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949B1 - 모터제어설비 - Google Patents
모터제어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5949B1 KR101925949B1 KR1020180065409A KR20180065409A KR101925949B1 KR 101925949 B1 KR101925949 B1 KR 101925949B1 KR 1020180065409 A KR1020180065409 A KR 1020180065409A KR 20180065409 A KR20180065409 A KR 20180065409A KR 101925949 B1 KR101925949 B1 KR 101925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apacity
- pair
- small
- insertion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1/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P1/00 - H02P5/00, H02P7/00 or H02P21/00 - H02P2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터제어설비에 의하면, 소용량, 중용량 및 대용량 유니트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정격 용량을 지닌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제어설비에 의하면, 소용량 및 중용량 유니트가 각각 고정장치와 인출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소용량 및 중용량 단위유니트가 인출장치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제어설비에 의하면, 소용량 단위유니트와 중용량 단위유니트를 용이하게 조립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소용량 단위유니트와 중용량 단위유니트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모터제어설비의 상세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모터제어설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소용량 유니트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나타낸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고정판에 수직구획판이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4에 나타낸 한 쌍의 인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한 쌍의 인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인출장치의 인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중용량 유니트의 정면도이다.
1200 : 중용량 유니트 1300 : 대용량 유니트
1400 : 메인유니트 1500 : 전원공급라인
Claims (15)
- 모터를 제어하는 설비에 있어서,
모터를 제어하는 소용량 유니트;
상기 소용량 유니트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용량 유니트가 제어하는 모터보다 용량(Capacity)이 큰 모터를 제어하는 중용량 유니트;
상기 중용량 유니트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중용량 유니트가 제어하는 모터보다 용량이 큰 모터를 제어하는 대용량 유니트;
상기 소용량, 중용량 및 대용량 유니트를 제어하는 메인유니트; 및
상기 소용량, 중용량, 대용량 유니트 및 메인유니트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소용량, 중용량, 대용량 유니트 및 메인유니트로 전달하는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소용량 유니트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의 상측에서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모터를 제어하는 한 쌍의 소용량 단위유니트와,
상기 한 쌍의 소용량 단위유니트와 상기 고정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소용량 단위유니트를 각각 상기 고정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인출시키는 한 쌍의 인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좌우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부절곡편과,
상기 한 쌍의 측부절곡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고정판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직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구획판은, 상기 고정판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상기 한 쌍의 측부절곡편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중간절곡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에 대해 상기 인출장치가 인출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상기 고정장치에 대해 상기 인출장치가 인입되는 측을 후방으로 하며,
상기 고정판은, 전방 측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측 부위에 전방삽입홈이 형성되고, 후방 측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측 부위에 후방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전방돌출편 및 제2전방돌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후방돌출편 및 제2후방돌출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방돌출편은,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전방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전방연장부재와,
상기 제1전방연장부재의 하단부 후방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방 측의 면이 상기 전방삽입홈의 내벽에 접하도록 상기 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전방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방돌출편은,
상기 제1전방연장부재에 부착되는 제2전방부착부재와,
상기 제2전방부착부재의 하단부 전방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방 측의 면에 상기 전방삽입홈의 내벽에 접하도록 상기 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전방삽입부재를 포함하는 모터제어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니트는, 상기 소용량 및 중용량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1메인유니트와, 상기 대용량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2메인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소용량 유니트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메인유니트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대용량 유니트는, 상기 제2메인유니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용량 유니트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소용량 유니트와 상기 대용량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모터제어설비.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장치는,
상기 소용량 단위유니트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인출판과,
상기 인출판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상기 고정판과 상기 측부절곡편의 사이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중간절곡편의 사이에 개재되는 한 쌍의 인출베어링과,
상기 인출판의 좌측 및 우측의 상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상기 측부절곡편의 상기 중간절곡편 측 단부 및 상기 중간절곡편의 상기 측부절곡편 측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베어링을 포함하는 모터제어설비.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장치는,
상기 인출판의 전방 상단부에 설치되는 전방절곡편과,
상기 전방절곡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너트링과,
단부가 상기 너트링과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인출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회전기어를 더 포함하는 모터제어설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은,
상기 제1메인유니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수평부스바와,
상기 제1수평부스바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메인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수직부스바와,
상기 제1수평부스바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소용량 단위유니트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수직부스바와,
상기 제1수직부스바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소용량 단위유니트 중 다른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수직부스바와,
상기 제1수직부스바 및 상기 제2수직부스바를 서로 연결하는 제2수평부스바를 포함하는 모터제어설비. - 모터를 제어하는 설비에 있어서,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의 상측에서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모터를 제어하는 한 쌍의 단위유니트와,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한 쌍의 단위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단위유니트를 각각 상기 고정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인출시키는 인출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
상기 유니트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니트를 제어하는 메인유니트; 및
상기 유니트 및 상기 메인유니트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유니트 및 상기 메인유니트로 전달하는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장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좌우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부절곡편과,
상기 한 쌍의 측부절곡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고정판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직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구획판은, 상기 고정판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상기 한 쌍의 측부절곡편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중간절곡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에 대해 상기 인출장치가 인출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상기 고정장치에 대해 상기 인출장치가 인입되는 측을 후방으로 하며,
상기 고정판은, 전방 측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측 부위에 전방삽입홈이 형성되고, 후방 측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측 부위에 후방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전방돌출편 및 제2전방돌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후방돌출편 및 제2후방돌출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방돌출편은,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단부 전방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전방연장부재와,
상기 제1전방연장부재의 하단부 후방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방 측의 면이 상기 전방삽입홈의 내벽에 접하도록 상기 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전방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방돌출편은,
상기 제1전방연장부재에 부착되는 제2전방부착부재와,
상기 제2전방부착부재의 하단부 전방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방 측의 면에 상기 전방삽입홈의 내벽에 접하도록 상기 전방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전방삽입부재를 포함하는 모터제어설비.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409A KR101925949B1 (ko) | 2018-06-07 | 2018-06-07 | 모터제어설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409A KR101925949B1 (ko) | 2018-06-07 | 2018-06-07 | 모터제어설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5949B1 true KR101925949B1 (ko) | 2018-12-06 |
Family
ID=6467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5409A Active KR101925949B1 (ko) | 2018-06-07 | 2018-06-07 | 모터제어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594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2621B1 (ko) | 2019-04-08 | 2019-11-08 | 주식회사 월드인텍 | 모듈형 mcc |
KR102042622B1 (ko) | 2019-04-08 | 2019-11-08 | 주식회사 월드인텍 |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
CN114006279A (zh) * | 2021-11-23 | 2022-02-01 | 扬州德云电气设备集团有限公司 | 一种能够监测电路故障的开关柜 |
KR20240099850A (ko) * | 2022-12-22 | 2024-07-0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모터 제어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5634B1 (ko) | 2003-05-21 | 2006-03-03 | (주)팀넷 | 전동기 제어반 |
KR100663673B1 (ko) * | 2006-06-09 | 2007-01-09 | (주) 에스아이이 | 전동기 제어반 |
KR101440264B1 (ko) | 2014-05-26 | 2014-09-17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101586022B1 (ko) * | 2015-03-26 | 2016-01-15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2018
- 2018-06-07 KR KR1020180065409A patent/KR10192594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5634B1 (ko) | 2003-05-21 | 2006-03-03 | (주)팀넷 | 전동기 제어반 |
KR100663673B1 (ko) * | 2006-06-09 | 2007-01-09 | (주) 에스아이이 | 전동기 제어반 |
KR101440264B1 (ko) | 2014-05-26 | 2014-09-17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101586022B1 (ko) * | 2015-03-26 | 2016-01-15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2621B1 (ko) | 2019-04-08 | 2019-11-08 | 주식회사 월드인텍 | 모듈형 mcc |
KR102042622B1 (ko) | 2019-04-08 | 2019-11-08 | 주식회사 월드인텍 |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
CN114006279A (zh) * | 2021-11-23 | 2022-02-01 | 扬州德云电气设备集团有限公司 | 一种能够监测电路故障的开关柜 |
KR20240099850A (ko) * | 2022-12-22 | 2024-07-0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모터 제어장치 |
KR102820884B1 (ko) * | 2022-12-22 | 2025-06-16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모터 제어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5949B1 (ko) | 모터제어설비 | |
JP2009017774A (ja) | 三相交流電動機のソフトスタートまたはソフトストップ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いわゆるソフトスタータ | |
EP3509407B1 (en) | Rack pdu bracket with rotation function | |
KR101357285B1 (ko) |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 |
KR101336969B1 (ko) |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 |
WO2016144473A1 (en) | Motor control center unit with retractable stab assembly and methods of assemblying the same | |
CN112428845A (zh) | 灵活的供电单元 | |
RU2321122C1 (ru) | Низковольтное компле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управления | |
JP4923072B2 (ja) | 転流式直流遮断器 | |
US7969750B2 (en) | Electrical enclosure and support assembly therefor | |
KR100641031B1 (ko) | 전력장치용 배전반 | |
CN115207783A (zh) | 用于电气连接柜的功能模块和包括其的电气连接柜 | |
CN114765345A (zh) | 用于减少电弧闪光事件能量的组件、设备机架及方法 | |
US9263860B2 (en) |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 |
US20150162727A1 (en) | Withdrawable control compartment for switchgear | |
KR100555634B1 (ko) | 전동기 제어반 | |
CN215871154U (zh) | 一种变频控制单元 | |
CN215870215U (zh) | 一种模块化装配的电机变频控制柜 | |
JP4025065B2 (ja) | 配電盤用開閉器ユニット | |
JP4852109B2 (ja) | スイッチギヤ | |
JPH043522Y2 (ko) | ||
CN220273069U (zh) | 一种控制柜组件 | |
CA2216638A1 (en) | Low-voltage switch system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 |
CA2263899A1 (en) | Center with pivo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 |
EP3624281A1 (en) | Integrated modular system for withdrawable switchge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