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2621B1 -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 Google Patents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621B1
KR102042621B1 KR1020190040841A KR20190040841A KR102042621B1 KR 102042621 B1 KR102042621 B1 KR 102042621B1 KR 1020190040841 A KR1020190040841 A KR 1020190040841A KR 20190040841 A KR20190040841 A KR 20190040841A KR 102042621 B1 KR102042621 B1 KR 10204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guide
horizontal
bracket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새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인텍
Priority to KR102019004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2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이 용이한 모듈형 MCC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직부스바와 수평부스바가 내장된 캐비닛,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는 제1보호커버,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을 보호하고,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보호커버, 상기 수평부스바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수평부스바에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접속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모듈형 MCC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MCC that is easy to expan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having a vertical booth bar and a horizontal booth bar installed therein, a first protective cover protecting the front, both sides, and the top and bottom sides of the vertical booth bar, and protecting the rear of the vertical busbar, and a first protective cover of another cabinet. A second protective cover formed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ective cover, and fix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us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us bar of the other cabinet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interference into which the horizontal bus bar of the other cabinet is fitted; It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n close contact, and when the horizontal boot bar of the other cabinet is fitted, the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open to give elasticity to return to the original to the horizontal boot bar to the horizontal boot bar A modular MCC comprising a spring to be connected is disclosed.

Description

모듈형 MCC{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Modular MCC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확장이 용이한 모듈형 MCC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함(cubicle)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한층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부스바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도 증설 작업이 용이하면서 작업자가 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형 모터 콘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MCC that is easy to expand, and more particularly, nirvana work of the cubes and connection work between busbars can be made more easily and quickly, and a live state in which electricity flows in the busbar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motor control center that can be easily expanded and prevents an electric shock by the operato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usbar.

모터 컨트롤 센터(Motor Control Center)는 플랜트, 공장, 빌딩, 병원, 공동주택 등 각종 산업설비에 적용하여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개폐 및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 등과 같은 각 부하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제어 기능 및 역할을 한다.The Motor Control Center is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plants, factories, buildings, hospitals, and multi-unit housings to open and close the motors and related load devices, and to protect the low voltage electricity supplied from transformers. It plays various control functions and functions such as monitoring and blocking distribution and overcurrent flow to each load.

이러한 모터 컨트롤 센터는 유지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압강하 및 전류 트랜스포머, 개폐기, 릴레이, 분기차단기,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퓨즈, 타이머 등과 같은 각종 제어기기를 한데 조합한 여러 개의 부하용 MCC 유닛(unit)을 하나의 외함(캐비닛) 내에 다층으로 구획하여 집합하고, 그 각각의 유닛을 인입 및 인출 등 위치 조작이 가능한 서랍식 구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These motor control centers combine multiple loads with a combination of controllers such as voltage drop and current transformers, switchgear, relays, branch breakers,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EOCR), fuses, timers, etc.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inspection. The MCC unit is divided into multiple layers in one enclosure (cabinet), and a drawer type structure capable of positioning operations such as pulling in and taking out each unit is mainly us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7668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모선(131)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인슐레이터(133)와 좌우 한 쌍의 수직프레임(135)으로 이루어진 수직모선 어셈블리(130), 수평모선(141)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인슐레이터(143)와 고정프레임(145) 및 각각의 수직모선(131)과 수평모선(141)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147)로 이루어진 수평모선 어셈블리(140)를 포함하는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917668 discloses a vertical bus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insulators 133 supporting a vertical bus 13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35 as shown in FIG. 130,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ors 143 supporting the horizontal bus bar 141 and a fixed frame 145,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147 connecting the vertical bus 131 and the horizontal bus bar 141 to each other. Disclosed is a prefabricated motor control center comprising a horizontal busbar assembly 140.

이와 같은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는 표준화 및 규격화가 어려운 특성상 전력수요 및 사양에 적합하게 설계하고, 이를 열반(列盤) 작업을 통해 일렬 또는 여러 열로 줄을 맞추어서 연결함으로써 필요한 규모로 증설할 수 있다.Such a conventional motor control center is designed to meet the power demand and specificat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standardize and standardize, and can be expanded to the required scale by connecting them in a row or in a row through nirvana work.

그런데 증설 작업 시에는 수평모선(141)들의 연결 부분은 절곡 또는 홀 가공을 하여 일일이 볼팅 방식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번 설치하면 그 위치를 변경 혹은 재배치하거나 다른 모터 컨트롤 센터로 교체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수고로운 한계가 있다.However, during the expansion work, the connection parts of the horizontal busbars 141 are bent or holed and fastened in a bolting manner, so the installation takes a lot of time, and once installed, the location is changed or relocated to another motor control center. It is very inconvenient and hard to replace.

또한, 외함을 호이스트나 크레인과 같은 운반용 기계를 이용하여 각기 구축 위치로 순서대로 이동시킨 후 서로 간의 설치 높낮이 및 열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열반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ibble work is quite cumbersome and difficult because the enclosure must be moved to each building position in order using a transport machine such as a hoist or a crane, and then the height and heat of the installation must be aligned with each other.

한편,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 외함은 모선 격실, 유닛 격실, 케이블 덕트 격실로 나누어져 있고, 각 유닛의 상하 간은 돌발 사고가 발생하여도 타 유닛으로 파급되는 일이 없도록 금속판으로 격리 및 차폐되어 있으며, 하나의 외함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단면형과, 두 개의 외함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편면형 및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양면형 등이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motor control center enclosure is divided into a busbar compartment, a unit compartment, and a cable duct compartment,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unit are isolated and shielded by a metal plate so that they do not spread to other units even if an accident occurs. The mainstream i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one enclosure is used independently, a one-sided shape in which two enclosures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 double-sided shape in which two enclosures are arranged symmetrically.

이 중에서 양면형으로 증설 시에는 수직부스바의 활선 상태에서 정격 용량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자칫 감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커 안전성이 상당히 떨어지고, 그에 따른 작업자의 심리적 불안감으로 인해 작업능률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double-sided expansion, the rated capacity is expanded in the live state of the vertical boot bar, so the risk of electric shock is very high, and the safety is considerably lowered.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Here,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or the prior art is merely to help the present inventors understand or understand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mean that the art is widely known in the art, and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not related to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KR 10-1058547 B1(2011.08.16)KR 10-1058547 B1 (2011.08.16) KR 10-0993898 B1(2010.11.05)KR 10-0993898 B1 (2010.11.05) KR 10-1336969 B1(2013.11.28)KR 10-1336969 B1 (2013.11.28) KR 10-1925949 B1(2018.11.30)KR 10-1925949 B1 (2018.11.30) KR 10-0540204 B1(2005.12.23)KR 10-0540204 B1 (2005.12.23) KR 10-0916804 B1(2009.09.03)KR 10-0916804 B1 (2009.09.03) KR 10-0917668 B1(2009.09.09)KR 10-0917668 B1 (2009.09.09) KR 10-0896926 B1(2009.05.01)KR 10-0896926 B1 (2009.05.01) JP 2005-137086 A(2005.05.26)JP 2005-137086 A (2005.05.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모터 컨트롤 센터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외함(cubicle)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증설 작업 시 부스바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도 확장이 용이하면서 작업자가 수직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모듈형 MCC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can easily and quickly perform nirvana work of the enclosure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busbars in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motor control center whil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matters. In addition,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a modular MCC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expanded even in the live state where electricity is flowing to the busbars during the expansion work, and can prevent the operator from touching the vertical bootbars and causing an electric shock. The invention was devised as a result of the constant stud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MCC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MCC that allows for easy and quick connection between nirvana work and busbars.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활선 상태에서도 증설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MCC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MCC that can be safely and easily made expansion work even in the live state.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뒤쪽에 다수 개의 수직부스바가 내장되고, 상단부에 다수 개의 수평부스바가 내장된 캐비닛,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 양쪽 및 위아래쪽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제1플랜지가 형성된 제1보호커버,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보호커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보호커버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된 제2보호커버, 상기 수평부스바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수평부스바에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접속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MCC를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pect)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a cabinet in which a plurality of vertical boot bars are built in the rear, a plurality of horizontal boot bars in the upper end, A first protective cover fix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both,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bus bar to protect the front, both,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bus bar, and having a first flange formed at both ends A second flan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is fix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at a fixed distance from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bus bar so as to protect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bus bar.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narrower tha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nd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of another cabinet. A second protective cover which is formed to be fix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usbar,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usbar of another cabinet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interference into which the horizontal busbar of another cabinet is fitted; It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terminal, and when the horizontal boot bar of the other cabinet is inserted into the spring to connect the horizontal boot bar of the other cabinet to the horizontal boot bar by giving elasticity to return to the original while the connection terminal elastically opened It proposes a modular MCC, characterized in that the adoption.

이로써 본 발명은 외함(cubicle)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한층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활선 상태에서도 증설 작업을 위한 확장이 용이하면서 작업자가 수직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nibble work of the cubes and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busbars more easily and quickly, and also easy to expand for the expansion work even in the live state, while the operator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booth bar electric shock The prevention effect can be aimed 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캐비닛의 양쪽 측면과 뒤쪽 상하단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과 다른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의 상대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다른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캐비닛들의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이 한층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fixed to guide holes and guide holes of the cabinet,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 and rear upper and lower frames of the cabinet, and to the side and rear of the cabinet and the sides and rear of the other cabinet. By further comprising a guide pin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other cabinet in order to match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irvana work of the cabinet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busbar can be made more simply and quick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다른 캐비닛의 측면이 나란히 연결 또는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다른 캐비닛의 뒤쪽이 대칭으로 수월하고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복수 개의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열반 작업 및 부스바 간의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guides for guiding the side of the other cabinet side by side to the side of the cabinet or the rear of the other cabinet to be symmetrically easily and accurate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work between the nirvana work and the busba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한쪽에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접촉 간섭 및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그 미끄러짐을 유도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롤러브래킷, 상기 롤러브래킷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며 다른 캐비닛의 진입 시 유동을 줄여 주는 경사브래킷, 상기 경사브래킷의 끝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더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이 상기 경사브래킷 말단의 정확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팁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캐비닛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면서 정확한 연결을 유도하여 열반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device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while minimizing contact interference and friction with the lower frame of the other cabinet.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for guiding the slip are freely rotatable roller brackets, which are formed in an obliquely inclined shape by bending outward from the ends of the roller brackets, and are equipped with guide rollers and flow when entering other cabinets. The inclined bracket to reduce the shape, is formed in an oblique inclined shape further bent outward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bracket and comprises a tip guide for inducing another cabinet to enter the correct direction of the end of the inclined bracket by moving the cabinet While guiding Accurate connections can be deriv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accuracy and speed of nibble 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롤러브래킷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여러 개의 캐비닛을 일렬로 나란히 열반한 후, 그 중 하나의 기준 캐비닛에 다른 캐비닛을 대칭적으로 배치할 때 고정브래킷을 기준 캐비닛과 나란히 배치된 또 다른 캐비닛 뒤쪽의 하단 프레임에 탈부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racket and the roller bracket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cabinets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n the other cabinets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one of the reference cabinets. The fixing brackets can then be attached to the bottom frame at the back of another cabinet, which is placed side by side with the reference cabin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고정브래킷의 측면 중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롤러브래킷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을 향해 돌출한 길이만큼 두껍게 튀어나오도록 간격조절판이 부착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두 가이드롤러 간의 간격이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이 갖는 전후 길이보다 넓게 벌어지거나 동일하도록 조절하여 캐비닛의 이동 시 균형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ide of the fixing bracket which faces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the guide roller protrudes thickly by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roller bracket toward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Since the interval adjusting plate is attached to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guide rollers facing each other is wider than or equal to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so that the guide can be smoothly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when the cabinet is m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여러 개의 캐비닛을 일렬로 나란히 열반하는 작업 시 수평부스바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와 접촉 간섭에 의해 벌어지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꽉 물어 자동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수평부스바 간의 접속 작업이 한층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means and a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is a connection mount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busbar when working with several cabinets side by si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rizontal busbars can be made more convenient and quicker because the terminals are automatically connected by squeezing the horizontal bootbars of other cabinets by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rizontal bootbars of other cabinets.

아울러 수직부스바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 증설을 위해 두 개의 캐비닛을 대칭으로 배치하는 연결 작업 시 제2보호커버가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으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홀과 가이드핀이 완전하게 합치시키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확장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직부스바가 그대로 노출되지 않고 제2보호커버에 의해 안전하게 차단되어 작업자가 수직부스바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등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of the other cabinet when the two cabinets are symmetrically arranged for expansion in the live state where electricity flows in the vertical booth bar,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hole and the guide pin It is easy to expand because it guides to completely match, and the vertical boot bar is not exposed as it is, and it is safely blocked by the second protective cover to maximize safety and reliability. Can be.

더구나 캐비닛 간의 열반 및 연결 작업 시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에 부착되는 안내장치가 캐비닛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유도하기 때문에 열반 및 연결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s attached to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during the nirvana and connecting work between the cabinets guides the cabinet to move easily and induces an accurate connectio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ccuracy and speed of the nibbing and connecting work.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열반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양면에 대칭적으로 열반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국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를 나란히 열반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 구성요소 중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 구성요소 중 안내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 구성요소 중 안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ith a modular MC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MC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modular MC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ymmetrically on both sides.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local part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modular MCC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ocal part of FIG. 6.
8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device of the modular MCC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device among the modular MCC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device among the modular MCC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learly indicates that the concept is to be interpreted in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n explana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exaggerated or simplified parts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not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mean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ny component, this is a particularly opposite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which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action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the possibility of adding them.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unit" and "unit" mean a module form that functions as a unit or a role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any certain operation desired in a system, and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or an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independent operations or the like through means.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top, bottom,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in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the lower part,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or 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는 크게 캐비닛(10), 제1보호커버(20), 제2보호커버(30), 접속단자(40), 스프링(50), 안내장치(6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2 to 11, the modular MC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cabinet 10,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the connection terminal 40, the spring It consists of 50 and the guide apparatus 60. As shown in FIG.

캐비닛(10)은 다수 개의 프레임(13)과 패널 및 플레이트를 박스 형태로 조립한 함체로 이루어지며, 뒤쪽에는 외부로부터 1차측 전원을 공급받는 R, S, T, N 각 상의 모선용 수직부스바(11)가 내장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각각의 수직부스바(11)와 대응 결합된 분기용 수평부스바(12)가 내장되어 있다.The cabinet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13, a panel and a panel assembled in the form of a box, the rear of the bus bar vertical boot bar on each of the R, S, T, N phase that receives the primary power from the outside (11) is built-in, and the upper end portion has a built-in horizontal bus bar 12 for branching corresponding to each vertical boot bar (11).

그리고 캐비닛(10)의 전방에는 여러 개의 MCC 유닛을 서랍식으로 장치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다층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cabinet 10 is divided into a multi-stored storage space for mounting a plurality of MCC units in the drawer type.

즉, 캐비닛(10)은 수직부스바(11)를 수용하는 격실, 수평부스바(12)를 수용하는 격실, 유닛을 수용하는 격실 및 케이블을 수용하고 덕트 역할을 하는 격실로 나누어져 있다.That is, the cabinet 10 is divided into a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vertical boot bar 11, a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horizontal boot bar 12, a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unit, and a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cable and serving as a duct.

여기서 수직부스바(11)와 수평부스바(12)는 통상의 절연용 인슐레이터에 의해 배선 및 지지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또는 동 재질의 표면에 열방사 도료가 코팅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rtical bus bar 11 and the horizontal bus bar 12 may be wired and supported by a general insulation insulator, and may be one in which a thermal radiation coating is coated on an aluminum or copper material surface.

또한, 유닛을 수용하는 격실 및 케이블을 수용하고 덕트 역할을 하는 격실은 그 각각의 전면에 내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달려 있다.In addition, the compartment that houses the unit and the compartment that houses the cable and acts as a duct, each of the front has a hinged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ior.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양쪽 측면과 뒤쪽 상하단에 위치하는 프레임(13)에는 가이드홀(14)이 복수 개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홀(14)들 중에는 캐비닛(10)의 측면 및 뒤쪽과 다른 캐비닛(10')의 측면 및 뒤쪽의 상대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다른 캐비닛의 가이드홀(14')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핀(15)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a plurality of guide holes 14 are formed in the frame 13 position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cabinet 10 and the rear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among these guide holes 14, Guide pins 15 which guide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14 'of the other cabinets are selectively fixed in order to match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ide and rear sides of the cabinet 10 and the other cabinets 10'. .

또한, 캐비닛(10)의 프레임(13) 중 하단, 즉 바닥면 등과 접촉되는 프레임(13) 상에는 안내장치(60)를 볼팅 방식으로 조여서 부착하거나 풀어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사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frame 13 of the frame 13 of the cabinet 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etc., the screw hole 16 is fastened so that the guide device 60 can be tightened by attaching or releasing by detaching. Formed.

제1보호커버(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스바(11)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기 위해 마치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쪽 단부에는 제2보호커버(30)를 접속 고정하기 위해 제1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to protect the front, both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boot bar 11,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The first flange 21 is formed to connect and secure the protective cover 30.

즉, 제1보호커버(20)는 수직부스바(11)가 캐비닛(10)의 안쪽을 향해 전체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부품의 유지보수 및 점검, 교체 시 등에 작업자가 높은 전류가 흐르는 수직부스바(11)와 접촉하거나 그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수직부스바(11)의 앞쪽, 양쪽 및 위아래쪽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캐비닛(10)의 뒤쪽에 고정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prevents the vertical boot bar 11 from being entirely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nd vertical booths through which a high current flows to the operator during maintenance, inspection, and replacement of parts. It is fix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10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front, both sides,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bus bar 11 in order to contact the bar (11) or to reduce the psychological anxiety caused thereby.

그리고 제1보호커버(20)는 대칭으로 배치되는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에 고정, 즉 다른 캐비닛(10')의 뒤쪽 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부착된 제2보호커버(30)와 포개어 겹쳐지듯이 연결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뒤쪽 면에서 앞쪽을 향해 함몰된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is fix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of the other cabinet 10' symmetrically disposed, that is, the first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cabinet 10 ' 2 is mounted in a recessed form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0 so as to overlap the protective cover 30 overlapping.

제2보호커버(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스바(11)의 뒤쪽을 보호하기 위해 마치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쪽 단부에는 제1보호커버(20)에 고정하기 위해 그 제1플랜지(21)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to protect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boot bar 11,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i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The second flange 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21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first flange 21.

즉, 제2보호커버(30)는 수직부스바(11)의 뒤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보호커버(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That is,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is detachably fix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rear of the vertical boot bar 11.

그리고 제2보호커버(30)는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1보호커버(20)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has upper and lower heights and left and right widths higher tha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of the other cabinet 10'. It is narrowly formed.

또한, 제2보호커버(30)는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 속에 삽입하지 않을 때 캐비닛(10)의 뒤쪽으로 수직부스바(11)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개폐판(32)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is not inserted in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of the other cabinet 10' to prevent the vertical boot bar 11 from being expos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10.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 is provided detachably.

즉, 개폐판(32)은 수직부스바(11)의 활성 상태에서 제2보호커버(30)를 다른 캐비닛(10')의 제1보호커버(20') 속에 삽입 시 수직부스바(11)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탈착하여 분리할 수 있고, 삽입하지 않을 때는 제2보호커버(30)가 수직부스바(11)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 is the vertical boot bar 11 whe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of another cabinet 10' in the active state of the vertical boot bar 11. Detachable to be detached so that a portion of the exposure, and when not inserte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can be used to attach so as to completely close the vertical boot bar (11).

여기서 제1보호커버(20)와 제2보호커버(3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그 각각의 제1플랜지(21)와 제2플랜지(31)를 서로 맞대어 놓고 볼팅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또 제2보호커버(30)와 개폐판(32)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볼팅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bolting method to each of the first flange 21 and the second flange 31 so as to be removabl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 may be coupled in a bolting manner so as to be detachable.

아울러 제1보호커버(20)와 제2보호커버(30)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전기 절연체 등을 절곡 작업으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may be formed by molding an electrical insulator such as a metal plate or a plastic material by bending work.

접속단자(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스바(12')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그 양쪽 측면과 밀착 접속되도록 수평부스바(12')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6 to 8, one side of the horizontal bus bar 12 ′ is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interference into which the horizontal bus bar 12 ′ is fitted and closely connected to both sides thereof. It is fixed at the end.

즉, 접속단자(40)는 수평부스바(12)에 다른 캐비닛(10')의 수평부스바(12')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그 바깥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connecting terminal 40 is gradually wider toward the outer end portion so as to easily and stably connect the horizontal booth bars 12 'of the other cabinets 10' to the horizontal booth bars 12. It is formed.

여기서 접속단자(40)는 수평부스바(12)와 동일한 구리(Cu)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40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copper (Cu) material as the horizontal bus bar 12.

스프링(50)은 수평부스바(12')가 접속단자(40)의 틈으로 끼워질 때 접속단자(40)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위해 접속단자(40)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The spring 50 has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erminal 40 in order to give elasticity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40 is elastically opened when the horizontal bus bar 12 'is inserted into the gap of the connection terminal 40. It is attached to the side.

즉, 접속단자(40)의 틈새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12')가 끼워지면 접속단자(40)는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벌어지고, 이때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함으로써 그 수평부스바(12')의 양쪽 측면과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when the horizontal boot bar 12 'of the other cabinet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40, the connection terminal 40 naturally opens to both sides, and at this time, the spring 50 is compressed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thereby causing the horizontal Maintain tight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usbar 12 '.

여기서 스프링(50)은 접속단자(40)를 수평부스바(12')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키도록 탄성한도가 높고 피로강도가 큰 스프링강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ring 50 is preferably formed of a spring steel sheet having a high elastic limit and a high fatigue strength so as to stably contact the connecting terminal 40 to the horizontal bus bar 12 '.

안내장치(60)는 캐비닛(10)의 측면에 다른 캐비닛(10')의 측면을 나란하게 연결하고, 캐비닛(10)의 뒤쪽에 다른 캐비닛(10')의 뒤쪽이 대칭으로 수월하고 정확하게 연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있다.The guide device 60 connects the sides of the other cabinet 10 'side by side to the side of the cabinet 10, and the rear of the other cabinet 10' is symmetrically easily and accurate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10.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to guide.

여기서 안내장치(6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 롤러브래킷(62), 가이드롤러(63), 경사브래킷(64), 팁가이드(65), 간격조절판(66)을 포함하고 있다.Here, the guide device 60 is a fixed bracket 61, roller bracket 62, guide roller 63, inclined bracket 64, tip guide 65, the spacing control plate (as shown in Figure 9 to 11) 66).

고정브래킷(61)은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bracket 61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frame 13 of the cabinet.

즉, 고정브래킷(61)에는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과 볼팅 결합을 위해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에 형성된 나사구멍(16)과 통하는 관통구멍(67)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fixing bracket 61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67 communicating with the screw holes 16 formed in the lower frame 13 of the cabinet for bolting engagement with the lower frame 13 of the cabinet at regular intervals. .

롤러브래킷(62)은 구름 운동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63)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고정브래킷(61)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roller bracket 62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bracket 61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63 rolling.

가이드롤러(63)는 다른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이 안내장치(60)의 마주하는 면을 따라서 미끄러질 때 그 접촉에 의하여 일어나는 운동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미끄러짐을 유도하기 위해 다수 개가 롤러브래킷(62)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The guide roller 63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roller rollers in order to induce smooth sliding while minimizing the kinetic friction caused by the contact when the lower frame 13 'of the other cabinet slides alo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guide device 60. 62 are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free to rotate.

경사브래킷(64)은 다른 캐비닛(10')의 진입 시 유동을 줄여 주기 위해 롤러브래킷(62)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inclined bracket 64 is formed to be inclined obliquely outward from the end of the roller bracket 62 in order to reduce the flow when entering the other cabinet 10 '.

즉, 경사브래킷(64)은 안내장치(60)가 전후 또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될 경우 마주하는 두 경사브래킷(64) 사이의 거리가 그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clined bracket 64 is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clined bracket 64 facing each other when the guide device 60 is arranged in a pair of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gradually toward the outside.

그리고 경사브래킷(64)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롤러(63)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다.At least one guide roller 63 is mounted to the inclined bracket 64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은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하거나 혹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직각으로 꺾어 형성할 수도 있다.Here, the fixing bracket 61 and the inclined bracket 64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or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to form a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은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형태의 안내장치(60)를 복수 개로 구비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직각으로 꺾인 형태의 안내장치(60-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the fixing bracket 61 and the inclined bracket 6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devices 60 of the form of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11 fixed bracket At least one guide device 60-1 may be provided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61 and the inclined bracket 64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이 서로 수직으로 꺾인 형태의 안내장치(60-1)는 여러 개의 캐비닛(10)(10')을 일렬로 나란히 열반한 후, 그 중 하나의 기준 캐비닛(10)에 또 다른 캐비닛(10')을 대칭적으로 배치할 때 고정브래킷(61) 부분을 하나의 기준 캐비닛(10)과 나란히 배치된 다른 캐비닛(10') 뒤쪽의 하단 프레임(13')에 탈부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정브래킷(61)과 직각을 이루는 경사브래킷(64) 부분이 또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그 프레임(13')과 마주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11, the guide device 60-1 in which the fixing bracket 61 and the inclined bracket 64 are vertically bent with each other carries a plurality of cabinets 10 and 10 ′ in line with each other. Later, when the other cabinet 10 'is symmetrically arranged in one of the reference cabinets 10, the fixed bracket 61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other reference cabinet 10 and the other cabinet 10'.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rear lower frame 13 ', which allows the portion of the inclined bracket 64 perpendicular to the fixing bracket 61 to guide the movement of another cabinet 10'. Can be placed facing the

팁가이드(65)는 다른 캐비닛(10')의 하단 프레임(13')이 경사브래킷(64) 말단의 정확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경사브래킷(64)의 끝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더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tip guide 65 is further inclined obliquely outward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bracket 64 to induce the lower frame 13 'of the other cabinet 10' to enter the correct direction of the end of the inclined bracket 64. It is formed in a true shape.

즉, 팁가이드(65)는 다른 캐비닛(1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적으로 이동하도록 조정하는 입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안내장치(60)가 전후 또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될 경우 마주하는 두 팁가이드(65) 사이의 거리가 그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tip guide 65 is arranged in a pair of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in order to serve as an entrance for adjusting the other cabinet 10 'to move in a balanced manner without biasing to either sid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ip guides 65 facing each other is formed farther toward the outside.

간격조절판(66)은 고정브래킷(61)의 측면 중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과 마주하는 면이 롤러브래킷(62)에 장착된 가이드롤러(63)가 그 롤러브래킷(62)에서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을 향해 돌출한 길이만큼 두껍게 튀어나오도록 조절하기 위해 고정브래킷(61)의 측면 중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다.The gap adjusting plate 66 has a guide roller 63 mounted on the roller bracket 62 at the side of the fixing bracket 61 facing the lower frame 13 of the cabinet, and at the bottom of the cabinet at the roller bracket 62. It is attached to the side facing the lower frame 13 of the cabinet of the side of the fixing bracket 61 in order to adjust so as to protrude thickly by the length protruding toward the frame 13.

즉, 고정브래킷(61)과 롤러브래킷(62)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을 경우 그 가이드롤러(63)의 테두리 부분이 바깥쪽으로 약간 튀어나온 채로 구름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상태로 고정브래킷(61)을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의 양쪽에 고정하면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롤러(63) 간의 간격이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13)이 갖는 전후 길이보다 좁아지게 되어 원활한 안내 작용과 균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브래킷(61)에 가이드롤러(63)의 튀어나온 길이만큼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판(66)이 부착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fixing bracket 61 and the roller bracket 62 are formed to be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rolling is performed while the edge portion of the guide roller 63 protrudes slightly outward. If 61)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13 of the cabinet,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rollers 63 facing each other becomes narrow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lower frame 13 of the cabinet, so that smooth guide action and balance cannot be maintained. To solve this problem, a gap adjusting plate 66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ide roller 63 protruding from the fixing bracket 61 is attached.

그리고 롤러브래킷(62)과 경사브래킷(64)은 횡단면이 마치 'ㄷ'자 모양을 한 홈 형강(channel)의 단면 형상처럼 형성되어 있고, 그 웨브(web) 상에는 가이드롤러(63)의 테두리 일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슬롯(68)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bracket 62 and the inclined bracket 64 are formed like a cross-sectional shape of a groove channel having a cross-section like a 'c' shape, and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guide roller 63 is formed on the web. Slot 68 is formed to expose the.

또한, 롤러브래킷(62)과 경사브래킷(64)에는 그 각각의 가이드롤러(6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69)가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bracket 62 and the inclined bracket 64 are provided with retainers 69 which prevent the respective guide rollers 63 from being separa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MCC의 주요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ain operations and principles of the modular MC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캐비닛(10)(10')을 일렬로 나란하게 열반 시 가이드홀(14)과 가이드핀(15)의 안내로 서로 꼭 들어맞게 연결되면서 수평부스바(12)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접속단자(40)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12')가 자연스럽게 압입됨으로써 수평부스바(12)(12') 간의 접속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2 and 6, the plurality of cabinets 10, 10 ′ are horizon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guide of the guide holes 14 and the guide pins 15 when they are opened in parallel. The horizontal bus bar 12 'of another cabinet is naturally press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40 mounted at the end of the bus bar 12,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rizontal bus bars 12 and 12' can be easily and quickly made. Can be.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스바(11)의 앞뒤에서 접속을 위해 두 개의 캐비닛(10)(10')을 대칭으로 열반 시 가이드홀(14)과 가이드핀(15)의 안내로 서로 꼭 들어맞게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제2보호커버(30)가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20')의 안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1보호커버(20') 속에 삽입되므로 수직부스바(11)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도 확장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two cabinets 10 and 10 'are symmetrically connec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bus bar 11 so that the guide holes 14 and guide pins 15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20 'of the other cabinet. 11) It can be expanded easily and stably even in the live state in which electricity flows.

그뿐만 아니라 수직부스바(11)가 종래와 달리 그대로 노출되지 않고 제2보호커버(30)에 의해 안전하게 차단되므로, 작업자가 부주의 등으로 수직부스바(11)에 접촉해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등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Not only that, since the vertical boot bar 11 is not exposed as it is, and is safely blocked by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0, an accident in which the worker touches the vertical boot bar 11 due to carelessness or the like, prevents an electric shock. Back safety can be improved.

게다가 안내장치(60)를 캐비닛(10)의 전후 양쪽 하단 프레임(13)에 각각 대칭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이로 인해 열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the guide device 60 symmetrically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lower frames 13 of the cabinet 10, 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other cabinet 10 'easily and guides the correct connection efficiently. The convenience of work can be improved.

즉, 안내장치(60)는 여러 개의 캐비닛(10)(10')을 일렬로 나란하게 열반하는 작업 시 캐비닛(10)의 전후 양쪽 하단 프레임(13)에 각각 대칭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이로 인해 열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guide device 60 is symmetrically attached to the lower and rear frames 13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cabinet 10 in the case of working with the cabinets 10, 10 'in a row side by side, respectively, the other cabinet 10 ') To facilitate the movement and to efficiently guide the correct connection,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nirvana and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

또한, 두 개의 캐비닛(10)(10')을 대칭으로 열반하는 작업 시 캐비닛(10)의 좌우 양쪽 하단 프레임(13)에 각각 대칭적으로 부착하거나 고정브래킷(61)과 경사브래킷(64)이 서로 수직으로 꺾인 형태의 안내장치(60-1) 중 그 고정브래킷(61) 부분을 하나의 기준 캐비닛(10)과 나란히 배치된 다른 캐비닛(10') 뒤쪽의 하단 프레임(13')에 부착함으로써 캐비닛(10)의 뒤쪽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다른 캐비닛(10')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열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wo cabinets (10, 10 ') to symmetrically nibble attach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frame 13 of the cabinet 10, respectively, or the fixed bracket 61 and the inclined bracket (64) By attaching a part of the fixing bracket 61 of the guide device 60-1, which is bent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to the lower frame 13 ′ behind the other cabinet 10 ′ arranged side by side with one reference cabinet 10. It is possibl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ther cabinet 10 'symmetrically arranged behind the cabinet 10 to facilitate movement and to guide the correct connection efficientl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work of nirvana.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are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f each componen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o other embodiments equivalent to substitu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캐비닛 11: 수직부스바
12: 수평부스바 13: 프레임
14: 가이드홀 15: 가이드핀
16: 나사구멍 20: 제1보호커버
21: 제1플랜지 30: 제2보호커버
31: 제2플랜지 32: 개폐판
40: 접속단자 50: 스프링
60: 안내장치 61: 고정브래킷
62: 롤러브래킷 63: 가이드롤러
64: 경사브래킷 65: 팁가이드
66: 간격조절판 67: 관통구멍
10: Cabinet 11: Vertical Booth Bar
12: Horizontal Booth Bar 13: Frame
14: guide hole 15: guide pin
16: screw hole 20: first protective cover
21: first flange 30: second protective cover
31: second flange 32: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connection terminal 50: spring
60: guide device 61: fixed bracket
62: roller bracket 63: guide roller
64: inclined bracket 65: tip guide
66: Spacer 67: Through Hole

Claims (6)

뒤쪽에 다수 개의 수직부스바가 내장되고, 상단부에 다수 개의 수평부스바가 내장된 캐비닛;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과 양쪽 및 위아래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앞쪽, 양쪽 및 위아래쪽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제1플랜지가 형성된 제1보호커버;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직부스바의 뒤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보호커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제1보호커버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보호커버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된 제2보호커버;
상기 수평부스바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지는 접촉 간섭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가 끼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수평부스바에 다른 캐비닛의 수평부스바를 접속시키는 스프링;
상기 캐비닛의 양쪽 측면과 뒤쪽 상하단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과 다른 캐비닛의 측면 및 뒤쪽의 상대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다른 캐비닛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핀;
을 포함하는 모듈형 MCC.
A cabinet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boot bars at the rea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oot bars at the upper end thereof;
A first protection having a first flange formed at both ends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both,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bus bar to protect the front, both,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bus bar; cover;
Removably fix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rear of the vertical busbar to protect the rear of the vertical busbar, the second flan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is formed at both ends, the other A second protective cover having a vertical height and a horizontal width narrower than the vertical height and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of the cabinet;
A connection terminal fix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usbar and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interference into which the horizontal busbar of the other cabinet is fitted and closely contacted with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usbar of the other cabinet;
A spring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erminal, the spring connecting the horizontal boot bars of the other cabinets to the horizontal boot bars by giving elasticity to return to the original while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elastically opened when the horizontal boot bars of the other cabinets are fitted;
Guide hol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binet and rear upper and lower frames; And
A guide pin selectively fixed to the guide hole of the cabinet and guid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another cabinet to match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ide and rear sides of the cabinet and other cabinets;
Modular MCC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다른 캐비닛의 측면이 나란히 연결 또는 상기 캐비닛의 뒤쪽에 다른 캐비닛의 뒤쪽이 대칭으로 수월하고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복수 개의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MCC.
The method of claim 1,
Modular MCC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guides to the side of the cabinet side by side of the other cabinet side-by-side connection or to guide the rear of the other cabinet symmetrically easily and accurate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abin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한쪽에 형성되고, 다른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접촉 간섭 및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그 미끄러짐을 유도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롤러브래킷;
을 포함하며,
다른 캐비닛의 진입 시 유동을 줄여 주기 위해 상기 롤러브래킷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의 경사브래킷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브래킷에 상기 가이드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며,
다른 캐비닛이 상기 경사브래킷 말단의 정확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경사브래킷의 끝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더 꺾어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의 팁가이드가 형성된 모듈형 MCC.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device,
A fixing bracket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Roller bracket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bracket,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for inducing the sliding while minimizing contact interference and friction with the lower frame of the other cabinet freely rotatable at regular intervals;
Including;
In order to reduce the flow when entering another cabinet is formed an inclined bracket of obliquely inclined shape from the end of the roller bracket, at least one guide roller of the guide roller is mounted on the inclined bracket,
A modular MCC having a tip guide inclined obliquely further outward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bracket to guide another cabinet to enter the correct direction of the end of the inclined brack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롤러브래킷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모듈형 MCC.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ed bracket and the roller bracket is a modular MCC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측면 중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롤러브래킷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단 프레임을 향해 돌출한 길이만큼 두껍게 튀어나오도록 간격조절판이 부착된 모듈형 MCC.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Modular MCC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fixing bracket on the side facing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the guide roller is protruding thickly by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roller bracket toward the lower frame of the cabinet.
KR1020190040841A 2019-04-08 2019-04-08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Active KR102042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41A KR102042621B1 (en) 2019-04-08 2019-04-08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41A KR102042621B1 (en) 2019-04-08 2019-04-08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21B1 true KR102042621B1 (en) 2019-11-08

Family

ID=6854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841A Active KR102042621B1 (en) 2019-04-08 2019-04-08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9088A (en) * 2022-10-14 2022-12-09 浙江聚弘凯电气有限公司 Modular switch cabine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393U (en) * 1999-05-21 2000-11-24 エルジー産電株式会社 Vertical bus clamping system for switchboard
JP2005137086A (en) 2003-10-29 2005-05-26 Toshiba Industrial Products Manufacturing Corp Bus-bar device
KR100540204B1 (en) 2005-06-22 2006-01-10 (주)서전기전 Module Assembled Low Pressure Power Unit (MCC)
KR100896926B1 (en) 2008-04-03 2009-05-14 주식회사 베스텍 Motor control board
KR100916804B1 (en) 2009-03-25 2009-09-14 (주)케이엔 Prefabricated switchgear and nibble switchgear system
KR100917668B1 (en) 2009-07-10 2009-09-18 (주)시그너스시스템 Prefab Motor Control Center
KR20090115451A (en) * 2008-05-02 2009-11-0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Motor control center
KR100993898B1 (en) 2008-07-28 2010-11-11 알티전자 주식회사 Detachable cubicle
KR101058547B1 (en) 2009-10-06 2011-08-23 태일전기(주) Busbar connector
KR101082328B1 (en) * 2011-09-29 2011-11-11 (주)시그너스시스템 Miniature High Strength MCC with Step Connector Integrated Circuit Breaker
KR101336969B1 (en)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Multi motor control centerfor a large number of loads
JP2015521805A (en) * 2012-06-25 2015-07-30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Server cabinet
KR101925949B1 (en) 2018-06-07 2018-12-06 세명엔지니어링(주) Motor control equipment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54U (en) * 1999-05-21 2000-12-15 이종수 device for clamping vertical busber of switch board
JP3073393U (en) * 1999-05-21 2000-11-24 エルジー産電株式会社 Vertical bus clamping system for switchboard
JP2005137086A (en) 2003-10-29 2005-05-26 Toshiba Industrial Products Manufacturing Corp Bus-bar device
KR100540204B1 (en) 2005-06-22 2006-01-10 (주)서전기전 Module Assembled Low Pressure Power Unit (MCC)
KR100896926B1 (en) 2008-04-03 2009-05-14 주식회사 베스텍 Motor control board
KR20090115451A (en) * 2008-05-02 2009-11-0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Motor control center
KR100993898B1 (en) 2008-07-28 2010-11-11 알티전자 주식회사 Detachable cubicle
KR100916804B1 (en) 2009-03-25 2009-09-14 (주)케이엔 Prefabricated switchgear and nibble switchgear system
KR100917668B1 (en) 2009-07-10 2009-09-18 (주)시그너스시스템 Prefab Motor Control Center
KR101058547B1 (en) 2009-10-06 2011-08-23 태일전기(주) Busbar connector
KR101082328B1 (en) * 2011-09-29 2011-11-11 (주)시그너스시스템 Miniature High Strength MCC with Step Connector Integrated Circuit Breaker
JP2015521805A (en) * 2012-06-25 2015-07-30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Server cabinet
KR101336969B1 (en)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Multi motor control centerfor a large number of loads
KR101925949B1 (en) 2018-06-07 2018-12-06 세명엔지니어링(주) Motor control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9088A (en) * 2022-10-14 2022-12-09 浙江聚弘凯电气有限公司 Modular switch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0230A (en) High voltage motor starter enclosure
US3626253A (en) Cell construction for motor control center for separate disengaging of terminal blocks and bus stabs
KR101357285B1 (en) Drawer unit for branch breaker with multi load in switchgear
EP3509407A1 (en) Rack pdu bracket with rotation function
US20160359307A1 (en) Access windows in horizontal bar section of an electrical meter center
KR102042621B1 (en)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US20050258922A1 (en) Cathedral door shutter assembly
US8223474B2 (en)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EP2912735B1 (en) Busbar assembly
KR102042622B1 (en) Guide apparatus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DE3243063C2 (en)
KR101947971B1 (en) Sunlight generation power connection unit
EP2352619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gear panel
JP2018191404A (en) Power board
US11602066B2 (en) Extractable structure for housing electronic components
KR20160126339A (en) Cabinet for easily electric wiring and circuit breaker switch assembly
RU2382460C1 (en) Cubicle switchboard cabinet
CN106972351B (en) Raceway for carrying modules connected to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s
RU61952U1 (en) DISTRIBUTION BOARD
EP3965239A1 (en) Busbar holder
JP2000507799A (en) Sliding door for switchgear and control cubicle
KR101039309B1 (en) Door type switchgear for space saving and worker safety
US200902849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system enclosure
KR101033846B1 (en) Enclosure for power equipment with cable duct
DE102021111396B4 (en) Adapter for a busbar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