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3572B1 -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 Google Patents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572B1
KR100873572B1 KR1020080035913A KR20080035913A KR100873572B1 KR 100873572 B1 KR100873572 B1 KR 100873572B1 KR 1020080035913 A KR1020080035913 A KR 1020080035913A KR 20080035913 A KR20080035913 A KR 20080035913A KR 100873572 B1 KR100873572 B1 KR 10087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area
side body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은
이성복
Original Assignee
김태은
이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은, 이성복 filed Critical 김태은
Priority to KR102008003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572B1/ko
Priority to PCT/KR2009/001788 priority patent/WO200912861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높이를 갖고, 용기의 내부 용량을 형성하는 측면 본체; 상기 측면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본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작은 관통 면적을 가지고 상기 바닥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을 착탈식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면적보다 큰 캡 면적을 가지는 바닥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에 의하면, 바닥 캡에 의하여 용기의 바닥면을 막음으로써 용기에 액체나 고체 물질을 넣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액체나 고체를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냉각 혹은 가열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부서지기 쉬운 유동성 고체나 액체 물질이 형성된 경우에 관통부를 통하여 바닥 캡과 함께 해당 물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기 밖으로 매우 손쉽게 빼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착탈식, 바닥 캡, 관통부

Description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CONTAINER WITH PARTIALLY PENETRATED BOTTOM}
본 발명은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 고체 혹은 유동성 액체 상태의 물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쉽게 용기 밖으로 빼낼 수 있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체나 고체 형태의 물질을 담기 위한 접시나 컵 형태의 용기는 다수 제작되어 왔다. 이들 용기는 가정용으로 음식을 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비누나 식용 젤리나 머핀 등의 제작을 위하여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누, 식용 젤리 혹은 머핀 등을 제작하기 위한 용기는 그 원재료가 되는 액체나 유동성 고체 혹은 액체를 용기에 먼저 담은 후 이를 냉각시키거나 가열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가 완료된 후 완제품 상태의 비누나 젤리, 머핀 등을 제거하는 경우에 완제품에 손상이 가해질 우려가 매우 높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이와 같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우선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리콘 재질의 머핀 제작을 용기(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완제품 상태의 머핀을 담고 있는 머핀 제작용 용기(10)의 단면도이며, 도 1c 는 실리콘 재질의 머핀 제작 용기(10)로부터 완제품 상태의 머핀을 제거할 때의 용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머핀 제작용 용기(1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측면 몸체(12)와 바닥 몸체(13)에 의해 컵의 형상을 띠고 있고, 측면 몸체(12)의 상측에는 용기(10)를 손으로 잡기 위한 말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10)의 내부에 우유, 설탕 등의 머핀 재료를 넣고 이를 적정 온도로 가열한 후 식히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0) 내에는 완제품 상태의 머핀(8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완제품 상태의 머핀(80)을 용기(10)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용기(10)의 바닥 몸체(13)를 손가락으로 눌러야 하는데, 이 경우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한 A 방향으로의 힘과 A 방향의 힘에 의하여 실리콘 용기(10)의 측면 몸체(13)가 받게 되는 B 방향으로의 힘이 용기(10) 내의 머핀(80)에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10) 내의 완제품 머핀(80)에는 A 방향이나 B 방향으로 가해진 힘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금속 용기(20)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 용기의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이 금속 용기(80)는 실리콘 용기(10)와 유사하게 측면 몸체(22), 바닥 몸체(23) 및 말단부(21)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 추가 구성으로서 조임부(24)와 나사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조임부(24)는 나사부(25)의 나사 조정에 의해 C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금속 용기(20)의 지름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머핀을 제작하기 전에는 나사부(25)에 의하여 조임부(24)를 조여서 금속 용기(20)의 지름을 작게 하였다가, 머핀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나사부(25)를 풀어서 금속 용기(20)의 지름을 크게 한 후 완제품 상태의 머핀을 금속 용기(2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2와 같은 금속 용기의 경우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을 많이 활용하는 최근의 추세에 반하여 금속으로 용기를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실리콘 용기(10)에 비하여 조임부(24)와 나사부(25)라는 추가적인 구성을 설치해야 하고 제작 비용이 높으며, 금속 용기(80) 내의 머핀을 손가락 등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금속 용기(80)를 기울이던가 뒤짚어서 머핀을 손가락으로 짚을 수 있을 정도까지는 빼 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금속 용기(20)의 측면 몸체(22)의 내벽면(26)에 기름칠을 하거나 금속 용기(20)의 내벽면(26) 전체를 감싸는 기름 종이(미도시)를 설치한 후에 머핀 등을 제조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기름 종이를 머핀 등의 제조시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기름 종이(미도시)는 금속 용기의 측면 몸체(22)와 바닥 몸체(23)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을 통해 우유 등의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이기도 한데, 이처럼 종래의 금속 용기는 액체를 담았을 때 충분한 밀폐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도 3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24890호에 따른 "바닥 분리형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발명은 음료용기(30)의 두껑 부분(31)이 분리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몸체 부분(32)의 바닥(33)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한 부분(34)을 둠으로써 필요에 따라 바닥까지 분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고 있다. 도 3의 발명에 의하면, 바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입구가 좁고 길어서 세척이 쉽지 않은 음료용기를, 분리한 바닥을 이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세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발명은 기본적으로 용기의 세척을 위해 발명된 것이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도 3의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30)의 음료를 냉각시키거나 가열하여 얼음이나 유동성 고체 혹은 액체를 만드는 경우에, 음료용기(30) 내의 물질을 빼내기 위해서는 음료용기(30)의 두껑 부분(31)을 연 상태에서 음료용기(30)를 뒤짚거나 음료용기(30)의 두껑 부분(31)과 바닥 부분(33, 34)를 모두 연 상태에서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얼음이나 유동성 고체 혹은 액체 상태의 내부 물질을 빼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음료용기(30) 내의 물질이 외력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고, 내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용기 사용자의 불편함에도 종래기술과 큰 차이가 없다.
이 외에도, 금속 용기의 바닥면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다음, 금속 용기의 세척 시 바닥면을 슬라이딩시켜 제거하는 용기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금속 용기에 담겨 있는 졸이나 겔 상태의 물질을 용기 밖으로 빼내는데 있어서 여전히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액체나 고체 물질을 넣어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에 담겨져 있는 외력에 의해 부서지기 쉬운 유동성 고체나 액체 물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기 밖으로 손쉽게 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제 1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용기에 담겨진 액체나 고체 물질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확실하게 용기 바닥부의 이음새를 메울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용기는, 소정 높이를 갖고, 용기의 내부 용량을 형성하는 측면 본체; 상기 측면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본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작은 관통 면적을 가지고 상기 바닥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을 착탈식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면적보다 큰 캡 면적을 가지는 바닥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 본체,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바닥 본체 및 상기 바닥 캡은 금속 혹은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용기는 그 바닥 캡의 가장자리 부분에 액체가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는데, 만약 용기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라면, 상기 바닥 캡의 가장자리에는 실리콘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한 상기 바닥 캡의 캡 면적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크도록 구성하면 된다.
만약 용기의 재질이 실리콘이라면, 상기 바닥 캡의 캡 면적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크고, 상기 바닥 캡의 가장자리 영역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되며, 이 경우 상기 테이퍼 형상은 2 이상의 다중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피어 형상은 상기 바닥 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모두 덮고도 남는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캡 면적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3% 더 크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기가 실리콘 용기인 경우, 실리콘으로 형성된 측면 본체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상기 측면 본체의 외측에 형성하고, 상기 측면 본체 중 상기 용기의 최상면을 이루는 말단 부분에는 고정용 심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측면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는,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상태의 액체, 고체, 유동성 액체 혹은 유동성 고체를 담기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제빵용으로 사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측면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는, 복수의 용기들의 최상면을 상기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연결함으로써, 멀티 용기로 이루어진 유동성 액체 혹은 고체 제작용 도구로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에 의하면, 바닥 캡에 의하여 용기의 바닥면을 막음으로써 용기에 액체나 고체 물질을 넣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액체나 고체를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냉각 혹은 가열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부서지기 쉬운 유동성 고체나 액체 물질이 형성된 경우에 관통부를 통하여 바닥 캡과 함께 해당 물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기 밖으로 매우 손쉽게 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는, 빵이나 젤리, 비누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부서지기 쉬운 제품을 용기 내에서 제작한 경우에, 기름 종이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를 용기 밖으로 빼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므로, 공업용이나 가정용으로 유동성 액체나 고체 상태의 물질을 제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실리콘으로 형성된 용기의 바닥 캡을 용기 바닥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하고, 바닥 캡의 가장자리를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바닥 캡을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하였을 때 테이퍼 형상의 가장자리 부분이 바닥 캡과 용기의 측면 본체 간의 간격을 확실하게 메우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름 종이 등에 의하여 밀폐성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바닥의 일부가 관통되는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액체 상태의 물질이 새는 일 없도록 확실하게 용기에 담는 것이 가능하여 실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6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60)의 몸체부(40)를 나 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60)의 바닥 캡(5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60)의 몸체부(40)와 바닥 캡(5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용기(60)의 몸체부(40)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용기(60)의 내부 용량을 결정하는 측면 본체(42) 및 이 측면 본체(42)와 연결되어 용기(6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본체(4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바닥 본체(43)에는, 용기(60)의 내부가 바닥면을 통해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용기(60)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작은 관통 면적을 가지고 바닥 본체(43)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60)의 재질은 실리콘이나 금속 등 어떠한 재질로 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용기(60)를 음식 조리용의 가정용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리콘 재질의 용기(6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60)의 측면 몸체(42)에 형성된 말단부(41) 내에 철심(미도시) 등을 설치해 놓음으로써, 용기(60)의 한쪽 끝을 잡고 용기(60)를 드는 경우에도 용기(60)가 원형을 유지한 채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면 몸체(42)의 외측에 보강재(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실리콘 재질의 용기(60)의 물리적 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용기(60)의 재질을 금속으로 하는 경우라면, 납과 같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금속이 아닌 이상, 용기(60)의 측면 몸체(42)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질 것이므로, 상술한 철심(미도시)이나 보강재(미도시) 등의 구성은 필요하지 않다.
다음으로,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60)의 관통부(44)를 덮어서 용기(60)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 캡(50)을 나타낸다. 이 바닥 캡(50)은 용기(60)의 내부에서 바닥면을 착탈식으로 덮기 위한 구성으로서, 관통부(44)의 관통 면적보다 큰 캡 면적을 가져야 한다. 바닥 캡(50)에는 바닥 몸체(43) 사이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 바닥 메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바닥 캡(50)은 용기(60)의 바닥 몸체(43)가 형성하는 용기 내부 지름보다 지름이 클 필요는 없지만, 바닥 캡(50)의 재질이 실리콘인 경우에는 바닥 캡(50)의 지름 크기를 용기(60)의 바닥 몸체(43)가 형성하는 용기 내부 지름보다 약 3% 정도 더 크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바닥 캡(50)의 가장자리는 테이퍼 형상(51)으로 형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용기(60)의 바닥면의 총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바닥 캡(50)을 용기(60)의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실리콘 재질의 바닥 캡(50)의 가장자리에는 용기 내부와 크기가 맞지 않음으로 인해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테이퍼 형상(51)은 이 물리적 변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실리콘 재질의 바닥 캡(50)이 용기(60)의 측면 몸체(42) 내벽면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바닥 캡(50)을 금속 재질로 형성한다면, 금속 재질의 바닥 캡(50)의 가장자리에 실리콘 코팅(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실리콘 코팅(미도시)과 바닥 캡(50)의 총 지름이 용기(60)의 바닥 몸체(43)가 형성하는 내측 지름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함으로써, 바닥 캡(50)과 측면 몸체(42)의 내벽면 간의 간격을 확실하게 메우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의 몸체부(40)와 도 4b의 바닥 캡(50)을 결합하면, 도 4c와 같은 형태가 된다.
한편,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60)에 담긴 유동성 고체나 유동성 액체 상태의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60)에서 머핀 등을 제조한 경우, 용기 사용자는 도 4d의 D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만 하면 손쉽게 용기(60)에 담긴 유동성 고체나 유동성 액체 상태의 물질(80)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캡(50)은 머핀 등을 제조하기 이전 단계에서는 머핀 제작용 우유 등의 액체가 바닥면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머핀 등을 제조한 이후에 머핀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유동성 고체나 유동성 액체 상태의 물질(80)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떠받쳐서 그 물질(80)에 D 방향의 힘이 골고루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질(8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물론, 바닥 캡(50)을 제거하여 용기(60)를 세척할 경우에는 용기(60)의 세척력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캡의 변형례(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바닥 캡의 변형례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60)에 적용한 경우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실리콘 바닥 캡의 변형례(50')는 도 4b의 경우에 비해 테이퍼 형상 부분이 이중 테이퍼 구조(53)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용기 (60)에 적용할 경우, 실리콘 바닥 캡의 변형례(50')가 용기(60)의 측면 몸체(42)와의 사이에서 갖는 형상은 도 5b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된다.
즉, 실리콘 바닥 캡의 총 면적이 용기(60)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클 경우, 실리콘 바닥 캡이 갖는 이중 테이퍼 구조(53)는 용기(60)의 측면 몸체(42)에 빈 공간(54)을 형성하게 되고, 이 빈 공간(54)은 용기(60)에 머핀 등의 제조를 위해 붓는 우유 등이 관통부(44)측으로 새지 않도록 더욱 확실하게 측면 몸체(42)와 바닥 캡 간의 간격을 메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60)를 복수개 채용한 멀티 용기(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가정용이나 공업용으로 복수개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멀티 용기(70)는 도 4c에 도시된 용기(60)를 복수개 포함하고 있고, 이들 복수개의 용기(60)의 최상면은 용기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연결부(71)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나타낸 일 예에 불과한 것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나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용기(60)의 재질은 실리콘이나 금속 외에도 유리, 플라스틱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용기(60)에 있어서 바닥 캡(50)과 몸체부(40)의 재질은 동일하지 않아도 무 방하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리콘 재질의 머핀 제작용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완제품 상태의 머핀을 담고 있는 머핀 제작용 용기의 단면도.
도 1c는 실리콘 재질의 머핀 제작 용기로부터 완제품 상태의 머핀을 제거할 때의 용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닥 분리형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바닥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몸체부와 바닥 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에 담긴 유동성 고체나 유동성 액체 상태의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캡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바닥 캡의 변형례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에 적용한 경우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를 복수개 채용한 멀티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실리콘 용기
20 금속 용기
30 바닥 분리형 용기
40 몸체부
50 바닥 캡
60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70 바닥 일부 관통형 멀티 용기
80 용기 내 물질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소정 높이를 갖고, 용기의 내부 용량을 형성하는 측면 본체;
    상기 측면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본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작은 관통 면적을 가지고 상기 바닥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을 착탈식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면적보다 큰 캡 면적을 가지는 바닥 캡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 본체,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바닥 본체 및 상기 바닥 캡은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캡의 캡 면적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크고, 상기 바닥 캡의 가장자리 영역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은 2 이상의 다중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은 상기 바닥 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모두 덮고도 남는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면적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3%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7. 소정 높이를 갖고, 용기의 내부 용량을 형성하는 측면 본체;
    상기 측면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본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작은 관통 면적을 가지고 상기 바닥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을 착탈식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면적보다 큰 캡 면적을 가지는 바닥 캡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 본체,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바닥 본체 및 상기 바닥 캡은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본체의 외측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측면 본체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본체 중 상기 용기의 최상면을 이루는 말단 부분에는 고정용 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9. 삭제
  10. 소정 높이를 갖고, 용기의 내부 용량을 형성하는 측면 본체;
    상기 측면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본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작은 관통 면적을 가지고 상기 바닥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을 착탈식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면적보다 큰 캡 면적을 가지는 바닥 캡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 본체,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바닥 본체 및 상기 바닥 캡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 캡의 가장자리에는 실리콘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리콘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한 상기 바닥 캡의 캡 면적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의 총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11. 제 3 항 내지 제 7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는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상태의 액체, 고체, 유동성 액체 혹은 유동성 고체를 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12. 제 3 항 내지 제 7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는 제빵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13. 제 3 항 내지 제 7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를 2 이상 구비하고,
    상기 2 이상의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의 최상면을 상기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연결하여 형성한 바닥 관통형 멀티 용기.
KR1020080035913A 2008-04-18 2008-04-18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KR10087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13A KR100873572B1 (ko) 2008-04-18 2008-04-18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PCT/KR2009/001788 WO2009128618A2 (ko) 2008-04-18 2009-04-07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13A KR100873572B1 (ko) 2008-04-18 2008-04-18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572B1 true KR100873572B1 (ko) 2008-12-12

Family

ID=4037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913A KR100873572B1 (ko) 2008-04-18 2008-04-18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3572B1 (ko)
WO (1) WO200912861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86B1 (ko) 2014-09-05 2015-10-15 오세광 빙수기용 일회용 얼음 용기
KR20190032729A (ko) * 2017-09-20 2019-03-28 정구현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989U (ko) * 1985-07-23 1987-02-12
JP2004357549A (ja) * 2003-06-03 2004-12-24 Fukido:Kk たこ焼き風味の羊か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羊かんの包装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989U (ko) * 1985-07-23 1987-02-12
JP2004357549A (ja) * 2003-06-03 2004-12-24 Fukido:Kk たこ焼き風味の羊か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羊かんの包装用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86B1 (ko) 2014-09-05 2015-10-15 오세광 빙수기용 일회용 얼음 용기
KR20190032729A (ko) * 2017-09-20 2019-03-28 정구현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KR101979900B1 (ko) 2017-09-20 2019-05-20 정구현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8618A2 (ko) 2009-10-22
WO2009128618A3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776B1 (en) Cup with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JP2022523574A (ja) 氷トレイを伴う可撓性容器
KR101902437B1 (ko) 다중-격실 용기
US20170021966A1 (en) Container offering multiple configurations
KR100873572B1 (ko)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CN111615336B (zh) 食品用可食容器和用于烘烤可食容器半部的热模
CN109292272A (zh) 一种推压式及时混料瓶及使用方法
KR101857948B1 (ko) 다중 분할 취반 용기
US11832754B2 (en) Container lid structure and lid structure for preparing beverage
JP2016093262A (ja) アルミニウム箔成形容器
JP7032332B2 (ja) 食料品用の保存容器
CN114305042A (zh) 一种双层杯口结构
WO2017141289A1 (ja)
KR101399137B1 (ko) 조리용기용 뚜껑
JP4711207B2 (ja) カップ状容器
RU2750266C1 (ru) Емкость съедобная для горячих напитков
CN206172027U (zh) 一种奶粉罐
CN209450383U (zh) 免烘烤透明食品模具
TWI867876B (zh) 摺疊杯
JP7326007B2 (ja) 抽出容器および抽出ユニット
JP3246566U (ja) 可撓性シール構造、包装袋、包装ケース及びハンドル
JP3081356U (ja) 容 器
CN219962603U (zh) 带耳纸浆模塑碗
CN208243396U (zh) 烹饪器具
JP6362880B2 (ja) 電子レンジ調理器および電子レンジ調理器一体型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