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8492B1 -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492B1
KR101908492B1 KR1020110033832A KR20110033832A KR101908492B1 KR 101908492 B1 KR101908492 B1 KR 101908492B1 KR 1020110033832 A KR1020110033832 A KR 1020110033832A KR 20110033832 A KR20110033832 A KR 20110033832A KR 101908492 B1 KR101908492 B1 KR 10190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ctrodes
bridge
sensor electrodes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225A (ko
Inventor
김승현
김형철
유태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92B1/ko
Priority to US13/308,282 priority patent/US9262018B2/en
Priority to CN201110433362.6A priority patent/CN102736777B/zh
Publication of KR2012011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225A/ko
Priority to US14/971,798 priority patent/US97271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제1 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들과, 제1 센서 전극들 상에 형성되며, 컨택홀들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노출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해주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와 동일 패턴을 상기 브리지의 측면을 제외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이 구비된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들과, 상기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해주며,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Display)는 음극선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기 발광 표시 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유기 발광 전계 표시 장치 등과 같이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을 가지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 패널 상에 포인터(사용자의 손가락)를 통해 표면을 가압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시키는 터치 패널을 탑재하여 입력 장치로 이용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감지 방식에 따라 저항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등으로 나누며, 제조 방법의 편이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감지하는 전극이 형성된 센서 글래스와, 센서 글래스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커버 글래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 글래스에는 X축 방향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들과, Y축 방향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들과, 제1 센서 전극들로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라우팅 라인과 제2 센서 전극들로 신호를 공급하는 제2 라우팅 라인을 포함하는 라우팅부와,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5개의 마스크 공정이 필요하다. 즉, 센서 글래스 상에 금속 재질로 패드 및 이와 접속된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을 제1 마스크를 통해 형성--> 제2 마스크를 통해 제1 센서 전극 형성--> 절연층 형성 및 제3 마스크를 통해 컨택홀 형성--> 제4 마스크를 통해 제2 센서 전극 형성--> 제2 센서 전극 상에 절연층 형성하고, 제5 마스크를 통해 패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절연층을 제거 공정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공정 수가 많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공정 비용과 시간이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공정 수를 감소시키며 공정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제1 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들과, 제1 센서 전극들 상에 형성되며, 컨택홀들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노출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해주는 브리지가 구비된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들과, 상기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해주며,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센서 전극들은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 상부에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브리지와 동일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는 제2 절연층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마스크로 형성되며, 상기 브리지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센서 전극 패턴군이 컨택홀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전극들이 형성된 패드부 영역이 오픈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패드부 영역에 형성된 제1 절연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브리지와 제2 절연층을 동일 마스크로 동일 공정에서 패터닝하여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를 줄일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공정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리지를 투명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브리지가 사용자 눈에 보이지 않아 표시 품질이 향상되며, 브리지 상에 제2 절연층이 형성되어 스크래치 방지 및 정전기 방지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중 제1 마스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중 제2 마스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중 제3 마스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중 제4 마스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제4 마스크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10)과, 액정 패널(110) 상에 탑재된 터치 패널를 포함한다. 이때,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외에 평판 표시 장치라면 가능하다.
액정 패널(110)은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부 기판(112)과, 칼러 구현을 위한 칼러 필터가 형성된 하부 기판(114)과,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과 수직 전계 또는 수평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과, 상부 기판(112)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118)과, 하부 기판(114)의 배면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116)을 포함한다.
칼러 필터는 블랙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색이 구분되도록 상부 기판(112) 상에 형성된다. 이 칼러 필터는 R, G, B 별로 형성되어 R, G, B 색상을 구현한다.
공통 전극은 상부 기판(112)의 배면 상에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어 화소 전극과 수직 전계를 이룰 수 있으며, 하부 기판(114) 상에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어 화소 전극과 수평 전계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에는 액정 구동을 위한 기준 전압, 즉 공통 전압이 공급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하부 기판(114) 상에 형성되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화소 전극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과 접속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소스 전극, 화소 전극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활성층, 그 활성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의 오믹 접촉을 위한 오믹 접촉층을 구비한다.
화소 전극은 각 화소 영역에서 칼라 필터(R, G, B)와 중첩되도록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접속된다. 또한, 화소 전극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공통 전극과 중첩되어 수직 전계를 형성하거나, 동일 기판에 형성되어 수평 전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화소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공통 전압이 공급된 공통 전극과 수직 전계 또는 수평 전계를 형성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 분자들이 유전율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액정 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화소 영역을 투과하는 광 투과율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패널(110)은 두 기판에 각각 전극을 설치하고 액정 방향자가 90°트위스트 되도록 배열한 다음, 전극에 전압을 가하여 액정 방향자를 구동하는 트위스트 네마틱(Twisted-Nemaitc; TN) 방식, 하나의 기판 상에 두 개의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평 전계로 액정의 방향자를 조절하는 IPS(In-Plane Swiching) 모드, 두 개의 전극을 투명 전도체로 형성하면서 두 개의 전극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를 동작시키는 FFS(Fringe Field Swiching) 모드 방식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부 편광판(118)은 액정 패널(110)의 상부 기판(112)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부 편광판(118)은 액정 패널(110)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해 투과 광량 및 편광 상태를 제어한다.
하부 편광판(116)은 액정 패널(110)의 하부 기판(12)의 배면에 형성된다. 하부 편광판(116)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한 투과 광량 및 편광 상태를 제어한다.
터치 패널은 위치 감지 전극으로서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전극 패턴부(156,166)가 형성된 센서 기판(101)과, 센서 기판(101)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커버 기판(132)과, 액정 패널(110)의 상부 편광판(118) 상에 형성된 제1 점착층(120)과, 센서 기판(101) 상에 형성된 제2 점착층(122)을 포함한다. 점착층(22)은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접착재료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SVR(Super View Resin) 또는 OCA(Optical Cleared Adhesive)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서 기판(101)과 커버 기판(132)은 투명 글래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 기판(101)의 배면에는 바텀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기판(10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 전극 패턴부(156), 제2 센서 전극 패턴부(166), 라우팅부, 패드부(172)를 구비한다.
제1 센서 전극 패턴부(156)는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1 방향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예로 들어 X축 방향일 수 있다. 제1 센서 전극 패턴부(156)는 마름모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제1 센서 전극들(150,154)과,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50,154)을 연결시키는 브리지들(152)을 포함한다. 브리지들(152)은 컨택홀(150a,154a)을 통해 노출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50,154)을 연결시킨다. 제1 센서 전극들(150,154)은 제1 라우팅 라인(15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제1 패드 전극들(159)을 통해 공급된 신호는 제1 라우팅 라인(158)과 접속된 제1 센서 전극들(150,154)로 공급되며,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50,154)은 브리지(152)를 통해 신호가 공급된다.
이러한, 제1 센서 전극들(150,154)은 기판(101) 상에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며, 브리지들(152)은 제1 절연층(180) 상에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며, 투명 전극 재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등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리지(152)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눈에 보이지 않아 시인성에 장점이 있다. 즉, 종래 브리지는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등과 같은 불투명한 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라 보이는 사용자 눈에 보이게 되어 시인성에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눈에 보이지 않게 되어 표시 품질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리지(152)는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브리지(152) 상에 제2 절연층(182)이 형성되어 스크래치 방지 및 정전기 방지를 할 수 있다.
제2 센서 전극 패턴부(166)는 제1 센서 전극 패턴부(156)와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2 방향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예로 들어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2 센서 전극 패턴부(166)는 마름모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제2 센서 전극들(160,164)과, 제2 센서 전극들(160,164)과 동일층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0,164)을 연결해주는 연결부(162)를 포함한다. 연결부(162)는 제2 센서 전극들(160)과 동일층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0,164)을 연결해준다. 제2 센서 전극들(160,164)은 제2 라우팅 라인(16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제2 패드 전극들(169)을 통해 공급된 신호는 제2 라우팅 라인(168)과 접속된 제2 센서 전극들(160,164)로 공급되며,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0,164)은 연결부(162)를 통해 신호가 공급된다.
이러한, 연결부(162)와 제2 센서 전극들(160,164)은 기판(101) 상에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며, 투명 전극 재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등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라우팅부는 제1 센서 전극들(1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제1 라우팅 라인(158)과, 제2 센서 전극들(1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제2 라우팅 라인(168)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우팅 라인(158)과 제2 라우팅 라인(168) 상에 제1 절연층(180)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158,168)은 저항 값이 낮은 금속 재질로, 금속 재질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알루미늄 네오듐(AlNd), 몰리브덴티탄(Mo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층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158,168) 상에 제1 절연층(18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158,168)이 외부와 접촉하지 않아 산화되지 않을 수 있다.
패드부(172)는 제1 라우팅 라인(158)과 접속된 제1 패드 전극들(159)과, 제2 라우팅 라인(168)과 접속된 제2 패드 전극들(169)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패드 전극들(159,169)은 FPC(Flexa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와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1 패드 전극들(159)은 FPC로 입력되는 터치 제어 신호를 제1 라우팅 라인(158)에 공급하며, 제2 패드 전극들(169)은 FPC로 입력되는 터치 제어 신호를 제2 라우팅 라인(168)에 공급한다.
도 4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 및 그에 따른 평면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센서 기판(101) 상에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158,168)과, 이와 연결된 제1 및 제2 패드 전극(159,169)를 포함하는 라우팅 및 패드 패턴군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기판(101) 상에 스퍼터링 방법 등의 증착 방법을 통해 제1 도전층이 형성된다. 제1 도전층으로는 Mo, Cu, Al, Cr, Ag 등과 같이 금속 물질이 이용된다. 이어서, 제1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으로 제1 도전층이 패터닝됨으로써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158,168)과 제1 라우팅 라인(158)과 연결된 제1 패드 전극(159)와, 제2 라우팅 라인(168)과 연결된 제2 패드 전극(169)을 포함하는 라우팅 및 패드 패턴군이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도전 패턴군이 형성된 센서 기판(101) 상에 제1 및 제2 센서 전극들(150,154,160,164)과,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0,164)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62)를 포함하는 센서 전극 패턴군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기판(101) 상에 스퍼터링 방법 등의 증착 방법을 통해 제2 도전층이 형성된다. 제2 도전층으로는 틴 옥사이드(Tin Oxide : TO),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 IZO), 인듐 틴 징크 옥사이드(Indium Tin Zind Oxide : ITZO) 등의 투명 도전층이 이용된다. 이어서, 제2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으로 제2 도전층이 패터닝됨으로써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센서 전극들(150,154)과,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센서 전극들(160,164)과,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0,164)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62)를 포함하는 센서 전극 패턴군이 형성된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 전극들(150)은 제1 라우팅 라인(158)과 접속되며, 제2 센서 전극들(160)은 제2 라우팅 라인(168)과 접속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센서 전극 패턴군이 형성된 센서 기판(101) 상에 컨택홀(150a,154a)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180)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패드 전극들(159,169)이 형성된 패드부 영역이 오픈된 형태로 제1 절연층(180)이 제거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기판(101) 상에 SiO2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 전면 도포되며, 이 무기 절연 물질은 제3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제1 센서 전극들(150,154)을 노출시키는 컨택홀들(150a,154a)이 포함된 제1 절연층(180)이 형성되며, 패드부 영역에는 제1 절연층(180)이 제거된다. 라우팅 영역에 형성된 제1 및 제2 라우팅 라인(158,168) 상에는 제1 절연층은 남아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컨택홀(150a,154a)이 포함된 제1 절연층(180)이 형성된 센서 기판(101) 상에 브리지(152) 및 제2 절연층(182)이 형성되고, 패드부 영역에는 제1 및 제2 패드 전극들(159,169)만 형성된다. 이는,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절연층(180)이 형성된 센서 기판 상에 스퍼터링 방법 등의 증착 방법을 통해 제3 도전층(250)이 형성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도전층(250) 상에 SiO2 등의 무기 절연 물질으로 형성된 제2 절연층(252)이 전면 도포된다. 제3 도전층(250)으로는 틴 옥사이드(Tin Oxide : TO),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 IZO), 인듐 틴 징크 옥사이드(Indium Tin Zind Oxide : ITZO) 등의 투명 도전층이 이용된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건식 식각 공정으로 브리지(152)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하고 제2 절연층(252)이 패터닝된다. 이에 따라, 브리지(152)가 형성될 영역에만 제2 절연층(182)이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2 절연층(182)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 후,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마스크를 통한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제3 도전층(250)을 패터닝함으로써 브리지(1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절연층(182)은 제3 도전층(250)과 동일 마스크를 통해 패터닝함으로써 브리지(152)와 동일 패턴으로 형성되며, 제4 마스크를 통해 브리지(152)가 형성될 영역 외에 제2 절연층(182)과 제3 도전층(250)을 패터닝함으로써 패드 영역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므로 패드 영역에 추가 마스크 없이 제2 절연층(182)과 제3 도전층(250)을 제거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2 절연층(182)과 제3 도전층(252)을 패터닝함으로써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 액정 패널 112 : 상부 기판
114 : 하부 기판 116 : 하부 편광판
118 : 상부 편광판 120, 122 : 제1 및 제2 점착층
132 : 커버 기판 150, 154 : 제1 센서 전극들
152 : 브리지 156 : 제1 센서 전극 패턴부
158 : 제1 라우팅 라인 160, 164 : 제2 센서 전극들
162 : 연결부 166 : 제2 센서 전극 패턴부
168 : 제2 라우팅 라인

Claims (8)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제1 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들과, 제1 센서 전극들 상에 형성되며, 컨택홀들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노출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해주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 형성시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상기 브리지와 동일 패턴을 가지고 상기 브리지의 측면을 제외한 상부에만 형성되는 제2 절연층이 구비된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들과, 상기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해주며,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33832A 2011-04-12 2011-04-12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0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832A KR101908492B1 (ko) 2011-04-12 2011-04-12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US13/308,282 US9262018B2 (en) 2011-04-12 2011-11-30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1110433362.6A CN102736777B (zh) 2011-04-12 2011-12-21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US14/971,798 US9727195B2 (en) 2011-04-12 2015-12-16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832A KR101908492B1 (ko) 2011-04-12 2011-04-12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225A KR20120116225A (ko) 2012-10-22
KR101908492B1 true KR101908492B1 (ko) 2018-10-17

Family

ID=4699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8492B1 (ko) 2011-04-12 2011-04-12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262018B2 (ko)
KR (1) KR101908492B1 (ko)
CN (1) CN102736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121B2 (ja) * 2010-04-05 2012-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用基板とその製造方法、薄膜光電変換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8531433B2 (en) * 2010-07-21 2013-09-10 Synaptics Incorporated Producing capacitive images comprising non-connection values
DE102011078077A1 (de) * 2011-06-24 2012-12-27 Ident Technology Ag Leiterplatte mit Elektrodenkonfiguration eines kapazitiven Sensors
US9024891B2 (en) 2011-11-03 2015-05-05 Synaptics Incorporated Single substrate touch sensor
KR101902006B1 (ko) * 2012-01-26 2018-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WO2013141292A1 (ja) * 2012-03-21 2013-09-26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KR20130114820A (ko) * 2012-04-10 2013-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US8941014B2 (en) * 2012-06-28 2015-01-27 Atmel Corporation Complex adhesive boundaries for touch sensors
US9430102B2 (en) * 2012-07-05 2016-08-30 Apple Touch interface using patterned bulk amorphous alloy
KR101461341B1 (ko) 2012-11-30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JP6336744B2 (ja) 2012-12-03 2018-06-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極部材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パネル
KR102052749B1 (ko) * 2012-12-20 2019-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TWM461098U (zh) * 2012-12-28 2013-09-01 Hannstouch Solution Inc 觸控面板
KR20140091403A (ko) * 2013-01-11 2014-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극구조 및 그 제조방법, 전극구조를 구비한 표시소자, 그 제조방법
CN104007860B (zh) * 2013-02-22 2017-02-08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触摸板结构及其制造方法
JP2014219963A (ja) * 2013-04-12 2014-11-2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センサーシート作製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ッド用センサ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235659B (zh) * 2013-04-12 2018-06-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132208B1 (ko) * 2013-08-30 2020-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터치 패널 및 전자 장치
TWM476980U (en) * 2013-09-17 2014-04-21 Wintek Corp Touch panel
KR102211863B1 (ko) 2013-10-15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US9372587B2 (en) * 2013-11-26 2016-06-21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rranging electrode layers and associated routing traces in a sensor device
TWI520025B (zh) * 2013-12-17 2016-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容式觸控顯示面板、電容式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US9857906B2 (en) * 2014-01-22 2018-01-02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KR102204110B1 (ko) * 2014-02-05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4915077B (zh) * 2014-03-13 2017-11-28 乐金显示有限公司 触摸感应显示装置
KR102187949B1 (ko) * 2014-06-10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윈도우
US10133422B2 (en) * 2014-04-14 2018-11-20 Lg Innotek Co., Ltd. Curved touched window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9965113B2 (en) 2014-04-14 2018-05-08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US9927832B2 (en) * 2014-04-25 2018-03-27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having a reduced border region
CN105094395A (zh) * 2014-05-04 2015-11-2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装置
CN103970393A (zh) * 2014-05-23 2014-08-06 山东华芯富创电子科技有限公司 跨桥式电容式触控面板结构及其制作方法
CN105183202B (zh) * 2014-05-30 2018-05-04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模块及其制造方法
JP2016021103A (ja) 2014-07-14 2016-02-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299875B1 (ko) * 2014-11-07 2021-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89934B1 (ko) 2014-11-28 2021-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62470B1 (ko) * 2014-11-28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KR20160066634A (ko) * 2014-12-02 2016-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4470210A (zh) * 2014-12-31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路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CN104602450A (zh) * 2014-12-31 2015-05-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路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KR102301502B1 (ko) * 2015-01-07 2021-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12260B1 (ko)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571720B (zh) * 2015-02-06 2017-07-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内嵌式触摸面板和显示装置
KR102325383B1 (ko) * 2015-02-26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4834407B (zh) 2015-05-29 2019-01-22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的制备方法、触控面板和显示装置
CN104898884B (zh) * 2015-06-16 2018-03-13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单片玻璃式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CN106339116B (zh) * 2015-07-11 2023-07-14 宸新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TWI581146B (zh) * 2015-09-24 2017-05-01 恆顥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KR20170111827A (ko) * 2016-03-29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867709B (zh) * 2016-04-05 2019-03-29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触控面板架桥结构及触控面板
KR102517375B1 (ko) * 2016-05-13 2023-04-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55542A (zh) * 2016-05-31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694369B1 (ko) * 2016-06-20 2024-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1768B1 (ko) * 2016-06-30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066099B1 (ko) * 2016-07-29 202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06058170U (zh) * 2016-07-29 2017-03-29 意力(广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单面双层多点触摸屏
CN106020562B (zh) * 2016-08-04 2019-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屏及其制作方法、外挂式触摸屏
KR102089340B1 (ko) * 2016-08-31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2916B1 (ko) * 2016-09-30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324882A (zh) * 2016-10-31 2017-01-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KR102668136B1 (ko) * 2016-12-12 2024-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KR102161709B1 (ko) 2017-05-08 2020-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32650B1 (ko) 2017-05-15 2018-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8256B1 (ko) * 2017-06-07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7182255U (zh) * 2017-09-18 2018-04-03 汕头超声显示器有限公司 一种减少侧光反射的电容触摸屏
CN107765923A (zh) * 2017-11-07 2018-03-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制作方法
CN110096169B (zh) 2018-01-30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造方法、电子装置
US11467698B2 (en) * 2018-04-17 2022-10-11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KR20210069779A (ko) * 2019-12-03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13219736B (zh) * 2021-04-20 2022-11-25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219739B (zh) * 2021-04-20 2022-12-06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219738B (zh) * 2021-04-20 2022-12-06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4327144A (zh) * 2021-12-30 2022-04-12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组件、触控显示面板及制备方法
CN114995683A (zh) * 2022-08-04 2022-09-02 湖南兴威新材料有限公司 一种单面电容式触摸屏及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0670A (ja) 2009-01-08 2010-07-22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013725A (ja) 2009-06-30 2011-01-20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JP2011039759A (ja) * 2009-08-11 2011-02-24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5130B1 (en) * 1998-11-19 2001-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556407B2 (ja) * 2002-10-04 2010-10-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酸化物透明電極膜とその製造方法、透明導電性基材、太陽電池および光検出素子
KR101261450B1 (ko) * 2006-02-06 201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090058072A (ko)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원 레이어 방식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JP4582169B2 (ja) 2008-03-26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265748A (ja) * 2008-04-22 2009-11-12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513440B1 (ko) * 2008-12-01 2015-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403790B (zh) * 2009-10-19 2013-08-01 Au Optronics Corp 觸控基板以及觸控顯示面板
KR101101088B1 (ko) * 2010-05-03 2011-12-3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50074B1 (ko) * 2010-09-29 2016-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0670A (ja) 2009-01-08 2010-07-22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013725A (ja) 2009-06-30 2011-01-20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JP2011039759A (ja) * 2009-08-11 2011-02-24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2385A1 (en) 2012-10-18
CN102736777B (zh) 2015-04-01
CN102736777A (zh) 2012-10-17
US9727195B2 (en) 2017-08-08
US20160103529A1 (en) 2016-04-14
US9262018B2 (en) 2016-02-16
KR20120116225A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492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1686108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JP591201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内蔵型液晶表示装置
KR101009672B1 (ko) 터치 패널 내장형 액정 표시 장치
US99712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3164076B (zh) 具有集成式触摸屏的显示装置
US86108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3013554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EP2209039A1 (en) Touch screen panel
KR20110135301A (ko)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CN109839779A (zh) 液晶面板
KR101658149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1706234B1 (ko)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US9019221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20160081039A (ko) 인셀 터치 방식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46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18468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68488B1 (ko) 표시 장치
JP2015099407A (ja) 入力装置
KR20120063355A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77092A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7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