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2065B1 -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065B1
KR101022065B1 KR1020090003639A KR20090003639A KR101022065B1 KR 101022065 B1 KR101022065 B1 KR 101022065B1 KR 1020090003639 A KR1020090003639 A KR 1020090003639A KR 20090003639 A KR20090003639 A KR 20090003639A KR 101022065 B1 KR101022065 B1 KR 10102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patterns
liquid crystal
touch screen
layer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258A (ko
Inventor
박정목
정태혁
강성구
이춘협
정환희
김성철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065B1/ko
Priority to JP2009165827A priority patent/JP2010164938A/ja
Priority to US12/543,409 priority patent/US8947368B2/en
Priority to CN2009102093809A priority patent/CN101782694B/zh
Priority to EP09176259A priority patent/EP2209039A1/en
Publication of KR2010008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using mesogenic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의 제 1면 상에 형성되며, 제 1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2방향을 따라 연결되되 상기 제 1감지패턴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감지패턴들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2감지패턴들과; 상기 제 1감지 패턴들과 제 2감지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 사이의 유전체층으로 동작하며, 상기 투명 기판의 제 2면에 부착되는 액정표시패널에 구비된 액정층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는 위상차 보상층과; 상기 투명 기판의 제 2면과 액정표시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 접지전극 및 상기 투명 접지전극을 커버하는 절연막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 위에 결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
단, 터치 스크린 패널이 영상표시장치 상부에 부착되면 표시장치 전체의 부피가 커져 휴대의 편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박형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영상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로 구현되는데,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액정표시장치로 구현될 경우에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광학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상차 필름이 추가로 더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투명 기판 상에 액정표시패널의 광학특성 즉,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형성된 액정층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는 위상차 보상층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위상차 필름을 추가로 형성하지 않게 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 제조 비용 절감,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의 제 1면 상에 형성되며, 제 1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2방향을 따라 연결되되 상기 제 1감지패턴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감지패턴들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2감지패턴들과; 상기 제 1감지 패턴들과 제 2감지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 사이의 유전체층으로 동작하며, 상기 투명 기판의 제 2면에 부착되는 액정표시패널에 구비된 액정층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는 위상차 보상층과; 상기 투명 기판의 제 2면과 액정표시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 접지전극 및 상기 투명 접지전극을 커버하는 절연막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상차 보상층은 상기 제 1감지 패턴들과 제 2감지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구비된 액정층과 동일한 복굴절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구비된 액정층 및 상기 위상차 보상층은 동일한 모드의 액정 분자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감지패턴들 상에 절연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 상에 편광판 및 윈도우가 순차적으로 더 구비되며, 상기 윈도우는 폴리머 재질의 아이콘 시트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 각각은, X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열 또는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 단위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이 형성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하나의 열 또는 행 단위의 감지패턴들을 위치 검출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금속패턴들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위치한 액정표시장치의 광학특성을 별도의 위상차 필름을 게재하지 않고서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 제조 비용 절감,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10)은, 그 상부에 제 2편광판(20) 및 윈도우(30)가 부착되고, 그 하부에는 액정표시패널(100)이 부착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TFT 어레이 기판(104)과 컬러 필터 기판(105)이 밀봉재(107)에 의해서 접합되고, 이 밀봉재(107)에 의해서 구획된 영역 내에 액정층(106)이 봉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밀봉재(107)의 내부에는 갭재(108)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갭재(108)에 의해서 TFT 어레이 기판(104)과 컬러 필터 기판(103)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재(107)로 둘러싸인 영역은 화상이나 동화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109)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액정층(106)은 STN(Super Twisted Nematic) 모드 또는 TN, VA, IPS 등의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TFT 어레이 기판(104)은, 예컨대 유리나 석영 등의 투광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 기재(104a)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 기재(104a)의 액정측에는, 화소 전극(118)과, 이 화소 전극(118)을 구동하는 TFT 소자(117)와, 상기 TFT 소자(117)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미도시) 및 주사신호를 전달하는 주사선(115)과, 이들 화소 전극(118), TFT 소자(117), 데이터선 및 주사선(115)을 덮도록 형성된 배향막(1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화소 전극(118)은, 예컨대 IT0(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TFT 어레이 기판(114)의 외측(액정층(116)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제 1편광판(119)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컬러 필터 기판(115)은, TFT 어레이 기판(114)과 마찬가지로 유리나 석영 등의 투광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115a)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재(115a)의 액정층(116)측에는, 예컨대 적색층, 녹색층, 청색층의 3색의 색층으로 이루어지는 컬러 필터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컬러 필터층(120) 주위에는 블랙 매트릭스(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컬러 필터층(210) 및 블랙 매트릭 스(121)를 덮도록 공통 전극(128)이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공통 전극(128) 상을 배향막(126)이 덮고 있다. 상기 공통 전극(128)은, 화소 전극(118)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ITO 등의 투명한 도전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정층(106)은 STN 모드 등의 액정 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TFT 어레이 기판(104)측의 제 1배향막(116)과 컬러 필터 기판(105)측의 제 2배향막(126)의 쌍방에 접하도록 양 기판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액정 분자의 배향은, 비선택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 1배향막(116) 및 제 2배향막(126)에 의해서 규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TFT 어레이 기판(104)측에는 백 라이트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백 라이트의 광이 TFT 어레이 기판(104), 액정층(106), 컬러 필터 기판(105)을 투과함으로써, 컬러 필터 기판(105)측에 통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액정표시장치(100)의 상면 즉, 상기 컬러 기판(105) 상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10)이 부착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은 투명기판(11)과, 투명기판(1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감지패턴들(12), 위상차 보상층(13), 제2 감지패턴들(14), 금속패턴들(미도시) 및 절연막(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감지패턴들(12) 및 제2 감지패턴들(14)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 영역(109)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위상차 보상층(13)을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다른 레이어에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이 서로 다른 레이어에 위치되면, 패터닝 단계에서 동일한 열 또는 행에 위치된 제1 또는 제2 감지패턴들(12, 14)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열 또는 행에 위치된 제1 또는 제2 감지패턴들(12, 14)을 연결하기 위한 컨택홀 형성 공정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단, 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하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X 및 Y 감지패턴들(12, 14)은 동일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X 및 Y 감지패턴들(12, 14) 중 어느 한 종류의 감지패턴들은 패터닝 단계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감지패턴들은 컨택홀 및 연결패턴 형성단계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이 형성된 투명기판(11)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측면, 예컨대, 투명기판(11)의 하부면과 액정표시패널(100) 사이에는 투명 접지전극(미도시)과, 투명 접지전극을 커버하는 절연막(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투명 접지전극은 터치 스크린 패널(10)과 액정표시패널(100)의 사이에서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터치 스크린 패널(1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과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정전용량의 터치 스크린 패널(10)에서, 접촉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제1 감지패턴(12)과 제2 감지패턴(14) 사이의 정전용량이 이용되거나, 혹은 제1 및 제2 감지패턴(12, 14)과 투명 접지전극(미도시) 사이의 정전용량이 이용될 수 있는 것 으로, 이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 액정표시패널 상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부착하는 경우,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광학 특성 즉, 액정층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 별도의 위상차 필름을 부착해야 했으나, 이와 같은 위상차 필름의 부착은 박형화 추세에 어긋남과 함께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상차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액정층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는 물질을 터치 스크린 패널 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점을 극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정층(106)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 이와 동일한 복굴절 특성을 갖는 물질을 위상차 보상층(13)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위상차 보상층(13)은 상기 제 1감지 패턴들(12)과 제 2감지 패턴들(1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 사이의 유전체층으로 동작할 뿐 아니라 상기 액정층(106)의 복굴절 위상차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액정층(106)이 STN 모드의 액정분자로 형성된 경우, 상기 액정층(106)의 복굴절 위상차를 극복하기 위해 액정표시패널과 동일한 STN 모드의 액정층을 상기 위상차 보상층(13)으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 상기 위상차 보상층(13)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액정층(106)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일 예로 상기 위상차 보상층(13)으로서의 STN 액정 분자들은 상기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액정층(106)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배향이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막(16) 상에 제 2편광판(20) 및 윈도우(30)가 추가로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30)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강성 향상 및 패널 보호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현됨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고 및 테두리 장식 등이 인쇄된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폴리머 재질의 아이콘 시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결합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10)은 투명기판(11)과, 투명기판(1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감지패턴들(12), 위상차 보상층(13), 제2 감지패턴들(14), 금속패턴들(15) 및 절연막(16)을 포함한다.
제1 감지패턴들(12)은 투명기판(11)의 일면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제1 감지패턴들(12)은 투명기판(11)의 상부면 상에 다이아몬드 패턴과 같이 규칙적인 패턴으로 밀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감지패턴들(12)은 X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열에 위치된 제1 감지패턴들(12)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X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패턴들(12)의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패턴들이 밀접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패턴들(12)은 열 단위로 금속패턴들(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패드(12a)를 구비한다. 제1 감지패턴들(12)의 패드(12a)는 열 단위로 상,하측에 교번적으로 구비되거나, 혹은 상,하측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단, 제1 감지패턴들(12)은 제2 감지패턴들(14)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연결부분들은 제외) 즉, 제1 감지패턴들(12)과 제2 감지패턴들(14)은 서로 어긋나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위상차 보상층(13)은 제1 감지패턴들(12) 상에 이들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 사이의 유전체층으로 동작할 뿐 아니라 상기 액정층(106)의 복굴절 위상차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액정표시장치(100) 액정층(106)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 이와 동일한 모드의 액정층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액정 주입 또는 코팅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감지패턴들(14)은 위상차 보상층(13) 상에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제1 감지패턴들(12)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감지패턴들(12)과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제2 감지패턴들(14)은 제1 감지패턴들(12)과 동일한 다이아몬드 패턴으로 밀접되도록 형성되며,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에 위치된 제2 감지패턴들(14)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Y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지패턴들(14)은 행 단위로 금속패턴들(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패드(14a)를 구비한다. 제2 감지패턴들(14)의 패드(14a)는 행 단위로 좌,우측에 교번적으로 구비되거나, 혹은 좌,우측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과 위상차 보상층(13)은 터치 스크린 패널(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패널(미도시) 등에서 방출되는 빛이 터치 스크린 패널(10)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물질로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은 인듐-틴 옥사이드(이하, ITO)와 같은 투명 전극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의 두께는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는 투과율을 확보하면 서도 터치 스크린 패널(10)(특히,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이 비교적 낮은 면저항을 가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과 위상차 보상층(13)의 두께는 투과율과 면저항을 고려하여 최적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은 각각 100 내지 300 Å 두께의 인듐-틴 옥사이드(이하, ITO) 패턴으로 형성된다. 단,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두께는 투과율 및/또는 면저항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금속패턴들(15)은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이 형성되는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 특히,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의 패드(12a, 14a)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금속패턴들(15)은 하나의 열 또는 행 단위의 감지패턴들(12, 14)을 각각 위치 검출라인(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도시되지 않은 구동회로 등으로 접촉위치 검출신호가 공급되도록 한다.
절연막(16)은 제2 감지패턴들(14) 상에 이들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절연막(16)은 제2 감지패턴들(14) 상에 400 내지 1000 Å 두께의 투명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막(16)은 제품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10)의 각 구성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터치 스크린 패널(10)에 접촉되면,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 금속패턴들(15) 및 위치 검출라인을 경유하여 구동회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10)에 의하면,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제1 감지패턴들(12)과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제2 감지패턴들(14)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 배치함에 의하여, 마스크 수를 저감시키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결합 단면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결합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터치 스크린 패널 11: 투명 기판
12: 제 1감지패턴 13: 위상차 보상층
14: 제 2감지패턴 20: 편광판
30: 윈도우 100: 액정표시패널

Claims (6)

  1.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의 제 1면 상에 형성되며, 제 1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2방향을 따라 연결되되 상기 제 1감지패턴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감지패턴들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2감지패턴들과;
    상기 제 1감지 패턴들과 제 2감지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 사이의 유전체층으로 동작하며, 상기 투명 기판의 제 2면에 부착되는 액정표시패널에 구비된 액정층의 복굴절 위상차를 보상하는 위상차 보상층과;
    상기 투명 기판의 제 2면과 액정표시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 접지전극 및 상기 투명 접지전극을 커버하는 절연막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보상층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구비된 액정층과 동일한 복굴절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구비된 액정층 및 상기 위상차 보상층은 동일한 모드의 액정 분자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감지패턴들 상에 절연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 상에 편광판 및 윈도우가 순차적으로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폴리머 재질의 아이콘 시트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 각각은, X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열 또는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 단위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이 형성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하나의 열 또는 행 단위의 감지패턴들을 위치 검출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금속패턴들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090003639A 2009-01-16 2009-01-16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2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39A KR101022065B1 (ko) 2009-01-16 2009-01-16 터치 스크린 패널
JP2009165827A JP2010164938A (ja) 2009-01-16 2009-07-14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
US12/543,409 US8947368B2 (en) 2009-01-16 2009-08-18 Touch screen panel
CN2009102093809A CN101782694B (zh) 2009-01-16 2009-11-04 触摸屏面板及具有该触摸屏面板的平板显示装置
EP09176259A EP2209039A1 (en) 2009-01-16 2009-11-17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39A KR101022065B1 (ko) 2009-01-16 2009-01-16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58A KR20100084258A (ko) 2010-07-26
KR101022065B1 true KR101022065B1 (ko) 2011-03-17

Family

ID=4161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39A KR101022065B1 (ko) 2009-01-16 2009-01-16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47368B2 (ko)
EP (1) EP2209039A1 (ko)
JP (1) JP2010164938A (ko)
KR (1) KR101022065B1 (ko)
CN (1) CN101782694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48Y1 (ko) 2011-03-23 2013-09-05 더리드 인베스트먼트 엘티디. 투영 정전용량 터치 패널
US9122362B2 (en) 2012-01-30 2015-09-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s and display devices having touch panels
KR20160020023A (ko) 2014-08-12 2016-02-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주파와 저주파를 갖는 입력전압파형을 공급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구동장치, 그 액추에이터 구동장치를 이용한 촉각피드백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1689991B1 (ko) 2016-02-15 2016-12-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맥놀이 전기장을 이용한 초박형 진동발생모듈, 진동발생방법 및 그 진동발생모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4992A (ko) 2015-09-21 2017-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맥놀이 전기장을 이용한 촉감제시모듈, 촉감제시장치 및 촉감제시방법
KR20170034993A (ko) 2015-09-21 2017-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맥놀이 전기장을 이용한 진동마우스 패드 및 그 진동마우스 패드를 이용한 촉감제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1380A1 (en) * 2011-05-18 2013-06-06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WO2012046702A1 (ja) * 2010-10-08 2012-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381817B1 (ko) 2011-06-30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8698769B2 (en) * 2011-08-01 2014-04-15 Sharp Kabushiki Kaisha Dual mode capacitive touch panel
JP5889718B2 (ja) * 2012-05-30 2016-03-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構造体及び入力装置、ならびに、前記実装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30142405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75536B1 (ko) 2012-07-30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TWI482061B (zh) * 2012-10-02 2015-04-21 Au Optronics Corp 觸控面板
JP5860980B2 (ja) 2013-02-01 2016-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押圧センサ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押圧入力機能付き電子機器
KR102347852B1 (ko) * 2014-09-05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전자 노트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264760B1 (ko) * 2014-11-26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700217A (zh) * 2014-11-26 2016-06-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偏光片、液晶显示屏和电子设备
CN104849897B (zh) * 2015-05-27 2019-05-28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JP6615520B2 (ja) 2015-07-15 2019-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KR102533171B1 (ko) * 2016-03-11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927198B2 (ja) 2016-03-30 2021-08-2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異方性積層体、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874760B2 (ja) 2016-04-27 2021-05-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フィルムセンサ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円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CN106502462B (zh) * 2016-10-26 2019-03-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触控显示装置
JP7024725B2 (ja) 2016-11-30 2022-02-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円偏光板、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8220959A1 (ja) 2017-05-29 2018-1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7232577B2 (ja) 2017-05-29 2023-03-0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752873B1 (ko) 2019-03-06 2025-01-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센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348A (ko) * 2000-03-28 2001-10-29 김순택 터치 패널을 채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KR20050072680A (ko) * 2004-01-07 2005-07-12 엘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멤브레인을 사용한 커패시티브 터치패드와 그 제조방법
KR20070102414A (ko) * 2006-04-14 2007-10-18 리트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투명 터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5317A (ja) 1988-11-16 1990-05-24 Fujitsu Ltd 入出力液晶表示装置
US6057814A (en) * 1993-05-24 2000-05-02 Display Science, Inc. Electrostatic video display drive circuitry and displays incorporating same
US5565658A (en) * 1992-07-13 1996-10-15 Cirque Corporation Capacitance-based proximity with interference re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JPH06160835A (ja) * 1992-11-17 1994-06-07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EP1046946B1 (en) * 1998-01-09 2008-05-28 Nissha Printing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of touch input typ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356989B1 (ko) 1999-04-13 2002-10-18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투명 도전성필름 일체형 편광판, 편광판 일체형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 일체형 평판 디스플레이
US6876355B1 (en) * 2000-05-18 2005-04-05 Lg. Philips Lcd Co., Ltd. Touch screen structure to prevent image distortion
US6498590B1 (en) * 2001-05-24 2002-12-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ulti-user touch surface
US20030016316A1 (en) * 2001-06-20 2003-0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changable polarizers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3099185A (ja) * 2001-09-20 2003-04-04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4517218B2 (ja) * 2002-05-31 2010-08-04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20040017139A (ko)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화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13187A (ja) * 2002-12-27 2004-07-29 Nissha Printing Co Ltd アイコン付きタッチパネル
US20040141096A1 (en) * 2003-01-22 2004-07-22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Flat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JP2007171501A (ja) * 2005-12-21 2007-07-05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素子
JP4506742B2 (ja) 2006-01-27 2010-07-2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322374B (en) * 2006-04-14 2010-03-21 Ritdisplay Corp Light transmissio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85730B1 (ko) * 2007-03-05 2009-02-26 (주)멜파스 단순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접촉위치 감지 패널
JP4506785B2 (ja) * 2007-06-14 2010-07-2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
US20100026330A1 (en) 2007-08-13 2010-02-04 Yuan-Chi Lin Testboard with zif connectors, method of assembling, integrated circuit test system and test method introduced by the same
CN101140368A (zh) 2007-10-17 2008-03-12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及其制作方法
TW200919287A (en) * 2007-10-17 2009-05-01 Wintek Corp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86771A (ja) 2008-02-06 2009-08-20 Hosiden Corp 液晶表示素子
JP5304992B2 (ja) * 2008-07-24 2013-10-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5033078B2 (ja) * 2008-08-06 2012-09-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WO2012046702A1 (ja) * 2010-10-08 2012-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348A (ko) * 2000-03-28 2001-10-29 김순택 터치 패널을 채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KR20050072680A (ko) * 2004-01-07 2005-07-12 엘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멤브레인을 사용한 커패시티브 터치패드와 그 제조방법
KR20070102414A (ko) * 2006-04-14 2007-10-18 리트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투명 터치 패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48Y1 (ko) 2011-03-23 2013-09-05 더리드 인베스트먼트 엘티디. 투영 정전용량 터치 패널
US9122362B2 (en) 2012-01-30 2015-09-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s and display devices having touch panels
KR20160020023A (ko) 2014-08-12 2016-02-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주파와 저주파를 갖는 입력전압파형을 공급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구동장치, 그 액추에이터 구동장치를 이용한 촉각피드백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20170034992A (ko) 2015-09-21 2017-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맥놀이 전기장을 이용한 촉감제시모듈, 촉감제시장치 및 촉감제시방법
KR20170034993A (ko) 2015-09-21 2017-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맥놀이 전기장을 이용한 진동마우스 패드 및 그 진동마우스 패드를 이용한 촉감제시방법
KR101689991B1 (ko) 2016-02-15 2016-12-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맥놀이 전기장을 이용한 초박형 진동발생모듈, 진동발생방법 및 그 진동발생모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42307A1 (ko) * 2016-02-15 2017-08-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맥놀이 전기장을 이용한 초박형 진동발생모듈, 진동발생방법 및 그 진동발생모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82694B (zh) 2012-09-19
US8947368B2 (en) 2015-02-03
KR20100084258A (ko) 2010-07-26
US20100182252A1 (en) 2010-07-22
JP2010164938A (ja) 2010-07-29
CN101782694A (zh) 2010-07-21
EP2209039A1 (en)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06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I461792B (zh) 具有內建觸控螢幕面板的液晶顯示器
US90073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KR10179902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US893769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TWI476666B (zh) 內嵌式觸控面板
JP5797897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装置
KR101908492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US9170691B2 (en) Capacitive in cell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TWI546589B (zh) 具有整合的觸控螢幕面板的液晶顯示器
US20130314371A1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Structure with Metal Layer for Sensing
US9097928B2 (en) Capacitiv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30328829A1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system with increased accuracy of touch positions
US9207483B2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structure with metal layer on lower substrate for sensing
WO2010011779A2 (en) Integration design for capacitive touch panel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US2015021997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70255299A1 (en) Position inpu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inputting function
US9019221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WO2013132857A1 (ja) 入力装置
KR100350536B1 (ko) 편광판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
KR101768488B1 (ko) 표시 장치
KR102105995B1 (ko) 터치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