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40B1 -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5940B1 KR102335940B1 KR1020200009917A KR20200009917A KR102335940B1 KR 102335940 B1 KR102335940 B1 KR 102335940B1 KR 1020200009917 A KR1020200009917 A KR 1020200009917A KR 20200009917 A KR20200009917 A KR 20200009917A KR 102335940 B1 KR102335940 B1 KR 102335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mary
- resonant
- transformer
- reactance element
- b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02100030986 Transgelin-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4
- 108050006165 Transgelin-3 Protein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7556 39S ribosomal protein L17,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3441 Centromere protein J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000924474 Homo sapiens Annexin A2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907924 Homo sapiens Centromere protein J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693082 Homo sapiens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1-interacting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YAFQFNOUYXZVPZ-UHFFFAOYSA-N liproxstatin-1 Chemical compound ClC1=CC=CC(CNC=2C3(CCNCC3)NC3=CC=CC=C3N=2)=C1 YAFQFNOUYXZVP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100126074 Caenorhabditis elegans im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365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6466 Delta-like protein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000928513 Homo sapiens Delta-like protein 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276 delta-like ligand 3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바람직한 LLC 이득특성을 나타낸다.
도 2b 및 2c는 종래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CLLC 및 SRC 이득특성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1 타입 주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1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제1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이득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1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상세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1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1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h는 제1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이득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i 및 도 3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1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상세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1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b는 제2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이득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의 상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f 및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2의 상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2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i 및 도 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의 상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l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이득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m 및 도 4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의 상세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o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2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3 타입 주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b는 제3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이득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c 및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3 타입 주회로의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 및 순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에서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3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의 전압 이득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f 및 도 5g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3 타입 주회로의 역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 및 역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에서의 전압,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4-1 타입 주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4-2 타입 주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4-2 타입 주회로에서 2차측 분압 커패시터 대신 스위칭 소자를 적용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5 타입 주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이득특성에 대한 실험에 있어서 적용된 주요정격과 사양, 변압기 파라메타를 나타낸 표이다.
도 9는 제1 타입 주회로에 대한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 동작시의 실험파형이다.
도 10은 제1 타입 주회로에 대한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 동작시의 효율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타입 주회로에 대한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 동작시의 실험파형이다.
도 12는 제1 타입 주회로에 대한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 동작시의 효율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0 : 제2 전압원
1100 : 1차측 회로부
1200 : 2차측 회로부
1111 :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1112 :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
1211 :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1212 :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
C1 : 1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C2 : 1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
C3 :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C4 :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
Q1 ~ Q6 : 1차측 스위치 모듈
S1 ~ S6 : 2차측 스위치 모듈
Cr1 : 1차측 제1 공진 커패시터
Cr2 : 1차측 제2 공진 커패시터
CR1 : 2차측 제1 공진 커패시터
CR2 : 2차측 제2 공진 커패시터
T1 : 제1 변압기
T2 : 제2 변압기
NP1 :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NP2 :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
NP11 : 제1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
NP21 : 제2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
NP12 : 제1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
NP22 : 제2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
NS1 :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
NS2 :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
Claims (26)
- 제1 전압원과 연결되는 1차측 회로부 및 제2 전압원과 연결되는 2차측 회로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로서,
상기 1차측 회로부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1차측 스위치 모듈, 1차측 분압 커패시터부, 1차측 제1 공진회로부 및 1차측 제2 공진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부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2차측 스위치 모듈, 2차측 분압 커패시터부, 제1 변압기와 제2 변압기 각각의 2차측 권선,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1차측 제1 보조권선부 및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는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 1차측 제2 보조권선부 및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는 공진 커패시터와 공진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의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과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가 연결된 노드와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의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과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가 연결된 노드가 제1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 및 제2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 및 제2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는 같은 극성을 갖도록 감기고,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는 같은 극성을 갖도록 감기며,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 및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 중 하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는,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는,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 및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1-1 및 제1-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브리지-암 및 제1-3 및 제1-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1차측 분압 커패시터부는, 직렬로 연결된 1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1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전압원, 상기 제1 브리지-암 및 상기 제2 브리지-암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1-1 및 제1-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1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상기 1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가 연결되는 1차측 중심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1-3 및 제1-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1차측 중심노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브리지-암 및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4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2차측 분압 커패시터부는, 직렬로 연결된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압원, 상기 제3 브리지-암 및 상기 제4 브리지-암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상기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가 연결되는 2차측 중심노드에는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은 제2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브리지-암 및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4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2차측 분압 커패시터부는,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의 일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의 일단은 2차측 중심노드에서 만나 연결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상기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은 제2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의 타단 및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의 타단이 상기 2차측 중심노드에서 만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 전압원과 연결되는 1차측 회로부 및 제2 전압원과 연결되는 2차측 회로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로서,
상기 1차측 회로부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1차측 스위치 모듈, 1차측 제1 공진회로부 및 1차측 제2 공진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부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2차측 스위치 모듈, 2차측 분압 커패시터부, 제1 변압기와 제2 변압기 각각의 2차측 권선,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1차측 제1 보조권선부 및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는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 1차측 제2 보조권선부 및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는 공진 커패시터와 공진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의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과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가 연결된 노드와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의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과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가 연결된 노드가 제1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 및 제2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 및 제2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는 같은 극성을 갖도록 감기고,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는 같은 극성을 갖도록 감기며,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 및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 중 하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는,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는,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 및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1-1 및 제1-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브리지-암, 제1-3 및 제1-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브리지-암 및 제1-5 및 제1-6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브리지-암은 모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1-1 및 제1-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제1-5 및 제1-6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1차측 중심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1-3 및 제1-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1차측 중심노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4 브리지-암 및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5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2차측 분압 커패시터부는, 직렬로 연결된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압원, 상기 제4 브리지-암 및 상기 제5 브리지-암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상기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가 연결되는 2차측 중심노드에는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은 제2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1차측 회로부가 하프-브리지로 동작하는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2 또는 상기 1차측 회로부가 풀-브리지로 동작하는 순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1차측 스위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3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4 브리지-암 및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5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2차측 분압 커패시터부는,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은 2차측 중심노드에서 만나 연결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2차측 제1 분압 커패시터 및 상기 2차측 제2 분압 커패시터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은 제2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의 타단 및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의 타단이 상기 2차측 중심노드에서 만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1차측 회로부가 하프-브리지로 동작하는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2 또는 상기 1차측 회로부가 풀-브리지로 동작하는 순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1차측 스위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3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 전압원과 연결되는 1차측 회로부 및 제2 전압원과 연결되는 2차측 회로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로서,
상기 1차측 회로부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1차측 스위치 모듈, 1차측 제1 공진회로부 및 1차측 제2 공진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부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2차측 스위치 모듈, 제1 변압기와 제2 변압기 각각의 2차측 권선,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1차측 제1 보조권선부 및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는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 1차측 제2 보조권선부 및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는 공진 커패시터와 공진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의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과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가 연결된 노드와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의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과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가 연결된 노드가 제1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 및 제2 변압기 1차측 제1 보조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는 제1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 및 제2 변압기 1차측 제2 보조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는 같은 극성을 갖도록 감기고,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는 같은 극성을 갖도록 감기며,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 및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 중 하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8항에 있어서,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는,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는,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1차측 제1 보조권선부 및 상기 1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1차측 제2 보조권선부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1-1 및 제1-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브리지-암, 제1-3 및 제1-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브리지-암 및 제1-5 및 제1-6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브리지-암은 모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제1 공진회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1-1 및 제1-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제1-5 및 제1-6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1차측 중심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1차측 제2 공진회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1-3 및 제1-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1차측 중심노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스위치 모듈은,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4 브리지-암,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5 브리지-암 및 제2-5 및 제2-6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6 브리지-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4 내지 제6 브리지-암은 모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1 및 제2-2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1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3 및 제2-4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노드에는 상기 제2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이 접속되며,
제2-5 및 제2-6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는 2차측 중심노드에는 상기 2차측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 및 상기 2차측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1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 및 상기 제2 공진 리액턴스 소자의 타단은 제2 공통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1차측 회로부가 하프-브리지로 동작하는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 순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2 또는 상기 1차측 회로부가 풀-브리지로 동작하는 순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1차측 스위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력 전달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2차측 회로부가 하프-브리지로 동작하는 역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1, 역방향 하프-브리지 동작 모드 2 또는 상기 2차측 회로부가 풀-브리지로 동작하는 역방향 풀-브리지 동작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2차측 스위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3 스위칭 소자, 상기 제2-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3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제1항, 제7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은 누설인덕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압기 1차측 주권선 및 상기 제2 변압기 1차측 주권선은 상기 누설인덕턴스 대신 공진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917A KR102335940B1 (ko) | 2020-01-28 | 2020-01-28 |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917A KR102335940B1 (ko) | 2020-01-28 | 2020-01-28 |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446A KR20210096446A (ko) | 2021-08-05 |
KR102335940B1 true KR102335940B1 (ko) | 2021-12-07 |
Family
ID=7731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9917A Active KR102335940B1 (ko) | 2020-01-28 | 2020-01-28 |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59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08392B1 (ko) * | 2023-03-29 | 2025-05-1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진형 컨버터의 위상 천이 제어에 사용되는 동기 정류기 제어 방법 |
KR102705539B1 (ko) * | 2023-05-25 | 2024-09-10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2차측 llc 공진회로 적용 인터리브 컨버터 및 이를 채용하는 전력변환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7829B1 (ko) | 2013-01-03 | 2014-04-25 | 카코뉴에너지 주식회사 | 양방향 전력 변환 직류-직류 컨버터 |
KR101837603B1 (ko) | 2016-11-10 | 2018-03-12 | 주식회사 팩테크 | 넓은 입력 전압 범위 또는 넓은 출력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는 llc 공진 컨버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0323B1 (ko) * | 2011-10-28 | 2014-02-13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 |
KR102128327B1 (ko) * | 2019-07-22 | 2020-06-30 | 주식회사 팩테크 | Llc 공진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
2020
- 2020-01-28 KR KR1020200009917A patent/KR10233594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7829B1 (ko) | 2013-01-03 | 2014-04-25 | 카코뉴에너지 주식회사 | 양방향 전력 변환 직류-직류 컨버터 |
KR101837603B1 (ko) | 2016-11-10 | 2018-03-12 | 주식회사 팩테크 | 넓은 입력 전압 범위 또는 넓은 출력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는 llc 공진 컨버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A High Efficiency 2.5 kW Bidirectional FB-CLTC Resonant DC-DC Converter with Large Voltage Ratio"(2018 1st Workshop on Wide Bandgap Power Devices and Application in Asia(WiPDA Asia, 2018.01.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446A (ko) | 2021-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68896B (zh) | Dc到dc变流器和控制方法 | |
US6246599B1 (en) | Constant frequency resonant inverters with a pair of resonant inductors | |
US8891261B2 (en) | Three-phase three-level soft-switched PFC rectifiers | |
US6992902B2 (en) | Full bridge converter with ZVS via AC feedback | |
JP3132093B2 (ja) | 電源回路 | |
Yang et al. | Isolated boost circuit for power factor correction | |
TWI547076B (zh) | 低輸入電流諧波三相升壓整流器 | |
US6353547B1 (en) | Three-level soft-switched converters | |
US7405955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nd voltage converting method | |
KR101923317B1 (ko) |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
KR102009351B1 (ko) | 2개의 변압기 구조를 사용해 균형있는 2차측 전류를 갖는 고효율 llc 공진 컨버터 | |
KR101910533B1 (ko) | 소프트 스위칭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
KR102335940B1 (ko) |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
KR102196146B1 (ko) | 양방향 공진형 dc-dc 컨버터 | |
US20030123264A1 (en) | Half-bridge isolation stage topologies | |
US20220278609A1 (en) | Dual-capacitor resonant circuit for use with quasi-resonant zero-current-switching dc-dc converters | |
US20060176034A1 (en) | Multi-resonant dc-dc converter | |
CN111384858A (zh) | 全桥电路及全桥变换器 | |
WO2024051317A1 (zh) | 一种三相交错宽范围高效隔离双向变换器 | |
KR102428668B1 (ko) | 단일전력단 3 레벨 컨버터 | |
KR100828179B1 (ko) | 다상 플라이백 및 포워드 동기 정류회로 | |
KR102128327B1 (ko) | Llc 공진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30918B1 (ko) | 작은 출력전류 리플을 갖는 고효율 충전기 | |
KR20100078124A (ko) | 소프트 스위칭 기능을 갖는 dcdc 컨버터 | |
JP2715746B2 (ja) | 電源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