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2587B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587B1
KR100932587B1 KR1020077007097A KR20077007097A KR100932587B1 KR 100932587 B1 KR100932587 B1 KR 100932587B1 KR 1020077007097 A KR1020077007097 A KR 1020077007097A KR 20077007097 A KR20077007097 A KR 20077007097A KR 100932587 B1 KR100932587 B1 KR 100932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ase body
braking
rotating body
hoist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344A (ko
Inventor
다케시 하타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5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전동기가 발열하여도 기본체의 열 변형이 작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측을 막도록 설치된 바닥부를 가진 기본체와, 원통부에 설치된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捲線)과, 기본체의 축심(軸心)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동기의 회전체와, 회전체에 설치된 제동체와, 기본체에 설치되어 제동체에 대응하여 제동 동작하는 제동기를 구비하고, 바닥부를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며, 이 곡면 형상을 회전체 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바닥부의 막 강성이 높아지게 되어 기본체의 열 변형이 작아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HOIST FOR ELEVATOR}
본 발명은, 기본체와 전동기(電動機)가 구성되어, 전동기의 회전체를 구동하고,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기가 기본체에 장착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卷上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베어링을 가지는 제 1 베어링 대(臺 : bearing stand) 및 제 2 베어링 대가 가대(架臺)에 설치되고, 이 제 1 베어링 대 및 제 2 베어링 대에 회전축이 추착(樞着)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쉬브가 제 1 베어링 대와 제 2 베어링 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축에 장착되고, 제 1 베어링 대 측의 회전축의 일단에 회전체가 장착되어 있다. 기본체는, 제 1 베어링 대와, 이 제 1 베어링 대에 설치되고, 사발 모양을 이루며 바닥부가 평면 형상인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가대에 장착되어 있다. 기본체의 프레임에 고정자 권선(捲線)이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자 권선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계자(界磁) 자석이 회전체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회전체와 고정자 권선과 계자 자석으로 전동기를 구성하고 있다. 또, 회전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동체를 형성하고, 이 제동체에 대해 지름 방향 측으로부터 전자 기구에 의해 접리(接離) 가능한 제동편을 가지는 제동기를 기본체에 설치한 구성을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평9-142761호 공보(제 2, 4 페이지, 제 2 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제동기를 전자력에 의해 제동편을 제동체에 대해 소정의 공극(空隙)으로 이간시킨 상태에서, 전동기를 통전(通電)함으로써 구동된다. 그 때문에, 구동을 반복함으로써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이 발열하고, 고정자 권선을 장착한 기본체도 열전도에 의해 발열한다. 기본체의 발열은, 고정자 권선을 장착한 프레임으로부터 발열하여, 제 1 베어링 대 및 가대에 열전도 되며, 제 1 베어링 대 및 가대의 표면으로부터도 방열한다. 그 때문에, 기본체는 고정자 권선에 가까운 부분에 높은 온도 분포를 나타내고, 제 1 베어링 대 및 가대의 부분에 있어서는 낮은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기본체에는 온도 구배가 생긴다. 그 때문에, 각부에는 다른 열 팽창이 발생하고, 기본체는 열 변형이 발생한다. 발명자는 예의(銳意)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기본체와 같이 바닥부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간이한 형상의 것에 있어서는, 기본체의 열 변형이 크고, 기본체에 장착된 제동기의 제동편도 제동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형이 커지는 것을 알았다.
다음으로, 발명자가 상기한 결론에 도달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는 다르지만, 상기 기본체와 같이 바닥부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기본체(31)는, 원통부(31a)와, 이 원통부(31a)의 일측을 막도록 설치된 평면 형상을 이루는 바닥부(31b)와,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대에 설치되는 장착부(31c)를 가진다.
기본체(31)의 장착부(31c)에는 베어링 대(2)가 장착되고, 기본체(31)와 베어링 대(2)의 중심부에 베어링(3)을 통하여 회전축(4)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5)가 회전축(4)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체(5)는 원통부(31a)와 대향한 회전체 원통부(5a)와 이 회전체 원통부(5a)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체 보스(boss)부(5b)를 가지며, 회전체 보스부(5b)가 회전축(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 원통부(5a)의 타측이 바닥부(31b)에 대향되어 있다. 회전체(5)에는, 원통부(31a)의 타측(31d)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체 원통부(5a)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제동체(6)를 가진다. 구동 쉬브(7)가, 원통부(31a), 제동체(6)의 순서로 제동체(6)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회전체(5)에 볼트(7a)로 원통부(31a)와 반대쪽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동 쉬브(7)의 외주에는 로프 홈이 형성되고,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의 승강체를 현가(懸架)하는 메인 로프(8)가 감겨진다.
전동기(9)는, 회전체(5)와, 원통부(31a)의 내주면에 설치된 고정자 권선(10)과, 고정자 권선(10)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회전체 원통부(5a)의 외주면에 설치된 계자 자석(11)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 권선(10)과 계자 자석(11)은 소정의 공극을 가지고 있다. 기본체(31)의 외주면에는, 제동체(6)의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접리 가능하게 구성된 2 세트의 제동편(12a)을 가진 제동기(12)가 장착되어 있다. 제동기(12)는, 내부에 제동편(12a)을 이간시키는 전자 기구 및 제동편(12a)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권상기는, 엘리베이터의 정지시에 전동기(9)의 고정자 권선(10)에 전력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동기(12)의 전자 기구가 차단되어 제동편(12a)이 가압 수단에 의해 제동체(6)에 가압되어 회전체(5) 즉 구동 쉬브(7)가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운전시는 고정자 권선(10)에 전력이 통전됨과 동시에, 제동기(12)의 전자 기구가 통전됨으로써, 제동편(12a)이 가압 수단의 가압에 저항하여 제동체(6)로부터 축 방향 양측으로 이간하여, 양측의 공극을 균등한 상태로 확보한다. 이것에 의해, 제동편(12a)의 제동체(6)로의 가압이 해소되어 회전체(5) 즉 구동 쉬브(7)의 제동이 해제됨과 동시에 구동 쉬브(7)가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 쉬브(7)에 감겨진 메인 로프(8)를 통하여, 메인 로프(8)에 현가된 도시하지 않은 승차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 승강체가 승강 운전된다.
권상기는, 전동기(9)의 고정자 권선(10)이 통전됨으로서, 고정자 권선(10)은 원주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발열한다. 이 발열은 기본체(31)의 원통부(31a)로 열전도 하여, 바닥부(31b) 및 장착부(31c)로 열전도되어 기본체(31)로 열전도 되어, 기본체(31)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방열(放熱)한다.
다음으로 이 때의 기본체(31)의 온도 분포에 대해 설명한다. 원통부(31a)는, 발열체인 고정자 권선(10)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바닥부(31b)보다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또, 기본체(31)의 하부에 있어서는, 장착부(31c)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통부(31a) 및 바닥부(31b)의 열은 장착부(31c)를 통하여 열전도 되어, 장착부(31c)로부터도 방열된다. 그 때문에, 기본체(31)의 하부는, 장착부(31c)의 열전도 및 방열만큼, 상부보다 낮은 온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기본체(31)는 상기와 같이 온도 구배가 발생하고, 이 온도 구배에 의해 각부의 열 팽창의 차이로 인하여 기본체(31)가 열 변형한다. 원통부(31a)는 높은 온도를 나타내고 열 팽창이 크며, 지름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팽창한다. 그러나, 원통부(31a)의 일측에 바닥부(31b)가 설치되어 있고, 바닥부(31b)는 원통부(31a)보다 열 팽창이 작으므로, 원통부(31a)는 원통부(31a)의 타측(31d)이 지름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열 변형하며, 그에 수반하여 바닥부(31b)는 활 모양으로 열 변형한다.
이것은, 원통부(31a)의 타측(31d)에 외관상, 도 9에 도시한 화살표 F의 힘이 지름 방향으로 작용한 것과 동일해진다. 따라서, 바닥부(31b)에는 외관상의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도 10은, 기본체(31)가 열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31b)에는 외관상의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여, 기본체(31)는 활 모양으로 또한 경사진 모양으로 변형한다. 그리고, 기본체(31)의 상부 측일수록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열 팽창도 크며, 상부 측일수록 열 변형이 크다.
이와 같이, 바닥부(31b)에는 외관상의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도 9에 도시한 권상기의 경우, 바닥부(31b)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굽힘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즉 막 강성(剛性)이 작기 때문에 변형이 크다. 또, 기본체(31)는 상부 측일수록 온도가 높아지므로, 변형 정도도 커진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변형 상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변형 정도를 실제와는 다르게 크게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승강 운전 중에 있어서, 제동기(12)는, 제동편(12a)과 제동체(6)는 이간하여 공극(이하 브레이크 갭이라고 칭함)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기본체(31)가 발열에 의해 활 모양으로 또한 경사진 모양으로 열 변형하면, 기본체(31)에 장착된 제동기(12)는, 제동체(6)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하고 또 경사진 상태가 된다. 도 11은, 기본체(31)가 열 변형한 전후의 브레이크 갭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열 변형 전의 상태이고, (b)는 열 변형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열 변형 전에 있어서, 양측의 브레이크 갭은 균등한 상태이나, 열 변형 후에서는, 제동기(12)가 제동체(6)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 및 경사진 상태로 되며, 제동기(12)에 설치된 제동편(12a)도 축 방향으로 변위하여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갭이 변화하여 한쪽의 브레이크 갭이 감소한다. 기본체(31)의 열 변형이 크면 그만큼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도 커진다.
또, 제동기(12)를 열 변형이 작은 기본체(31)의 하부에 장착한 경우,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은 작아진다. 그러나, 제동기(12)가 하부에 있기 때문에 보수 점검이 어렵다는 것, 및, 기본체(31)의 하부에는 장착부(31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기(12)의 설치 공간에 제한이 있는 것에 의해, 제동기(12)를 기본체(31)의 하부에 장착하는 것은 실질상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발열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제동편(12a)이 제동체(6)에 대해 소정의 브레이크 갭으로 이간한 상태에서 구동되나, 그 후, 발열에 의한 기본체(31)의 열 변형이 커지게 되고, 제동편(12a)도 제동체(6)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형이 커지면,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도 커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편(12a)이 제동체(6)에 접촉하고, 승강 운전시, 제동편(12a)의 접촉에 의한 끌리는 소리나 제동편(12a)의 마모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렇다고 해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예측하여, 발열 전의 초기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갭을 크게 설정하면, 제동편(12a)의 스트로크도 커진다. 이 경우, 제동시, 제동편(12a)이 제동체(6)에 충돌하는 충격이 커지게 되어 소음이 커진다. 그리고, 제동을 해제할 때, 제동편(12a)을 제동체(6)로부터 떼어놓는 전자력이 커져서 제동기(12)의 용량도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기가 발열하여도 기본체의 열 변형이 작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통 모양을 이루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측을 막도록 설치된 바닥부를 가지는 기본체와, 원통부에 설치된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과, 기본체의 축심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동기의 회전체와, 회전체에 설치된 제동체와, 기본체에 설치되어 제동체에 대응하여 제동 동작하는 제동기를 구비하고, 바닥부를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며, 이 곡면 형상을 회전체 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형성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기본체의 바닥부를,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곡면 형상을 회전체 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형성함으로써, 바닥부의 막 강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전동기가 발열하여도 기본체의 열 변형이 작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로부터 본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바닥부의 반경과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제동기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동기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바닥부의 구면의 반경 및 제동기의 부착 위치에 의한 설정 브레이크 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기본체의 바닥부가 평면 형상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기본체의 열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기본체가 열 변형한 전후의 브레이크 갭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바닥부(1b)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것과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과의 비교를 나타낸 표이다.
<부호의 설명>
1 기본체, 1a 원통부, 1b 바닥부, 1d 구면, 1f 경계부, 1g 원통부(1a)의 타측, 5 회전체, 6 제동체, 7 구동 쉬브, 7a 볼트, 8 메인 로프, 9 전동기, 10 고정자 권선, 11 계자 자석, 12 제동기, 12a 제동편, 14 승차 엘리베이터 칸, 15 균형추, 31 기본체, 31a 원통부, 31b 바닥부, 50 기본체, 50a 원통부, 50b 바닥부, 50d 구면, 50e 원통부(50a)의 타측, 50f 경계부, 50g 주축, 52 회전체, 53 제동체, 54 구동 쉬브, 55 볼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에 있어서, 도 9와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권상기는 기본체(1)를 가지고, 기본체(1)는 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1a)와, 이 원통부(1a)의 일측을 막도록 설치된 바닥부(1b)와,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대에 설치되는 장착부(1c)를 가진다. 바닥부(1b)는, 일부가 구면(1d)으로 형성되고, 이 구면(1d)이 회전체(5) 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a)와 바닥부(1b)와의 경계부(1f)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원호 형상의 일단과 바닥부(1b)의 구면(1d)의 일단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b)의 중심부에는 베어링(3)을 고정하는 바닥부 보스부(1e)가 설치되고, 구면(1d)은, 경계부(1f)의 원호 형상의 일단으로부터 바닥부 보스부(1e)까지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1b) 중 구면(1d)을 가지는 부분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면(1d)은 그 중심(C)이 기본체(1)의 외측에서 축심선 상에 위치하고, 기본체(1)의 축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면(1d)의 반경은, 구면(1d)의 정점이 기본체(1)의 바깥 단면으로부터 치수 S에 위치하도록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면(1d)의 반경은 치수 S가 커질수록 작아지고, 치수 S가 작아질수록 커진다. 제동기(12)는 기본체(1)의 둘레 방향에 설치되고, 기본체(1)의 수평 중심에 대해 대략 45° 각도로 수평 중심보다 위쪽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와 마찬가지로, 전동기(9)의 고정자 권선(10)에 전력을 통전함으로써 승강체를 승강시킨다.
고정자 권선(10)이 통전되는 것에 의해, 고정자 권선(10)은 발열한다. 이 발열은, 원통부(1a)에 열전도하고, 바닥부(1b) 및 장착부(1c)에 열전도되며, 기본체(1)가 발열하여, 기본체(1)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방열한다. 기본체(1)의 발열은, 고정자 권선(10)에 가까운 부분인 원통부(1a)에 높은 온도를 나타내고, 바닥부(1b), 장착부(1c)는 그것보다 낮은 온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기본체(1)에는 각부에 있어서 온도 구배가 발생하고, 이 온도 구배에 의한 각부의 열 팽창의 차이로 인하여, 기본체(1)가 열 변형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의하면, 바닥부(1b)의 일부가 구면(1d)으로 형성되고, 이 구면(1d)이 원통부(1a)의 타측(1g)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바닥부(1b)의 막 강성이 높기 때문에, 기본체(1)의 열 변형이 작아진다. 기본체(1)의 열 변형이 작아지면, 기본체(1)에 장착된 제동기(12)의 제동체(6)에 대한 변위도 작아지고,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도 작아진다.
다음으로, 구면(1d)의 반경과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의 관계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면(1d)의 반경이 작을수록, 막 강성이 높으며 열 변형이 작아져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도 작아진다. 반대로, 구면(1d)의 반경이 클수록 즉 평면 형상으로 점점 가까워질수록, 막 강성이 낮고 열 변형이 커져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도 커진다. 바닥부가 평면 형상이 되면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은 가장 커진다. 이와 같이, 바닥부(1b)의 일부가 구면(1d)으로 형성되고, 이 구면(1d)이 원통부(1a)의 타측(1g)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은 작아지며, 구면(1d)의 반경이 작을수록 그 감소량은 더욱 작아진다.
구면(1d)의 반경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도 작아지나, 구면(1d)의 반경이 너무 작아지면, 바닥부(1b)가 오목한 양 즉 도 1의 치수 S가 커지게 되어 권상기의 축 방향의 폭도 커진다. 권상기의 축 방향의 폭을 크게 하지 않게 구성하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수 S가 대략 원통부(1a)의 축 방향의 폭이 되도록 바닥부(1b)를 구면(1d)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바닥부(1b)가 원추 모양으로 형성된 것과,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면(1d)으로 형성된 것에 대한 비교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부(1b)를 구면(1d)으로 형성하였으나,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원추 형상이 원통부(1a)의 타측(1g)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형성하여도 좋다. 그러나, 원추 형상보다 구면(1d)으로 형성하는 편이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은 작다.
도 12의 표는, 바닥부(1b)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것과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과의 비교를 나타낸 것으로, 제동기(12)를 기본체(1)의 꼭대기부에서 수평 중심에 대해 90°로 장착하고, 기본체(1)의 장착부(1c)를 제외한 원통부(1a) 및 바닥부(1b)의 부분이 열 변형했을 때의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의 해석 결과의 일례이다. 표 중의 D는 원통부의 외경, L은 원통부의 폭, S는 구면 형상의 정점과 기본체(1)의 바깥 단면과의 거리 또는 원추 형상의 정점과 기본체(1)의 바깥 단면, H는 제동편(12a)의 높이, t는 바닥부(1b)의 판 두께, △T는 고정자 권선(9)의 발열에 의한 원통부(1a)의 온도 상승, δ비는 원추 형상의 경우의 브레이크 갭 감소량을 1로 했을 때의 구면 형상의 경우의 브레이크 갭 감소량과의 비이다. 또한, 기본체(1)의 재질은 통상, 권상기에서 적용되는 주철(鑄鐵)이고, 해석은 해석 소프트 ANSYSTM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의 D, L, S, H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b)가 구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쪽이 원추 형상의 것보다 브레이크 갭 감소량을 약 40% 작게 할 수 있어 유용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1a)와 이 원통부(1a)의 일측을 막도록 설치된 바닥부(1b)를 가지는 기본체(1)와, 원통부(1a)에 설치된 전동기(9)의 고정자 권선(10)과, 기본체(1)의 축심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동기(9)의 회전체(5)와, 기본체(1)에 설치되어 회전체(5)를 제동하는 제동기(12)를 구비하고, 바닥부(1b)를, 적어도 일부가 구면(1d)에 형성하며, 이 구면(1d)을 회전체(5) 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형성함으로써, 바닥부(1b)의 막 강성이 높아지게 되고, 고정자 권선(10)의 통전에 의해 기본체(1)가 발열하여도 그 열 변형 양이 작으며, 제동기(12)의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시에 있어서 제동편(12a)의 제동체(6)와의 접촉에 의한 끌리는 소리나 제동편(12a)의 마모가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 기본체(1)가 발열하여도 제동편(12a)의 제동체(6)와의 접촉이 없도록 하기 위해, 기본체(1)가 발열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예측하여 초기 상태의 브레이크 갭(이하, 설정 브레이크 갭이라고 칭함)을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이 작기 때문에, 설정 브레이크 갭도 작게 할 수 있으며, 제동시에 있어서, 제동편(12a)이 제동체(6)에 충돌하는 충격이 작아지게 되어 소음이 작아진다. 그리고, 제동을 해제할 때, 제동편(12a)을 제동체(6)로부터 떼어놓는 전자력이 작아지게 되어 제동기(12)의 용량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b)의 막 강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권상기 전체의 강성도 높아져서, 열 변형의 감소뿐만 아니라, 권상기가 현가하는 승차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의 하중에 대해서도 변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부(1b)를 구면(1d)으로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구면(1d)일 필요는 없으며, 바닥부(1b)를 적어도 일부가 곡율 반경이 다른 곡면이 연결되도록 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원추 형상이 아닌 곡면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면 좋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도 열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구면(1d)의 중심을 기본체(1)의 외측에서 축심선 상에 위치시켰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바닥부(1b)에 구면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면 구면(1d)의 중심이 기본체(1)의 축심선 상으로부터 이탈하여도 좋다. 또, 바닥부(1b)의 구면(1d)을 기본체(1)의 축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대칭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열 변형이 큰 기본체(1)의 위쪽에만 구면 혹은 곡면 형상을 형성하여도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면 혹은 곡면 형상을 기본체(1)의 축심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하고, 기본체(1)의 하측에도 구면 혹은 곡면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열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b)의 구면(1d)을, 그 중심이 기본체(1)의 축심 상에 있어 이 축심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기본체(1)를 주조(鑄造)로 제작할 때, 주조형을 제작하기 쉬운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원통부(1a)와 바닥부(1b)와의 경계부(1f)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원호 형상의 일단과 바닥부(1b)의 곡면 형상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평면 부분이 없어 더욱 막 강성이 높아져서, 보다 열 변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부(1b)의 구면(1d)의 두께를 균일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 구면(1d)의 두께는 반드시 균일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 두께가 크게 다르게 한 형상이면, 두께 방향으로 온도 구배가 발생하여 이것에 의한 열 변형이 생긴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부(1b)의 구면(1d)의 두께를 균일하게 구성하고, 보다 열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경량 및 고강성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는, 구동 쉬브(7)에 메인 로프(8)가 감겨지고, 구동 쉬브(7)를 구동함으로써, 메인 로프(8)의 양단에 현가된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의 승강체를 승강 운전한다. 구동 쉬브(7)는 승강체의 하중이 메인 로프(8)를 통하여 작용한 상태에서 구동된다. 구동 쉬브(7)에 메인 로프(8)를 통하여 작용된 하중을 받으면서, 오랜 세월, 승강 운전하면, 구동 쉬브(7)의 마모나 구동 쉬브(7)와 메인 로프(8)와의 사이의 이물질이 맞물려 들어감에 의한 구동 쉬브(7)의 손상 등에 의해, 권상기를 신규의 구동 쉬브(7)로 교환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쉬브(7)를 회전체(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뜻하지 않은 사태에서도 권상기를 교환하여 신규의 구동 쉬브(7)로 교환하지 않고, 기존의 권상기로부터 구동 쉬브(7)를 교환할 수 있다.
또, 제동체(6)를 원통부(1a)의 타측(1g)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체(5)의 외주에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원판 형상의 제동체(6)에 대응한 제동기(12)를 기본체(1)의 외주면에 장착하며, 구동 쉬브(7)를 원통부(1a), 제동체의 순서로 제동체(6)에 인접하게 배치하여 회전체(5)에 원통부(1a)와 반대 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축 방향의 폭이 짧게 할 수 있어 경량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제동기(12)를 떼어내지 않고 구동 쉬브(7)를 교환할 수 있어, 구동 쉬브(7)의 교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 5,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바닥부(1b)를 구면(1d)으로 형성하여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작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제동기(12)를 기본체(1)의 수평 중심에 대해 상부 측 대략 45˚의 각도로, 기본체(1)의 둘레 방향에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체(1)가 발열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갭(즉, 설정 브레이크 갭)은,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예측하여 설정되고, 이 설정 브레이크 갭은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동기(12)의 임의의 배치에 대해서도 소망의 설정 브레이크 갭을 설정하는 것이 간요(肝要)하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대해 제동기(12)를 둘레 방향으로 임의로 배치하고,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 구면(1d)의 반경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동기(12)를 기본체(1)의 수평 중심에 대해 상부 측으로 여러 가지의 각도로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체(1)의 열 변형양은 상부측만큼 크다. 그 때문에, 도 4와 같이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의 각도가 커지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은 커진다. 또,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은, 구면(1d)의 반경이 클수록, 즉 평면 형상에 점점 가까워질수록 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은,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에 의해 변화한다. 그 때문에, 설정 브레이크 갭의 설정량을,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에 의해, 어떻게 설정할까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본체(1)가 열 변형했을 때의 브레이크 갭을 필요 최저한의 양으로 확보하면서, 제동기(12)의 용량이나 제동편(12a)의 가압시의 소음을 고려한 제동편(12a)의 스트로크가 되도록 설정 브레이크 갭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즉,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에 의해, 기본체(1)의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예측하여, 제동기(12)의 용량이나 제동편(12a)의 가압시의 소음을 가능한 작게 되도록 설정 브레이크 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도 6은, 구면(1d)의 여러 가지의 반경에 있어서의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 설정 브레이크 갭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기(12)의 장착 위치의 각도가 작아지는 즉 기본체(1)의 하부에 장착될수록, 및, 구면(1d)의 반경이 작아질수록, 설정 브레이크 갭은 작게 설정한다. 이것은, 설정 브레이크 갭이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예측하여 설정되므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이 작을수록, 설정 브레이크 갭을 작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의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가 30°에 있고, 설정 브레이크 갭을 A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구면(1d)의 반경을 a가 되도록 기본체(1)를 형성하면 된다. 구면(1d)의 반경은 작아지면 질수록 브레이크 갭의 감 소량도 작아지게 되나, 구면(1d)의 반경이 너무 작아지면, 바닥부(1b)가 오목한 양 즉 도 1의 치수 S가 커지게 되어 권상기의 축 방향의 폭도 커진다. 그 때문에, 권상기의 축 방향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구성하기 위해, 구면(1d)의 정점 위치(도 1의 치수 S)에 치수 제한을 받고, 예를 들면 구면(1d)의 반경이 b가 되도록 기본체(1)를 형성한다. 이 때 설정 브레이크 갭을 B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를 45°로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을 소망의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 브레이크 갭을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동편(12a)이 제동체(6)에 대해 양측에 있는 경우, 브레이크 갭의 한쪽은 감소하고, 다른 쪽은 그 감소량만큼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증가량을 고려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에 한정하지 않고 증가량이라도 되며, 즉 변화량을 고려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제동기(12)를 기본체(1)의 둘레 방향에 장착하고, 제동체(6)에 대해 브레이크 갭을 가지고 접리하는 제동편(12a)을 가지며, 고정자 권선(10)의 통전에 의한 발열에 의해 기본체(1)가 열 변형하고, 이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변화량과,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을 설정함으로써, 제동기(12)의 배치에 자유도가 증가하고, 임의의 배치에 대해서도, 브레이크 갭의 변화량을 예측한 설정 브레이크 갭으로 되어 있으며, 제동편(12a)의 끌리는 소리나 마모가 발생하기 어렵고, 제동시에 있어서 제동편(12a)의 충돌음이 작아지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권상기의 축 방향의 폭에 치수 제한이 있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제동편(12a)의 끌리는 소리나 마모가 발생하기 어렵고, 제동시에 있어서 제동편(12a)의 충돌음이 작아지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한 것으로, 제동기(12)의 배치에 의해 다채로운 적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에 있어서, 권상기는 승강로의 꼭대기부 혹은 기계실에 장착된 가대(13a)에 고정된다. 구동 쉬브(7)에 감겨진 메인 로프(8)는 일단에 승강체인 승차 엘리베이터 칸(14)을 현가하고, 타단에 동일하게 승강체인 균형추(15)를 현가한다. 승강로 내에 있어서 승차 엘리베이터 칸(14)과 균형추(15)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가대(13a)에는 구동 쉬브(7)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디플렉터 쉬브(16)가 설치된다. 메인 로프(8)는 구동 쉬브(7)로부터 비스듬하게 풀어내어지고, 디플렉터 쉬브(16)에 감겨져 균형추(15)를 현가하며, 승차 엘리베이터 칸(14)과 균형추(15)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구동 쉬브(7)가 회전되고, 승차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추(15)를 두레박식으로 승강 운전한다. 상기한 바 와 같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상기의 제동기(12)는, 구동 쉬브(7)로부터 비스듬하게 풀어내는 메인 로프(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수평 중심으로부터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어 장착된다.
그리고, 실시 형태 2와 같이,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 감소량과,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즉, 수평 중심으로부터 약 45°의 각도를 이룬 장착 위치)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을 소망의 값으로 설정한다.
도 7의 (b)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상기가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된 가대(13b)에 고정된다. 구동 쉬브(7)에 감겨진 메인 로프(8)는 수직 위쪽 방향으로 풀어내어져, 일단이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제 1 전향 풀리(17a)에 감겨져 승차 엘리베이터 칸(14)을 현가하고, 타단이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제 2 전향 풀리(17b)에 감겨져 균형추(15)를 현가한다.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구동 쉬브(7)가 회전되고, 엘리베이터 칸(14)과 균형추(15)를 두레박식으로 승강 운전한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상기의 제동기(12)는, 구동 쉬브(7)로부터 수직 위쪽 방향으로 풀어내어지는 메인 로프(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수평 중심으로부터 약 O°의 각도를 이루어서 설치된다.
그리고, 실시 형태 2와 같이, 열 변형에 의한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과, 구면(1d)의 반경 및 제동기(12)의 둘레 방향 장착 위치(즉, 수평 중심으로부터 약 0°의 각도를 이룬 장착 위치)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 브레이크 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함으로써, 메인 로프(8)의 감는 방향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권상기의 승강로에 있어서의 배치를 다채롭게 할 수 있다. 다채로운 구성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고정자 권선(10)을 통전하여 승강 운전하고, 기본체(1)가 발열하여도 그 열 변형은 작아 제동기(12)의 브레이크 갭의 감소량을 작게 할 수 있으며, 회전시에 있어서 제동편(12a)의 제동체(6)와의 접촉에 의한 끌리는 소리나 제동편(12a)의 마모가 발생하기 어렵고, 제동시에 있어서 제동편(12a)의 충돌음이 작아지는 엘리베이터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해 회전축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기본체(50)는 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50a)와, 이 원통부(50a)의 일측을 막도록 설치된 바닥부(50b)와,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대에 장착되는 장착부(50c)를 가진다. 바닥부(50b)는, 일부가 구면(50d)으로 형성되고, 이 구면(50d)이 원통부(50a)의 타측(50e)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면(50d)의 부분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면(50d)은 그 중심이 기본체(50)의 외측에서 축심선 상에 위치하고, 기본체(50)의 축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0a)와 바닥부(50b)와의 경계부(50f)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원호 형상의 일단과 구면(50d)의 일단과는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50b)의 축심부에 주축(50g)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주축(50g)에는 베어링(51)을 통하여 회전체(52)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52)는 원통부(50a)와 대향한 회전체 원통부(52a)와 이 회전체 원통부(52a)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체 보스부(52b)를 가지고, 회전체 보스부(52b)가 베어링(5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 원통부(52a)의 타측이 바닥부(50b)에 대향되어 있다. 회전체(52)에는, 원통부(50a)의 타측(50e)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회전체 원통부(52a)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판 상태의 제동체(53)를 가진다. 구동 쉬브(54)가, 원통부(50a), 제동체(53)의 순서로 제동체(5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체(52)에 볼트(55)로 원통부(50a)와 반대 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 외,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의 것은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또, 베어링 대(56)를 기본체(50)의 장착부(50c)에 장착하고, 주축(50g)의 축단에 베어링 대(56)를 고정하여, 주축(50g)을 기본체(50)와 베어링 대(56)로 지지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주축(50g)을 바닥부(50b)에 세워 설치함으로써, 부품점수가 적어 보다 경제적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베어링 대(56)를 가지는 경우, 주축(50d)을 기본체(50)와 베어링 대(56)로 지지함으로써, 구동 쉬브에 걸리는 하중이 크더라도 강고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베어링 대(56)를 가지지 않는 경우, 더욱 축 방향으로 박형(薄型) 및 경량이며, 베어링 대(56)가 없기 때문에 구동 쉬브(54)의 교환도 용이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원통부(1a)의 내주면에 고정자 권선(10)을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원통부(1a)의 외주면에 고정자 권선(10)을 설치하고, 이 고정자 권선(10)에 대향하도록 회전체 원통부(5a)를 지름 방향 외측에 형성하며, 그 회전체 원통부(5a)의 내주면에 계자 자석(11)을 설치하여 전동기(9)를 구성하고, 회전체 원통부(5a)의 외주면에 제동면을 설치하여 이 제동면에 대응한 제동기(12)를 기본체(1)에 설치한 구성으로도 좋고, 발열원인 고정자 권선(10)을 기본체(1)에 설치되는 구성이면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제동기(12)를 기본체(1)의 외주면에 설치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체 원통부(5a)의 내주면에 제동면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한 제동기(12)를 바닥부(1b)와 회전체(5)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바닥부(1b)(기본체(1))에 장착하는 등, 제동기(12)를 기본체(1)에 장착되는 것이면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제동체(6)를 회전체(5)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분리하여 볼트로 회전체(5)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 바닥부(1b)에, 고정자 권선(10)과 계자 자석(11)의 공극에 대향한 점검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 외측으로부터 고정자 권선(10)과 계자 자석(11)의 공극에 진애(塵埃)의 부착 등의 점검을 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설정 브레이크 갭의 설정 방법을 나타냈으나, 실시 형태 4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한 것이지만, 실시 형태 4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주축(50g)은 바닥부(50b)와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분리하여 고정한 구성이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승강체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8)가 감겨지고, 메인 로프(8)를 구동하여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데 적합하다.

Claims (10)

  1. 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측을 막도록 설치된 바닥부를 가지는 기본체와,
    상기 원통부에 설치된 전동기(電動機)의 고정자 권선(捲線)과,
    상기 기본체의 축심(軸心)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기 전동기의 회전체와,
    상기 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를 제동하는 제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 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 중 곡면 형상부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체를, 상기 원통부와 상기 바닥부와의 경계부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원호 형상부의 일단과 상기 곡면 형상부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의 상기 곡면 형상부의 두께가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형상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 측으로 향하는 돌출량은,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의 폭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형상부는 1점의 중심으로 한 구면(球面)으로, 이 중심이 상기 기본체의 축심선 상에 있고, 이 축심선에 대해 상기 구면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는 상기 기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에 대해 공극(空隙)을 가지고 접리하는 제동편을 가지며, 상기 고정자 권선의 통전(通電)에 의한 발열에 의해 상기 기본체가 열 변형하며, 이 열 변형에 의한 상기 공극의 변화량과, 상기 구면의 반경 및 상기 제동기의 둘레 방향의 부착 위치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고정자 권선이 발열하기 전의 상기 공극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구동 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자 권선을 설치하고,
    상기 제동기는 상기 기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제동기에 대응한 제동체를 가지고,
    이 제동체는 상기 바닥부와 반대 측에서 상기 원통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외주보다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원판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 쉬브는 상기 원통부, 상기 제동체의 순서로 상기 제동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원통부와 반대 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상기 회전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베이터용 권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축심부에 주축을 세워 설치하고, 이 주축에 상기 회전체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10. 청구항 7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와,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진 메인 로프와, 이 메인 로프에 현가되는 승강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077007097A 2005-05-30 2005-05-30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932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9850 WO2006129338A1 (ja) 2005-05-30 2005-05-30 エレベータ用巻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44A KR20070065344A (ko) 2007-06-22
KR100932587B1 true KR100932587B1 (ko) 2009-12-17

Family

ID=3748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0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2587B1 (ko) 2005-05-30 2005-05-30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86962B1 (ko)
JP (1) JP4925104B2 (ko)
KR (1) KR100932587B1 (ko)
CN (1) CN1984833B (ko)
WO (1) WO2006129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008A (ja) * 2007-06-06 2008-12-1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5177228B2 (ja) * 2008-09-11 2013-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5100600B2 (ja) * 2008-10-20 2012-12-19 株式会社東芝 ブレーキシステム
JP2013040033A (ja) * 2011-08-19 2013-02-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5432962B2 (ja) * 2011-08-25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用巻上機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の改修方法
JP5955563B2 (ja) * 2012-01-05 2016-07-20 株式会社東芝 巻上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回転電機
CN102849582B (zh) * 2012-07-31 2015-06-10 吴江信谊精密五金有限公司 电梯曳引轮
CN105263844B (zh) * 2013-05-28 2019-11-26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机器和定子支撑结构
JP2015155348A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及びその巻上機
JP6134952B1 (ja) * 2015-12-03 2017-05-31 株式会社明電舎 巻上機
CN106494975A (zh) * 2016-12-30 2017-03-15 苏州沃诺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电梯曳引轮
JP6742269B2 (ja) * 2017-04-07 2020-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2019011140A (ja) * 2017-06-29 2019-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ー
EP3659955A1 (de) * 2018-11-30 2020-06-03 Inventio AG Getriebelose permanentmagnet-synchronmaschine für einen aufzug
CN109650230B (zh) * 2018-12-29 2020-12-29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曳引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186758B (zh) * 2020-03-04 2024-05-31 河北科力汽车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平衡升降装置及其控制方法
JP6950810B1 (ja) * 2020-12-16 2021-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
JP7483157B1 (ja) 2023-07-04 2024-05-14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758A (ja) * 1993-06-28 1996-12-10 コネ オサケ ユキチュア エレベータ機械装置
KR20040066129A (ko) * 2002-09-20 2004-07-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JP2004299824A (ja) * 2003-03-31 2004-10-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巻上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1596L (fi) * 1994-04-07 1995-10-08 Kone Oy Hissimoottori
WO2004108579A1 (ja) * 2003-06-05 2004-12-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およびモ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758A (ja) * 1993-06-28 1996-12-10 コネ オサケ ユキチュア エレベータ機械装置
KR20040066129A (ko) * 2002-09-20 2004-07-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JP2004299824A (ja) * 2003-03-31 2004-10-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巻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6962B1 (en) 2015-04-22
EP1886962A4 (en) 2012-07-11
JPWO2006129338A1 (ja) 2008-12-25
WO2006129338A1 (ja) 2006-12-07
CN1984833B (zh) 2012-04-25
CN1984833A (zh) 2007-06-20
KR20070065344A (ko) 2007-06-22
JP4925104B2 (ja) 2012-04-25
EP1886962A1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587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N102471028B (zh) 在牵引绳轮内带外转子和马达的电梯机器
CN107848761B (zh) 电梯用曳引机和电梯
FI106192B (fi) Hissin nostokoneisto
JP5443929B2 (ja) 巻上機
EP2057091B1 (en) Elevator machine brake with integrated bearing and brake surface
JP4476809B2 (ja)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JP5048802B2 (ja) エレベータ用薄型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951038B2 (ja) エレベータの吊り車装置
JP5191720B2 (ja) エレベーター巻上機用制動装置
JP2013040033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4184774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KR20070105150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JP5591767B2 (ja) 薄型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784923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JP6606029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56975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12553B2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KR200421632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EP1687232B1 (en) Elevator brake and hoisting machine
JP4522181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08074590A (ja) エレベータ用の巻上機
WO2020183643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ブレーキ及び巻上機
JP4993978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5358282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