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2873B1 -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2873B1
KR102752873B1 KR1020217026823A KR20217026823A KR102752873B1 KR 102752873 B1 KR102752873 B1 KR 102752873B1 KR 1020217026823 A KR1020217026823 A KR 1020217026823A KR 20217026823 A KR20217026823 A KR 20217026823A KR 102752873 B1 KR102752873 B1 KR 10275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adhesive layer
adhesive
resin
gl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999A (ko
Inventor
준이치 이나가키
다케시 무라시게
게이스케 사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28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2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보호재로서 유리재를 사용하면서도 변형 센서의 감도가 잘 저해되지 않고, 또한, 당해 유리재가 잘 파손되지 않는 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센서 장치는, 유리 필름과, 접착제층과, 수지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갖는 광학 적층체와, 변형 검지 유닛을 구비하고, 그 유리 필름의 두께가 20 ㎛ ∼ 150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변형 검지 유닛이,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점착제층 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센서 장치
본 발명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패널을 탑재한 전자 디바이스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로서, 변형 센서가 탑재된 전자 디바이스가 검토되고 있으며, 당해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변형 센서에 의해 터치 위치가 검출된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의 최표면 (터치면) 은, 많은 경우, 디바이스 보호를 위해서 보호재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재로는,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히, 유리판은, 경도가 우수한 점에서 유용하여 다용되고 있다. 또, 유리판에는, 통상적인 유리보다 강도를 늘린 강화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강화 유리는 강도 확보를 위해서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고, 두꺼운 보호재를 사용하면, 상기 변형 센서의 감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6493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보호재로서 유리재를 사용하면서도 변형 센서의 감도가 잘 저해되지 않고, 또한, 당해 유리재가 잘 파손되지 않는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장치는, 유리 필름과, 접착제층과, 수지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갖는 광학 적층체와, 변형 검지 유닛을 구비하고, 그 유리 필름의 두께가 20 ㎛ ∼ 150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변형 검지 유닛이,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점착제층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 필름과 상기 수지층이, 그 유리 필름과 그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접착제층 이외의 층을 존재시키는 일 없이,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이, 편광판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1 ㎬ ∼ 10 ㎬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재로서 유리재를 사용하면서도 변형 센서의 감도가 잘 저해되지 않고, 또한, 당해 유리재가 잘 파손되지 않는 센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센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A. 센서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센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센서 장치 (100) 는, 유리 필름 (11) 과, 접착제층 (12) 과, 수지층 (13) 과, 점착제층 (14) 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 (10) 와, 변형 검지 유닛 (20) 을 구비한다. 변형 검지 유닛 (20) 은, 광학 적층체 (10) 의 점착제층 (14) 측에 배치된다. 유리 필름 (11) 의 두께는, 20 ㎛ ∼ 150 ㎛ 이다. 유리 필름 (11) 과 수지층 (13) 은, 접착제층 (12) 을 개재하여 직접 (즉, 유리 필름 (11) 과 수지층 (13) 의 사이에 접착제층 (12) 이외의 층을 존재시키는 일 없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 (10) 는, 유리 필름 (11) 을 구비하기 때문에 경도가 높다. 광학 적층체 (10) 는, 본 발명의 센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리 필름 (11) 이 최표면이 되도록 해서 배치될 수 있다. 유리 필름 (11) 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 (10) 를 사용하면, 본 발명의 센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광학 적층체 (10) 는, 유리 필름 (11) 의 일방의 측에 수지층 (13) 을 구비함으로써, 유리 필름 (11) 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충격성 및 내찌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 필름 (11) 의 표면에 부여된 충격을, 수지층 (13) 측으로 유효하게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유리 필름 (11) 은, 수지층 (13) 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 필름 (11) 과 수지층 (13) 이 각각 서로를 보호한다. 그 때문에, 보호용 부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져, 경량 또한 박형의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형의 유리 필름 (11) 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변형 검지 유닛 (20) 의 검지 감도가 잘 저해되지 않는다. 변형 검지 유닛 (20) 은, 변형 센서 (21) 를 구비하고, 변형 센서 (21) 는, 변형 검지 유닛 (20) 에 변형이 발생했을 때에 변화하는 저항값을 판독하고, 변형량을 검출한다. 실제로는, 유리 필름 (11) 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변형 검지 유닛 (20) 이 휨으로써 변형량이 검출된다. 일반적으로, 2 점 지지의 샘플 (유리 필름) 의 중앙에 외력이 가해졌다고 가정한 경우, 변형량은, {(외력) × (지지점간 거리)3} / {48 × (샘플의 탄성률) × (단면 2 차 모멘트)} 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며, 또한 이 때의 단면 2 차 모멘트는, {(샘플 깊이) × (샘플 두께)3} / 12 로 나타내어지고, 샘플 두께의 3 승에 비례한다. 즉, 변형량은, 샘플 (유리 필름) 두께의 3 승에 반비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지층과의 조합에 의해, 박형의 유리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변형 검지 유닛의 감도가 잘 저해되지 않는 센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센서 장치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그 밖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적층체와 변형 검지 유닛의 사이에, 액정 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용 부재,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B. 광학 적층체
상기와 같이, 광학 적층체는, 유리 필름과, 접착제층과, 수지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광학 적층체는, 그 밖의 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의 층으로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 방현층, 대전 방지층, 도전층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적층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0 ㎛ ∼ 5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 300 ㎛ 이다.
B-1. 유리 필름
상기 유리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필름은, 조성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칼리 성분에 의한 분류에 의하면, 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알칼리 금속 성분 (예를 들어, Na2O, K2O, Li2O)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20 ㎛ ∼ 1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 1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 10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플렉시블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리 필름이 잘 균열되지 않아 생산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유리 필름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다. 상기 유리 필름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 ∼ 1.65 이다.
상기 유리 필름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3 g/㎤ ∼ 3.0 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g/㎤ ∼ 2.7 g/㎤ 이다. 상기 범위의 유리 필름이면, 경량의 광학 적층체가 얻어진다.
상기 유리 필름의 성형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유리 필름은,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주원료와, 망초나, 산화안티몬 등의 소포제와, 카본 등의 환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400 ℃ ∼ 1600 ℃ 의 온도에서 용융하여, 박판상으로 성형한 후, 냉각시켜 제조된다. 상기 유리 필름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슬롯 다운 드로우법, 퓨전법, 플로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판상으로 성형된 유리 필름은, 박판화하거나, 평활성을 높이거나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불산 등의 용제에 의해 화학 연마되어도 된다.
B-2. 접착제층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착제층이란, 물질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물질을 결합할 수 있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접착제층에 첩착한 피착체를 박리한 경우에는, 그 접착제층은 실용적인 접착력을 갖지 않는다. 한편, 점착제층이란, 상온에서 접착성을 가지며, 가벼운 압력으로 피착체에 접착하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점착제층에 첩착한 피착체를 박리한 경우에도, 그 점착제는 실용적인 점착력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 필름과 수지층을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함으로써, 유리 필름 및 수지층의 양방을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부터 형성된다.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로서 열 경화형, 광 경화형, 습기 경화형 등의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접착제가 열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 접착제층은, 가열하여 경화 (고화) 함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자외선 경화형 등의 광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는, 접착제층은,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착제가 습기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는, 공기 중의 수분 등과 반응하여 경화할 수 있으므로, 방치함으로써도 경화하여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예를 들어, 시판되는 접착제를 사용해도 되고, 각종 경화형 수지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접착제 용액 (또는 분산액) 으로서 조제해도 된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 ∼ 3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 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 1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찌름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5 ㎬ ∼ 15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 1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 5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찌름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탄성률은, 오토그래프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탄성률 측정 방법>
측정 온도 : 23 ℃
샘플 사이즈 : 두께 50 ㎛, 폭 2 ㎝, 길이 15 ㎝
척간 거리 : 10 ㎝
인장 속도 : 10 ㎜/min
B-3. 수지층
상기 수지층으로는, 편광판, 위상차판, 등방성 필름, 도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단층 구성이어도 되고, 다층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사용된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PVA) 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2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2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 100 ㎛ 이다.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 ㎬ ∼ 1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 7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 5 ㎬ 있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내충격성 및 내찌름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B-3-1. 편광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수지층은 편광판이다. 편광판은, 편광자와 그 편광자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편광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2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 2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 150 ㎛ 이다.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당해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 ㎛ ∼ 80 ㎛ 정도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박형의 편광자가 사용되며, 당해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이다. 이와 같이 얇은 편광자를 사용함으로써, 박형의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중 어느 것의 파장으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3.0 % 이상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계 편광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 라고 칭한다)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VA 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PVA 계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적으로 85 몰% ∼ 100 몰% 이고,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가 얻어질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해 버릴 우려가 있다.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적으로 1000 ∼ 10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 ∼ 50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5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PVA 계 수지 필름 단체를 연신, 염색하는 방법 (I),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 (i) 를 연신, 염색하는 방법 (II) 등을 들 수 있다. 방법 (I) 은, 당업계에서 주지 관용의 방법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조 방법 (II) 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 (i) 를 연신, 염색하여, 그 수지 기재 상에 편광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적층체 (i) 는, 수지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 적층체 (i)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막을 수지 기재 상에 전사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 (II) 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7358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공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 란,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말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된다.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이하,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라고도 칭한다) 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90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175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83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83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5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091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17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484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다. 편광자 제조 시에 사용한 수지 기재는,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적층하기 전, 혹은, 적층한 후에, 박리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 ∼ 2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1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 50 ㎛ 이다.
상기 보호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 ㎬ ∼ 1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 7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 5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내충격성 및 내찌름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B-4.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로부터 형성된다.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어,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탄소수가 4 ∼ 12 인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 8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 5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충격성 및 내찌름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00001 ㎬ ∼ 1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 8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 ∼ 5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충격성 및 내찌름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C. 변형 검지 유닛
변형 검지 유닛은, 그 변형 검지 유닛에 적층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표면 (변형 검지 유닛과는 반대측의 면) 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생기는 변형을 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한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검지 유닛은, 임의 적절한 구성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검지 유닛 (20) 은, 적어도 하나의 변형 센서 (21) 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형 검지 유닛 (20) 은, 투명 기판 (22) 과, 투명 기판 (22) 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변형 센서 (21) 를 갖는다. 투명 기판 (22) 의 양측에 변형 센서 (21) 가 배치되는 경우, 일방의 면에 배치된 변형 센서 (21) 와 타방의 면에 배치된 변형 센서 (21) 는 각각, 투명 기판 (22) 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판 (22) 상, 변형 센서 (21) 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배치된다. 변형 센서 (21) 는, 예를 들어, 그리드 형상으로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형 센서는, 투명 재료로 형성된 변형 게이지를 포함한다. 변형 게이지는, 금속 재료를 압축/신장했을 때에, 그 금속 재료에 고유의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고, 그 저항값의 변화를 검지하여 변형을 측정하는 것이다. 변형 게이지는, 나노 메시 구조, 나노 와이어 구조 등의 복수의 나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게이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게이지율이 낮은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변형 게이지율이란, 변형 게이지를 구성하는 재료 고유의 특성이며, 당해 재료의 변형에 대한 감도를 나타낸다. 변형량 ε 은, (저항 변화량/게이지 저항)/게이지율의 식으로 나타내어지고, 게이지율이 낮은 재료일수록 변형에 대한 감도가 높다. 변형 게이지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Cu, Ni, Cr,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변형 검지 유닛은, 배선을 통해서 변형 센서와 접속된 검지·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지·처리 회로는, 변형 게이지의 저항값 변화를 검출한 변형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저항값 변화와,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 가해진 외력의 크기를 관계지을 수 있다.
변형 검지 유닛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7/0075465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부」 및 「%」 는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접착제의 조제)
에폭시계 수지 (다이셀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셀록사이드 2021P」), 에폭시계 수지 (다이셀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EHPE3150」), 옥세탄계 수지 (토아 합성사 제조, 상품명 「아론 옥세탄 OXT-221」), 에폭시기 말단 커플링제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KBM-403」), 및 중합 개시제 (산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CPI101A 산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를, 60 : 10 : 20 : 4 : 2 의 비율로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성의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50 ㎛) 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도레이사 제조, 상품명 「루미라 S10」, 두께 : 100 ㎛, 탄성률 : 4 ㎬) 을, 제조예 1 에서 조정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자외선 (적산 광량 : 300 mJ/㎠) 을 조사하여, 유리 필름/접착제층 (두께 : 1 ㎛, 탄성률 : 1 ㎬) / 수지층 (PET) 으로 구성되는 적층체 A 를 얻었다.
상기 적층체 A 의 수지층 (PET) 측에, 점착 필름 (닛토 전공사 제조, 상품명 「LUCIACS CS9861UAS」, 점착층 두께 : 25 ㎛) 을 적층하여 적층체 B 를 얻었다.
다음으로, 스마트 폰 (애플사 제조, 상품명 「i-phone X」) 으로, 액정 패널의 상측에 있는 필름을 벗겨내고, 상기 적층체 B 를 점착층을 개재하여 액정 패널에 실장하였다.
또한, 탄성률은, 오토그래프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상품명 「AG-IS」) 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의해 측정하였다.
<탄성률 측정 방법>
측정 온도 : 23 ℃
샘플 사이즈 : 두께 50 ㎛, 폭 2 ㎝, 길이 15 ㎝
척간 거리 : 10 ㎝
인장 속도 : 10 ㎜ /min
[실시예 2]
유리 필름의 두께를 10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센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
유리 필름의 두께를 30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센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2]
적층체 A 를 구성하는 접착제층을 점착제층 (닛토 전공사 제조, 아크릴계 점착제, 상품명 「LUCIACS CS9861UAS」, 점착층 두께 : 25 ㎛)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센서 장치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센서 장치를 이하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1, 감도
스마트 폰에 실장한 적층체 B 의 유리 표면을 손가락으로 눌러, 디스플레이가 반응하는 경우를 「○」, 반응이 지연되거나, 혹은 반응하지 않는 경우를 「×」 로 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인할 수 있도록, 간이적으로 1 매의 편광판 (닛토 전공사 제조, 상품명 「NPF SEG1425DU」) 을 시인측 (유리 위) 에 받쳐 가리고 확인을 실시하였다.
2, 내충격성
스마트 폰에 실장한 적층체 B 의 유리 표면에 대하여, 100 g 의 철구를 높이 50 ㎜ 로부터 낙하시켰을 때, 유리 필름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균열되지 않는 경우를 「○」, 균열되는 경우를 「×」 로 하였다.
Figure 112021097115448-pct00001
10 : 광학 적층체
11 : 유리 필름
12 : 접착제층
13 : 수지층
20 : 변형 검지 유닛
100 : 센서 장치

Claims (5)

  1. 유리 필름과, 접착제층과, 수지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갖는 광학 적층체와,
    그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생기는 변형을 검지하는 변형 검지 유닛을 구비하고,
    그 유리 필름의 두께가 20 ㎛ ∼ 150 ㎛ 이며,
    그 접착제층의 23℃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0.5 GPa ~ 15 GPa 인,
    센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검지 유닛이,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점착제층 측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과 상기 수지층이, 그 유리 필름과 그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접착제층 이외의 층을 존재시키는 일 없이, 배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편광판인, 센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1 ㎬ ∼ 10 ㎬ 인, 센서 장치.
KR1020217026823A 2019-03-06 2020-02-10 센서 장치 Active KR102752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0427 2019-03-06
JP2019040427 2019-03-06
PCT/JP2020/005156 WO2020179376A1 (ja) 2019-03-06 2020-02-10 センサ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999A KR20210136999A (ko) 2021-11-17
KR102752873B1 true KR102752873B1 (ko) 2025-01-09

Family

ID=7233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823A Active KR102752873B1 (ko) 2019-03-06 2020-02-10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215972B2 (ko)
EP (1) EP3936333A4 (ko)
JP (1) JP7554734B2 (ko)
KR (1) KR102752873B1 (ko)
CN (1) CN113557133A (ko)
WO (1) WO2020179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9540A1 (en) * 2020-06-26 2021-12-29 TE Connectivity Norge AS Attachment system for attaching a sensor to a substrate, method of attaching a sensor to a substrate
CN112706491B (zh) * 2020-12-22 2025-03-14 东风越野车有限公司 一种防炮火冲击玻璃机构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4177A (ja) * 2015-07-15 2017-02-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17024386A (ja) * 2015-07-17 2017-02-02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及び表示装置用保護材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9033A (ja) 2005-04-28 2006-11-09 Kaneka Corp 光学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328334A (ja) 2005-04-28 2006-12-07 Kaneka Corp 樹脂組成物、またはこれを使用した光学用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2006317560A (ja) 2005-05-10 2006-11-2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07009182A (ja) 2005-05-11 2007-01-18 Kaneka Corp 樹脂組成物、成形体、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6328329A (ja) 2005-05-30 2006-12-07 Kaneka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337569A (ja) 2005-05-31 2006-12-1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4686261B2 (ja) 2005-05-31 2011-05-25 株式会社カネカ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4695439B2 (ja) 2005-05-31 2011-06-08 株式会社カネカ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06337492A (ja) 2005-05-31 2006-12-1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09161744A (ja) 2007-12-11 2009-07-23 Kaneka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光学用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KR101022065B1 (ko) 2009-01-16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0284840A (ja) 2009-06-10 2010-12-24 Kaneka Corp コーティング層が付与された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WO2011125408A1 (ja) 2010-04-09 2011-10-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る入出力装置
JP5414738B2 (ja) 2010-09-03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JP2013037207A (ja) 2011-08-09 2013-02-21 Nitto Denko Corp 表示装置用保護基板
JPWO2013175767A1 (ja) 2012-05-23 2016-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190863A (ja) * 2014-03-28 2015-11-0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圧力検出装置
JP6544134B2 (ja) 2015-08-17 2019-07-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ガラス積層体ロール、電子デバイス用基板、及び離型フィルム付きガラス層保護フィルム
US9874965B2 (en) 2015-09-11 2018-01-23 Apple Inc. Transparent strain sensors in an electronic device
JP6638560B2 (ja) 2016-06-07 2020-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変形検知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CN106201085A (zh) * 2016-07-12 2016-12-07 汕头超声显示器技术有限公司 一种高精确度的力学感应板
KR102589636B1 (ko) 2016-08-05 202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8247B1 (ko) 2016-09-20 2024-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67829B1 (ko) 2017-04-11 2021-06-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와, 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판, 화상 표시 장치, 저항막식 터치 패널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KR102411234B1 (ko) 2017-10-30 2022-06-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JP2018185346A (ja) 2018-08-27 2018-11-22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ひずみゲージ
JP7548651B2 (ja) 2019-09-27 202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2021076778A (ja) 2019-11-12 2021-05-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セット、液晶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4177A (ja) * 2015-07-15 2017-02-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17024386A (ja) * 2015-07-17 2017-02-02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及び表示装置用保護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554734B2 (ja) 2024-09-20
EP3936333A1 (en) 2022-01-12
WO2020179376A1 (ja) 2020-09-10
US12215972B2 (en) 2025-02-04
CN113557133A (zh) 2021-10-26
JPWO2020179376A1 (ko) 2020-09-10
US20220090904A1 (en) 2022-03-24
KR20210136999A (ko) 2021-11-17
EP3936333A4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274B2 (en) Optical laminate having thin glass, polarizer, and protective film with specified modulus of elasticity
KR102411234B1 (ko)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KR102752873B1 (ko) 센서 장치
US20220146731A1 (en) Optical film
CN114514452B (zh) 光学薄膜
TWI736968B (zh) 光學薄膜組及光學積層體
JP7553174B2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光学積層体
KR20220097895A (ko) 광학 필름 세트 및 액정 패널
CN113613868B (zh) 玻璃树脂层叠体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