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17B1 -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317B1 KR101923317B1 KR1020170084400A KR20170084400A KR101923317B1 KR 101923317 B1 KR101923317 B1 KR 101923317B1 KR 1020170084400 A KR1020170084400 A KR 1020170084400A KR 20170084400 A KR20170084400 A KR 20170084400A KR 101923317 B1 KR101923317 B1 KR 1019233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clamping
- full bridge
- turned
- switche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 Y02B70/14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회로가 적용된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가 충전 모드로 동작할 때의 주요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h 는 도 2 에 도시된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충전모드에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2 에 도시된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가 방전 모드로 동작할 때의 주요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2 에 도시된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방전모드에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이차측 스위치에 대한 가해지는 전압을 도시하기 위한 등가회로이다.
도 8 은 클램핑 커패시터와 이차측 스위치에 걸친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도 2 에 도시된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등가회로이다.
도 10 및 도 11 은 일차측 스위칭의 턴온시간과 공진기간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충전 모드에서의 유리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3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방전 모드에서의 유리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파라미터 | 지정자 | 값 |
DC-링크전압 | VDC | 380-420[V] |
최소 배터리 전압 | VBat _min | 250[V] |
최대 배터리 전압 | VBat _min | 420[V] |
정격 전력 | Po | 3.3[kW] |
스위칭 주파수 | fs | 30[kHz] |
공진 주파수 | fr | 107.3[kHz] |
유효 듀티(충전모드) | Dmin -max | 0.55-0.93 |
유효 듀티(방전모드) | Dmin -max | 0.1-0.4 |
파라미터 | 산출값 | 측정값 |
턴비(n1:n2) | 1:1.15 | 20:23 |
누설 인덕턴스(Llk1) | 24[μH] | 24.6[μH] |
자화 인덕턴스(Lm1) | 600[μH] | 605[μH] |
클램핑 커패시터(Cr) | 0.15[μH] | 0.15[μH] |
출력 인덕터(Lo) | 450[μH] | 452[μH] |
출력 커패시터(Co) | 480[μH] | 480[μH] |
스위치(S1-S4; Q1-Q4) | IPW65R041CFD | - |
코어크기 | PQ72/52 | - |
110: 변압기
121~124: 1차측 스위치
131~134: 2차측 스위치
140: 클램핑부
Claims (14)
-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입력 커패시터와 배터리 사이에서 전압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모드 또는 배터리 방전을 위한 방전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패시터와 연결되고 제1 스위치 내지 제4 스위치가 마련된 일차측 풀브릿지 회로;
상기 일차측 풀브릿지 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입력 전압을 변환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를 통해 변환된 입력 전압을 출력 인덕터 및 출력 커패시터 측으로 전달하며,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로 구성된 이차측 풀브릿지 회로; 및
상기 출력 인덕터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이차측 풀브릿지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압발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로서, 상기 클램핑부는 클램핑 커패시터 및 상기 클램핑 커패시터와 직렬 연결된 클램핑 스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클램핑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드시에는,
일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가 위상 시프트 제어되고, 이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는 동기 정류기로서 동작하고, 상기 클램핑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는 상기 일차측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2배인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일차측에 누설 인덕터 및 자화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인덕터와 상기 클램핑 커패시터는 공진 탱크를 구성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측의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래깅 스위치이고, 상기 일차측의 제 3 스위치 및 제 4 스위치는 리딩 스위치로 동작하며,
상기 클램핑 스위치는 상기 리딩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온되고 상기 래깅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오프되도록 하이브리드 스위칭 제어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모드시에는,
이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가 위상 시프트 제어되고, 일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는 동기 정류기로서 동작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는 상기 이차측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2배인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측의 제 1 스위치 및 제 3 스위치는 래깅 스위치이고, 상기 이차측의 제 2 스위치 및 제 4 스위치는 리딩 스위치로 동작하며,
상기 클램핑 스위치는 상기 리딩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온되고 상기 래깅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오프되도록 하이브리드 스위칭 제어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입력 커패시터와 배터리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모드 또는 배터리 방전을 위한 방전모드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입력 커패시터와 연결되며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가 마련된 일차측 풀브릿지 회로, 상기 일차측 풀브릿지 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입력 전압을 변환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를 통해 변환된 입력 전압을 출력 인덕터 및 출력 커패시터측으로 전달하며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로 구성된 이차측 풀브릿지 회로 및 상기 이차측 풀브릿지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압발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드시에는 일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가 위상 시프트 제어되고 이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는 동기 정류기로서 동작하고, 상기 클램핑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는 상기 일차측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2배이며,
상기 방전모드시에는 이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가 위상 시프트 제어되고 일차측의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는 동기 정류기로서 동작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출력 인덕터에 병렬 연결되고, 클램핑 커패시터 및 상기 클램핑 커패시터와 직렬 연결된 클램핑 스위치를 포함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일차측에 누설 인덕터 및 자화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인덕터와 상기 클램핑 커패시터는 공진 탱크를 구성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 삭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드시에는,
일차측의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래깅 스위치이고, 상기 일차측의 제 3 스위치 및 제 4 스위치는 리딩 스위치로 동작하며,
상기 클램핑 스위치는 상기 리딩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온되고 상기 래깅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오프되도록 하이브리드 스위칭 제어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모드시의 상기 클램핑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는 상기 이차측 제 1 스위치 내지 제 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2배인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모드시에는,
상기 이차측의 제 1 스위치 및 제 3 스위치는 래깅 스위치이고, 상기 이차측의 제 2 스위치 및 제 4 스위치는 리딩 스위치로 동작하며,
상기 클램핑 스위치는 상기 리딩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온되고 상기 래깅 스위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턴오프되도록 하이브리드 스위칭 제어되는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84206 | 2016-07-04 | ||
KR1020160084206 | 2016-07-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4673A KR20180004673A (ko) | 2018-01-12 |
KR101923317B1 true KR101923317B1 (ko) | 2018-11-28 |
Family
ID=6100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4400A KR101923317B1 (ko) | 2016-07-04 | 2017-07-03 |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331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9152A1 (en) * | 2020-04-17 | 2021-10-2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Dc-to-dc converter with freewheeling circuits |
WO2022114575A1 (ko) * | 2020-11-27 | 2022-06-02 | 한국전기연구원 | 배터리 충/방전용 dc-dc 컨버터 |
US11431253B2 (en) | 2020-12-21 | 2022-08-30 | Hyundai Mobis Co., Ltd. | Large capacity bidirectional isolated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018845A (ko) * | 2021-07-30 | 2023-02-07 |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충방전기 |
US11804782B2 (en) | 2022-01-28 | 2023-10-31 | Analog Devices, Inc. | Active-clamp current-fed push-pull converter for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96122B (zh) * | 2018-02-07 | 2020-08-18 | 深圳航天科技创新研究院 | 一种应用于高功率密度场合的高转换效率电压转换电路 |
KR102427408B1 (ko) | 2018-04-30 | 2022-08-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진 회로의 전압을 증가시키도록 스위칭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수신기 |
CN109921649B (zh) * | 2019-03-28 | 2024-09-13 | 苏州汇川联合动力系统股份有限公司 | 一种桥式直流变换器 |
CN110429823A (zh) * | 2019-08-07 | 2019-11-08 | 苏州汇川联合动力系统有限公司 | 直流降压电路、方法、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3014106A (zh) * | 2021-03-10 | 2021-06-22 | 哈尔滨理工大学 | 一种基于单神经元pid的移相全桥电路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29123A1 (en) | 2006-04-26 | 2009-05-21 | Thales | Insulated power transfer device |
JP2015139358A (ja) | 2014-01-24 | 2015-07-30 |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 Dc−dcコンバータ、二次電池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91960B1 (en) * | 2000-05-09 | 2001-02-20 | Lucent Technologies Inc. | Active clamp for isolated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
KR100732612B1 (ko) * | 2006-02-07 | 2007-06-27 |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고효율 강압형 직류-직류 컨버터 |
KR101442553B1 (ko) * | 2013-05-09 | 2014-09-26 | 홍성수 | 전원회로 |
KR101520257B1 (ko) * | 2013-10-29 | 2015-06-05 | 한국전기연구원 |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
KR101492620B1 (ko) * | 2013-12-13 | 2015-02-11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환류 전류의 제거기능을 갖는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 |
US20160181925A1 (en) * | 2014-12-17 | 2016-06-23 |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
-
2017
- 2017-07-03 KR KR1020170084400A patent/KR1019233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29123A1 (en) | 2006-04-26 | 2009-05-21 | Thales | Insulated power transfer device |
JP2015139358A (ja) | 2014-01-24 | 2015-07-30 |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 Dc−dcコンバータ、二次電池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Y. Miura et al. "Bidirectional Isolated Dual Full-bridge dc-dc Converter with Active Clamp for EDLC". IEEE. 2010.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9152A1 (en) * | 2020-04-17 | 2021-10-2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Dc-to-dc converter with freewheeling circuits |
WO2022114575A1 (ko) * | 2020-11-27 | 2022-06-02 | 한국전기연구원 | 배터리 충/방전용 dc-dc 컨버터 |
US11431253B2 (en) | 2020-12-21 | 2022-08-30 | Hyundai Mobis Co., Ltd. | Large capacity bidirectional isolated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018845A (ko) * | 2021-07-30 | 2023-02-07 |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충방전기 |
KR102529433B1 (ko) | 2021-07-30 | 2023-05-08 |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충방전기 |
US11804782B2 (en) | 2022-01-28 | 2023-10-31 | Analog Devices, Inc. | Active-clamp current-fed push-pull converter for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4673A (ko) | 2018-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317B1 (ko) |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
KR101884686B1 (ko) | 능동 클램프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
KR101840315B1 (ko) | 직렬 공진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
US6246599B1 (en) | Constant frequency resonant inverters with a pair of resonant inductors | |
US6992902B2 (en) | Full bridge converter with ZVS via AC feedback | |
US8441812B2 (en) | Series resonant converter having a circuit configuration that prevents leading current | |
KR101907119B1 (ko) | 하이브리드 풀브릿지 ll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
Mohammadi et al. | Family of soft-switching bidirectional converters with extended ZVS range | |
KR102009200B1 (ko) | 보조 lc 공진 회로를 갖는 양방향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 |
CN103580493A (zh) | 新式高功率变换器架构 | |
Kutkut | A full bridge soft switched telecom power supply with a current doubler rectifier | |
KR102009351B1 (ko) | 2개의 변압기 구조를 사용해 균형있는 2차측 전류를 갖는 고효율 llc 공진 컨버터 | |
KR101910533B1 (ko) | 소프트 스위칭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
Yang et al. | Phase-shifted full bridge converter featuring ZVS over the full load range | |
KR101270326B1 (ko) | 센터-탭 커패시터를 가진 두 스위치 플라이백 컨버터 | |
CN202586757U (zh) | 一种不隔离降压型直流-直流变换器 | |
KR102273763B1 (ko) | Llc 공진 컨버터 | |
Chen et al. | A novel ZVS full-bridge converter with auxiliary circuit | |
Mousavi et al. | A novel ZCS-PWM full-bridge converter with a simple active auxiliary circuit | |
KR102335940B1 (ko) |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
KR102030918B1 (ko) | 작은 출력전류 리플을 갖는 고효율 충전기 | |
Song et al. | A zero-voltage and zero-current switching three-level DC-DC converter with reduced rectifier voltage stress | |
Kutkut | A new dual-bridge soft switching DC-to-DC power converter for high power applications | |
Jeong et al. | New Two-Transformer 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 With Low Conduction Loss | |
Kejun et al. | Multi-Mode Control Based Current-Fed Full-Bridge DC-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