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4302B1 -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302B1
KR100624302B1 KR1020040079902A KR20040079902A KR100624302B1 KR 100624302 B1 KR100624302 B1 KR 100624302B1 KR 1020040079902 A KR1020040079902 A KR 1020040079902A KR 20040079902 A KR20040079902 A KR 20040079902A KR 100624302 B1 KR100624302 B1 KR 10062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lock
gate
pass
n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024A (ko
Inventor
박세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07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302B1/ko
Priority to US11/158,346 priority patent/US7161837B2/en
Priority to TW094120952A priority patent/TWI281669B/zh
Priority to JP2005213196A priority patent/JP4544075B2/ja
Priority to DE102005039847A priority patent/DE102005039847B4/de
Publication of KR2006003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30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8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having several storage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2Programming voltage switch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동작 전압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로우 리코더 회로에 포함된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원전압보다 높게 펌핑된 전압(이하, 펌핑 전압)이 목표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인가되어 메모리 셀의 게이트로 인가될 동작 전압(예를 들면, 프로그램 전압, 패스 전압 또는 리드 전압)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펌핑 전압을 먼저 인가(프리챠지)한 후 드레인으로 동작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의한 셀프 부스팅(self boosting) 현상에 의해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펌핑 전압이 목표 전압보다 높게 상승되어 메모리 셀의 게이트로 인가될 동작 전압을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 셀프 부스팅, 고전압 트랜지스터, 펌핑 전압

Description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동작 전압 공급 방법{Row decoder circuit of NAND flash memory and method of supplying operating bias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 선택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프로그램 동작 시 행 선택 회로의 각 노드에 대한 전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행 선택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프로그램 동작 시 도 4에 도시된 행 선택 회로의 각 노드에 대한 전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모리 셀 어레이 120, 200 : 행 선택 회로
121, 210 : 디코딩 블록 122, 220 : 스위치 펌프 블록
123, 230, 240 : 스위치 블록 130 : 페이지 버퍼부
본 발명은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동작 전압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압 동작 시에도 워드라인이나 셀렉트 라인으로 정상적인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동작 전압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장치이며, 전원이 차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터가 그대로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포함된다.
도 1은 일반적인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memory cell array; 110), 행 선택 회로(row selection circuit; 120), 및 페이지 버퍼부(1300)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비트 라인들(BL0-BLm)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스트링들(111)을 포함한다. 각 열의 스트링(111)은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rain select transistor; DST), 소오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ource select transistor; SST), 및 셀렉트 트랜지스터들(DST 및 SST)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 의 플래시 메모리 셀들(도면에서는 16개만 도시됨; MCn, n=0~15)로 구성된다. 각 열의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ST)는 대응하는 비트 라인에 연결된 드레인과 드레인 셀렉트 라인(drain select line; DSL)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소오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는 공통 소오스 라인(common source line, CSL)에 연결된 소오스와 소오스 셀렉트 라인(source select line; SSL)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ST)의 소오스와 소오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의 드레인 사이에는 플래시 메모리 셀들(MC15 내지 MC0)이 직렬 연결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 셀들(MC15 내지 MC0)은 대응하는 워드 라인들(WL15 내지 WL0)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 워드 라인들(WL0 내지 WL15), 및 소오스 셀렉트 라인(SSL)은 행 선택 회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행 선택 회로(120)는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워드 라인들 중 하나의 워드 라인을 선택하고, 선택된 워드 라인과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로 각 동작 모드에 따른 워드 라인 전압들을 공급한다. 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를 통해 배열되는 비트 라인들(BL0 내지 BLm)은 페이지 버퍼부(130)를 구성하는 다수의 페이지 버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페이지 버퍼부(130)는 독출 동작 모드에서 선택된 워드 라인의 플래시 메모리 셀들로부터 비트 라인들(BL0 내지 BLm)을 통해 데이터를 감지하고, 프로그램 동작 모드에서 프로그램될 데이터에 따라 비트 라인들(BL0 내지 BLm)로 전원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각각 공급한다.
행 선택 회로(120)는 프로그램 동작 모드 시 선택되는 워드 라인으로 프로그램 전압(예를 들면, 18V)을 공급하고, 비선택되는 워드 라인들로 패스 전압(예를 들면, 10V)을 공급한다. 그리고, 행 선택 회로(120)는 독출 동작 모드 시 선택되는 워드 라인으로 접지 전압(GND)을 공급하고, 비선택되는 워드 라인들로 독출 전압(예를 들면, 4.5V)을 공급한다. 프로그램 전압, 패스 전압, 그리고 독출 전압은 전원 전압(예를 들면, 3V)보다 높은 고전압이다.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워드 라인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행 선택 회로(120)에는 필연적으로 고전압을 스위치할 수 있는 회로가 요구된다. 고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는 회로는 스위치 펌프 스킴(switch pump scheme) 또는 부스팅 스킴(boosting scheme)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 선택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행 선택 회로(120)는 디코딩 블록(121), 스위치 펌프 블록(122), 및 스위치 블록(123)을 포함한다.
디코딩 블록(121)은 NAND 게이트들(G1 및 G2)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난드 게이트(G1)에는 어드레스 신호들(DA1 내지 DAi)이 제공되고, 제2 난드 게이트(G2)에는 제1 난드 게이트(G1)의 출력 신호와 제어 신호(BLKWLdis)가 제공된다. 제어 신호(BLKWLdis)는 소거/프로그램/독출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신호이다.
스위치 펌프 블록(122)은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에 연결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제3 난드 게이트(G3), 커패시터(C1), 그리고 제1 내지 제4 NMOS 트랜지스터들(MN1 내지 MN4)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 블록(123)은 선택 신호들(GDSL, GWL15 내지 GWL0, GSSL)을 대응하는 신호 라인들(DSL, WL15 내지 WL0, SSL)로 각각 전달하는 패스(또는 전달)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로 구성된다.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게이트들은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디코딩 블록(121)과 스위치 펌프 블록(122)은 메모리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블록 디코더(block decoder)를 구성한다.
어드레스 신호들(DA1 내지 DAi) 중 적어도 하나가 로우 레벨일 때, 디코딩 블록(121)의 출력 신호는 로우 레벨이 된다. 이러한 경우, 스위치 펌프 블록(123)은 클럭 신호(CLK)에 관계없이 펌핑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에, 어드레스 신호들(DA1 내지 DAi)이 모두 하이 레벨일 때, 디코딩 블록(121)의 출력 신호는 하이 레벨이 된다. 이러한 경우, 스위치 펌프 블록(122)은 클럭 신호(CLK)의 로우-하이/하이-로우 천이(low-to-high/high-to-low transition)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서, 로우 레벨은 접지 전압 레벨이고 하이 레벨은 전원 전압 레벨이다. 커패시터(C1)는 클럭 신호(CLK)의 움직임에 따라 충전/방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클럭 신호(CLK)의 하이-로우 천이에 따라 커패시터(C1)가 펌핑 전하에 의해서 충전되면, 제1 NMOS 트랜지스터(MN1)를 통해 펌핑 전하가 전달되어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증가된다.
이후, 클럭 신호(CLK)가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하면, VPP 전압(독출 동작 시 Vread, 프로그램 동작 시 Vpgm; 이하 '동작 전압'이라 함)이 제2 NMOS 트랜지스터 (MN2)를 통해 제1 NMOS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로 공급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MN2)는 게이트-소오스 전압차에 의해 일정 시간 후에 셧-오프 상태가 된다.
커패시터(C1)가 클럭 신호(CLK)의 하이-로우 천이에 따라 다시 충전되면, 제1 NMOS 트랜지스터(MN1)를 통해 펌핑 전하가 전달되어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증가한다. 이후, 클럭 신호(CLK)가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하면, 동작 전압(VPP)이 제2 NMOS 트랜지스터(MN2)를 통해 제1 NMOS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은 계속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VPP0+Vtn3)까지 될 수 있다. 여기서, Vtn3는 제3 NMOS 트랜지스터(MN3)의 문턱 전압이고, 제3 NMOS 트랜지스터(MN3)는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원하는 전압 이상으로 올라갈 때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을 클램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의 동작을 통해,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는 프로그램 전압(Vpgm)/독출 전압(Vread)을 대응하는 워드 라인으로 전달하기에 충분한 고전압을 갖는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펌프 구조는 저전압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 치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펌핑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들(MN1 및 MN2)의 문턱 전압들은 바디 효과(body effect)에 의해서 증가되고, 그 결과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 레벨은 증가되는 문턱 전압에 의해서 제한된다.
각 노드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행 선택 회로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프로그램 동작 시 행 선택 회로의 각 노드에 대한 전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동작 시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Vpgm+Vth과 같거나 높아야지만, GDSL의 Vcc 전압과, GWL0 내지 GWL15의 Vpgm 및 Vpass를 Vth 드랍 없이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 및 워드라인들(WL0 내지 WL15)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 펌프 블록(122)에 사용된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MN1 및 MN2)의 바디 효과(body effect)에 의한 문턱전압 상승으로 인하여 펌핑 효율은 떨어지게 된다. 특히, 저전압 Vcc를 사용하여 펌핑을 하게 되는 경우, 펌핑 효율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저전압 Vcc를 사용하여 펌핑하는 경우,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Vpgm+Vth 만큼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선택된 워드라인에 프로그램 전압을 전달할 수 없고, 패스 전압도 전달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동작 전압 공급 방법은 로우 리코더 회로에 포함된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원전압보다 높게 펌핑된 전압(이하, 펌핑 전압)이 목표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인가되어 메모리 셀의 게이트로 인가될 동작 전압(예를 들면, 프로그램 전압, 패스 전압 또는 리드 전압)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펌핑 전압을 먼저 인가(프리챠지)한 후 드레인으로 동작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의한 셀프 부스팅(self boosting) 현상에 의해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펌핑 전압이 목표 전압보다 높게 상승되어 메모리 셀의 게이트로 인가될 동작 전압을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는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해당 블록이 선택되면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딩 블록과, 선택 신호와 클럭 신호에 따라 펌핑 동작을 실행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펌프 블록을 포함하여, 메모리 어레이에 포함된 특정 메모리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블록 디코더; 출력 신호에 따라 각각 턴 온 되어, 그 드레인들을 통하여 각각 수신되는 동작 전압들을 특정 메모리 블록의 셀렉트 라인들과 워드 라인들에 각각 전달하는 패스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블록; 및 출력 신호의 전압이 설정된 전압으로 되는 것을 감지할 때, 출력 신호에 따라 동작 전압들을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각각 전달하는 제2 스위치 블록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 전압 공급 방법은 다수의 메모리 블록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와, 로우 디코더에 포함되며,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셀렉트 라인들 및 워드라인들과 각각 연결된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셀프 부스팅 효과에 의해 전압이 보다 더 높아지도록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압이 인가된 후 메모리 블록의 셀렉트 라인들 및 워드라인들로 인가될 동작 전압들을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으로 각각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패스 트랜지스터들이 높아진 전압에 의해 동작 전압들을 안정적으로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셀렉트 라인들 및 워드라인들로 전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행 선택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행 선택 회로(200)는 디코딩 블록(210), 스위치 펌프 블록(220), 제1 스위치 블록(230) 및 제2 스위치 블록(240)을 포함한다. 이때, 디코딩 블록(210)과 스위치 펌프 블록(220)은 메모리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블록 디코더(block decoder)를 구성하며, 메모리 블록 수만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디코딩 블록(210), 스위치 펌프 블록(220) 및 제1 스위치 블록(230)의 회로 구성 및 동작 방식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행 선택 회로(200)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행 선택 회로(200)에 제2 스위치 블록(240)이 더 포함된다는 것이다. 제2 스위치 블록(240)은 제1 스위치 블록(230)을 구성하는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인 스위치 펌프 블록(220)의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위를 감지한다. 그리고,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위에 따라, 제2 스위치 블록(240)은 메모리 셀 어레이의 셀렉트 라인(도 1의 DSL 및 SSL)과 워드라인들(WL0 내지 WL15)로 인가될 동작 전압(예를 들면, 프로그램 전압, 리드 전압 또는 패스 전압)이 제1 스위치 블록(230)으로 인가되는 것을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행 선택 회로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프로그램 동작 시 도 4에 도시된 행 선택 회로의 각 노드에 대한 전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 프리챠지 구간(T1)에서는 어드레스 신호들(DA1 내지 DAi)이 모두 하이 레벨이 되어 디코딩 블록(210)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 스위치 펌프 블록(220)은 클럭 신호(CLK)의 로우-하이/하이-로우 천이(low-to-high/high-to-low transition)에 따라 동작한다. 즉, 커패시터(C1)가 클럭 신호(CLK)의 움직임에 따라 충전/방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제1 NMOS 트랜지스터(MN1)를 통해 펌핑 전하가 전달되어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증가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제1 스위치 블록(230)에 포함된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게이트에 연결된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가 프리챠지된다.
하지만, 바디 효과(body effect)에 의해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들(MN1 및 MN2)의 문턱 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 상승폭이 제한되어 충분한 전압으로 상승되지는 못한다.
블록 워드라인 노드 펌핑 구간(T2)에서는 제2 스위치 블록(240)이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을 감지하고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가 프리챠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전압(예를 들면, 프로그램 전압, 패스 전압 또는 리드 전압)을 제1 스위치 블록(230)에 포함된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드레인으로 각각 전달한다.
그러면,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구조에 의해 셀프 부스팅(self boosting) 현상이 발생하면서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보다 높아진다. 즉, 동작 전압이 정상적으로 전달되기에 충분한 전압(예를 들면, 동작 전압+문턱전압)보다 높아진다. 도 5에서도,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가 프리챠지된 후 동작 전압(Vpgm 및 Vpass)이 인가됨으로써,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의 전압이 보다 더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게이트로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 전압들이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 워드라인들(WL0 내지 WL15) 및 소오스 셀렉트 라인(SSL)으로 각각 정상적으로 전달된다.
디스챠지 구간(T3)에서는 디스챠지에 관련된 제어 신호(BLKWLdis)에 따라 스위치 펌프 블록(220)의 동작이 중지되고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가 디스챠지된다.
이렇듯,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게이트와 연결된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를 먼저 프리챠지 시킨 후,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드레인으로 동작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동작 전압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스 트랜지스터들(NDSL, N15 내지 N0, NSSL)의 게이트로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 전압들이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 워드라인들(WL0 내지 WL15) 및 소오스 셀렉트 라인(SSL)으로 각각 정상적으로 전달된다.
디스챠지 구간(T3)에서는 디스챠지에 관련된 제어 신호(BLKWLdis)에 따라 스위치 펌프 블록(220)의 동작이 중지되고 블록 워드라인 노드(BLKWL)가 디스챠지된다.
한편, 리드 동작 시에는 low vcc pumping이 가능하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드 동작 시에도 동작 전압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우 리코더 회로에 포함된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원전압보다 높게 펌핑된 전압(이하, 펌핑 전압)이 목표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인가되어 메모리 셀의 게이트로 인가될 동작 전압(예를 들면, 프로그램 전압, 패스 전압 또는 리드 전압)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펌핑 전압을 먼저 인가(프리챠지)한 후 드레인으로 동작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의한 셀프 부스팅(self boosting) 현상에 의해 고전압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펌핑 전압이 목표 전압보다 높게 상승되어 메모리 셀의 게이트로 인가될 동작 전압을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Claims (4)

  1.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해당 블록이 선택되면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딩 블록과, 상기 선택 신호와 클럭 신호에 따라 펌핑 동작을 실행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펌프 블록을 포함하여, 메모리 어레이에 포함된 특정 메모리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블록 디코더;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각각 턴 온 되어, 그 드레인들을 통하여 각각 수신되는 동작 전압들을 상기 특정 메모리 블록의 셀렉트 라인들과 워드 라인들에 각각 전달하는 패스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블록; 및
    상기 출력 신호의 전압이 설정된 전압으로 되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전압들을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각각 전달하는 제2 스위치 블록을 포함하는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펌프 블록은,
    상기 선택 신호와 상기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난드 게이트;
    상기 난드 게이트의 출력 단자와 제1 노드간에 접속된 커패시터;
    상기 제1 노드와 출력 단자간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제1 노드와 연결되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동작 전압이 전달되는 전원전압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원전압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4. 다수의 메모리 블록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로우 디코더에 포함되며, 선택된 상기 메모리 블록의 셀렉트 라인들 및 워드라인들과 각각 연결된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셀프 부스팅 효과에 의해 상기 전압이 보다 더 높아지도록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상기 전압이 인가된 후 상기 메모리 블록의 상기 셀렉트 라인들 및 상기 워드라인들로 인가될 동작 전압들을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으로 각각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들이 높아진 상기 전압에 의해 상기 동작 전압들을 안정적으로 선택된 상기 메모리 블록의 상기 셀렉트 라인들 및 상기 워드 라인들로 전달하는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 전압 공급 방법.
KR1020040079902A 2004-10-07 2004-10-07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902A KR100624302B1 (ko) 2004-10-07 2004-10-07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US11/158,346 US7161837B2 (en) 2004-10-07 2005-06-22 Row decoder circuit of NAND flash memory and method of supplying an operating voltage using the same
TW094120952A TWI281669B (en) 2004-10-07 2005-06-23 Row decoder circuit of NAND flash memory and method of supplying an operating voltage using the same
JP2005213196A JP4544075B2 (ja) 2004-10-07 2005-07-22 Nand型フラッシュメモリのロウデコーダ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動作電圧供給方法
DE102005039847A DE102005039847B4 (de) 2004-10-07 2005-08-23 Zeilen-Decoderschaltung für Nand-Flash-Spei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902A KR100624302B1 (ko) 2004-10-07 2004-10-07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024A KR20060031024A (ko) 2006-04-12
KR100624302B1 true KR100624302B1 (ko) 2006-09-19

Family

ID=3608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9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302B1 (ko) 2004-10-07 2004-10-07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1837B2 (ko)
JP (1) JP4544075B2 (ko)
KR (1) KR100624302B1 (ko)
DE (1) DE102005039847B4 (ko)
TW (1) TWI2816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8483B2 (en) 2015-09-22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w decoder and a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5905B2 (en) 2005-07-01 2008-04-08 P.A. Semi, Inc. Integrated circuit with separate supply voltage for memory that is different from logic circuit supply voltage
KR100770754B1 (ko) * 2006-10-12 2007-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US7719919B2 (en) 2007-03-20 2010-05-18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word lines are driven from either side of memory cell array
KR100854914B1 (ko) 2007-04-06 2008-08-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5057850B2 (ja) * 2007-06-04 2012-10-24 東芝メモリ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842752B1 (ko) * 2007-06-29 2008-07-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드 디스터브가 억제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소자의리드방법
JP2009266351A (ja) * 2008-04-28 2009-11-12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22705B1 (ko) 2008-04-30 2014-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TWI393141B (zh) * 2008-09-03 2013-04-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A column decoder that can be used to speed up the read speed in a number of programmable flash memories
JP5249394B2 (ja) 2011-09-28 2013-07-31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記憶装置
US8958244B2 (en) 2012-10-16 2015-02-17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Split block decoder for a nonvolatile memory device
US9704580B2 (en) 2012-10-22 2017-07-11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Integrated erase voltage path for multiple cell substrates in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9030879B2 (en) 2012-11-15 2015-05-12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ing non-volatile memory with junctionless cells
US10403766B2 (en) 2012-12-04 2019-09-03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NAND flash memory with vertical cell stack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007834B2 (en) 2013-01-10 2015-04-14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Nonvolatile memory with split substrate select gates and hierarchical bitline configuration
US9202931B2 (en) 2013-03-14 2015-12-01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memory device with thin silicon body
US9025382B2 (en) 2013-03-14 2015-05-05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Lithography-friendly local read circuit for NAND flash memory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14235B2 (en) 2013-04-16 2015-12-15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U-shaped common-body type cell string
JP2017228325A (ja) * 2016-06-20 2017-12-28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10262743B2 (en) 2016-10-25 2019-04-16 Sandisk Technologies Llc Command sequence for first read solution for memory
US10347315B2 (en) 2017-10-31 2019-07-09 Sandisk Technologies Llc Group read refresh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0461B2 (ja) * 1997-11-13 2004-12-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回路
JP3822410B2 (ja) * 1999-01-29 2006-09-2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KR100301932B1 (ko) * 1999-04-27 2001-10-29 윤종용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07572B1 (ko) * 2001-01-10 200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낸드형 플래쉬 메모리 장치에서의 셀 드레쉬홀드 전압의분포를 개선하는 방법
KR100399351B1 (ko) * 2001-08-07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된 선택 라인 구조를 갖는 낸드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100432884B1 (ko) * 2001-08-28 200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된 행 선택 구조를 갖는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3702229B2 (ja) * 2002-01-16 2005-10-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8483B2 (en) 2015-09-22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w decoder and a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39847B4 (de) 2012-03-29
TWI281669B (en) 2007-05-21
TW200615958A (en) 2006-05-16
US7161837B2 (en) 2007-01-09
JP2006107701A (ja) 2006-04-20
JP4544075B2 (ja) 2010-09-15
KR20060031024A (ko) 2006-04-12
DE102005039847A1 (de) 2006-04-13
US20060077716A1 (en)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302B1 (ko)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US7839688B2 (en) Flash memory device with improved programming operation voltages
CN1983448B (zh) 闪存装置及其字线使能方法
KR100559714B1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이의 프로그램 방법
KR100965072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
US9042183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n-volatile memory array
KR10118453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1065693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395771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KR10109983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8050098B2 (en) Program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KR20090118374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검증 방법
KR20150121288A (ko) 고전압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KR10111524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
KR100502132B1 (ko) 데이터 재기입이 고속인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US10176871B2 (en) NAND flash memory comprising a current sensing page buffer preventing voltage from discharging from a node during operation
US7508712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54747B2 (ja) 読み取り特性を向上させることができる不揮発性メモリ装置の共通ソースライン制御スキーム
KR2012003718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100241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10014064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7092915B1 (ja) 半導体装置
KR20100010673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의 독출 및 구동방법
JP3859975B2 (ja) 不揮発性メモリ
JP4513839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データ書き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