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5671B1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671B1
KR101895671B1 KR1020160090784A KR20160090784A KR101895671B1 KR 101895671 B1 KR101895671 B1 KR 101895671B1 KR 1020160090784 A KR1020160090784 A KR 1020160090784A KR 20160090784 A KR20160090784 A KR 20160090784A KR 101895671 B1 KR101895671 B1 KR 10189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relief
hole
spring
ski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280A (ko
Inventor
코헤이 쿠니마츠
마사노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7001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6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16H2007/0814Fluid pressure with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과제] 간소한 구성으로, 가공 부담이나 조립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플런저(20), 하우징(30), 메인 스프링(60), 릴리프 밸브(40)를 구비하고, 릴리프 밸브(40)는 시트 부재(41), 밸브체(42), 릴리프 스프링(43)을 가지고, 플런저(20)에는, 외부 릴리프 유로(23), 플런저 저부(22)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저부 돌기(22a)가 형성되고, 릴리프 스프링(43)이, 그 일단이 밸브체(42)에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저부 돌기(22a)에 설치되어 있는 텐셔너(10).

Description

텐셔너{TENSIONER}
본 발명은 주행하는 체인이나 벨트 등에 적정 장력을 부여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지(保持)하기 위해 텐셔너를 이용하는 것이 관용되어 있고, 예를 들면,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켓(sprocket) 간에 무단 세팅한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텐셔너 레버에 의해서 접동(摺動)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서,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지하기 위해서, 텐셔너에 의해 텐셔너 레버를 부세(付勢)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 기구에 이용되는 공지의 텐셔너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측에 개구된 플런저 홀(plunger hole)(521)을 가지는 플런저(520), 플런저(520)를 수용하는 전방 측에 개구된 플런저 수용 홀(531)을 가지는 하우징(530), 플런저(520) 및 플런저 수용 홀(531)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oil pressure chamber)(5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고 플런저(520)를 전방 측을 향해 부세하는 메인 스프링(560), 압유실(511)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압유실(511)의 오일을 플런저(520) 외로 릴리프 하는 릴리프 밸브(540)를 구비하는 텐셔너(510)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텐셔너(510)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 저부(522)에, 압유실(511)에 연통하는 압력 통로(524), 압력 통로(524)와 플런저(520)의 외부를 연통하는 유출구(523), 압력 통로(524)의 전방 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실(525)이 형성되고, 또, 릴리프 밸브(540)가 압력 통로(524)에 접동 자재로 감삽(嵌揷)되는 밸브체(542), 스프링 수용실(525) 내에 배치되고 밸브체(542)를 압유실(511) 측을 향해 부세하는 릴리프 스프링(54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텐셔너(510)에서는, 압유실(511)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릴리프 스프링(543)의 부세력에 저항해 밸브체(542)가 전방 측을 향해 이동하고, 압력 통로(524)가 유출구(523)와 연통되어 유출구(523)로부터 오일이 릴리프 된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1-1256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텐셔너(510)에서는, 플런저(520)에, 릴리프 스프링(543)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실(525)이나, 밸브체(542)의 자세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압력 통로(524)를 형성하는 등, 플런저(520)에 복잡한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조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플런저에 대한 복잡한 가공을 회피하는 1개의 안으로서, 도 9에 나타내는 참고예의 텐셔너(610)와 같이, 플런저 홀(621) 내의 저부 부근에, 플런저 홀(621) 내를 후방측의 압유 공간(621a)과 전방 측의 릴리프 공간(621b)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내부 릴리프 홀(641a)이 형성된 시트 부재(641), 내부 릴리프 홀(641a)을 전방 측으로부터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밸브체(642), 밸브체(642)를 내부 릴리프 홀(641a) 측을 향해 부세하는 릴리프 스프링(643), 릴리프 스프링(643)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에서의 밸브체(642)의 스트로크(stroke)를 규제하는 돌기가 부착된 부재(644)를 배치하여, 이들 구성 부품 641~644에 의해서, 릴리프 밸브(640)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시트 부재(641) 및 돌기가 부착된 부재(644)는, 메인 스프링(660)에 의해서, 플런저 저부(622)에 눌려 고정된다.
그런데, 도 9에 나타내는 텐셔너(610)에서는, 시트 부재(641)와 돌기가 부착된 부재(644)의 사이, 및, 돌기가 부착된 부재(644)와 플런저 저부(622)의 사이에 극간(隙間)이 생기면, 압유 공간(621a) 내의 오일이, 릴리프 공간(621b)이나 플런저(620)의 외부로 빠져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641)와 돌기가 부착된 부재(644)와 플런저 저부(622)의 각 씰면(seal surfaces)(구체적으로는, 시트 부재(641)의 플랜지부(flange)(641d)의 전면, 돌기가 부착된 부재(644)의 플랜지부(644a)의 후면 및 전면, 플런저 저부(622)의 후면)을 고정밀도로 형성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고, 간소한 구성으로, 가공 부담이나 조립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측에 개구된 플런저 홀을 가지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에 개구된 플런저 수용 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수용 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고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해 부세하는 메인 스프링, 상기 플런저 홀 내에 배치되는 릴리프 밸브를 구비하는 텐셔너로,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플런저 홀 내를 후방측의 압유 공간과 전방 측의 릴리프 공간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내부 릴리프 홀이 형성된 시트 부재, 상기 내부 릴리프 홀을 상기 릴리프 공간 측으로부터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내부 릴리프 홀 측을 향해 부세하는 릴리프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릴리프 공간과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연통하는 외부 릴리프 유로, 상기 플런저의 플런저 저부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저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릴리프 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밸브체에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상기 저부 돌기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과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 플런저 저부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저부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부품 점수를 저감하고, 조립하는 작업과 관련되는 작업 부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고, 릴리프 스프링을 지지함과 동시에 밸브체의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돌기가 부착된 부재를 별부품으로 설치했을 경우와 같이, 돌기가 부착된 부재와 시트 부재의 사이에서 오일이 빠져나올 우려를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구성 요소의 형성에 관한 요구 정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삭이나 연삭 등의 기계가공을 플런저에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부담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본 청구항 2와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저부 돌기의 중앙에, 저부 돌기의 후면으로부터 플런저 저부의 전면으로 관통하는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중앙 관통공을 외부 릴리프 유로로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고, 플런저 저부를 전면 측에서 후면 측으로 밀어넣는 가공에 의해서, 저부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절삭이나 연삭 등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부 돌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과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저부 돌기의 후면 상에, 오일 유통 홈(oil communication groove)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일 릴리프 시에, 밸브체가 저부 돌기 상에 착석(着座)했을 때에도, 오일 유통 홈에 의해서, 플런저 홀 내의 릴리프 공간과 중앙 관통공을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일 유통 홈 및 중앙 관통공을 통해서 오일을 외부로 릴리프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와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 저부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스커트 좌부(座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텐셔너의 조립시에, 시트 부재의 스커트부를 스커트 좌부에 끼워넣는 것으로, 시트 부재를 플런저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고, 플런저 저부에 대해서 시트 부재를 누르는 부세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시트 부재의 스커트부를 스커트 좌부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5와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 저부에, 플런저 저부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관통하는 외부 릴리프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외부 릴리프용 관통공을 외부 릴리프 유로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릴리프 되는 오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청구항 6과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메인 스프링의 전단(前端)이, 시트 부재의 플랜지부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메인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서 플런저 저부에 대해서 시트 부재를 눌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런저 홀에 대해서 릴리프 밸브의 구성 부품을 압입시키지 않고, 릴리프 밸브를 플런저에 대해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메인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릴리프 스프링의 스프링력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플런저 저부에 대해서 시트 부재를 안정하게 누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텐셔너를 조립한 타이밍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플런저 저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플런저 저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플런저 저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 예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참고예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텐셔너(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텐셔너(10)는, 자동차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 조립되는 것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고, 복수의 스프로켓 S1~S3에 걸어 돌려진 전동 체인 CH의 늘어진 측에 텐셔너 레버 G를 통해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고, 주행 시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텐셔너(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 홀(21)을 가지는 플런저(20), 플런저(20)를 수용하는 플런저 수용 홀(31)을 가지는 하우징(30), 플런저 홀(21) 내에 배치되는 릴리프 밸브(40), 하우징(30)의 저부(32) 측에 배치되는 체크 밸브(50), 플런저(20) 및 플런저 수용 홀(31)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고 플런저(20)를 전방 측을 향해 부세하는 메인 스프링(6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텐셔너(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플런저(20)는, 철 등의 금속으로부터 형성되고,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측에 개구된 원통상의 플런저 홀(21), 전방 측에 형성된 원판상의 플런저 저부(22)를 가지고 있다.
플런저 저부(22)에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 저부(22)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상의 저부 돌기(22a)가 형성되고, 저부 돌기(22a)의 중앙에는, 저부 돌기(22a)의 후면으로부터 플런저 저부(22)의 전면으로 관통하는 중앙 관통공(22b)이 형성되어 있다.
저부 돌기(22a)는, 플런저 저부(22)를 전면 측에서 후면 측에 밀어넣는 조임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플런저 홀(21)을 가진 플런저(20)에 대해서도, 딥드로우(deep drawing)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 저부 돌기(22a)는, 릴리프 밸브(40)의 릴리프 스프링(43)의 일단을 감합시켜 지지하는 부위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압유실(11)내의 오일을 릴리프 할 때에, 오일로 밀린 전방 측을 향해 이동 한 릴리프 밸브(40)의 밸브체(42)를 착석시켜, 전후 방향에서의 밸브체(42)의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부위로도 기능한다.
저부 돌기(22a)의 후면 상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 돌기(22a)의 외주 측에서 중앙 관통공(22b)에 이르는 십자상의 오일 유통 홈(2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유통 홈(22c)은, 밸브체(42)가 저부 돌기(22a)에 착석한 상태로, 플런저 홀(21) 내의 릴리프 공간(21b)과 중앙 관통공(22b)을 연통시키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오일 릴리프 시에 밸브체(42)가 저부 돌기(22a)에 착석했을 때라도, 릴리프 공간(21b) 내의 오일을 플런저(20)의 외부로 릴리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관통공(22b) 및 오일 유통 홈(22c)이, 릴리프 공간(21b)과 플런저(20)의 외부를 연통하는 외부 릴리프 유로(23)로서 기능 한다.
또한, 오일 유통 홈(22c)의 개수나 형상 등의 구체적 모양은, 저부 돌기(22a)에 밸브체(42)가 착석한 상태로 릴리프 공간(21b)과 중앙 관통공(22b)을 연통시키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하우징(30)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측에 개구된 원통상의 플런저 수용 홀(31), 후방 측에 형성된 저부(32), 저부(32)에 형성되고 하우징(30)의 외벽으로부터 플런저 수용 홀(31)까지 관통하는 오일 공급공(33), 하우징(30)을 엔진 블록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부(34)를 가지고 있다.
릴리프 밸브(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 홀(21) 내를 후방측의 압유 공간(21a)과 전방 측의 릴리프 공간(21b)으로 구분하는 시트 부재(41), 시트 부재(41)에 형성된 내부 릴리프 홀(41a)을 릴리프 공간(21b) 측으로부터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밸브체(42), 밸브체(42)를 내부 릴리프 홀(41a) 측을 향해 부세하는 릴리프 스프링(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4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릴리프 홀(41a)이 형성된 정부(頂部)(41b), 정부(41b)의 주변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수하(垂下)되는 스커트부(41c), 스커트부(41c)의 전단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퍼지는 플랜지부(41d)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41d)는, 플런저 저부(22)에 밀착해 배치된다.
밸브체(4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내부 릴리프 홀(41a)를 막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릴리프 스프링(43)은, 그 일단이 밸브체(42)에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저부 돌기(22a)의 외주에 감합된다.
체크 밸브(50)는, 오일 공급공(33)을 통한 외부로부터 압유실(11)에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오일 공급공(33)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체크 밸브(5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저부(32)의 전면에 밀착해 배치된 볼 시트(51), 볼 시트(51)에 밀착 가능하게 착석하는 구상의 체크 볼(52), 체크 볼(52)의 전방에 배치되고 체크 볼(52)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테이너(53), 체크 볼(52)과 리테이너(53)의 사이에 배치된 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체크 볼(52)을 볼 시트(51) 측을 향해 부세하는 것이지만,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메인 스프링(6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단이 시트 부재(41)의 플랜지부(41d)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그 후단이 리테이너(53)의 플랜지부의 전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 스프링(60)은, 시트 부재(41)를 플런저 저부(22)로 누름과 동시에, 볼 시트(51) 및 리테이너(53)를 하우징(30)의 저부(32)로 누르고 있다. 메인 스프링(60)의 스프링력은, 릴리프 스프링(43)의 스프링력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텐셔너(10)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 돌기(22a)의 외주 측에 인접하고, 플런저 저부(22)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환상의 스커트 좌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커트 좌부(22d)의 플런저 저부(22)로부터의 돌출량은, 저부 돌기(22a)의 플런저 저부(22)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다. 그리고, 시트 부재(41)의 스커트부(41c)는, 스커트 좌부(22d)의 외주에 감합(경압입)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스프링(60)의 스프링력이 릴리프 스프링(43)의 스프링력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41)가 플런저 저부(22)에 고정되므로, 메인 스프링(60)의 스프링력을 릴리프 스프링(43)의 스프링력보다 작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텐셔너(10)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 저부(22)에, 저부 돌기(22a)의 외주 측에, 플런저 저부(22)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외부 릴리프용 관통공(22e)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외부 릴리프용 관통공(22e)이 중앙 관통공(22b)과 함께, 릴리프 공간(21b)과 플런저(20)의 외부를 연통하는 외부 릴리프 유로(23)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텐셔너(10)에서는, 저부 돌기(22a)의 후면에 오일 유통 홈(22c)이 형성되지 않지만, 오일 유통 홈(22c)을 형성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의 각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텐셔너를 구성해도 아무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텐셔너가 자동차 엔진용 타이밍 시스템에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텐셔너의 구체적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텐셔너가 텐셔너 레버를 통해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플런저의 선단에서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의 접동 안내를 실시해,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게다가 전동 체인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장척물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는 용도이면, 여러 가지의 산업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엔진 블록 등에 설치되는 소위 텐셔너 바디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하우징의 구체적 모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텐셔너 바디에 형성된 바디 홀 내에 삽입되는 원통상의 소위 슬리브(sleeve)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저부 돌기의 중앙부에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중앙 관통공 이외에 외부 릴리프 유로로서 기능하는 부위를 형성했을 경우에는, 중앙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외부 릴리프 유로의 구체적 모양에 대해서는, 플런저 홀 내의 릴리프 공간과 플런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10…텐셔너
11…압유실
20…플런저
21…플런저 홀
21a…압유 공간
21b…릴리프 공간
22…플런저 저부
22a…저부 돌기
22b…중앙 관통공
22c…오일 유통 홈
22d…스커트 좌부
22e…외부 릴리프용 관통공
23…외부 릴리프 유로
30…하우징
31…플런저 수용 홀
32…저부
33…오일 공급공
34…부착부
40…릴리프 밸브
41…시트 부재
41a…내부 릴리프 홀
41b…정부
41c…스커트부
41d…플랜지부
42…밸브체
43…릴리프 스프링
50…체크 밸브
51…볼 시트
52…체크 볼
53…리테이너
60…메인 스프링
S1~S3…스프로켓
CH…전동 체인
G…텐셔너 레버

Claims (6)

  1. 후방 측에 개구된 플런저 홀을 가지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에 개구된 플런저 수용 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수용 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고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해 부세하는 메인 스프링, 상기 플런저 홀 내에 배치되는 릴리프 밸브를 구비하는 텐셔너로,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플런저 홀 내를 후방측의 압유 공간과 전방 측의 릴리프 공간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내부 릴리프 홀이 형성된 시트 부재, 상기 내부 릴리프 홀을 상기 릴리프 공간 측으로부터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내부 릴리프 홀 측을 향해 부세하는 릴리프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단일의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며, 상기 릴리프 공간과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연통하는 외부 릴리프 유로, 상기 플런저의 플런저 저부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저부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저부 돌기의 중앙에는, 상기 저부 돌기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플런저 저부의 전면으로 관통하고, 상기 외부 릴리프 유로로서 기능하는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릴리프 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밸브체에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상기 저부 돌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돌기의 후면 상에는, 오일 유통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내부 릴리프 홀이 형성된 정부, 상기 정부의 주변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수하되는 스커트부를 가지고,
    상기 저부 돌기의 외주 측에는, 상기 플런저 저부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는 스커트 좌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스커트 좌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저부에는, 상기 저부 돌기의 외주 측에, 상기 플런저 저부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관통하는 외부 릴리프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내부 릴리프 홀이 형성된 정부, 상기 정부의 주변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수하되는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전단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퍼지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메인 스프링의 전단은, 상기 플랜지부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상기 릴리프 스프링의 스프링력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6. 삭제
KR1020160090784A 2015-08-03 2016-07-18 텐셔너 Expired - Fee Related KR101895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3111A JP6374840B2 (ja) 2015-08-03 2015-08-03 テンショナ
JPJP-P-2015-153111 2015-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80A KR20170016280A (ko) 2017-02-13
KR101895671B1 true KR101895671B1 (ko) 2018-09-05

Family

ID=5785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5671B1 (ko) 2015-08-03 2016-07-18 텐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23730B2 (ko)
JP (1) JP6374840B2 (ko)
KR (1) KR101895671B1 (ko)
CN (1) CN106402299B (ko)
DE (1) DE10201621377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686B1 (ko) * 2014-08-09 2022-05-23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압력 릴리프 밸브 조정 특징
DE102016207779B4 (de) * 2016-05-04 2022-01-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JP6813780B2 (ja) * 2017-03-21 2021-01-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CN110005770B (zh) * 2017-12-22 2022-05-06 株式会社椿本链条 张紧装置
JP6970342B2 (ja) * 2018-02-16 2021-11-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1212A (ja) 2006-08-24 2008-03-0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12017824A (ja) * 2010-07-09 2012-01-2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2017B2 (ja) * 1996-05-10 2006-03-08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油圧テンショナ
JPH09303503A (ja) * 1996-05-10 1997-11-25 Borg Warner Automot Kk 油圧テンショナ
JPH09303506A (ja) * 1996-05-10 1997-11-25 Borg Warner Automot Kk 油圧テンショナ
CN1092304C (zh) * 1996-08-02 2002-10-09 Ina滚动轴承谢夫勒无限责任公司 张紧装置
US6361458B1 (en) * 1998-04-20 2002-03-2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ressure relief valve
JP3243226B2 (ja) * 1999-02-18 2002-01-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3322396B2 (ja) 1999-06-30 2002-09-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1021011A (ja) * 1999-07-05 2001-01-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液圧テンショナ
JP2001021013A (ja) * 1999-07-06 2001-01-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液圧テンショナ
JP3356762B2 (ja) * 2000-10-26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機構付きテンショナ
US6945889B2 (en) * 2002-10-04 2005-09-20 Borgwarner Inc. Hydraulic chain tensioner
DE102004040222A1 (de) * 2004-08-19 2006-03-02 Ina-Schaeffler Kg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JP4509716B2 (ja) * 2004-09-17 2010-07-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式テンショナリフタ
JP3980023B2 (ja) * 2004-10-26 2007-09-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付き油圧式テンショナ
JP3962052B2 (ja) * 2004-11-02 2007-08-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3962054B2 (ja) * 2004-11-22 2007-08-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脱気型油圧テンショナ
JP4357549B2 (ja) * 2007-06-19 2009-11-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俯角設置可能な油圧式テンショナ
DE102007033600A1 (de) 2007-07-17 2009-01-22 Schaeffler Kg Hydraulisches Spannsystem mit integriertem Überdruckventil
JP2009275756A (ja) * 2008-05-13 2009-11-2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5143200B2 (ja) * 2009-09-09 2013-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装置
DE102011005193A1 (de) * 2010-04-23 2011-11-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r Spanner
DE102011002761B4 (de) * 2011-01-17 2020-01-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ugmittelspannvorrichtung mit Sicherungselement sowie Verbrennungskraftmaschine mit einer solchen Zugmittelspannvorrichtung
DE102011006602A1 (de) * 2011-03-31 2012-10-0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Zugmittelspanner mit einem Überdruckventil, das einen dichtenden Käfig aufweist sowie Zugmitteltrieb mit einem solchen Zugmittelspanner
WO2013119412A1 (en) * 2012-02-06 2013-08-15 Borgwarner Inc. Variable flow hydraulic chain tensioner
JP5848269B2 (ja) * 2013-01-11 2016-01-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N203532640U (zh) * 2013-06-20 2014-04-09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新型棘轮式液压张紧机构
JP6310335B2 (ja) * 2014-02-21 2018-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テンショ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1212A (ja) 2006-08-24 2008-03-0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12017824A (ja) * 2010-07-09 2012-01-2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13772A1 (de) 2017-02-09
KR20170016280A (ko) 2017-02-13
US10323730B2 (en) 2019-06-18
JP2017032077A (ja) 2017-02-09
JP6374840B2 (ja) 2018-08-15
CN106402299B (zh) 2019-03-12
US20170037939A1 (en) 2017-02-09
CN106402299A (zh) 2017-02-15
DE102016213772B4 (de)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671B1 (ko) 텐셔너
US10781894B2 (en) Tensioner
US10767740B2 (en) Tensioner
US10683913B2 (en) Tensioner
KR101927588B1 (ko) 텐셔너
US10753433B2 (en) Tensioner
KR102039159B1 (ko) 텐셔너
US11143100B2 (en) Tensioner
US11268598B2 (en) Tensioner
KR20170024536A (ko) 텐셔너
KR101922298B1 (ko) 텐셔너
CN112065939B (zh) 张紧装置
JP2019143731A (ja) テンショナ
KR102692049B1 (ko) 텐셔너
US20170108093A1 (en) Tensioner
JP2019039460A (ja) テンショナ
JP2018165571A (ja) テンショナ
KR102108942B1 (ko) 텐셔너
KR102156056B1 (ko) 텐셔너
JP2019015360A (ja) 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