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8547B1 - 부스바 커넥터 - Google Patents

부스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547B1
KR101058547B1 KR1020090094487A KR20090094487A KR101058547B1 KR 101058547 B1 KR101058547 B1 KR 101058547B1 KR 1020090094487 A KR1020090094487 A KR 1020090094487A KR 20090094487 A KR20090094487 A KR 20090094487A KR 101058547 B1 KR101058547 B1 KR 10105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busbar
crimp terminal
cla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177A (ko
Inventor
여규철
전영국
Original Assignee
태일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일전기(주) filed Critical 태일전기(주)
Priority to KR102009009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5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5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스바(A)를 고정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고정된 고정부스바와 접촉되게 삽입되는 삽입부스바(B)를 고정하는 클램프(120)로 구성되는 부스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스바(A)를 고정하는 몸체(110)의 일 측에는 상기 삽입부스바(B)를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프(120)가 상기 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간에는 통공(121)을 형성시켜 그 통공에 회동축(122)을 매개로 회동되며 상기 삽입부스바를 압착하는 각각의 압착단자(130)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130)에는 삽입부스바(B)가 삽입되었을 때 그 삽입부스바에 압착력을 부여하는 탄성체(14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해도 부스바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통전을 안정적으로 함은 물론, 부스바의 압착면적을 극대화시켜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스바, 부스바커넥터, 압착단자, 탄성체, 압착력

Description

부스바 커넥터{Bus-bar connector}
본 발명은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를 견고하게 압착하여 충격 및 진동으로 발생하는 분리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통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등과 같은 단위 기기를 부착 및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 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부스바(Busbar), 케이블 등)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용 전압에 따라 초고압, 고압, 저압 배전반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분전반에서 전력을 전달하는 주회로는 도체물인 부스바로 구성된다.
부스바는 분전반 등에서 전력 공급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부품이다. 종래에는 분전반의 수전단자들과 분전단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수전단자에 연결되는 부스바와 분전단자를 전선을 이용하여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분전반 제품의 제작시에 부스바와 전선의 연결부위에 홈을 뚫어 탭을 낸 후에 볼트로 조여서 고정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여러 번의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을 이용하지 않고 연결 부스바를 이용하여 부스바와 분전단자를 연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연결 부스바의 일단을 절곡하는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 클립체결부가 설치된 부스바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판으로 구성된 상기 클립체결부의 하단에 이격이 존재하지 않아 부스바와 연결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10-2008-0103810호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스바 커넥터(1)는 분기부스바(10), 클립체결부(20)를 포함하고, 그 클립체결부(20)는 탄성부(21), 접촉부(22), 지지부재(23), 조임부(24), 및 조임나사(26)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21)는 상기 클립체결부(20)가 메인부스바(30)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클립체결부(20)를 메인부스바(30)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탄성복원율이 높은 판스프링 등으로 만들어진다. 또 상기 접촉부(22)는 일면이 메인부스바에 접촉되고, 다른 일면이 탄성부(21)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3)는 부스바 커넥터(1)의 접촉부(22)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부(22)를 구성하는 두 판의 하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23)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부스바 커넥터(1)는 메인부스바(30)를 고정하는 클립체결부(20)가 메인부스바(30)를 고정함에 있어서 클립체결부(20)의 탄성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밀착력이 떨어져 통전이 불안전하게 이루어지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부스바 커넥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해도 부스바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통전을 안정적으로 함은 물론, 부스바의 압착면적을 극대화시켜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스바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고정부스바(A)를 고정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고정된 고정부스바와 접촉되게 삽입되는 삽입부스바(B)를 고정하는 클램프(120)로 구성되는 부스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스바(A)를 고정하는 몸체(110)의 일 측에는 상기 삽입부스바(B)를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프(120)가 상기 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간에는 통공(121)을 형성시켜 그 통공에 회동축(122)을 매개로 회동되며 상기 삽입부스바를 압착하는 각각의 압착단자(130)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130)에는 삽입부스바(B)가 삽입되었을 때 그 삽입부스바에 압착력을 부여하는 탄성체(14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20)는 삽입부스바(B)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맞닿아 밀착할 수 있도록 일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단자(130)는 삽입부스바(B)를 압착하는 면에 요철(131)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21)이 형성된 클램프(120)에는 압착단자(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압착단자 회전 방지핀(12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1)이 형성된 클램프(120)에는 탄성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탄성체 밀림 방지핀(124)이 형성된다.
또 상기 탄성체(140)는 양단이 각각의 압착단자(130)와 체결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호형의 판 스프링이고, 상기 고정부스바(A)의 고정은 몸체(110)를 관통하는 볼트(151)와 그 볼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너트(152) 및 그 너트와 볼트 끝 단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부스바(A)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스프링(153)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130) 상단과 클램프(120)의 후방 및 몸체(110)간에는 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후렉시블(160)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부스바 커넥터는 고정부스바(A)를 고정하는 몸체의 일 측에 삽입부스바를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프와 그 클램프의 중간에 통공을 형성시켜 그 통공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되며 상기 삽입부스바를 압착하는 각각의 압착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에는 삽입부스바가 삽입되었을 때 그 삽입부스바에 압착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해도 부스바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압착하여 고정함으로 통전을 안정적으로 함은 물론, 부스바의 압착면적을 극대화시켜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 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압착력을 향상시킨 부스바 커넥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정부스바(A)는 막대형태 또는 케이블형태를 통칭한다.
상기 몸체(110)와 고정부스바(A)는 고정핀 또는 볼트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외부충격 및 진동으로 체결력이 쉽게 해지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장착된 볼트(151)와; 그 볼트(151)의 선단에 나선결합된 너트(152)와; 상기 볼트(151)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너트(152)와 몸체(110)의 사이에 맞닿도록 형성된 스프링(153)으로 구성된 체결부재(150)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52)의 탄성력으로 상기 너트(152)를 외측으로 밀착시켜 외부충격 및 진동으로 발생하는 너트(152)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151)와 너트(152)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152a)이 구 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스바(B)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맞닿아 밀착할 수 있도록 일자형태로 제작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20)의 선단 내측에는 삽입부스바(B)의 측면을 강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압착돌기(120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돌기(120a)는 삽입되는 부스바(B)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아울러, 상기 클램프(1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스바(B)의 양측면을 동시에 압착할 수 있도록 "U"형상을 갖도록 절곡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120)에 내삽되는 삽입부스바(B)의 측면을 압착하여 외부충격 및 진동으로 클램프(120)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공(121)은 압착단자(130)의 회동반경 및 상기 탄성체(140)의 굴신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넓이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통공(121)의 내부 일 측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단자(130)가 클램프(120)의 외 측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압착단자 회전 방지핀(12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삽입부스바(B)의 측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압착단자(130)가 클램프(120)의 외 측으로 회동할 경우 서로 맞닿는 단면적이 저하되어 삽입부스바(B)를 견고하게 압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통공(12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압착단자(130)가 회동할 경우 탄성 체(140)의 내측과 맞닿아 위치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체 밀림 방지핀(1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단자(130)는 삽입부스바(B)의 양 측면을 압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압착단자(13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부스바(B)와 맞닿는 방향의 측면에 요철(131)이 형성되어 삽입부스바(B)를 슬립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착단자(130)는 선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삽입부스바(B)가 상기 클램프(120)로 내삽되면 삽입부스바(B)의 측면에 맞닿아 대응되는 각도로 회동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140)는 압착단자(130)가 삽입부스바(B)의 양 측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압착력을 유발함은 물론 삽입부스바(B)가 분리된 후 다시 압착단자(130)를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압착단자(130)를 서로 연결한 후 탄성력을 유발하여 자유롭게 굴신될 수 있도록 호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상기 몸체(110)의 선단 및 클램프(120)의 후방과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130) 상단 간에는 안정적인 전도율과 그 전도율의 높이기 위하여 후렉시블(160)이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후렉시블(160)을 연결 설치한 이유는 상기 압착단자(130)가 굴신 운동할 때에 그 굴신운동량을 보상하기 위함이며, 또 상기 클램프(120)와 몸체(110)의 크기 및 두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정부스바(A)를 통해서 전달되는 전도량의 불안전함을 해소하여 안정적으로 전도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부스바 커넥터는 고정부스바를 고정하는 몸체의 일 측에 삽입부스바를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프와 그 클램프의 중간에 통공을 형성시켜 그 통공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되며 상기 삽입부스바를 압착하는 각각의 압착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에는 삽입부스바가 삽입되었을 때 그 삽입부스바에 압착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해도 부스바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압착하여 고정함으로 통전을 안정적으로 함은 물론, 부스바의 압착면적을 극대화시켜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부스바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압착력을 향상시킨 부스바 커넥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부스바의 장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부스바 커넥터
110: 몸체 120: 클램프
120a: 압착돌기 121: 통공
122: 회동 축 123: 압착단자 회전 방지핀
124: 탄성체 밀림 방지핀 130: 압착단자
131: 요철 140: 탄성체
150: 체결부재 151: 볼트
152: 너트 153: 고정핀
153: 스프링 160: 후렉시블
A: 고정부스바 B: 삽입부스바

Claims (8)

  1. 고정부스바(A)를 고정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고정된 고정부스바와 접촉되게 삽입되는 삽입부스바(B)를 고정하는 클램프(120)로 구성되는 부스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스바(A)를 고정하는 몸체(110)의 일 측에는 상기 삽입부스바(B)를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프(120)가 상기 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간에는 통공(121)을 형성시켜 그 통공에 회동축(122)을 매개로 회동되며 상기 삽입부스바를 압착하는 각각의 압착단자(130)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130)에는 삽입부스바(B)가 삽입되었을 때 그 삽입부스바에 압착력을 부여하는 탄성체(14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20)는 삽입부스바(B)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맞닿아 밀착할 수 있도록 일자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130)는 삽입부스바(B)를 압착하는 면에 요철(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21)이 형성된 클램프(120)에는 압착단자(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압착단자 회전 방지핀(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바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21)이 형성된 클램프(120)에는 탄성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탄성체 밀림 방지핀(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0)는 양단이 각각의 압착단자(130)와 체결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호형의 판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스바(A)의 고정은 몸체(110)를 관통하는 볼트(151)와 볼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너트(152) 및 그 너트와 볼트 끝 단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부스바(A)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스프링(15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130) 상단과 클램프(120)의 후방 및 몸체(110)간에는 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후렉시블(1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넥터.
KR1020090094487A 2009-10-06 2009-10-06 부스바 커넥터 Active KR101058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87A KR101058547B1 (ko) 2009-10-06 2009-10-06 부스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87A KR101058547B1 (ko) 2009-10-06 2009-10-06 부스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77A KR20110037177A (ko) 2011-04-13
KR101058547B1 true KR101058547B1 (ko) 2011-08-23

Family

ID=4404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487A Active KR101058547B1 (ko) 2009-10-06 2009-10-06 부스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368B1 (ko) * 2010-08-18 2012-05-30 (주)파워풀 버스바 접속장치
KR102302478B1 (ko) * 2017-03-28 2021-09-16 엘에스일렉트릭 (주) 가스절연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77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851B1 (en) Stab connector assembly
JPH1083846A (ja) 電気クリップ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058547B1 (ko) 부스바 커넥터
US20080153362A1 (en) Multi-terminal block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superimposed conductor connecting levels
EP2876733B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busbar with flexible weld crimp
KR101479086B1 (ko) 고전압 퓨즈와 퓨즈홀더의 연결구조
PL175306B1 (pl) Klinowe złącze uziemiające
CN1041777C (zh) 具有支撑簧的绝缘位移式触头的接头
CN110867670A (zh) 一种配电箱柜接线端子组件
CN208673966U (zh) 阴触头、与之配合的阳触头以及断口组件
CN201112748Y (zh) 接插件
KR20110061724A (ko) 통전율 증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재
KR100912119B1 (ko) 부스바 커넥터 및 상기 부스바 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
JPH06215808A (ja) トグルクランプコネクタ
CN213989265U (zh) 装配式双导线设备线夹
KR102298429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CN203445248U (zh) 一种电连接端子
CN201336375Y (zh) 接线装置及配电设备
CN112467406B (zh) 一种c型线夹
CN210296661U (zh) 接线端子
CN212366290U (zh) 一种连接稳固的连接器
CN211480336U (zh) 接线端子、电能传输部件以及电能传输系统
CN110034439B (zh) 一种插套及插座
KR20090003046U (ko)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