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4875B1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875B1
KR101374875B1 KR1020110147538A KR20110147538A KR101374875B1 KR 101374875 B1 KR101374875 B1 KR 101374875B1 KR 1020110147538 A KR1020110147538 A KR 1020110147538A KR 20110147538 A KR20110147538 A KR 20110147538A KR 101374875 B1 KR101374875 B1 KR 10137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edge
retainer
ring groove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535A (ko
Inventor
김태주
박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14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875B1/ko
Priority to DE102012025574A priority patent/DE102012025574A1/de
Priority to CN2012105797232A priority patent/CN103185101A/zh
Priority to US13/729,686 priority patent/US9074650B2/en
Publication of KR2013007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몸체와 압축 리테이너 사이 및 피스톤 몸체와 인장 리테이너 사이에 안착 유닛이 형성된 실시예로부터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쇽업소버는 통상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적재화물의 보호 및 차량의 각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유체(오일)가 충진된 실린더와, 차체 측에 연결되어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피스톤 밸브를 구비한다.
최근, 피스톤 밸브에서는 튜닝의 자유도를 높여주는 샌드위치형 피스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피스톤 내부의 유로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가 중앙에 관통되고, 하단부는 입구가 되는 압축 유로와 상단부는 입구가 되는 인장 유로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며, 압축 유로 및 인장 유로의 입구는 압축 유로 및 인장 유로의 출구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고, 압축 유로 및 인장 유로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피스톤 몸체; 피스톤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압축 유로에 대응하는 연결홀이 관통되는 압축 리테이너; 피스톤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인장 유로에 대응하는 연결홀이 관통되는 인장 리테이너; 및 압축 리테이너와 피스톤 몸체 사이 및 피스톤 몸체와 인장 리테이너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피스톤 몸체에 압축 리테이너 및 인장 리테이너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안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 유닛은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게 피스톤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게 압축 리테이너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1 안착 어셈블리와,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게 인장 리테이너의 중앙에 형성된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2 안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과,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과,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과,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과,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과, 복수의 제1 보조돌편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1 링홈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과, 복수의 제2 보조돌편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2 링홈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과, 제1 보조돌편과 이웃한 제1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1 링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1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과, 제2 보조돌편과 이웃한 제2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2 링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2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몸체의 상측과 압축 리테이너 사이 및 피스톤 몸체의 하측과 인장 리테이너 사이에 안착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주요부인 안착 유닛의 제1 안착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100)와 압축 리테이너(200) 사이 및 피스톤 몸체(100)와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안착 유닛(500)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피스톤 몸체(100)는 실린더(이하 미도시)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400)가 중앙에 관통되고, 하단부는 입구가 되는 압축 유로(110)와 상단부는 입구가 되는 인장 유로(120)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압축 유로(110) 및 인장 유로(120)의 입구는 압축 유로(110) 및 인장 유로(120)의 출구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고, 압축 유로(110) 및 인장 유로(120)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압축 리테이너(200)는 피스톤 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압축 유로(110)에 대응하는 연결홀(210)이 관통되는 것이다.
인장 리테이너(300)는 피스톤 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인장 유로(120)에 대응하는 연결홀(320)이 관통되는 것이다.
안착 유닛(500)은 압축 리테이너(200)와 피스톤 몸체(100) 사이 및 피스톤 몸체(100)와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피스톤 몸체(100)에 압축 리테이너(200) 및 인장 리테이너(30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피스톤 몸체(100)의 상, 하부에 각각 압축 리테이너(200)와 인장 리테이너(300)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압착 유닛(500)에 의하여 정확한 결합 위치가 안내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안착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100)와 압축 리테이너(200) 사이 및 피스톤 몸체(100)와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1 안착 어셈블리(510)와 제2 안착 어셈블리(5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피스톤 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고, 압착 리테이너(200)가 정확한 위치에 피스톤 몸체(100)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인장 리테이너(300)의 중앙에 형성된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고, 피스톤 몸체(100)가 정확한 위치에 인장 리테이너(300)와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구체적으로, 제1 돌편(511)이 제1 링홈(512) 상에 돌출된 제1 보조돌편(513) 사이에 안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돌편(511)은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것이다.
제1 링홈(512)은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돌편(511)이 수용되게 함몰된 것이다.
제1 보조돌편(513)은 제1 돌편(51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복수로 돌출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는 피스톤 몸체(100) 상에 압축 리테이너(200)를 거치하면, 압축 리테이너(200)의 자중에 의하여 제1 돌편(511)이 제1 보조돌편(513) 사이를 찾아 들어가게 되면서 안착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구체적으로, 제2 돌편(521)이 제2 링홈(522) 상에 돌출된 제2 보조돌편(523) 사이에 결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2 돌편(521)은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것이다.
제2 링홈(522)은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521)이 수용되게 함몰된 것이다.
제2 보조돌편(523)은 제2 돌편(52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복수로 돌출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는 인장 리테이너(300)를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하고, 피스톤 몸체(100)를 인장 리테이너(300) 상에 탑재하면, 피스톤 몸체(100)의 자중에 의하여 제2 돌편(521)이 제2 보조돌편(523) 사이를 찾아 들어가게 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피스톤 로드에 인장 리테이너(300)와 피스톤 몸체(100) 및 압축 리테이너(200)의 순 또는 역순으로 끼우면 각 부품 사이의 정확한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안착 어셈블리(530)는 도 3과 같이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31)이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32)에 결합되어지되, 제1 돌편(531) 각각은 제1 돌편(53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53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3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안착 어셈블리(54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541)이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54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542)에 결합되어지되, 제2 돌편(541) 각각은 제2 돌편(54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54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4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안착 어셈블리(550)는 도 4와 같이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5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52)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552) 사이에 제1 돌편(553)이 결합되는 실시예의 적용도 가능하다.
제1 돌편(553)은 복수의 제1 보조돌편(552)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55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제1 링홈(551)에 수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안착 어셈블리(56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6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62)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562) 사이에 제2 돌편(563)이 결합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제2 돌편(563)은 복수의 제2 보조돌편(562)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56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제2 링홈(561)에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안착 어셈블리(570)는 도 5와 같이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71)과, 제1 링홈(57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72)을 포함한다.
제1 안착 어셈블리(570)는 제1 보조돌편(572)과 이웃한 제1 보조돌편(57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1 링홈(571)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1 돌편(573) 또한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안착 어셈블리(58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81)과, 제2 링홈(58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82)을 포함한다.
제2 안착 어셈블리(580)는 제2 보조돌편(582)과 이웃한 제2 보조돌편(58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2 링홈(581)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2 돌편(583) 또한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다양한 구조의 안착 유닛(500)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1 안착 어셈블리(590)를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로,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안착 어셈블리(590)와 상하 대칭 구조인 바, 편의상 도면 표시와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서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타원 부분(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의 하측에 다양한 형상의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제1 안착 어셈블리(590)의 형성 패턴을 평면상에 펼쳐서 도시한 것이다.
우선, 제1 안착 어셈블리는(590)는 도 6과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둥글게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91) 사이에 둥글게 함몰된 복수의 제1 홈(591')이 반복된 패턴을 형성하되, 제1 돌편(591) 각각은 제1 로드홀(10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둥글게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592) 사이에 둥글게 함몰된 복수의 제2 홈(592')에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 어셈블리(590)는 도 7과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방향으로 치우치게 돌출된 삼각 형상인 복수의 제1 돌편(593)에 대응되게 제1 로드홀(1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편(594)이 상호 톱니와 같이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 어셈블리(590)는 도 8과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이등변 삼각 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95)에 대응되게 제1 로드홀(1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편(596)이 상호 톱니와 같이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590)는 도 9와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두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진 사각 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97)에 대응되게 제1 로드홀(1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편(598)이 상호 톱니와 같이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피스톤 몸체 200...압축 리테이너
300...인장 리테이너 400...피스톤 로드
500...안착 유닛

Claims (10)

  1. 실린더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400)가 중앙에 관통되고, 하단부는 입구가 되는 압축 유로(110)와 상단부는 입구가 되는 인장 유로(120)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며, 상기 압축 유로(110) 및 상기 인장 유로(120)의 입구는 상기 압축 유로(110) 및 상기 인장 유로(120)의 출구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 유로(110) 및 상기 인장 유로(120)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피스톤 몸체(100);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압축 유로(110)에 대응하는 연결홀(210)이 관통되는 압축 리테이너(200);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하부에 안착되고 상기 인장 유로(120)에 대응하는 연결홀(210)이 관통되는 인장 리테이너(300); 및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와 상기 피스톤 몸체(100) 사이 및 상기 피스톤 몸체(100)와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몸체(100)에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 및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안착 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12)과,
    상기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1 안착 어셈블리(510)와,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의 중앙에 형성된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2 안착 어셈블리(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511)과,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돌편(51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512)과,
    상기 제1 돌편(51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521)과,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돌편(52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돌편(52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11)과,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돌편(51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512)과,
    상기 제1 돌편(51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521)과,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돌편(52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돌편(52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51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1 링홈(512)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5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과,
    상기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52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2 링홈(522)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5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제1 보조돌편(513)과 이웃한 제1 보조돌편(51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링홈(512)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1 돌편(5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과,
    상기 제2 보조돌편(523)과 이웃한 제2 보조돌편(52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링홈(522)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2 돌편(5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KR1020110147538A 2011-12-30 2011-12-30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KR10137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38A KR101374875B1 (ko) 2011-12-30 2011-12-30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DE102012025574A DE102012025574A1 (de) 2011-12-30 2012-12-21 Kolbenanordnung eines stossdämpers
CN2012105797232A CN103185101A (zh) 2011-12-30 2012-12-27 减震器的活塞组件
US13/729,686 US9074650B2 (en) 2011-12-30 2012-12-28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38A KR101374875B1 (ko) 2011-12-30 2011-12-30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535A KR20130078535A (ko) 2013-07-10
KR101374875B1 true KR101374875B1 (ko) 2014-03-18

Family

ID=4860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538A KR101374875B1 (ko) 2011-12-30 2011-12-30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74650B2 (ko)
KR (1) KR101374875B1 (ko)
CN (1) CN103185101A (ko)
DE (1) DE102012025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2654B2 (en) 2009-01-07 2016-09-27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8857580B2 (en) 2009-01-07 2014-10-14 Fox Factory, Inc.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9033122B2 (en) 2009-01-07 2015-05-19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8627932B2 (en) 2009-01-07 2014-01-14 Fox Factory, Inc.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10060499B2 (en) 2009-01-07 2018-08-28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10047817B2 (en) 2009-01-07 2018-08-14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20100170760A1 (en) 2009-01-07 2010-07-08 John Marking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11306798B2 (en) 2008-05-09 2022-04-19 Fox Factory, Inc. Position sensitive suspension damping with an active valve
US8393446B2 (en) 2008-08-25 2013-03-12 David M Haug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lock out and signal generation
US10036443B2 (en) 2009-03-19 2018-07-31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adjustment
US9140325B2 (en) 2009-03-19 2015-09-22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pring pre-load adjustment
US9422018B2 (en) 2008-11-25 2016-08-23 Fox Factory, Inc. Seat post
US12122205B2 (en) 2009-01-07 2024-10-22 Fox Factory, Inc. Active valve for an internal bypass
US11299233B2 (en) 2009-01-07 2022-04-12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10821795B2 (en) 2009-01-07 2020-11-03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9038791B2 (en) 2009-01-07 2015-05-26 Fox Factory, Inc. Compression isolator for a suspension damper
US8838335B2 (en) 2011-09-12 2014-09-16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set up
US8936139B2 (en) 2009-03-19 2015-01-20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adjustment
US8672106B2 (en) 2009-10-13 2014-03-18 Fox Factory, Inc. Self-regulating suspension
US8955653B2 (en) 2009-10-13 2015-02-17 Fox Factory,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uid damper
US10697514B2 (en) 2010-01-20 2020-06-30 Fox Factory, Inc.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EP3778358B1 (en) 2010-07-02 2023-04-12 Fox Factory, Inc. Positive lock adjustable seat post
EP3636953B1 (en) 2011-05-31 2023-09-27 Fox Factory, Inc. Apparatus for position sensitive and/or adjustable suspension damping
US11279199B2 (en) 2012-01-25 2022-03-22 Fox Factory, Inc. Suspension damper with by-pass valves
JP5785510B2 (ja) * 2012-03-14 2015-09-3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器のバルブ構造
US10330171B2 (en) * 2012-05-10 2019-06-25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WO2016121593A1 (ja) * 2015-01-30 2016-08-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流体圧緩衝器
US10737546B2 (en) 2016-04-08 2020-08-11 Fox Factory, Inc. Electronic compression and rebound control
US11788621B2 (en) 2021-11-10 2023-10-17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Piston assembly formed of interlocking piston memb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268A (ja) * 1995-03-24 1996-10-08 Tokico Ltd 油圧緩衝器
KR20070073213A (ko)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20110001283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JP2011038626A (ja) 2009-08-18 2011-02-24 Kyb Co Ltd ピストン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0023A1 (de) * 1991-03-27 1992-10-01 Ringsdorff Werke Gmbh Stossdaempferkolben aus ungleichen, gefuegten teilen
EP0557548B1 (de) * 1992-02-26 1994-10-05 Ringsdorff Sinter GmbH Mehrteiliger Stossdämpferkolben mit Fügeelementen
DE19847343A1 (de) * 1998-10-14 2000-04-20 Gkn Sinter Metals Holding Gmbh Kolben mit druckabhängiger Dichtwirkung für eine Kolben-Zylinder-Anordnung, insbesondere Stoßdämpferkolben
DE19847341A1 (de) * 1998-10-14 2000-04-20 Gkn Sinter Metals Holding Gmbh Kolben für eine Kolben-Zylinder-Anordnung, insbesondere Stoßdämpferkolben
DE10013638C1 (de) * 2000-03-18 2001-09-20 Krupp Bilstein Gmbh Stoßdämpferkolben, bestehend aus zwei Kolbenhälften
US6460664B1 (en) * 2000-05-22 2002-10-08 Tenneco Automotive Inc. Independently tunable variable bleed orifice
JP4352390B2 (ja) * 2003-12-25 2009-10-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ピストン構造体
DE102005046276B3 (de) * 2005-09-27 2007-06-14 Thyssenkrupp Bilstein Suspension Gmbh Dämpfventileinrichtung mit progressivem Dämpfkraftverlauf
JP2007198515A (ja) * 2006-01-27 2007-08-09 Kayaba Ind Co Ltd ピストン
JP2009014012A (ja) * 2007-06-29 2009-01-22 Hitachi Ltd 緩衝器
US8083039B2 (en) * 2007-08-29 2011-12-2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isc spring intake
JP2009209960A (ja) * 2008-02-29 2009-09-17 Hitachi Ltd 緩衝器
JP5290701B2 (ja) * 2008-03-26 2013-09-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流体圧緩衝器
JP5115814B2 (ja) * 2008-05-30 2013-01-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5518561B2 (ja) * 2010-04-28 2014-06-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KR101288613B1 (ko) * 2011-08-11 2013-07-22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268A (ja) * 1995-03-24 1996-10-08 Tokico Ltd 油圧緩衝器
KR20070073213A (ko)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20110001283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JP2011038626A (ja) 2009-08-18 2011-02-24 Kyb Co Ltd ピス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025574A1 (de) 2013-07-04
US20130168195A1 (en) 2013-07-04
KR20130078535A (ko) 2013-07-10
CN103185101A (zh) 2013-07-03
US9074650B2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875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JP5917540B2 (ja) 冷凍圧縮機の吸入バルブおよびその取り付けプロセス
KR101288613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KR101374877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CN108779828B (zh) 具有缓冲阀的减震器
KR101883544B1 (ko) 체인 텐셔너
CN209146204U (zh) 带有液压缓冲止动器的减振器
EP3330565A1 (en) Diaphragm damper device, holding member therefor, and production method for diaphragm damper device
CN102112705A (zh) 用于梃杆的对齐装置
KR101895671B1 (ko) 텐셔너
KR101937324B1 (ko) 2 피스형 오일젯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N101196202A (zh) 阻尼器固定机构
KR102323479B1 (ko)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KR101364454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US20150143705A1 (en) Power Tool, Saw Blade and Power Tool System
KR20140113000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KR101670047B1 (ko) 가스 실린더
JP2004530830A (ja) 双方向弁を備えたダブルアクション単式プランジャポンプ
KR101798560B1 (ko) 완충기
KR101716831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어셈블리
KR101913116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어셈블리
KR101716694B1 (ko) 쇽업소버용 피스톤
KR20210085819A (ko) 미세진동 흡수용 유압 댐퍼
KR101419731B1 (ko) 쇽업소버의 이중 씰 모듈
JP5587961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