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6926B1 - 모터 제어반 - Google Patents

모터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926B1
KR100896926B1 KR1020080031255A KR20080031255A KR100896926B1 KR 100896926 B1 KR100896926 B1 KR 100896926B1 KR 1020080031255 A KR1020080031255 A KR 1020080031255A KR 20080031255 A KR20080031255 A KR 20080031255A KR 100896926 B1 KR100896926 B1 KR 10089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us bar
horizontal
control unit
motor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to KR102008003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9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ㆍ수직 모선실을 각각 구비한 모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 제어반에서 각각의 모터로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다 단으로 설치된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 내부에는 모터 제어를 위한 각종 기기가 구성되어 각각의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면 단위의 수평 모선에서 병렬로 수직 분기 된 수직 모선을 외부로 노출되지않고 보호하는 것은 물론 수직 모선과 제어 유닛의 커넥터 간에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모선 보호 커버가 분리 및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모터 제어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수평 및 수직 모선이 후면 도어를 개폐시 노출되지않도록 상부에는 수평 모선이 내부에 위치하는 관 형상의 수평 모선실과;
상기 수평 모선실의 하부에는 수평 모선의 끝단이 수직방향으로 분기 된 수직 모선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ㆍ하로 통공된 관 형상 수직 모선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터, 모터 제어반, 수평 모선실, 수직 모선실, 전선지지대

Description

모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모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 제어반에서 각각의 모터로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다 단으로 설치된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 내부에는 모터 제어를 위한 각종 기기가 구성되어 각각의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면 단위의 수평 모선에서 병렬로 수직 분기 된 수직 모선을 외부로 노출하지않고 보호하는 것은 물론 수직 모선과 제어 유닛의 커넥터 간에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직 모선실에 결합하는 모선 보호 커버에 투시공이 형성된 수평 및 수직 모선실을 각각 구비한 모터 제어반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제어반은 기기 내측에 각각의 구동용 모터를 제어 및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적 기능 수행에 이상이 없도록 다 단으로 설치되는 제어 유닛은 현장운전조건에 따라 안전성, 유지보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장치에 의해 각 제어 유닛을 인출 및 인입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 유닛의 내부에는 모터 제어를 위한 각종 기기가 구성되고, 각각의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평에서 분기 된 수직 모선이 구성되며, 2면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면이 열반을 하기위해서는 각 단위 면에 수직으로 수직 모선을 병렬로 결속하게 된다.
이때 각 단위 면의 수직 모선을 결속하기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구성된 수평 모선에서 분기시켜 수직방향으로 각 단위 면의 수직 모선 간에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수평, 수직 모선이 하우징 내에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 제어반의 하우징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의 도어를 형성하되, 전면에 형성된 도어는 다 단으로 형성된 제어 유닛을 각각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가 각각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된 도어는 상ㆍ하로 양분되어 배선작업 및 유지보수 관리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모터 제어반에 설치된 수평 및 수직 모선은 하우징 내의 다 단으로 설치되는 제어 유닛의 후면에 다수의 수직 모선이 병렬로 설치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되면서 결합 및 해지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평, 수직 모선은 하우징 내에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관리자가 모터 제어반의 후면 에 형성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배선작업 및 유지보수 관리시 감전 위험에 노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모터 제어반에 설치된 수직 모선은 하우징 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제어 유닛 후면의 공간활용이 떨어지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배선이 단정하게 정리되지않고 흐트러져 있어 유지관리에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모터 제어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수평 및 수직 모선의 후면에 형성된 도어를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지않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및 수직 모선실을 각각 설치하고 모선 보호 커버를 탈착하여 개폐한다.
상기 모선 보호 커버는 수직 모선과 제어 유닛의 커넥터 간에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구조와 하우징 내부에 어지럽게 흐트러진 배선을 한쪽으로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전선지지대를 설치한 모터 제어반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 제어반에 설치된 수평 및 수직 모선이 외부로 노출되지않도록 수평, 수직 모선실을 각각 설치하여 관리자가 유지보수 관리시 수직 모선과 접촉되어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모선실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선 보호 커버에 투시창을 구비하여 수직 모선과 제어유닛 커넥터 간에 접속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전선지지대를 설치하여 흐트러진 배선을 한쪽으로 몰아서 단정하게 정리하고, 수직 모선을 하우징 내의 중앙에 설치하지않고 한쪽으로 치우치게 설치하여 내부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사시 도면으로, 모터 제어반(1)은 전면에 다 단으로 적층된 제어 유닛(28)을 인출 및 인입 할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된 전면 도어(7)에는 제어 유닛(28) 내부에 모터 제어를 위해 구비된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이 형성되고, 도 1b, 본 발명 모터 제어반(1)을 도시해 보인 사시 도면으로, 모터 제어반(8)의 후면에 상ㆍ하로 양분된 후면 도어(8)를 회동 개폐하여 각각의 구동용 모터를 제어 및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적 기능 수행에 이상이 없도록 유지관리 하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의 수평 및 수직 모선실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의 수평 및 수직 모선실에서 모선 보호 커버를 분리해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 모터 제어반(1)은 전면에 전면 도어(7)와 후면에 후면 도어(8)가 형성되고, 하우징(2) 내에는 각각의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 단으로 설치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제어 유닛(28)과, 상기 제어 유닛(2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한 수평 모선(5)에서 수직방향으로 분기 된 다수의 수직 모선(6)이 병렬로 결속되어 수직 모선(6)과 제어 유닛(28)의 커넥터 간에 접속되도록 수평 및 수직 모선(5, 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제어반(1)의 후면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수평 및 수직 모선(5, 6)이 위험하게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는 수평 모선(5)이 내부에 위치하는 관 형상의 수평 모선실(3)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 모선실(3)의 일측 하부에는 수평 모선(5)에서 수직방향으로 분기 된 수직 모선(6)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ㆍ하로 통공된 관 형상의 수직 모선실(4)이 구비되어 제어 유닛(28)의 구획 고정판(14)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모선(5)은 하우징(2) 내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평 모선(5)의 하부가 하향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3)를 설치하여 수평 모선실(3)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 모선실(3)은 하우징(2) 내의 상부와 분리 밀폐하도록 하우징(2)의 내주면에 수평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3)의 가장자리를 수평 하게 피스 고정하여 하부를 격리한다.
또한, 수평 모선실(3)에 설치된 수평 모선(5)에서 수직방향으로 분기 되어 하우징(2)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각 단위 면상을 갖는 수직 모선(6)이 수직 모선실(4)로 삽입된다.
상기 수직 모선실(4)을 구성하기 위해 한 쌍의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를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 모선(6)의 길이와 동일한 상태에서 마주보게 설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에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 단턱(27)에 체결공(23)과 장공(24)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전면으로 수직 절곡된 수직 단턱(27)에는 돌기 고정홈(16)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한 쌍의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 사이에 수직 모선(6)이 위치하도록 이격된 상태에서 전면에 형성된 돌기 고정홈(16)에 제어 유닛(28)을 구획하는 구획 고정판(14)의 돌기부(15)가 삽입되어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를 고정하도록 지지하고,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의 후면에 위치한 수직 단턱(27)에는 동일한 폭을 갖는 모선 보호 커버(20)가 밀착되어 피스 체결한다.
상기 모선 보호 커버(20)는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의 후면에 제어 유닛(28)과 접속되는 수직 모선(6)의 후면을 개폐하기 위하여 양단에 체결공(23)과 장공(24)이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에 피스를 체결한다.
또한, 모선 보호 커버(20)는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하나의 판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러면 다 단으로 적층된 제어 유닛(28)의 일부만 유지보수하여도 모선 보호 커버(20) 전체를 분리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모선 보호 커버(20)는 하우징(2) 내에 다 단으로 적층된 제어 유닛(28)과 대응하게 모선 보호 커버(20)가 절단된 크기를 가지므로 해당 제어 유닛(28)의 모선 보호 커버(20)를 분리 결합할 수 있으며, 모선 보호 커버(20)에는 밀폐된 수직 모선실(4) 내부에 제어 유닛(28)의 커넥터와 수직 모선(6)의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공(21)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모선 보호 커버(20)의 상ㆍ하부에는 전방으로 수직 절곡된 지지 단턱(25)을 일체로 형성하여 적층되는 모선 보호 커버(20)를 지지하여 모선 보호 커버(20)와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의 후면에 수직 절곡된 수직 단턱(27)에 체결공(23)을 일치시켜 피스 로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된 배선을 수직 모선실(4) 주변으로 모아서 단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전선지지대(17)가 설치되고, 전선지지대(17)의 일측은 수직 모선실(4)의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와 모선 보호 커버(20)의 장공(24)으로 끼움 고정되고, 타측은 후면에 위치한 기본 프레임(10c)에 피스로 고정된다.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전선지지대(17)를 통해 배선을 단정하게 단속하고, 모선 보호 커버(20)를 분리할 경우에는 전선지지대(17)와 후면에 위치한 우측 기본 프레임(10c)에 고정된 피스를 제거하고, 반대방향의 장공(24)에 끼워진 부분을 빼내고나서 모선 보호 커버(20)에 체결된 피스를 제거하여 분리한다.
도 4는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면으로, 모터 제어반의 하우징(2)에 전ㆍ후면이 개폐된 상태를 갖도록 전ㆍ후ㆍ좌ㆍ우 기본 프레임(10, 10a, 10b, 10c)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높이가 일정치않게 다 단으로 구분된 제어 유닛(28)과, 좌측 후면에 각 단위면의 수직 모선(6)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획 고정판(14)과 수직 모선(6)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수직 모선 절연물(22)이 설치되어 지지형성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면으로, 모터 제어반을 구성하는 하우징(2)의 천정과 바닥면에 전선 입출구(11, 11')가 개구되는 구조로, 하우징(2) 전면에 전ㆍ후 기본 프레임(10, 10a)과 후면 좌ㆍ우 기본 프레임(10b, 10c)에 의해 사각으로 구성되어 전면에 형성된 전면 기본 프레임(10)의 일측에는 "A"와 같이 힌지(9)에 의해 회동하는 전면 도어(7)를 각각 구성한다.
또한, 하우징(2) 내의 좌ㆍ우 중간지점에는 한 쌍의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수평으로는 제어 유닛(28)을 구획하는 구획 고정판(14)이 설치되어 지지결합한다.
상기 구획 고정판(14)은 "B"에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에 수직 단부의 인접 면에 일정간격으로 돌기 고정홈(16)을 형성하여 구획 고정판(14)의 끝부분에 형성된 돌기부(15)가 삽입된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평면도면으로, 모터 제어반(1) 내에 다단의 제어 유닛(28)의 단면 구조에서 전면의 전ㆍ후 기본 프레임(10, 10a)으로부터 모터 제어반(1)의 전면에는 다단의 제어 유닛(28) 수와 같이 동일하게 전면 도어(7)와 후면에는 좌ㆍ우 기본 프레임(10b, 10c)으로부터 상하로 후면 도어(8)가 형성된다.
다단의 제어 유닛(28)을 수용하면 구획하는 구획 고정판(14)에는 제어 유닛(28)을 인출 및 인입을 유도하는 좌ㆍ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26)이 설치되고, 하우징(2) 내부에 좌ㆍ우 중간지점에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와 모선 보호 커버(20)로 이루어진 내부에 수직 모선(6)을 내설하면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는 좌ㆍ우에 설치되어 하우징(2) 내부의 전ㆍ후면을 구획하는 프레임으로서 하우징(2) 내의 각종 기기 취부용 프레임의 지지기둥 역할을 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러면 제어 유닛(28)에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 3개의 수직 모선(6)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면 수직 모선 절연물(22)에 의해 지지되고, 다단의 제어 유닛(28)에 전원을 연결을 위한 제1 커넥터(18)와 수직 모선(6)에 결합하도록 하우징(2) 내의 중앙 좌측면에 형성되고, 다단의 제어 유닛(28)으로부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커넥터(19)는 기동일 때에는 2개의 커넥터(18, 19 )가 직 기동시는 1개의 제2 커넥터(19)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제어 유닛(28)의 커넥터에 인출 및 인입시 좌ㆍ우에 힘의 균형이 맞도록 좌측에는 제1 커넥터(18)와 우측에는 제2 커넥터(19)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의 후면의 수직 절곡된 날개인 수직 단턱(27)에는 수직 모선(6)을 보호하기 위해 제1 커넥터(18)의 결합부위에 결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가로로 장방형의 투시공(21)을 형성시킴으로써 사후관리에 편리성과 모터 제어반(1)을 운전제어하는 관리자의 전기적 감전사고를 예방한다.
한편 모터 제어반(1)으로 전선을 인출 및 인입하기 위한 하우징(2)의 상ㆍ하부에는 전선 인출구(11, 11')의 개구부 위치에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와 후면 우측 기본프레임(10c)에 지지하는 다수개의 전선지지대(17)를 형성시켜 상ㆍ하로 인ㆍ출입 되는 전선을 나란히 정리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미 도시 하였으나 제어 유닛(28)을 인ㆍ출입하는 과정에서 제1, 2, 3 커넥터가 설치될 경우 결합(인입)및 해지(인출)시 큰 힘이 소요되기 때문에 본 발명 모터 제어반(1)은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라쳇 구조에 의해 작은 힘을 여러 번 가하여 인ㆍ출입을 보다 안전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의 수평 및 수직 모선실을 확대해 보인 측면도면으로, 모터 제어반(1)의 하우징(2) 상부에는 수평 모선실(3)과 하부에는 수직 모선실(4)이 구비되어 수평 모선실(3)에 내설된 수평 모선(5)이 수직으로 분기 된 수직 모선(6)이 수직 모선실(4)로 내설된 구조이다.
도 1a, b는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의 수평 및 수직 모선실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의 수평 및 수직 모선실에서 모선 보호 커버를 분리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을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모터 제어반의 수평 및 수직 모선실을 확대해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모터 제어반 2: 하우징
3: 수평 모선실 4: 수직 모선실
5: 수평 모선 6: 수직 모선
7: 전면 도어 8: 후면 도어
9: 힌지
10, 10a, 10b, 10c: 전ㆍ후ㆍ좌ㆍ우 기본 프레임
11, 11': 전선 입출구 12: 수직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
13: 수평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 14: 구획 고정판
15: 돌기부 16: 돌기 고정홈
17: 전선지지대 18: 제1 커넥터
19: 제2 커넥터 20: 모선 보호 커버
21: 투시공 22: 수직 모선 절연물
23: 체결공 24: 장공
25: 지지 단턱 26: 가이드 레일

Claims (8)

  1. 전면에 전면 도어(7)와 후면에 후면 도어(8)가 형성되고, 하우징(2) 내에는 각각의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 단으로 설치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제어 유닛(28)과, 상기 제어 유닛(2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한 수평 모선(5)에서 수직방향으로 분기 된 다수의 수직 모선(6)이 병렬로 결속되어 수직 모선(6)과 제어 유닛(28)의 커넥터 간에 접속되도록 수평과 수직 모선(5, 6)이 설치된 모터 제어반(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내에 설치된 수평과 수직 모선(5, 6)이 전·후면 도어(7)(8)를 개폐시 노출되지않도록 상부에는 수평 모선(5)이 내부에 수평 하게 위치하는 관 형상의 수평 모선실(3)과;
    수평 모선실(3)의 하부에는 수평 모선(5)에서 수직방향으로 분기 된 수직 모선(6)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ㆍ하로 통공된 관 형상 수직 모선실(4)이 구비되어 제어 유닛(28)의 구획 고정판(14)에 체결하고;
    상기 수직 모선실(4)은 하우징(2)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직 모선(6)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에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 단턱(27)에 체결공(23)과 장공(24)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마주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와;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의 후면에는 제어 유닛(28)과 접속되는 수직 모선(6)의 후면을 개폐하기 위하여 양단에 체결공(23)과 장공(24)이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2) 사이를 피스 체결하는 모선 보호 커버(20)와;
    모선 보호 커버(20)는 하우징(2) 내에 다 단으로 적층된 제어 유닛(28)과 대응하게 모선 보호 커버(20)가 절단되어 각각 분리 결합하며, 제어 유닛(28)의 커넥터와 수직 모선(6)의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공(21)을 형성하고;
    그 상ㆍ하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된 지지 단턱(25)을 일체로 형성하여 적층되는 다른 모선 보호 커버(20)를 지지하도록 함과;
    상기 수직 모선실(4)의 후면에는 배선을 단정하게 단속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측은 수직 모선실(4)에 끼움 고정되고, 타측은 후면 우측에 위치한 기본 프레임(10c)에 고정되는 다수의 전선 지지대(17)를 일정간격으로 구성하여 된 모터 제어반.
  2. 제 1항에 있어서,
    수평 모선실(3)은 하우징(2) 내의 상부와 분리 및 결합하도록 하우징(2)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수평 하게 부착 고정되는 수평 내부 중앙 프레임 판체(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모선실(4)의 배면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어 유닛(28)의 구획 고정판(14)에 형성된 돌기부(15)가 삽입할 수 있도록 대응하게 돌기 고정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모선(6)과 수직 모선실(4)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반.
KR1020080031255A 2008-04-03 2008-04-03 모터 제어반 Expired - Fee Related KR10089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55A KR100896926B1 (ko) 2008-04-03 2008-04-03 모터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55A KR100896926B1 (ko) 2008-04-03 2008-04-03 모터 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926B1 true KR100896926B1 (ko) 2009-05-14

Family

ID=4086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2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6926B1 (ko) 2008-04-03 2008-04-03 모터 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92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50B1 (ko) * 2009-07-02 2010-04-05 (주)로하스에스지 인출형 전동기 제어반, 인출형 저압 폐쇄 배전반 및 제어유닛
KR101336968B1 (ko)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다적재 멀티 배전반
KR200478916Y1 (ko) * 2015-04-03 2015-12-01 윤여관 보호 케이스를 구비한 mcc
KR101665018B1 (ko) * 2016-03-17 2016-10-12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CN109494573A (zh) * 2017-09-11 2019-03-19 Abb股份公司 低压配电盘的柜体中的隔室分隔和母线支撑装置
CN109616895A (zh) * 2018-12-25 2019-04-12 江苏新汇源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解安装的高压开关柜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CN115377829A (zh) * 2022-09-21 2022-11-22 郭玉鹏 一种具有线缆梳理功能的电气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322A (ja) * 1996-06-03 1997-12-12 Yaskawa Electric Corp 垂直母線の取付け方法
KR20060073182A (ko) * 2004-12-24 2006-06-28 (주)제일피앤피 안전커버가 구비된 분배전반
KR200429128Y1 (ko) 2006-08-08 2006-10-18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모선 열화성 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밀 유지용 배전반
KR100759526B1 (ko) 2007-04-26 2007-09-18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전동기 제어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322A (ja) * 1996-06-03 1997-12-12 Yaskawa Electric Corp 垂直母線の取付け方法
KR20060073182A (ko) * 2004-12-24 2006-06-28 (주)제일피앤피 안전커버가 구비된 분배전반
KR200429128Y1 (ko) 2006-08-08 2006-10-18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모선 열화성 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밀 유지용 배전반
KR100759526B1 (ko) 2007-04-26 2007-09-18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전동기 제어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50B1 (ko) * 2009-07-02 2010-04-05 (주)로하스에스지 인출형 전동기 제어반, 인출형 저압 폐쇄 배전반 및 제어유닛
KR101336968B1 (ko)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다적재 멀티 배전반
KR200478916Y1 (ko) * 2015-04-03 2015-12-01 윤여관 보호 케이스를 구비한 mcc
KR101665018B1 (ko) * 2016-03-17 2016-10-12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CN109494573A (zh) * 2017-09-11 2019-03-19 Abb股份公司 低压配电盘的柜体中的隔室分隔和母线支撑装置
CN109494573B (zh) * 2017-09-11 2022-02-01 Abb股份公司 低压配电盘的柜体中的隔室分隔和母线支撑装置
CN109616895A (zh) * 2018-12-25 2019-04-12 江苏新汇源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解安装的高压开关柜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CN115377829A (zh) * 2022-09-21 2022-11-22 郭玉鹏 一种具有线缆梳理功能的电气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926B1 (ko) 모터 제어반
AU2010254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and removal of fans while in operation and without the need for tools
JP5675240B2 (ja) 電子装置を保持する取付フレーム
US5574251A (en) Electrical and electronic cabinet systems
ES2362147T3 (es) Disposición de armario de distribución.
CN104051962B (zh) 具有改进的机械布置的电柜
KR101799542B1 (ko)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장치용 랙 프레임
US20090179116A1 (en) Cable management side bracket
JP4253632B2 (ja) 電気接続箱
KR20200005766A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커튼월
JP2007201332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ケーブル保持部材
CN110247311B (zh) 一种预制舱
KR101242337B1 (ko)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EA029142B1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изготовленная адаптируемая слоистая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шин и способ адаптации длины указанной системы сборных шин
KR101586709B1 (ko) 조명기구 고정용 레이스 웨이
JP6349145B2 (ja) ラック列給電システム
KR20090128076A (ko) 단자함
JP2008141909A (ja) 分岐ユニット及びバスダクトシステム
CN210007330U (zh) 一种新型集成式封闭母线系统
JP2015005657A (ja) 機器ユニット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5629175B2 (ja) 分離可能なポスト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ラック
JP5562213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JP2003152364A (ja) 電子機器収容筐体
CN202172130U (zh) 一种电气箱体及其端子架
JP2021106478A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