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257B1 -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0257B1 KR101520257B1 KR1020130129090A KR20130129090A KR101520257B1 KR 101520257 B1 KR101520257 B1 KR 101520257B1 KR 1020130129090 A KR1020130129090 A KR 1020130129090A KR 20130129090 A KR20130129090 A KR 20130129090A KR 101520257 B1 KR101520257 B1 KR 1015202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switching unit
- switching
- power source
- conver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e.g. by masking incorrect turn-on or turn-off signals, e.g. due to current spikes in current mod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벅 모드로 동작할 때의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할 때의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듀티 레이셔에 따른 전류 이득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 2 전압이 증가됨에 따라 DSP가 증가시키는 스위칭 주파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110: 제 1 전원
120: 제 2 전원
130: 제 1 스위칭부
140: 제 2 스위칭부
150: 변압기
160: 인덕터
170: 제어부
Claims (9)
- 벅(buck) 모드 또는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 가능한 양방향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제 1 전원에 직렬로 연결되어 스위칭 신호에 따른 온 및 오프 동작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전압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부;
제 1 차 측 권선으로 인가된 상기 스위칭된 제 1 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제 2 전원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른 온 및 오프 동작을 통해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전압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부;
상기 변압기의 제 2 차 측 권선과 상기 제 2 스위칭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변압된 제 1 전압과 상기 스위칭된 제 2 전압 사이의 차 전압을 인가받는 인덕터; 및
상기 벅 모드에 의해 상기 제 2 전압이 증가됨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제 1 전원 및 상기 제 1 스위칭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압을 클램핑(clamping)하는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전압 및 상기 제 2 스위칭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압을 클램핑하는 제 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벅 모드에 의해 상기 제 2 전압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벅 모드에 의해 상기 제 2 전압이 증가하여 상기 제 2 전압이 복수의 기준 전압 각각에 도달할 때마다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상기 복수의 기준 전압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 주파수 각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 및 상기 제 2 스위칭부 각각은,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각각의 온 및 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각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 및 상기 제 2 스위칭부 각각은,
풀 브릿지(full bridge) 회로, 하프 브릿지(half bridge) 회로 또는 센터 탭(center tap)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 및 상기 제 2 스위칭부 각각이 풀 브릿지 회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각각 4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스위칭부 각각은,
상기 4개의 스위치들 중 2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 1 그룹 스위치를 동시에 온 및 오프시키고, 상기 2개의 스위치들을 제외한 나머지 2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 2 그룹 스위치를 동시에 온 및 오프시키며, 상기 제 1 그룹 스위치와 상기 제 2 그룹 스위치를 상보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양방향 DC-DC 컨버터에 의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원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칭부를 이용하여, 스위칭 신호에 따른 온 및 오프 동작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전압을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직렬로 연결된 제 2 스위칭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른 온 및 오프 동작을 통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전압을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스위칭부 사이에 위치되는 변압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된 제 1 전압을 변압하는 단계;
상기 변압된 제 1 전압과 상기 스위칭된 제 2 전압 사이의 차 전압을 상기 제 2 스위칭부와 상기 변압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및
벅 모드에 의해 상기 제 2 전압이 증가됨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090A KR101520257B1 (ko) | 2013-10-29 | 2013-10-29 |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090A KR101520257B1 (ko) | 2013-10-29 | 2013-10-29 |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060A KR20150049060A (ko) | 2015-05-08 |
KR101520257B1 true KR101520257B1 (ko) | 2015-06-05 |
Family
ID=5338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9090A Active KR101520257B1 (ko) | 2013-10-29 | 2013-10-29 |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025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6761A (ko) * | 2017-12-22 | 2019-07-02 | 주식회사 포스코 | 커패시터 커플링 구조를 갖는 직류 전압 제어 장치 |
KR20210118652A (ko) * | 2020-03-23 | 2021-10-01 | 울산과학기술원 | 양극성 직류 배전 시스템을 위한 3 포트 듀얼 액티브 브리지 컨버터를 이용한 보조 전압 평형기 |
US11431253B2 (en) | 2020-12-21 | 2022-08-30 | Hyundai Mobis Co., Ltd. | Large capacity bidirectional isolated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1514330D0 (en) * | 2015-08-12 | 2015-09-23 | Isis Innovation | Smart cells and control methods and systems |
KR101923317B1 (ko) * | 2016-07-04 | 2018-11-28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양방향 풀브릿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
DE102016220354A1 (de) * | 2016-10-18 | 2018-04-19 | Robert Bosch Gmbh | Gleichspannungswandl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Gleichspannungswandlers |
JP2020005330A (ja) * | 2018-06-25 | 2020-01-09 | ダイヤモンド電機株式会社 | Dc−dcコンバータ |
KR102209402B1 (ko) * | 2018-12-18 | 2021-02-01 | 주식회사 포스코 | 커패시터 커플링 구조를 갖는 직류 전압 제어 장치 |
KR102775043B1 (ko) * | 2019-09-27 | 2025-02-2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관리 장치 |
KR20220063869A (ko) * | 2020-11-10 | 2022-05-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20220074084A (ko) * | 2020-11-27 | 2022-06-03 | 한국전기연구원 | 배터리 충/방전용 dc-dc 컨버터 |
KR102464118B1 (ko) * | 2021-08-18 | 2022-11-07 |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컨버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충방전기 |
KR102644445B1 (ko) * | 2021-11-16 | 2024-03-06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충전 시 전기차용 배터리의 전류 리플 제거를 위한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및 그 이용 방법 |
KR102528038B1 (ko) | 2022-04-19 | 2023-05-03 | (주)엠에이케이 | 마이너스 방전기능을 포함하는 배터리 테스트용 전원장치 및 전원시스템 |
CN117674562B (zh) * | 2022-08-31 | 2024-10-11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移相全桥变换器的控制方法、装置、变换器和控制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0402A (ja) * | 1998-08-03 | 2000-02-18 | Denso Corp |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電源装置 |
US6574125B2 (en) * | 2001-01-24 | 2003-06-03 | Nissin Electric Co., Ltd. | DC-DC converter an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2013
- 2013-10-29 KR KR1020130129090A patent/KR10152025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0402A (ja) * | 1998-08-03 | 2000-02-18 | Denso Corp |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電源装置 |
US6574125B2 (en) * | 2001-01-24 | 2003-06-03 | Nissin Electric Co., Ltd. | DC-DC converter an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IEEE 논문1(제목: Hybrid Modulation for Dual-Active-Bridge Bidirectional Converter With Extended Power Range for Ultracapacitor Application), 논문발표 2009년 * |
IEEE 논문1(제목: Hybrid Modulation for Dual-Active-Bridge Bidirectional Converter With Extended Power Range for Ultracapacitor Application), 논문발표 2009년* |
IEEE 논문2(제목: A Fully Regulated Dual-Output DC-DC Converter With Special-Connected Two Transformers(SCTTs) Cell and Complementary Pulsewidth Modulation-PFM(CPWM-PFM)), 논문발표 2010년 * |
IEEE 논문2(제목: A Fully Regulated Dual-Output DC-DC Converter With Special-Connected Two Transformers(SCTTs) Cell and Complementary Pulsewidth Modulation-PFM(CPWM-PFM)), 논문발표 2010년*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6761A (ko) * | 2017-12-22 | 2019-07-02 | 주식회사 포스코 | 커패시터 커플링 구조를 갖는 직류 전압 제어 장치 |
KR102098020B1 (ko) | 2017-12-22 | 2020-04-07 | 주식회사 포스코 | 커패시터 커플링 구조를 갖는 직류 전압 제어 장치 |
KR20210118652A (ko) * | 2020-03-23 | 2021-10-01 | 울산과학기술원 | 양극성 직류 배전 시스템을 위한 3 포트 듀얼 액티브 브리지 컨버터를 이용한 보조 전압 평형기 |
KR102400946B1 (ko) * | 2020-03-23 | 2022-05-23 | 울산과학기술원 | 양극성 직류 배전 시스템을 위한 3 포트 듀얼 액티브 브리지 컨버터를 이용한 보조 전압 평형기 |
US11431253B2 (en) | 2020-12-21 | 2022-08-30 | Hyundai Mobis Co., Ltd. | Large capacity bidirectional isolated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060A (ko) | 2015-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0257B1 (ko) |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 |
US10651731B1 (en) | Zero voltage switching of interleaved switched-capacitor converters | |
US7652898B2 (en) | Soft start circuit and power supply including soft start circuit | |
CN112511007A (zh) | 适用于宽输出电压范围的隔离式dc/dc转换器及其控制方法 | |
US20080043506A1 (en) | Dc-ac converter | |
CN110707930B (zh) | Dc/dc变换器 | |
CN103731036A (zh) | 双向dc/dc转换器 | |
KR101518336B1 (ko) | 배터리를 충방전하기 위한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방법 | |
WO2017110162A1 (ja) | ゲート駆動回路およびそのゲート駆動回路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 |
WO2019039487A1 (ja) | コンバータ | |
WO2019039489A1 (ja) | コンバータ | |
WO2019039488A1 (ja) | コンバータ | |
JP4619769B2 (ja) | 電源装置 | |
JP2004096816A (ja) | 多出力dc−dcコンバータ | |
TW200924362A (en) | DC/DC converters and related methods | |
JP2011199973A (ja) |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
WO2019142704A1 (ja) | 車載用のdcdcコンバータ | |
JP5966503B2 (ja)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および携帯機器 | |
KR101030776B1 (ko) | 승압형 직류/직류 변환기 | |
CN112400273B (zh) | 开关电源 | |
JP2019170073A (ja) | 車載用のdcdcコンバータ | |
JP2013005642A (ja) | 電力変換装置 | |
JP6029619B2 (ja) | コンバータ及び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 |
WO2021079625A1 (ja) | 絶縁型dcdcコンバータ | |
KR102077825B1 (ko) | 부스트 컨버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