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6969B1 -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 Google Patents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969B1
KR101336969B1 KR1020130105918A KR20130105918A KR101336969B1 KR 101336969 B1 KR101336969 B1 KR 101336969B1 KR 1020130105918 A KR1020130105918 A KR 1020130105918A KR 20130105918 A KR20130105918 A KR 20130105918A KR 101336969 B1 KR101336969 B1 KR 101336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ase
enclosure
motor control
br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to KR102013010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9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컨트롤 박스 유니트 케이스와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케이스 내에 컨트롤 기기 및 분기 차단기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케이스를 컴팩트화시킴으로써 함체에 많은 수의 케이스를 배치하여 함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스 전면에 구비된 핸들에 의해 차단기가 온/오프되고, 핸들을 돌려 오프 상태에서만 유니트가 인출되도록 하며, 함체의 프레임이 상하로 분리되도록 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함체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직 모선 부스바와 수평 모선 부스바를 설치하고 수직 모선 부스바를 차폐함으로써 모선 보호 및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직 터미널 블록을 연결하고, 컨트롤 박스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평 터미널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용량 변경 및 차단기 고장시 활선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MULTI MOTOR CONTROL CENTERFOR A LARGE NUMBER OF LOADS}
본 발명은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컨트롤 박스 유니트 케이스와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케이스 내에 컨트롤 기기 및 분기 차단기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케이스를 컴팩트화시킴으로써 함체에 많은 수의 케이스를 배치하여 함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스 전면에 구비된 핸들에 의해 차단기가 온/오프되고, 핸들을 돌려 오프 상태에서만 유니트가 인출되도록 하며, 함체의 프레임이 상하로 분리되도록 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함체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직 모선 부스바와 수평 모선 부스바를 설치하고 수직 모선 부스바를 차폐함으로써 모선 보호 및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직 터미널 블록을 연결하고, 컨트롤 박스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평 터미널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용량 변경 및 차단기 고장시 활선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건물 등에는 엘리베이터, 온난방시스템, 상하수도, 공기조화 등을 위하여 많은 전동기가 사용된다. 이들 전동기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멈출 필요가 있으므로 전자개폐기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전동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관리 및 운용의 편리성을 위해서, 여러 개의 전동기용 유닛(Unit)을 하나의 캐비닛에 집적한 형태의 전동기 전용 배전반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동기 전용 배전반을 전동기 제어반, 동력반 또는 모터 컨트롤 센터(MCC : Motor Control Center)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모터 컨트롤 센터로 통칭한다.
모터 컨트롤 센터(MCC)는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해주는 기능과 각 전동기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모터 컨트롤 센터(MCC)에는 전압강하 트랜스포머, 전류 트랜스포머, 개폐기, 릴레이, 분기 차단기, 휴즈, 타이머 및 이오씨알(EOCR :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등과 같은 각종 전동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기기가 실장된 컨트롤 박스 유니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컨트롤 박스 유니트는 함체를 구획하여 형성한 수용실에 하나씩 수용되는데,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는 수용실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전동기 제어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전원공급을 위한 1차측 커넥터가 분리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를 수용실에서 완전히 분리하면 2차측 및 3차측 커넥터도 완전히 분리된다. 이를 위해서 모터 컨트롤 센터(MCC)의 각 수용실과 유니트의 후단에는 1차측, 2차측 및 3차측을 연결하거나 끊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러한 모터 컨트롤 센터의 일례로 국내 특허등록 10-1082328호(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모터 컨트롤 센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모터 컨트롤 센터는 전동기 컨트롤 센터의 소형 집약화를 위하여 고밀도 실장을 할 수 있도록 차단기의 접촉단자에 착탈식으로 스탭 커넥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2차인출 커넥터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신뢰을 향상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모터 컨트롤 센터는 컨트롤 박스 유니트 내에 컨트롤 기기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랍식으로 함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컨트롤 박스 유니트의 부피로 인해 설치 개수가 한정되고, 이로 인해 전동기의 개수가 많으면 이에 따라 함체의 개수가 증대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모터 컨트롤 센터는 함체가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고, 분기 차단기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1차 인출 및 2차 인출이 어려운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 이러한 종래의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모터 컨트롤 센터는 분기 차단기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인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전 사고의 발생이 있고, 분기 차단기의 용량 변경 및 고장시 활선 상태에서 교체가 불가능한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 10-1082328호 국내 특허등록 10-09510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트롤 박스 유니트 케이스와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케이스 내에 컨트롤 기기 및 분기 차단기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케이스를 컴팩트화시킴으로써 함체에 많은 수의 케이스를 배치하여 함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스 전면에 구비된 핸들에 의해 차단기가 온/오프되고, 핸들을 돌려 오프 상태에서만 유니트가 인출되도록 하여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의 프레임이 상하로 분리되도록 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함체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직 모선 부스바와 수평 모선 부스바를 설치하고, 수직 모선 부스바를 차폐함으로써 모선 보호 및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직 터미널 블록을 연결하고, 컨트롤 박스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평 터미널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용량 변경 및 차단기 고장시 활선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의해 프레임이 형성되되, 상하로 분리되도록 하고, 정면에 도어가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 모선실, 수직 모선실, 분기 차단기실, 컨트롤 박스실이 구획되고, 상기 분기 차단기실 및 컨트롤 박스실에 다단으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의 레일이 구비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수평 모선실에 설치되는 수평 모선 부스바와; 상기 함체의 수직 모선실에 설치되는 수직 모선 부스바와; 내부에 분기 차단기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복수개가 이웃하며 다단으로 설치되는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및 내부에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 및 컨트롤 기기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실에서 상기 함체의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컨트롤 박스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함체는 상기 수직 모선 부스바에 RSTN상의 분기 부스바가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어 상기 분기 차단기실 및 컨트롤 박스실로 인입되어 상기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의 분기 차단기 및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의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도어는 여닫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가 투시되도록 유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는 내부에 상기 분기 차단기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상면과 배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함체의 레일과 결합되는 제 1레일바가 형성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의 정면에 결합되는 제 1핸들과; 상기 제 1핸들의 축에 결합되고, 표면에 사선 형태의 제 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 1스크류와; 상기 제 1스크류에 결합되어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 1케이스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케이스를 상기 함체의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제 1록킹 바; 및 상기 제 1스크류의 제 1가이드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핸들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스크류의 제 1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분기 차단기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 1슬라이딩 바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분기 차단기는 1차측에 클립 방식의 수직 터미널 블록이 연결되어 상기 RSTN상의 분기 부스바와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는 내부에 상기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와 컨트롤 기기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함체의 레일과 결합되는 제 2레일바가 형성되며, 정면에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고, 정면 양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유니트용 도어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정면에 결합되는 제 2핸들과; 상기 제 2핸들의 축에 결합되고, 표면에 사선 형태의 제 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 2스크류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정면 양단에 결합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승하강에 따라 함체에 고정 및 해제되는 제 2록킹 바; 및 상기 제 2스크류의 제 2가이드홈과 연결되어 상기 제 2핸들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스크류의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 2슬라이딩 바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는 1차측에 클립 방식의 수평 터미널 블록이 연결되어 상기 RSTN상의 분기 부스바와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수직 모선 부스바는 상기 함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호 분리되어 클램프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수평 모선 부스바와 수직 모선 부스바는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상기 RSTN상의 분기 부스바는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 유니트 케이스와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케이스 내에 컨트롤 기기 및 분기 차단기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케이스를 컴팩트화시킴으로써 함체에 많은 수의 케이스를 배치하여 함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스 전면에 구비된 핸들에 의해 차단기가 온/오프되고, 핸들을 돌려 오프 상태에서만 유니트가 인출되도록 하여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의 프레임이 상하로 분리되도록 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함체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직 모선 부스바와 수평 모선 부스바를 설치하고, 수직 모선 부스바를 차폐함으로써 모선 보호 및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직 터미널 블록을 연결하고, 컨트롤 박스 내에 분기 차단기의 1차측에 RSTN 상의 부스바와 클립 방식으로 연결되는 수평 터미널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용량 변경 및 차단기 고장시 활선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함체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함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수평 모선 부스바와 수직 모선 부스바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컨트롤 박스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와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의 사이즈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함체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함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수평 모선 부스바와 수직 모선 부스바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중 컨트롤 박스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1)는 함체(10), 수평 모선 부스바(20), 수직 모선 부스바(30),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40) 및 컨트롤 박스 유니트(50)를 포함한다.
먼저, 함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프레임(11)을 형성하되, 상하가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정면에 도어(12)가 결합되며, 내부에 수직 모선실(13a), 수평 모선실(13b), 분기 차단기실(13c), 컨트롤 박스실(13d)이 구비되고, 분기 차단기실(13c) 및 컨트롤 박스실(13d)에 다단으로 플레이트(14)가 구비되고, 플레이트(14)의 상면에 복수의 레일(15)이 구비된다.
또한, 함체(10)는 수직 모선 부스바(30)에 RSTN상의 분기 부스바(60)가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어 분기 차단기실(13c) 및 컨트롤 박스실(13d)로 인입되어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40)의 분기 차단기(ELB) 및 컨트롤 박스 유니트(50)의 컨트롤 분기 차단기(CELB)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RSTN상의 분기 부스바(60)는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된다.
이어서, 함체(10)의 도어(12)는 여닫이 형태로 함체(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가 투시되도록 유리(12a)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 모선 부스바(20)는 함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 모선실(13b)에 설치되고, 수직 모선 부스바(30)는 함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 모선실(13a)에 설치된다. 이때, 수직 모선 부스바(30)는 함체(1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호 분리되어 클램프(3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32는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이다. 또한, 수평 모선 부스바(20), 수직 모선 부스바(30)는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된다.
또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케이스(41)와, 제 1핸들(42)과, 제 1스크류(43)와, 제 1록킹 바(44) 및 제 1슬라이딩 바(45)로 이루어진다.
제 1케이스(41)는 내부에 분기 차단기(ELB)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상면과 배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함체(10)의 레일(15)과 결합되는 제 1레일바(41a)가 형성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복수개가 이웃하며 다단으로 설치된다. 이때, 분기 차단기(ELB)는 1차측에 클립 방식의 수직 터미널 블록(70)이 연결되어 RSTN상의 분기 부스바(60)와 결합된다.
제 1핸들(42)은 제 1케이스(41)의 정면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제 1스크류(43)는 제 1핸들(42)의 축에 결합되고, 표면에 사선 형태의 제 1가이드홈(43a)이 형성된다.
제 1록킹 바(44)는 제 1스크류(43)에 결합되어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면서 제 1케이스(41) 상부로 돌출되어 제 1케이스(41)를 함체(10)의 플레이트(14)에 고정시킨다.
제 1슬라이딩 바(45)는 제 1스크류(43)의 제 1가이드홈(43a)과 연결되어 제 1핸들(42)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스크류(43)의 제 1가이드홈(43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분기 차단기(ELB)의 스위치(SW)를 온오프시킨다.
또, 컨트롤 박스 유니트(5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케이스(51)와, 컨트롤 박스 유니트용 도어(52)와, 제 2핸들(53)과, 제 2스크류(54)와, 제 2록킹 바(55) 및 제 2슬라이딩 바(56)로 이루어진다.
제 2케이스(51)는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CELB)와 컨트롤 기기(C)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함체(10)의 레일(15)과 결합되는 제 2레일바(51a)가 형성되며, 정면에 각종 스위치(51b)가 설치되고, 정면 양측에 손잡이(51c)가 구비되어 다단으로 설치된다. 이때,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CELB)는 1차측에 클립 방식의 수평 터미널 블록(80)이 연결되어 RSTN상의 분기 부스바(60)와 결합된다.
컨트롤 박스 유니트용 도어(52)는 제 2케이스(51)의 정면에 설치된다.
제 2핸들(53)은 제 2케이스(51)의 정면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제 2스크류(54)는 제 2핸들(53)의 축에 결합되고, 표면에 사선 형태의 제 2가이드홈(54a)이 형성된다.
제 2록킹 바(55)는 제 2케이스(51)의 정면 양단에 결합되어 스프링(55a)에 의해 탄성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승하강에 따라 함체(10)에 고정 및 해제된다.
제 2슬라이딩 바(56)는 제 2스크류(54)의 제 2가이드홈(54a)과 연결되어 제 2핸들(53)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2스크류(54)의 제 2가이드홈(54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CELB)의 스위치(SW)를 온오프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저압 배전반의 구성을 첨부된 동작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와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의 사이즈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어느 하나의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4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 1핸들(42)을 오프 방향으로 돌리면 제 1스크류(43)가 함께 회전되면서 제 1록킹 바(44)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제 1스크류(43)가 회전되면서 제 1슬라이딩 바(45)가 제 1스크류(43)의 제 1가이드홈(43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분기 차단기(ELB)의 스위치(SW)를 오프시킨다.
그러면, 관리자는 제 1케이스(41)를 인출시키면 제 1레일바(41a)가 함체(10)의 레일(15)을 따라 인출된다.
그리고, 제 1케이스(41)가 인출되면 분기 차단기(ELB)의 1차측에 설치된 수직 터미널 블록(70)과 RSTN상의 분기 부스바(60)의 결합이 해제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ELB)의 용량을 변경하거나 고장을 수리하는데, 해당 분기 차단기(ELB)만이 인출되고,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활선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컨트롤 박스 유니트(5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 2핸들(53)을 오프 방향으로 돌리면 제 2스크류(54)가 함께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제 2스크류(54)가 회전되면서 제 2슬라이딩 바(56)가 제 2스크류(54)의 제 2가이드홈(54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컨트롤 분기 차단기(CELB)의 스위치(SW)를 온오프시킨다.
그러면, 관리자는 제 2록킹 바(55)를 들어 올려 록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 2케이스(54)의 손잡이(51c)를 잡고 인출시키면 제 2레일바(51a)가 함체(10)의 레일(15)을 따라 인출된다.
그리고, 제 2케이스(51)가 인출되면 컨트롤 분기 차단기(CELB)의 1차측에 설치된 수평 터미널 블록(80)과 RSTN상의 분기 부스바(60)의 결합이 해제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트롤 분기 차단기(CELB)의 용량을 변경하거나 고장을 수리하고 또는 컨트롤 기기(C)의 고장을 수리하는데, 해당 컨트롤 분기 차단기(CELB)만이 인출되고,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활선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와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의 사이즈를 비교하면,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는 가로폭(W)이 600㎜이고, 높이(H)가 2350㎜이며, 세로폭(D)이 600㎜인 데, 본 발명에 따른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1)는 가로폭(W)이 600㎜이고, 높이(H)가 2000㎜이며, 세로폭(D)이 550㎜으로 높이와 세로폭을 대폭 낮출 수 있어 운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 더욱이 함체(10)가 상하가 분리되기 때문에 설치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함체 20 : 수평 모선 부스바
30 : 수직 모선 부스바 40 :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50 : 컨트롤 박스 유니트 60 : RSTN상의 분기 부스바
70 : 수직 터미널 블록 80 : 수평 터미널 블록

Claims (10)

  1.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의해 프레임이 형성되되, 상하로 분리되도록 하고, 정면에 도어가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 모선실, 수직 모선실, 분기 차단기실, 컨트롤 박스실이 구획되고, 상기 분기 차단기실 및 컨트롤 박스실에 다단으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의 레일이 구비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수평 모선실에 설치되는 수평 모선 부스바와;
    상기 함체의 수직 모선실에 설치되는 수직 모선 부스바와;
    내부에 분기 차단기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복수개가 이웃하며 다단으로 설치되는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및
    내부에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 및 컨트롤 기기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실에서 상기 함체의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컨트롤 박스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수직 모선 부스바에 RSTN상의 분기 부스바가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어 상기 분기 차단기실 및 컨트롤 박스실로 인입되어 상기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의 분기 차단기 및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의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여닫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가 투시되도록 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는,
    내부에 상기 분기 차단기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상면과 배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함체의 레일과 결합되는 제 1레일바가 형성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의 정면에 결합되는 제 1핸들과;
    상기 제 1핸들의 축에 결합되고, 표면에 사선 형태의 제 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 1스크류와;
    상기 제 1스크류에 결합되어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 1케이스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케이스를 상기 함체의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제 1록킹 바; 및
    상기 제 1스크류의 제 1가이드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핸들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스크류의 제 1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분기 차단기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 1슬라이딩 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차단기는,
    1차측에 클립 방식의 수직 터미널 블록이 연결되어 상기 RSTN상의 분기 부스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는,
    내부에 상기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와 컨트롤 기기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함체의 레일과 결합되는 제 2레일바가 형성되며, 정면에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고, 정면 양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유니트용 도어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정면에 결합되는 제 2핸들과;
    상기 제 2핸들의 축에 결합되고, 표면에 사선 형태의 제 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 2스크류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정면 양단에 결합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승하강에 따라 함체에 고정 및 해제되는 제 2록킹 바; 및
    상기 제 2스크류의 제 2가이드홈과 연결되어 상기 제 2핸들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스크류의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컨트롤용 분기 차단기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 2슬라이딩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 유니트는,
    1차측에 클립 방식의 수평 터미널 블록이 연결되어 상기 RSTN상의 분기 부스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모선 부스바는,
    상기 함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호 분리되어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모선 부스바와 수직 모선 부스바는,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STN상의 분기 부스바는,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KR1020130105918A 2013-09-04 2013-09-04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Active KR101336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18A KR101336969B1 (ko) 2013-09-04 2013-09-04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18A KR101336969B1 (ko) 2013-09-04 2013-09-04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969B1 true KR101336969B1 (ko) 2013-12-04

Family

ID=4998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918A Active KR101336969B1 (ko) 2013-09-04 2013-09-04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96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64B1 (ko) 2014-05-26 2014-09-17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20160144026A (ko) * 2014-05-29 2016-12-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모선 구조 및 이것을 이용한 배전반
CN107482520A (zh) * 2017-08-24 2017-12-15 北京华电瑞通电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抽屉柜断路器的分合闸机构
KR101844791B1 (ko) 2016-10-17 2018-04-03 (주)은성엔지니어링 회전식 가압 접촉 방식을 채택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CN112271087A (zh) * 2020-09-24 2021-01-26 四川汉舟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开关侧面操作的分合闸机构
EP4184733A1 (en) * 2021-09-23 2023-05-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control center bus bars
CN117748322A (zh) * 2023-11-29 2024-03-22 江苏国控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多层抽拉式电气控制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76B1 (ko) * 1979-10-08 1983-02-17 죠지. 메클린 수평 버스바아(bus bar)를 가진 회로차단기
KR20040100029A (ko) * 2003-05-21 2004-12-02 (주)팀넷 전동기 제어반
KR100500865B1 (ko) 2001-10-25 2005-07-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컨트롤 센터
KR101251604B1 (ko) * 2013-02-12 2013-04-08 (주)두연테크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76B1 (ko) * 1979-10-08 1983-02-17 죠지. 메클린 수평 버스바아(bus bar)를 가진 회로차단기
KR100500865B1 (ko) 2001-10-25 2005-07-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컨트롤 센터
KR20040100029A (ko) * 2003-05-21 2004-12-02 (주)팀넷 전동기 제어반
KR101251604B1 (ko) * 2013-02-12 2013-04-08 (주)두연테크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64B1 (ko) 2014-05-26 2014-09-17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20160144026A (ko) * 2014-05-29 2016-12-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모선 구조 및 이것을 이용한 배전반
KR101844791B1 (ko) 2016-10-17 2018-04-03 (주)은성엔지니어링 회전식 가압 접촉 방식을 채택한 모터 컨트롤 센터
CN107482520B (zh) * 2017-08-24 2023-08-25 北京华电瑞通电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抽屉柜断路器的分合闸机构
CN107482520A (zh) * 2017-08-24 2017-12-15 北京华电瑞通电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抽屉柜断路器的分合闸机构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CN112271087A (zh) * 2020-09-24 2021-01-26 四川汉舟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开关侧面操作的分合闸机构
CN112271087B (zh) * 2020-09-24 2025-05-13 四川汉舟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开关侧面操作的分合闸机构
EP4184733A1 (en) * 2021-09-23 2023-05-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control center bus bars
US12348110B2 (en) 2021-09-23 2025-07-0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control center bus bars
CN117748322A (zh) * 2023-11-29 2024-03-22 江苏国控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多层抽拉式电气控制柜
CN117748322B (zh) * 2023-11-29 2024-05-10 江苏国控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多层抽拉式电气控制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969B1 (ko)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RU23824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лавного пуска и остановки трехфазных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й (софтстартер)
KR101357285B1 (ko)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JP4727736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336968B1 (ko) 다적재 멀티 배전반
CN106992437B (zh) 配电柜
JP5484638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3346776A (en) Bus bar supporting and insulating assembly having back-to-back bus bar receiving channels
EP3525303B1 (en) Electrical unit for a motor control center with ingress protection
US4199655A (en) Circuit breaker with insulated horizontal bus bars
EP3163695B1 (en) Fixed vertical distribution bus bar
KR100917668B1 (ko)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
US3858092A (en) Switchboard with improved busbar mounting and load strap feed-through provisions
US2424345A (en) Switchgear
RU2285319C1 (ru)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вы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шкафа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JP2018191404A (ja) 電力用盤
US7224577B2 (en) Mounting plate system
US3130353A (en) Electric power switchgear
KR100934276B1 (ko) 전력장치 배전반용 배전함
RU21254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JPH1118216A (ja) 絶縁配線配電盤及び裏配線用端子台
CN101069330B (zh) 配电板的安装系统和装配该配电板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80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