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2018B1 -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018B1
KR101132018B1 KR1020100066486A KR20100066486A KR101132018B1 KR 101132018 B1 KR101132018 B1 KR 101132018B1 KR 1020100066486 A KR1020100066486 A KR 1020100066486A KR 20100066486 A KR20100066486 A KR 20100066486A KR 101132018 B1 KR101132018 B1 KR 10113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enable signal
response
negativ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815A (ko
Inventor
이재호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10006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18B1/ko
Priority to US12/982,468 priority patent/US8427869B2/en
Priority to CN201110049297.7A priority patent/CN102314946B/zh
Publication of KR2012000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블럭, 블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블럭을 선택하기 위한 양의 전위 또는 음의 전위를 갖는 블럭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블럭 디코더 회로, 및 상기 블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해당 메모리 블럭에 동작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동작 전압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럭 디코더 회로는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이 상기 해당 메모리 블럭의 어드레스와 일치할 경우 상기 블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노드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인가 회로와,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음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전압 인가 회로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Voltage switch circuit and a non 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의 전압 및 양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메모리 블럭의 워드라인에 전달할 수 있는 전압 스위치 회로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적으로 프로그램(program)과 소거(erase)가 가능하고, 일정 주기로 데이터를 재작성 해야하는 리프레시(refresh) 기능이 필요 없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더 많은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메모리 소자의 개발을 위해서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에 대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불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NAND형 플래시 메모리와 NOR형 플래시 메모리로 구분된다. NOR형 플래시 메모리는 메모리 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비트라인과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랜덤 억세스 시간 특성이 우수하다. 반면, NAND형 플래시 메모리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셀 스트링(string) 당 한 개의 컨택(contact)만이 필요하므로 집적도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고집적 불휘발성 메모리는 주로 NAND형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된다.
최근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메모리 셀의 문턱 전압 분포를 음의 영역까지 세밀하게 제어하여 문턱 전압 분포의 마진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진행 중이다. 이처럼 메모리 셀의 문턱 전압 분포를 음의 영역에서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0V 보다 낮은 음의 전압을 검증 전압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메모리 셀의 프로그램(program), 리드(read) 및 소거(erase)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블럭(block) 단위로 메모리 셀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블럭 선택 회로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블럭 선택 회로는 양의 전압을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에 전송할 수 있으나, 음의 전압을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에 전송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셀들은 문턱 전압 분포들이 양의 영역에만 존재하게 되어 다수의 문턱 전압 분포를 갖는 멀티 레벨 셀의 경우 문턱 전압 분포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고전압 및 음의 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는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하여 선택된 메모리 블럭의 워드라인에 고전압 및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압 스위치 회로는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노드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인가 회로와,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음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전압 인가 회로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 회로, 및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에 응답하여 양의 전위 또는 음의 전위을 갖는 입력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블럭, 블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블럭을 선택하기 위한 양의 전위 또는 음의 전위 갖는 블럭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블럭 디코더 회로, 및 상기 블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해당 메모리 블럭에 동작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동작 전압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럭 디코더 회로는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이 상기 해당 메모리 블럭의 어드레스와 일치할 경우 상기 블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노드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인가 회로와,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음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전압 인가 회로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고전압 및 음의 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는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하여 선택된 메모리 블럭의 워드라인에 고전압 및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압 스위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압 스위치 회로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6은 글로벌 워드라인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노멀 동작 및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음전압 인가 동작을 위한 스위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인가 전압을 나타내는 소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압 스위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압 스위치 회로는 고전압 인가 회로(11), 음전압 인가 회로(12) 및 스위치 회로(13)를 포함한다.
고전압 인가회로(11)는 다수의 인버터(IV1 및 IV2),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1),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 및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를 포함한다. 인버터(IV1)는 인에이블 신호(EN_N)의 반전 신호인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노드(A)에 출력한다. 인버터(IV2)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반전시켜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의 게이트에 출력한다.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 및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는 고전압(VPOS) 단자와 출력 노드(B)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의 게이트는 출력 노드(B)와 연결되고,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의 게이트는 인버터(IV2)의 출력 노드와 연결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1)는 노드(A)와 출력 노드(B) 사이에 연결되고,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 노드(B)에 전송한다. 제어 신호(VCON)는 인에이블 신호(EN_N)의 반전된 신호이거나, 인에이블 신호(EN_N)가 하이 레벨로 인가될 때 음전압 전위를 갖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와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VCON)가 입력되는 경우,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1)는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하이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 노드(B)에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출력 노드(B)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의 로직 레벨만큼 전위가 상승하게 되고,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는 출력 노드(B)의 전위에 응답하여 고전압(VPOS)을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에 전송한다.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는 인버터(IV2)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고전압(VPOS)을 출력 노드(B)에 인가하여 출력 노드(B)의 전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출력 노드(B)는 고전압(VPOS) 레벨로 상승하게 된다.
음전압 인가회로(12)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블럭 선택 신호(BLKWL)가 음전압이 되도록 출력 노드(B)에 음전압(VNEG)을 인가한다.
음전압 인가회로(12)는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2)로 구성될 수 있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2)는 출력 노드(B)와 음전압(VNEG)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음전압(VNEG)을 출력 노드(B)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출력 노드(B)에 음전압(VNEG)이 인가되는 경우 고전압 인가회로(11)의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1)는 출력 노드(B)의 음전압(VNEG)이 인버터(IV1)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버터(IV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3)는 출력 노드(B)의 전위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HVIN)을 출력 전압(HVOUT)으로 스위칭한다. 스위칭 회로(13)는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3)로 구성될 수 있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3)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출력 노드(B)의 출력 신호(VOUT)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HVIN)을 출력 전압(HVOUT)으로 스위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는 인버터(IV3),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 및 LVP2), 및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4 및 THVN5)를 포함한다. 인버터(IV3)는 도 1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반전시켜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는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는 노드(C)와 노드(D) 사이에 연결되고,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2)는 노드(C)와 노드(E) 사이에 연결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는 인에이블 신호(EN_N)에 응답하여 노드(C)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VDD)을 노드(D)에 인가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2)는 인버터(IV3)에서 출력되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노드(C)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VDD)을 노드(E)에 인가한다. 노드(E)의 전위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로 출력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4)는 노드(D)와 음전압(VNEG)이 인가되는 노드(F) 사이에 연결되고,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5)는 노드(E)와 노드(F) 사이에 연결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4)는 노드(E)의 전위에 응답하여 노드(D)에 음전압(VNEG)을 인가하고,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5)는 노드(D)의 전위에 응답하여 노드(E)에 음전압(VNEG)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인에이블 신호(EN_N)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는 경우,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가 턴온되어 노드(D)에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다. 이로 인하여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5)가 턴온되어 노드(E)에 음전압(VNEG)이 인가되어 음의 전위를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가 출력된다.
반대로 인에이블 신호(EN_N)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경우,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2)가 턴온되어 노드(E)에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다. 이로 인하여 전원 전압(VDD) 레벨을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가 출력된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스위치 회로는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가 인가되는 경우, 고전압 인가 회로(11)는 인에이블 신호(EN_N)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B)에 고전압(VPOS)을 인가하고, 음전압 인가 회로(12)는 음의 전위를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된다. 반면,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가 인가되는 경우, 고전압 인가 회로(11)는 인에이블 신호(EN_N)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고, 음전압 인가 회로(12)는 전원 전압(VDD) 레벨을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B)에 음전압(VNEG)을 인가한다.
즉,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와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따라 출력 노드(B)의 전위가 고전압(VPOS) 또는 음전압(VNEG)이 되어 스위칭 회로(13)는 고전압 또는 음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는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3)와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6)를 포함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3)와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6)는 전원 전압(VDD)과 음전압(VNEG)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3)와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6) 사이의 출력 노드 전위를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로 출력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3)는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인가회로(11)의 인버터(IV1)의 출력 신호, 즉 반전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에 전원 전압(VDD)을 인가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HVN6)는 도 1의 출력 노드(B)의 출력 신호(VOUT)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에 음전압(VNEG)을 인가한다.
즉, 하이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가 입력될 경우, 출력 노드(B)의 출력 신호(VOUT)는 하이 레벨을 갖으므로,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는 음전압(VNEG)의 전위를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를 출력한다. 반대로 로우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가 입력될 경우, 출력 노드(B)의 출력 신호(VOUT)는 로우 레벨을 갖으므로,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는 전원 전압(VDD)의 전위를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는 인버터(IV4),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1 및 LVP12), 및 트리플 웰 저전압 트랜지스터(TLVN1 및 TLVN2)를 포함한다. 인버터(IV4)는 도 1에 도시된 인에이블 신호(EN_N)를 입력 받아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1)는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는 노드(G)와 노드(H) 사이에 연결되고,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2)는 노드(G)와 노드(I) 사이에 연결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1)는 인에이블 신호(EN_N)에 응답하여 노드(G)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VDD)을 노드(H)에 인가한다. 노드(H)의 전위는 제어 신호(VCON)로 출력된다. 저전압 PMOS 트랜지스터(LVP12)는 인버터(IV4)에서 출력되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노드(G)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VDD)을 노드(I)에 인가한다. 노드(I)의 전위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로 출력된다. 트리플 웰 저전압 트랜지스터(TLVN1)는 노드(H)와 음전압(VNEG)이 인가되는 노드(J) 사이에 연결되고, 트리플 웰 저전압 트랜지스터(TLVN2)는 노드(I)와 노드(J) 사이에 연결된다. 트리플 웰 저전압 트랜지스터(TLVN1)는 노드(I)의 전위에 응답하여 노드(H)에 음전압(VNEG)을 인가하고, 트리플 웰 저전압 트랜지스터(THVN2)는 노드(H)의 전위에 응답하여 노드(I)에 음전압(VNEG)을 인가한다.
즉,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가 입력될 경우,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는 음전압(VNEG)의 전위를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와 전원 전압(VDD)의 전위를 갖는 제어 신호(VCON)를 출력한다. 반대로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가 입력될 경우, 제어 신호 생성 회로(14)는 전원 전압(VDD)의 전위를 갖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와 음전압(VNEG)의 전위를 갖는 제어 신호(VCON)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압 스위치 회로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블럭 선택 회로(100) 및 메모리 블럭(200)을 포함한다. 블럭 선택 회로(100)는 블럭 디코더 회로(110) 및 동작 전압 전달부(120)를 포함한다.
블럭 디코더 회로(110)는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 고전압 인가 회로(112) 및 음전압 인가 회로(113)를 포함한다.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는 블럭 인에이블 신호(BLKE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EN_N)를 출력한다. 블럭 인에이블 신호(BLKEN)는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이 블럭 선택 회로(100)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럭(200)과 일치할 경우 인에이블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는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이 블럭 선택 회로(100)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럭(200)과 일치할 경우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출력하고, 불일치할 경우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출력한다.
고전압 인가 회로(112)는 다수의 인버터(IV11 및 IV12),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 및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를 포함한다. 인버터(IV11)는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에서 출력된 인에이블 신호(EN_N)를 입력받아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노드(NA)에 출력한다. 인버터(IV12)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반전시켜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의 게이트에 출력한다.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 및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는 고전압(VPOS) 단자와 출력 노드(NB)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의 게이트는 출력 노드(NB)와 연결되고,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의 게이트는 인버터(IV12)의 출력 노드와 연결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는 노드(NA)와 출력 노드(NB) 사이에 연결되고,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 노드(NB)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와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VCON)가 입력되는 경우,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는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하이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 노드(NB)에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출력 노드(NB)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의 로직 레벨만큼 전위가 상승하게 되고,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는 출력 노드(NB)의 전위에 응답하여 고전압(VPOS)을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에 전송한다.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는 인버터(IV12)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고전압(VPOS)을 출력 노드(NB)에 인가하여 출력 노드(NB)의 전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출력 노드(NB)는 고전압(VPOS) 레벨로 상승하게 된다.
음전압 인가회로(113)는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블럭 선택 신호(BLKWL)가 음전압 전위를 갖도록 출력 노드(NB)에 음전압(VNEG)을 인가한다.
음전압 인가회로(113)는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2)로 구성될 수 있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2)는 출력 노드(NB)와 음전압(VNEG)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음전압(VNEG)을 출력 노드(B)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출력 노드(NB)에 음전압(VNEG)이 인가되는 경우 고전압 인가회로(112)의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는 출력 노드(NB)의 음전압(VNEG)이 인버터(IV11)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버터(IV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 전압 전달부(120)는 블럭 디코더(110)의 블럭 선택 신호(BLKWL)에 응답하여 글로벌 드레인 선택 라인(GDSL),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 및 글로벌 소스 선택 라인(GSSL)과 메모리 블럭(200)의 드레인 선택 라인(DSL),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 및 소스 선택 라인(SSL)을 각각 연결한다.
동작 전압 전달부(120)는 다수의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3 내지 TWHVN6)로 구성된다. 다수의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3 내지 TWHVN6)는 각각 글로벌 드레인 선택 라인(GDSL)과 드레인 선택 라인(DSL),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과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 및 글로벌 드레인 선택 라인(GDSL)과 소스 선택 라인(SSL) 사이에 연결되고, 블럭 선택 신호(BLKWL)에 응답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한다. 동작 전압 전달부(120)는 다수의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3 내지 TWHVN6)로 구성되므로, 메모리 셀 블럭(200)의 드레인 선택 라인(DSL),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 및 소스 선택 라인(SSL)에 고전압 또는 음전압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럭 선택 회로(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하며, 이의 동작은 상술한 내용과 같다.
도 6은 글로벌 워드라인(GWL)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노멀 동작 및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음전압 인가 동작을 위한 스위치 회로(30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노멀 동작은 해당 메모리 블럭에 프로그램 전압을 인가하거나, 양의 문턱 전압을 갖도록 프로그램한 후 검증 동작 또는 양의 문턱 전압을 갖는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시 수행하는 동작이다. 음전압 인가 동작은 음의 문턱 전압을 갖도록 프로그램한 후 수행하는 검증 동작 또는 음의 문턱 전압을 갖는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시 수행하는 동작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압 스위치 회로(300)는 코드 디코더(310), 고전압 스위치(320), 동작 모드 스위치(330), 및 음전압 제어 스위치(340)를 포함한다.
코드 디코더(310)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독출 동작 및 검증 동작시 음전압 인가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음전압 독출 인에이블 신호(NEGREADEN)를 디코딩하여 음전압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NEGTOGWLEN) 및 고전압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POSTOGWLEN)를 생성한다. 음전압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NEGTOGWLEN) 및 고전압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POSTOGWLEN)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다른 하나의 신호는 디스에이블된다. 고전압 스위치(320)는 고전압(GWL_INIT)을 인가받아 이를 동작 모드 스위치(330)로 전송한다. 동작 모드 스위치(330)는 고전압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POSTOGWLEN)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글로벌 위드라인(GWL)에 전송한다. 음전압 제어 스위치(340)는 음전압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NEGTOGWLEN)에 응답하여 음전압(VNEG)을 글로벌 위드라인(GWL)에 전송한다. 즉, 전압 스위치 회로(300)는 음전압 독출 인에이블 신호(NEGREADEN)에 응답하여 글로벌 워드라인(GWL)에 고전압 또는 음전압을 인가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전압 스위치 회로를 이용한 블럭 선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2)의 인가 전압을 나타내는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압 스위치 회로를 이용한 블럭 선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전압을 선택된 메모리 블럭에 인가하고, 비선택된 메모리 블럭은 고전압 인가를 차단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음전압(VNEG)을 생성하는 전압 발생기는 비활성화되어 음전압(VNEG) 대신 0V의 접지 전원이 인가된다.
먼저 입력되는 어드레스들이 해당하는 메모리 블럭(200)과 일치하는 경우,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는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VCON)는 로직 하이 레벨의 신호로 생성되고,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는 로우 레벨로 생성된다.
고전압 인가 회로(112)의 인버터(IV11)는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입력받아 하이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는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하이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 노드(NB)에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출력 노드(NB)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의 로직 레벨만큼 전위가 상승하게 되고,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는 출력 노드(NB)의 전위에 응답하여 고전압(VPOS)을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에 전송한다.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는 인버터(IV12)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고전압(VPOS)을 출력 노드(NB)에 인가하여 출력 노드(NB)의 전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출력 노드(NB)는 고전압(VPOS) 레벨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음전압 인가 회로(113)는 로우 레벨의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된다. 즉, 음전압 인가 회로(113)의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2)는 소스에 고전압(VPOS)가 인가되고 드레인 및 P웰 정션에 0V의 접지 전원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0V의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인가되어 턴오프된다. 따라서 출력 노드(NB)는 고전압(VPOS) 레벨의 블럭 선택 신호(BLKWL)를 출력한다.
전압 스위치 회로(300)는 고전압을 글로벌 워드라인(GWL)에 인가하는 노멀 동작시 디스에이블되는 음전압 독출 인에이블 신호(NEGREADEN)에 응답하여 글로벌 워드라인(GWL)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동작 전압 전달부(120)는 고전압(VPOS) 레벨의 블럭 선택 신호(BLKWL)에 응답하여 글로벌 드레인 선택 라인(GDSL),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 및 글로벌 소스 선택 라인(GSSL)과 메모리 블럭(200)의 드레인 선택 라인(DSL),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 및 소스 선택 라인(SSL)을 각각 연결한다.
전압 스위치 회로(300)는 음전압 독출 인에이블 신호(NEGREADEN)에 응답하여 글로벌 워드라인(GWL)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을 통해 인가되는 양의 전위를 갖는 프로그램 전압, 독출 전압, 검증 전압들이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에 인가될 수 있다.
다음 입력되는 어드레스들이 해당하는 메모리 블럭(200)과 불일치하는 경우,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는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VCON)는 로직 로우 레벨의 신호로 생성되고,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는 하이 레벨로 생성된다.
고전압 인가 회로(112)의 인버터(IV11)는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입력받아 로우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는 로우 레벨의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턴오프된다.
또한, 음전압 인가 회로(113)는 하이 레벨의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출력 노드(NB)에 접지 전원을 인가한다. 즉, 음전압 인가 회로(113)의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2)는 소스에 0V가 인가되고 드레인 및 P웰 정션에 0V의 접지 전원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2.3V의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인가되어 턴온된다. 따라서 출력 노드(NB)의 블럭 선택 신호(BLKWL)는 로직 로우 레벨로 출력된다.
동작 전압 전달부(120)는 로직 로우 레벨의 블럭 선택 신호(BLKWL)에 응답하여 글로벌 드레인 선택 라인(GDSL),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 및 글로벌 소스 선택 라인(GSSL)과 메모리 블럭(200)의 드레인 선택 라인(DSL),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 및 소스 선택 라인(SSL)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메모리 블럭(200)에는 동작 전압들이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 음전압을 선택된 메모리 블럭에 인가하고, 비선택된 메모리 블럭은 음전압 인가를 차단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음전압(VNEG)은 접지 전원(VSS) 대신 음전압(VNEG)을 사용한다.
먼저 입력되는 어드레스들이 해당하는 메모리 블럭(200)과 일치하는 경우,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는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VCON)는 로직 하이 레벨의 신호로 생성되고,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는 음전압(VNEG) 레벨로 생성된다.
고전압 인가 회로(112)의 인버터(IV11)는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입력받아 하이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는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하이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 노드(NB)에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출력 노드(NB)는 반전 인에이블 신호(EN)의 로직 레벨만큼 전위가 상승하게 되고,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는 출력 노드(NB)의 전위에 응답하여 고전압(VPOS)을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에 전송한다.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HVP)는 인버터(IV12)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고전압(VPOS)을 출력 노드(NB)에 인가하여 출력 노드(NB)의 전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플리션 NMOS 트랜지스터(DNMOS)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출력 노드(NB)는 고전압(VPOS) 레벨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음전압 인가 회로(113)는 음전압(VNEG) 레벨의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된다.
따라서 출력 노드(NB)는 고전압(VPOS) 레벨의 블럭 선택 신호(BLKWL)를 출력한다.
동작 전압 전달부(120)는 고전압(VPOS) 레벨의 블럭 선택 신호(BLKWL)에 응답하여 글로벌 드레인 선택 라인(GDSL),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 및 글로벌 소스 선택 라인(GSSL)과 메모리 블럭(200)의 드레인 선택 라인(DSL),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 및 소스 선택 라인(SSL)을 각각 연결한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을 통해 인가되는 음전압의 전위를 갖는 독출 전압 또는 검증 전압들이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에 인가될 수 있다.
다음 입력되는 어드레스들이 해당하는 메모리 블럭(200)과 불일치하는 경우,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111)는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VCON)는 음전압(VNEG) 레벨의 신호로 생성되고,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는 하이 레벨로 생성된다.
고전압 인가 회로(112)의 인버터(IV11)는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_N)를 입력받아 로우 레벨의 반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트리플 웰 고전압 트랜지스터(TWHVN1)는 로우 레벨의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턴오프된다.
또한, 음전압 인가 회로(113)는 하이 레벨의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NEG_E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출력 노드(NB)에 음전압(VNEG)을 인가한다. 이로 인하여 출력 노드(NB)의 블럭 선택 신호(BLKWL)는 음전압(VNEG) 레벨로 출력된다.
동작 전압 전달부(120)는 음전압(VNEG) 레벨의 블럭 선택 신호(BLKWL)에 응답하여 글로벌 드레인 선택 라인(GDSL), 다수의 글로벌 워드 라인(GWL<0> 내지 GWL<n>), 및 글로벌 소스 선택 라인(GSSL)과 메모리 블럭(200)의 드레인 선택 라인(DSL), 다수의 워드 라인(WL<0> 내지 WL<n>), 및 소스 선택 라인(SSL)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메모리 블럭(200)에는 동작 전압들이 인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럭 선택 회로는 선택된 메모리 블럭에 고전압을 인가하거나 음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메모리 블럭의 메모리 셀들을 음의 문턱 전압을 갖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블럭 선택 회로 110 : 블럭 디코더 회로
111 :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 112 : 고전압 인가 회로
113 : 음전압 인가 회로 120 : 전압 스위치 회로

Claims (19)

  1.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노드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인가 회로;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음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전압 인가 회로;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 회로; 및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에 응답하여 양전위 또는 음전위를 갖는 입력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고전압 공급 단자와 상기 제어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디플리션 트랜지스터 및 고전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플리션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에 응답하여 구동되고, 상기 고전압 트랜지스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전압 스위치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반전시킨 신호의 로직 레벨을 상기 제어 노드에 전송하기 위한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압 인가 회로는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음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출력 전압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전위를 갖는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출력 전압으로 스위칭할 경우,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디스에이블되고, 상기 음전압 인가 회로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는 음의 전위를 갖는 전압 스위치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전위를 갖는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출력 전압으로 스위칭할 경우,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인에이블되고, 상기 음전압 인가 회로는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는 양의 전위를 갖는 전압 스위치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로우일 경우 음의 전위 레벨을 갖는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하이일 경우 로직 하이인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로우일 경우 상기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기 위한 로직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하이일 경우 상기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로직 로우 레벨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
  10. 메모리 셀 블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 회로;
    블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한 양의 전위를 갖는 블럭 선택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음의 전위를 갖는 블럭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블럭 디코더 회로; 및
    상기 블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에 동작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동작 전압 전달부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디코더 회로는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이 상기 메모리 셀 블럭의 어드레스와 일치할 경우 상기 블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블럭 어드레스 디코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노드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인가 회로;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음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전압 인가 회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압 전달부는 상기 블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블럭의 다수의 워드라인에 노멀 동작시 양의 전위를 갖는 상기 동작 전압을 인가하고, 음전압 인가 동작시 음의 전위를 갖는 상기 동작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고전압 공급 단자와 상기 제어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디플리션 트랜지스터 및 고전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플리션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에 응답하여 구동되고, 상기 고전압 트랜지스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반전시킨 신호의 로직 레벨을 상기 제어 노드에 전송하기 위한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압 인가 회로는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음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음의 전위를 갖는 상기 동작 전압을 상기 메모리 셀 블럭으로 스위칭할 경우,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디스에이블되고, 상기 음전압 인가 회로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는 음의 전위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양의 전위를 갖는 상기 동작 전압을 상기 메모리 셀 블럭으로 스위칭할 경우, 상기 고전압 인가 회로는 인에이블되고, 상기 음전압 인가 회로는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제어 노드의 전위는 양의 전위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로우일 경우 음의 전위 레벨을 갖는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하이일 경우 로직 하이인 상기 음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로우일 경우 상기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기 위한 로직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직 하이일 경우 상기 트리플 웰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로직 로우 레벨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20100066486A 2010-07-09 2010-07-09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113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86A KR101132018B1 (ko) 2010-07-09 2010-07-09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US12/982,468 US8427869B2 (en) 2010-07-09 2010-12-30 Voltage switch circuit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CN201110049297.7A CN102314946B (zh) 2010-07-09 2011-03-01 电压开关电路和使用其的非易失性存储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86A KR101132018B1 (ko) 2010-07-09 2010-07-09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15A KR20120005815A (ko) 2012-01-17
KR101132018B1 true KR101132018B1 (ko) 2012-04-02

Family

ID=4542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486A KR101132018B1 (ko) 2010-07-09 2010-07-09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27869B2 (ko)
KR (1) KR101132018B1 (ko)
CN (1) CN102314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1063A1 (en) * 2012-05-31 2013-12-05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os switch
KR102030069B1 (ko) * 2012-12-18 2019-10-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N103973100B (zh) * 2013-01-25 2017-02-08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正负电压产生装置
KR20150121288A (ko) * 2014-04-17 2015-10-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KR20160074248A (ko) 2014-12-18 2016-06-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전압 스위칭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2601963B1 (ko) * 2016-05-13 2023-11-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블록 디코더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80029576A (ko) * 2016-09-13 2018-03-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748620B2 (en) * 2018-03-22 2020-08-18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block select circuitry including voltage bootstrapping control
CN108494247B (zh) * 2018-04-28 2019-12-17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兼顾180v高压保护和5v低压工作的电源电路
KR20210105187A (ko) * 2020-02-18 2021-08-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IT202000005104A1 (it) * 2020-03-10 2021-09-10 Sk Hynix Inc Architettura di commutazione per un dispositivo di memoria Flash NAND e circuito di commutazione ad alta tensione
USD977257S1 (en) 2020-10-19 2023-02-07 Robert Ryan Golf Llc Combined towel with integrated brush
CN114582406B (zh) * 2020-11-30 2023-05-23 无锡华润上华科技有限公司 半导体存储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103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7787B2 (ja) * 1994-05-11 2005-07-0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US6104665A (en) * 1998-12-04 2000-08-15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Enhanced word line driver to reduce gate capacitance for low voltage applications
FR2816751A1 (fr) 2000-11-15 2002-05-17 St Microelectronics Sa Memoire flash effacable par page
JP4426361B2 (ja) * 2004-03-31 2010-03-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110301B2 (en) * 2004-05-07 2006-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ulti-block erase method thereof
US7348829B2 (en) * 2006-03-24 2008-03-25 Intersil Americas Inc. Slew rate control of a charge pump
US7515485B2 (en) * 2006-12-18 2009-04-07 Micron Technology, Inc. External clock tracking pipelined latch sche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103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4946A (zh) 2012-01-11
CN102314946B (zh) 2017-07-28
US20120008391A1 (en) 2012-01-12
KR20120005815A (ko) 2012-01-17
US8427869B2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018B1 (ko) 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0559714B1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이의 프로그램 방법
KR100609576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블럭 스위치
JP5041513B2 (ja) レベルシフタ及びこれを含む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のブロックドライバー
KR100395771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KR100338772B1 (ko) 바이어스 라인이 분리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드라이버 및 워드 라인 드라이빙 방법
US9219482B2 (en) High voltage switch circuit and nonvolatile memory including the same
KR100624302B1 (ko)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US9159425B2 (en) Non-volatile memory with reduced sub-threshold leakage during program and erase operations
US8369146B2 (en) Block decod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8262669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120002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6107709A (ja) 読み取り特性を向上させることができる不揮発性メモリ装置の共通ソースライン制御スキーム
US7710806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peed at which data is read from non-volatile memory
KR2012003718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8446764B2 (en) Control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3667821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KR100630752B1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의 낮은 동작 전원 전압에 적합한워드라인 디코더
JPH1186573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769808B1 (ko) 워드라인 블럭 스위치를 구비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
JP2009289367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05044439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615297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424704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13229075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