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9900B1 -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900B1
KR101979900B1 KR1020170120897A KR20170120897A KR101979900B1 KR 101979900 B1 KR101979900 B1 KR 101979900B1 KR 1020170120897 A KR1020170120897 A KR 1020170120897A KR 20170120897 A KR20170120897 A KR 20170120897A KR 101979900 B1 KR101979900 B1 KR 10197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container
disposable container
disposable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729A (ko
Inventor
정구현
Original Assignee
정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현 filed Critical 정구현
Priority to KR102017012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9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9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음식물의 잔반이 잔반배출안내부를 통해 잔반보관부로 배출되고, 잔반의 배출 완료시 용기안착안내부에 의해 잔반보관부에 적층 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하면서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는 잔반보관부와, 상기 잔반보관부에 지지되고, 일회용 용기를 끼워 상기 일회용 용기에 담긴 잔반이 상기 잔반보관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잔반배출안내부 및 상기 잔반배출안내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잔반보관부에 지지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가 상기 잔반배출안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적층되게 안내하는 용기안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COLLECTION DEVICE OF DISPOSABLE VESSEL AND DISPOSSAL VESSEL APPLYED THEREOF}
본 발명은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잔반이 잔반배출안내부를 통해 잔반보관부로 배출되고, 잔반의 배출 완료시 용기안착안내부에 의해 잔반보관부에 적층 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하면서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용기는 다양한 인스턴트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그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은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즉석에서 조리가 완료된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뜨거운 물만 있으면 한끼 식사로 대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해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인스턴트식품을 먹다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량의 국물이 포함된 잔반을 남기게 되며, 이러한 잔반은 판매하는 곳에서 준비한 별도의 국물 수거통에 버려지게 된다.
그러나, 인스턴트식품을 판매하는 곳에서 별도의 국물 수거통이 준비되지 않으면 어쩔 수 없이 국물이 든 일회용 용기를 쓰레기통에 버리게 되어 악취와 함께 비위생적인 환경을 만들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국물이 흐르는 등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5243호(2002.04.30, 명칭: 컵라면 용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의 잔반이 잔반배출안내부를 통해 잔반보관부로 배출되고, 잔반의 배출 완료시 용기안착안내부에 의해 잔반보관부에 적층 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하면서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는, 잔반보관부와, 상기 잔반보관부에 지지되고, 일회용 용기를 끼워 상기 일회용 용기에 담긴 잔반이 상기 잔반보관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잔반배출안내부 및 상기 잔반배출안내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잔반보관부에 지지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가 상기 잔반배출안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적층되게 안내하는 용기안착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잔반보관부는, 상기 잔반배출안내부와 연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잔반배출안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잔반의 건더기를 걸러주는 제1서랍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서랍부재에서 건더기가 걸리진 잔반의 국물을 저장하는 제2서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잔반배출안내부는, 상기 잔반보관부와 연통되는 연통관부 및 상기 연통관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끼움을 안내하고, 상기 일회용 용기가 끼워지면 잔반을 상기 연통관부로 유입하는 끼움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관부는, 상기 용기안착안내부에 의해 상기 일회용 용기가 상기 잔반보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수유입부에 통해 상기 일회용 용기에 담긴 잔반을 유입할 수 있다.
상기 용기안착안내부에는, 상기 일회용 용기를 상기 잔반배출안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걸림 지지하는 걸림지지부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안착안내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잔반보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잔반보관부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제1착탈부에 부착되도록 상기 용기안착안내부에 구비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는, 음식물의 잔반이 배출되도록 바닥면에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관통홀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음식물의 취식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의 국물이 잔류되도록 유도하는 국물잔류유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는 잔반배출안내부를 통해 일회용 용기에 담긴 음식물의 잔반이 잔반보관부로 배출되고, 잔반의 배출 완료시 일회용 용기가 용기안착안내부에 의해 잔반보관부에 적층 가능하게 안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주변의 청결을 유지하면서 일회용 용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한 일회용 용기를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는 본체의 내측에 둘레 방향으로 국물잔류유도부재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를 기울여 국물을 취식할 경우 국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나트륨의 과잉 섭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에서 연통관부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에 적용된 일회용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에서 연통관부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1)는 잔반보관부(100), 잔반배출안내부(200) 및 용기안착안내부(300)를 포함한다.
잔반보관부(100)는 잔반배출안내부(200)를 통해 일회용 용기(10)에서 배출되는 잔반을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잔반보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제1서랍부재(120) 및 제2서랍부재(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잔반배출안내부(200)와 연통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일측이 개방 형성되어 제1서랍부재(120) 및 제2서랍부재(130)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동시에 잔반배출안내부(200) 및 용기안착안내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에 배치안내부(111)가 구비되어 제1서랍부재(120)와 제2서랍부재(130)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안내한다.
제1서랍부재(120)는 하우징(110)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잔반배출안내부(200)를 통해 일회용 용기(10)에서 배출되는 잔반의 건더기를 걸러준다.
이러한 제1서랍부재(120)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고, 바닥면에 잔반의 국물만 통과시키는 관통홀부(121)가 구비된다. 이때, 관통홀부(121)는 경우에 따라 제1서랍부재(120)의 바닥면에 전체 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제1서랍부재(120)의 바닥면에 일부 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서랍부재(130)는 하우징(110)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서랍부재(120)에서 건더기가 걸리진 잔반의 국물을 보관한다.
한편, 제1서랍부재(120)와 제2서랍부재(130)에는 외부에서 내부 공간을 투시하도록 투시창(14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에서 제1서랍부재(120)와 제2서랍부재(130)를 인출시키지 않아도 외부에서 투시창(140)을 통해 제1서랍부재(120)와 제2서랍부재(130)에 저장된 잔반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투시창(140)의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잔반배출안내부(200)는 잔반보관부(100)에 지지되고, 일회용 용기(10)를 끼워 일회용 용기(10)에 담긴 잔반이 잔반보관부(100)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잔반배출안내부(200)는 연통관부(210) 및 끼움안내부재(220)를 포함한다.
연통관부(210)는 잔반보관부(100)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연통관부(210)는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잔반보관부(100)에 구비된 하우징(110)에 연통되도록 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회용 용기(10)에서 배출되는 잔반이 잔반보관부(100)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끼움안내부재(220)는 연통관부(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일회용 용기(10)의 끼움을 안내하고, 일회용 용기(10)가 끼워지면 잔반이 연통관부(210)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끼움안내부재(220)에는 천공부(221) 및 안내홀부(222)가 구비된다.
이때, 천공부(221)는 끼움안내부재(2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일회용 용기(10)의 바닥면을 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안내홀부(222)는 끼움안내부재(122)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일회용 용기(10)의 끼움시 일회용 용기(10)에 담긴 잔반이 연통관부(210)에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연통관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안착안내부(300)에 의해 일회용 용기(10)가 잔반보관부(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수유입부(230)를 통해 일회용 용기(10)에 담긴 잔반을 보조적으로 유입할 수 있다.
이러한 회수유입부(230)는 유입홀부(231) 및 유출방지부(232)를 포함한다.
유입홀부(231)는 연통관부(210)에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홀부(231)는 용기안착안내부(300)를 통해 일회용 용기(10)가 회수된 상태에서 일회용 용기(10)에 담긴 잔반을 연통관부(2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즉, 유입홀부(231)는 안내홀부(222)에서 미쳐 배출되지 못하고 잔반보관부(100)에 안착된 일회용 용기(10)에 잔류한 잔반을 추가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도와주는 구성이다.
그리고, 유출방지부(232)는 연통관부(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끼움안내부재(220)를 통해 일회용 용기(10)에 담긴 잔반의 배출시 잔반이 유입홀부(231)를 통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용기안착안내부(300)는 잔반배출안내부(200)를 수용하도록 잔반보관부(100)에 지지되어 일회용 용기(10)가 잔반배출안내부(200)에 끼워진 상태로 적층 가능하게 회수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용기안착안내부(300)는 일회용 용기(10)를 잔반배출안내부(200)에 끼워진 상태로 걸림 지지하는 걸림지지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지지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용기(10)에 담긴 잔반이 잔반배출안내부(200)로 배출시 일회용 용기(10)를 잔반배출안내부(200)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하고, 잔반의 배출 완료시 외력에 의해 눌려진 일회용 용기(10)가 잔반보관부(100)에 안착하도록 낙하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용기안착안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320)에 의해 잔반보관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일회용 용기(10)를 분리수거할 경우 용기안착안내부(300)를 잔반보관부(100)로터 분리시키면 잔반배출안내부(200)에 끼워진 일회용 용기(1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착탈부(320)는 제1착탈부(321) 및 제2착탈부(322)를 포함한다.
제1착탈부(321)는 잔반보관부(10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착탈부(321)는 잔반보관부(100)에 구비된 하우징(110)에서 용기안착안내부(300)를 지지하는 부위에 구비된다.
제2착탈부(322)는 제1착탈부(321)에 부착되도록 용기안착안내부(300)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2착탈부(322)는 용기안착안내부(300)에서 잔반보관부(100)에 구비된 하우징(110)에 지지되는 부위에 구비된다.
물론, 제1착탈부(321)와 제2착탈부(322)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1)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10)는 본체(11), 커버부재(12) 및 국물잔류유도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음식물의 잔반이 배출되도록 바닥면에 관통홀부(11a)가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부(11a)는 본체(11)가 잔반배출안내부(200)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본체(11)에 담긴 음식물을 잔반배출안내부(200)로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커버부재(12)는 본체(11)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관통홀부(11a)를 커버한다.
이러한 커버부재(12)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취식할 때에는 본체(11)에 부착되어 본체(11)에 담긴 음식물이 관통홀부(11a)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취식을 완료하여 잔반을 버리고자 할 때에는 잔반이 관통홀부(11a)를 통해 배출되도록 잔반배출안내부(200)에 의해 절개되어 관통홀부(11a)를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국물잔류유도부재(13)는 본체(11)의 내측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음식물의 취식시 본체(11)에 수용된 음식물의 국물이 잔류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국물잔류유도부재(13)는 사용자가 본체(11)에 담긴 음식물 중 국물을 취식하기 위해 본체(11)를 기울일 때 국물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본체(11)에 담긴 국물을 취식할 때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나트륨의 과잉 섭취를 줄여주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회수장치 10: 일회용 용기
11: 본체 12: 커버부재
13: 국물잔류유도부재 100: 잔반보관부
110: 하우징 111: 배치안내부
120: 제1서랍부재 130: 제2서랍부재
140: 투시창 200: 잔반배출안내부
210: 연통관부 220: 끼움안내부
221: 천공부 222: 안내홀부
230: 회수유입부 231: 유입홀부
232: 유출방지부 300: 용기안착안내부
310: 걸림지지부 320: 착탈부
321: 제1착탈부 322: 제2착탈부

Claims (8)

  1. 잔반보관부;
    상기 잔반보관부에 지지되고, 일회용 용기를 끼워 상기 일회용 용기에 담긴 잔반이 상기 잔반보관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잔반배출안내부; 및
    상기 잔반배출안내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잔반보관부에 지지되고, 상기 일회용 용기가 상기 잔반배출안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잔반보관부에 적층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용기안착안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잔반배출안내부는 상기 잔반보관부와 연통되는 연통관부 및 상기 연통관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끼움을 안내하고, 상기 일회용 용기가 끼워지면 잔반을 상기 연통관부로 유입하는 끼움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반보관부는,
    상기 잔반배출안내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잔반배출안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잔반의 건더기를 걸러주는 제1서랍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서랍부재에서 건더기가 걸리진 잔반의 국물을 저장하는 제2서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부는, 상기 용기안착안내부에 의해 상기 일회용 용기가 상기 잔반보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수유입부에 통해 상기 일회용 용기에 담긴 잔반을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안착안내부에는, 상기 일회용 용기를 상기 잔반배출안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걸림 지지하는 걸림지지부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안착안내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잔반보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잔반보관부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제1착탈부에 부착되도록 상기 용기안착안내부에 구비되는 제2착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8. 삭제
KR1020170120897A 2017-09-20 2017-09-20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897A KR101979900B1 (ko) 2017-09-20 2017-09-20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897A KR101979900B1 (ko) 2017-09-20 2017-09-20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729A KR20190032729A (ko) 2019-03-28
KR101979900B1 true KR101979900B1 (ko) 2019-05-20

Family

ID=6590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8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900B1 (ko) 2017-09-20 2017-09-20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901Y1 (ko) 2000-11-27 2001-07-19 윤무중 일회용 컵 수거기
KR200347032Y1 (ko) * 2004-01-19 2004-04-03 박오현 일회용종이컵 회수대
JP2004323060A (ja) 2003-04-24 2004-11-18 Nishimoto Mayumi 仕切りカップ
KR100873572B1 (ko) 2008-04-18 2008-12-12 김태은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41U (ko) * 1993-04-01 1994-11-17 이중구 일회용 음료수 및 라면등의 페기컵 수집기
KR950007601Y1 (ko) * 1993-05-26 1995-09-15 심종성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KR20090015213A (ko) * 2007-08-08 2009-02-12 유지혜 쓰레기통
KR20130012092A (ko) * 2011-05-20 2013-02-01 이현정 종이컵 수거함
KR20180070042A (ko) * 2016-12-16 2018-06-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901Y1 (ko) 2000-11-27 2001-07-19 윤무중 일회용 컵 수거기
JP2004323060A (ja) 2003-04-24 2004-11-18 Nishimoto Mayumi 仕切りカップ
KR200347032Y1 (ko) * 2004-01-19 2004-04-03 박오현 일회용종이컵 회수대
KR100873572B1 (ko) 2008-04-18 2008-12-12 김태은 바닥 일부 관통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729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7300B (zh) 用于饮料分配机的承滴盘
US6253662B1 (en) Coffee machine
US6394313B1 (en) Household grease storage container
JP2015116285A (ja) 密封容器
KR20160014069A (ko) 위생 용기 또는 그에 관련된 개량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EP3164167B1 (en) Emptying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emptying suction bag
ES2472326T3 (es) Exprimidor de cítricos
JP2008093368A (ja) ティーバック格納用小室を備えた使い捨てコップの蓋
KR101979900B1 (ko)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WO2016020776A1 (en) Device for opening capsules
JP2010063521A (ja) 飲料供給装置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JP2010061526A (ja) 飲料供給ノズル
KR200413055Y1 (ko) 음식물쓰레기 냉장보관장치
KR200472925Y1 (ko)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JP6666151B2 (ja) 嗜好品抽出機
RU28018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стаканчиков, а также для сбора трубочек и крышек для стаканчиков и для сбора оставшейся жидкости из стаканчиков
CN205988190U (zh) 一种懒人吸管
CN106455851A (zh) 配备可再填充多剂量容器的饮料制备机
KR20150064421A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JP2006199364A (ja) 収納部付き納豆容器
KR200266323Y1 (ko) 종이컵 수거함
KR20120002662U (ko) 컵 홀더가 구비된 스틱제품 포장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