전후 또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될 경우 마주하는 두 팁가이드(65) 사이의 거리가 그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간격조절판(66)은 고정브래킷(61)의 측면 중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과 마주하는 면이 롤러브래킷(62)에 장착된 가이드롤러(63)가 그 롤러브래킷(62)에서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을 향해 돌출한 길이만큼 두껍게 튀어나오도록 조절하기 위해 고정브래킷(61)의 측면 중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다.
즉, 고정브래킷(61)과 롤러브래킷(62)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을 경우 그 가이드롤러(63)의 테두리 부분이 바깥쪽으로 약간 튀어나온 채로 구름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상태로 고정브래킷(61)을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의 양쪽에 고정하면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롤러(63) 간의 간격이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이 갖는 전후 길이보다 좁아지게 되어 원활한 안내 작용과 균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브래킷(61)에 가이드롤러(63)의 튀어나온 길이만큼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판(66)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브래킷(62)과 경사브래킷(64)은 횡단면이 마치 'ㄷ'자 모양을 한 홈 형강(channel)의 단면 형상처럼 형성되어 있고, 그 웨브(web) 상에는 가이드롤러(63)의 테두리 일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슬롯(6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롤러브래킷(62)과 경사브래킷(64)에는 그 각각의 가이드롤러(6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69)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의 주요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캐비닛(10)(10')을 일렬로 나란하게 열반 시 가이드홀(14)과 가이드핀(15)의 안내로 서로 꼭 들어맞게 연결되면서 수평부스바(12)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접속단자(40)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12')가 자연스럽게 압입됨으로써 수평부스바(12)(12') 간의 접속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스바(11)의 앞뒤에서 접속을 위해 두 개의 캐비닛(10)(10')을 대칭으로 열반 시 가이드홀(14)과 가이드핀(15)의 안내로 서로 꼭 들어맞게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제2보호커버(30)가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20')의 안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1보호커버(20') 속에 삽입되므로 수직부스바(11)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도 확장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수직부스바(11)가 종래와 달리 그대로 노출되지 않고 제2보호커버(30)에 의해 안전하게 차단되므로, 작업자가 부주의 등으로 수직부스바(11)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등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게다가 안내장치(60)를 캐비닛(10)의 전후 양쪽 하단 프레임(13)에 각각 대칭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이로 인해 열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안내장치(60)는 여러 개의 캐비닛(10)(10')을 일렬로 나란하게 열반하는 작업 시 캐비닛(10)의 전후 양쪽 하단 프레임(13)에 각각 대칭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이로 인해 열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캐비닛(10)(10')을 대칭으로 열반하는 작업 시 캐비닛(10)의 좌우 양쪽 하단 프레임(13)에 각각 대칭적으로 부착하거나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이 서로 수직으로 꺾인 형태의 안내장치(60-1) 중 그 고정브래킷(61) 부분을 하나의 기준 캐비닛(10)과 나란히 배치된 다른 캐비닛(10') 뒤쪽의 하단 프레임(13')에 부착함으로써 캐비닛(10)의 뒤쪽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열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캐비닛 11: 수직부스바
12: 수평부스바 13: 프레임
14: 가이드홀 15: 가이드핀
16: 나사구멍 20: 제1보호커버
21: 제1플랜지 30: 제2보호커버
31: 제2플랜지 32: 개폐판
40: 접속단자 50: 스프링
60: 안내장치 61: 고정브래킷
62: 롤러브래킷 63: 가이드롤러
64: 경사브래킷 65: 팁가이드
66: 간격조절판 67: 관통구멍

Claims (6)

  1. 뒤쪽에 다수 개의 수직부스바가 내장되고, 상단부에 다수 개의 수평부스바가 내장된 캐비닛;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 양쪽 및 위아래쪽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제1플랜지가 형성된 제1보호커버;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보호커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보호커버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된 제2보호커버;
    상기 수평부스바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수평부스바에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접속시키는 스프링;
    상기 캐비닛의 양쪽 측면과 뒤쪽 상하단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과 다른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의 상대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다른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핀;
    을 포함하는 모듈형 MCC.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다른 캐비닛의 측면이 나란히 연결 또는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다른 캐비닛의 뒤쪽이 대칭으로 수월하고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복수 개의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MCC.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한쪽에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접촉 간섭 및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그 미끄러짐을 유도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롤러브래킷;
    을 포함하며,
    다른 캐비닛의 진입 시 유동을 줄여 주기 위해 상기 롤러브래킷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의 경사브래킷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브래킷에 상기 가이드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며,
    다른 캐비닛이 상기 경사브래킷 말단의 정확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경사브래킷의 끝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더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의 팁가이드가 형성된 모듈형 MCC.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롤러브래킷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모듈형 MCC.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측면 중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롤러브래킷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을 향해 돌출한 길이만큼 두껍게 튀어나오도록 간격조절판이 부착된 모듈형 MCC.
KR1020190040841A 2019-04-08 2019-04-08 모듈형 mcc KR10204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41A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04-08 모듈형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41A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04-08 모듈형 mc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21B1 true KR102042621B1 (ko) 2019-11-08

Family

ID=6854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841A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04-08 모듈형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9088A (zh) * 2022-10-14 2022-12-09 浙江聚弘凯电气有限公司 一种模块式开关柜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393U (ja) * 1999-05-21 2000-11-24 エルジー産電株式会社 配電盤の垂直母線クランピング装置
JP2005137086A (ja) 2003-10-29 2005-05-26 Toshiba Industrial Products Manufacturing Corp 母線装置
KR100540204B1 (ko) 2005-06-22 2006-01-10 (주)서전기전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KR100896926B1 (ko) 2008-04-03 2009-05-14 주식회사 베스텍 모터 제어반
KR100916804B1 (ko) 2009-03-25 2009-09-14 (주)케이엔 조립형 배전반 및 열반형 배전반 시스템
KR100917668B1 (ko) 2009-07-10 2009-09-18 (주)시그너스시스템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
KR20090115451A (ko) * 2008-05-02 2009-11-0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993898B1 (ko) 2008-07-28 2010-11-11 알티전자 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큐비클
KR101058547B1 (ko) 2009-10-06 2011-08-23 태일전기(주) 부스바 커넥터
KR101082328B1 (ko) * 2011-09-29 2011-11-11 (주)시그너스시스템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KR101336969B1 (ko)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JP2015521805A (ja) * 2012-06-25 2015-07-30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ーバキャビネット
KR101925949B1 (ko) 2018-06-07 2018-12-06 세명엔지니어링(주) 모터제어설비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54U (ko) * 1999-05-21 2000-12-15 이종수 배전반의 수직모선 클램프 장치
JP3073393U (ja) * 1999-05-21 2000-11-24 エルジー産電株式会社 配電盤の垂直母線クランピング装置
JP2005137086A (ja) 2003-10-29 2005-05-26 Toshiba Industrial Products Manufacturing Corp 母線装置
KR100540204B1 (ko) 2005-06-22 2006-01-10 (주)서전기전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KR100896926B1 (ko) 2008-04-03 2009-05-14 주식회사 베스텍 모터 제어반
KR20090115451A (ko) * 2008-05-02 2009-11-0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993898B1 (ko) 2008-07-28 2010-11-11 알티전자 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큐비클
KR100916804B1 (ko) 2009-03-25 2009-09-14 (주)케이엔 조립형 배전반 및 열반형 배전반 시스템
KR100917668B1 (ko) 2009-07-10 2009-09-18 (주)시그너스시스템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058547B1 (ko) 2009-10-06 2011-08-23 태일전기(주) 부스바 커넥터
KR101082328B1 (ko) * 2011-09-29 2011-11-11 (주)시그너스시스템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JP2015521805A (ja) * 2012-06-25 2015-07-30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ーバキャビネット
KR101336969B1 (ko)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925949B1 (ko) 2018-06-07 2018-12-06 세명엔지니어링(주) 모터제어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9088A (zh) * 2022-10-14 2022-12-09 浙江聚弘凯电气有限公司 一种模块式开关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0230A (en) High voltage motor starter enclosure
US3626253A (en) Cell construction for motor control center for separate disengaging of terminal blocks and bus stabs
KR101357285B1 (ko)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JP2017153229A (ja) 監視盤
US20160359307A1 (en) Access windows in horizontal bar section of an electrical meter center
EP3509407A1 (en) Rack pdu bracket with rotation function
KR102042621B1 (ko) 모듈형 mcc
US7064641B2 (en) Cathedral door shutter assembly
US8223474B2 (en)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EP2912735B1 (en) Busbar assembly
JP6356863B1 (ja) 電力用盤
US4608621A (en) Transport apparatus for electrical equipment
KR102042622B1 (ko)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KR101947971B1 (ko) 태양광 발전 전력 접속반
EP2352619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gear panel
KR20160126339A (ko) 배선 처리와 차단기 스위치 조립이 용이토록 한 캐비넷
CN106972351B (zh) 用于承载连接至电力电缆和通信电缆的模块的线槽
RU61952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EP3965239A1 (de) Sammelschienenträger
JP2000507799A (ja) 開閉装置及び制御キュービクルのための摺動ドア
KR101039309B1 (ko) 공간절약 및 작업자 안전을 위한 도어 개량형 수배전반
KR101033846B1 (ko)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EP212030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system enclosure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DE102021111396B4 (de) Adapter für einen Sammelschienenträ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