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9486B1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486B1
KR100749486B1 KR1020050103281A KR20050103281A KR100749486B1 KR 100749486 B1 KR100749486 B1 KR 100749486B1 KR 1020050103281 A KR1020050103281 A KR 1020050103281A KR 20050103281 A KR20050103281 A KR 20050103281A KR 100749486 B1 KR100749486 B1 KR 10074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순
김성수
강용묵
류경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486B1/ko
Priority to US11/590,980 priority patent/US81192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486B1/ko
Priority to US13/347,577 priority patent/US892067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7Electrodes based on electro-active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인 산화 및 환원 반응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망상 구조를 갖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음극과 전해질과의 계면 반응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리튬 이차 전지의 가역 효율과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튬이차전지,음극활물질,망상구조코팅층,유무기하이브리드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음극 활물질의 FT-IR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음극 활물질의 FT-IR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 특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역 효율 및 사이클 특성이 향상된 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리튬 이차 전지는 가역적으로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을 양극 및 음극으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하며, 리튬 이온이 양극 및 음극에서 삽입 및 탈리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양극 활물질로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Ni1-xCoxO2(0<x<1), L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으나,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덴드라이트(dendrite)의 형성으로 인한 전지 단락에 의해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리튬 금속 대신 비정질 탄소 또는 결정질 탄소 등의 탄소계 물질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탄소계 물질은 초기 수 사이클 동안 5 내지 30%의 비가역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비가역 용량은 리튬 이온을 소모시켜 최소 1개 이상의 활물질을 완전히 충전 또는 방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전지의 에너지 밀도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최근 고용량 음극 활물질로 연구되고 있는 Si, Sn 등의 금속 음극 활물질은 비가역 특성이 더욱 큰 문제가 있고, 또한 일본 후지필름사에서 제안한 주석 산화물은 탄소계 음극을 대체할 새로운 재료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금속 음극 활물질은 30% 이하로 초기 쿨롱 효율이 낮고, 리튬의 계속적인 삽입·방출에 의한 리튬 금속 합금, 특히 리튬 주석 합금이 형성됨에 따라 용량이 심하게 감소되고, 150회 충방전 사이클 이후에는 용량 유지율이 현격하게 감소되어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 이러한 특성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역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인 산화 및 환원 반응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망상 구조를 갖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어 물질, 유기 용매, 염기 및 물을 포함하는 코어액에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를 첨가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전구체 액을 제조하고,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 액에 코어 물질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음극, 양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인 산화 및 환원 반응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망상 구조를 갖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은 코어와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코어는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인 산화 및 환원 반응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 물질로는 리튬 이온의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 이온의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는 Si, Si 산화물, Sn, Sn 산화물,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질화물, 리튬 바나듐 옥사이드와 같은 리튬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 합금으로는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Al, Fe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과 리튬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망상 구조를 갖으며, Si, Ti 및 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코팅층은 -M-O-M- 구조(여기에서 M은 Si, Ti 또는 Al임)가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이 M에 곁가지로 결합되어 있는 유기 관능기를 갖는다. 이 유기 관능기는 M에 결합되어 있고 코어와는 결합되어 있지 않다. 상기 유기 관능기로는 R1-CH=C(R2)(R3)m-(R4)n-(여기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CH3이고, R3는 CO2이고, R4는 CH2 또는 CH2CH2O이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내지 5임)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리튬 전도는 가능하며, 저항이 없는 나노 사이즈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며, 5nm 내지 10nm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20nm 보다 두꺼워지면, 코어를 구성하는 활성 물질 표면으로의 전자 전달 속도와 활성 물질 내부로의 리튬 이온의 전달 속도를 저하시키는 저항층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고율특성 저하, 수명특성 저하 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활물질 구조를 M이 Si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a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도 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활물질(10)은 코어(11)에 형성된 코팅층(13)을 갖는 코어-쉘 구조이고, 이 코팅층(13)을 더욱 확대하여 보면, -Si-O-가 코어 표면을 둘러싸고 있고, Si에 CH2=CH2COO(CH2)3-가 곁가지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1b를 보면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 물질의 표면을 -M-O-M-가 둘러싸고 있으므로, 전지의 충방전 과정 동안에 종래 음극 활물질을 구성하던 코어 물질과 전해질이 계면에서 반응하여 전해질이 전기화학적으로 분해되어 음극 활물질 표면에 형성되는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 피막을 최소화하여, 전지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가역 효율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코어 물질, 유기 용매, 염기 및 물을 포함하는 코어액과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 유기 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전구체 액을 혼합한다. 이때, 사용 물질의 사용량은 얻어진 혼합물 전체 중에서 코어 물질은 유기 용매 1000ml당 1 내지 10g, 염기는 0.05 내지 1M, 물은 10 내지 20M 농도로 존재하도록 코어액과 전구체 액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며, 또한 코어액과 전구체 액의 혼합 비율도 상기 물질이 상기 범위로 존재하도록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의 사용량은 상기 코어 물질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며, 1 내지 1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의 사용 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코팅층 형성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코어 물질 표면에 두꺼운 망상구조 막이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두꺼운 막은 전극의 저항을 증가시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코어액은 코어 물질을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후, 이 혼합물에 염기 및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상기 염기는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촉매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이러한 역할을 하는 염기는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pH 8 내지 9인 물질, 대표적으로 암모니아수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구체 액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precursor), 유기 용매 및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로는 졸-겔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가 M에 두 개 이상 결합되어 있고, 졸-겔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관능기가 하나 또는 둘 결합되어 있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관능기는 하나 결합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6256381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CH3이고,
R3는 CO2이고,
R4는 CH2 또는 CH2CH2O이고,
R5는 C1 내지 C5의 선형 알킬이고,
M은 Si, Ti 또는 Al이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내지 5임)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CH3CH=CHCOO-(CH2)3-Si-(OCH3)3 또는 CH3CH=CHCOO-(CH2)3-Si-(OCH2CH3)3이다.
상기 혼합 공정에서, 전구체가 코어 물질을 둘러싸면서,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 코어 물질 표면에 전구체로부터 유도된 망상 구조를 갖는 코팅층이 형성된다. 형성된 코팅층은 나노 크기의 두께를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n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코어 물질로는 상술한 활성 물질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코팅층 에 유기 관능기가 존재하면 전극 형성용 조성물시 사용되는 바인더와 혼화성(missibility)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는 음극, 양극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양극은 양극 활물질로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인 산화 및 환원 반응이 가능한 물질로서, 리튬 이차 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LiAO2
[화학식 3]
LiMn2O4
[화학식 4]
LiaNibBcMdO2(0.95 ≤ a ≤ 1.1, 0 ≤ b ≤ 0.9, 0 ≤ c ≤ 0.5, 0.001 ≤ d ≤ 0.1)
[화학식 5]
LiaNibCocMndMeO2(0.95 ≤ a ≤ 1.1, 0 ≤ b ≤ 0.9, 0 ≤ c ≤ 0.5, 0 ≤ d ≤ 0.5, 0.001 ≤ e ≤ 0.1)
[화학식 6]
LiaAMbO2(0.95 ≤ a ≤ 1.1, 0.001 ≤ b ≤ 0.1)
[화학식 7]
LiaMn2MbO4(0.95 ≤ a ≤ 1.1, 0.001 ≤ b ≤ 0.1)
[화학식 8]
DX2
[화학식 9]
LiDS2
[화학식 10]
V2O5
[화학식 11]
LiV2O5
[화학식 12]
LiEO2
[화학식 13]
LiNiVO4
[화학식 14]
Li(3-x)F2(PO4)3(0 ≤ x ≤ 3)
[화학식 15]
Li(3-x)Fe2(PO4)3(0 ≤ x ≤ 2)
(상기 화학식 2 내지 15에서,
A는 Co, Ni 및 M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B는 Co 또는 Mn이고,
D는 Ti, Mo 또는 Mn이고,
E는 Cr, V, Fe, Sc 및 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F는 V, Cr, M, Co, Ni 및 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M은 Al, Cr, Mn, Fe, Mg, La, Ce, Sr 및 V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전이 금속 또는 란타나이드 금속 중 하나 이상의 금속이고,
X는 O 또는 S이다)
상기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 용매와 리튬염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염은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이차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리튬염의 대표적인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F3SO3, LiN(CF3SO2)3, Li(CF3SO2)2N, LiC4F9SO3, LiClO4,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2y+1SO2)(여기서, x 및 y는 자 연수임), LiCl 및 L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지지(supporting) 전해염으로 포함한다. 리튬염의 농도는 0.1 내지 2.0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리튬염의 농도가 0.1M 미만이면, 전해질의 전도도가 낮아져 전해질 성능이 떨어지고, 2.0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한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플루오로벤젠, 1,2-디플루오로벤젠, 1,3-디플루오로벤젠, 1,4-디플루오로벤젠, 1,2,3-트리플루오로벤젠, 1,2,4-트리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1,2-디클로로벤젠, 1,3-디클로로벤젠, 1,4-디클로로벤젠, 1,2,3-트리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아이오도벤젠(iodobenzene), 1,2-디이오도벤젠, 1,3-디이오도벤젠, 1,4-디이오도벤젠, 1,2,3-트리이오도벤젠, 1,2,4-트리이오도벤젠, 플루오로톨루엔, 1,2-디플루오로톨루엔, 1,3-디플루오로톨루엔, 1,4-디플루오로톨루엔, 1,2,3-트리플루오로톨루엔, 1,2,4-트리플루오로톨루엔, 클로로톨루엔, 1,2-디클로로톨루엔, 1,3-디클로로톨루엔, 1,4-디클로로톨루엔, 1,2,3-트리클로로톨루엔, 1,2,4-트리클로로톨루엔, 이오도톨루엔, 1,2-디이오도톨루엔, 1,3-디이오도톨루엔, 1,4-디이오도톨루엔, 1,2,3-트리이오도톨루엔, 1,2,4-트리이오도톨루엔, R-CN(여기에서, R은 탄소수 2-50개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 구조의 탄화 수소기이며, 이중결합, 방향환,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음),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테이트, 크실렌, 사이클로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사이클로헥사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디메톡시에탄, 1,3-디옥솔란, 디글라임, 테트라글라임,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설포란(SULFOLANE), 발레로락톤, 데카놀라이드, 메발로락톤 중의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 비율은 목적하는 전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널리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의 일 예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음극(2), 양극(3), 이 음극(2) 및 양극(3)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4), 상기 음극(2), 상기 양극(3) 및 상기 세퍼레이터(4)에 함침된 전해액과, 전지 용기(5)와, 전기 용기(5)를 봉입하는 봉입 부재(6)를 주된 부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1)를 나타낸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가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전지로서 작동할 수 있는 각형, 파우치 등 어떠한 형성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어 물질인 실리콘(평균입도: 10mm) 1g을 에탄올 100mL에 분산시킨 후 암모 니아와 물을 29 : 71 부피비로 혼합한 암모니아수를 0.2M의 농도로 상기 혼합물에 도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코어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어 물질 중량 대비 10 중량%의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전구체와 1mL 에탄올과 1mL 물을 함께 첨가하여 전구체 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구체 액을 상기 코어액에 빠르게 첨가하였다. 이때,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이 코어물질인 음극활물질 표면에서 일어나, 유기 사슬이 공유 결합되어있는 SiO2 망상 구조로 형성된 코팅층을 갖는 음극 활물질이 제조되었다. 이 코팅층의 두께는 20nm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음극 활물질의 코팅층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FT-I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팅층에는 (CH2) 결합, CO2 결합 및 Si-O-Si 결합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 사슬이 공유결합 되어있는 SiO2 망상 구조로 형성된 코팅층을 갖는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에탄올은 부피(mL)로, 물, 염기 촉매인 암모니아수는 몰농도(M),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는 중량%의 단위로 기재하였다.
코어물질 (실리콘) 에탄올 (mL) 물 [M] 29% 암모니아수 (NH3·H2O) [M]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 (코어물질 대비 중량%)
실시예 1 1g 100 10M 0.2M 10%
실시예 2 1g 100 10M 0.2M 30%
실시예 3 1g 100 10M 0.2M 50%
(전지 제조)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LiCoO2) 양극 활물질과 카본블랙의 도전재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바인더를 N-메틸-2-피롤리돈 용매에 용해하여 바인더 용액을 제조하고, 이 바인더 용액에 상기 혼합물을 첨가하여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두께 20㎛ 알루미늄박에 도포하고 진공 분위기 하에서 120℃, 10시간 건조시켜 N-메틸-2-피롤리돈을 휘발시킨 후,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했다.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바인더가 용해되어 있는 N-메틸피롤리돈 용액에,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음극 활물질과 카본블랙 도전재를 혼합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코팅하지 않은 실리콘 활물질을 비교예 1로 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활물질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두께 12㎛ 구리 박에 도포하고 진공 분위기 하에서 120℃, 10시간 건조하여 N-메틸-2-피롤리돈을 휘발시킨 후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과 음극 및 폴리올레핀계(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FT-IR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음극 활물질의 FT-IR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a)는 비교예 1이고, (b)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은 870cm-1(P-F(LixPFy: x=0 내지 1, y는 5 내지 6)), 1310cm-1 및 1090cm-1(ROCO2Li, R은 LiOOC(CH2)4COOLi)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나있으므로, 불안정한 물질이 형성되어 전지 물성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실시예 1의 음극 활물질은 이러한 피크가 없는 것으로 보아 불안정한 물질이 형성되지 않고, 안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지의 초기 가역 효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음극 활물질을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를 각각 4.2V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한 후에, 0.2C에서 전압이 2.75V 에 달할 때까지 방전하는 충방전을 실시한 후 초기 가역 효율(Initial coulombic efficiency)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가역 효율
실시예 1 82.1%
실시예 2 84.0%
실시예 3 75.5%
비교예 1 73.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의 리튬 이차 전지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비하여 다소 우수한 초기 가역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는 거의 비슷한 초기 가역 효율을 나타내었다.
(전지특성 평가 방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수명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a)는 실시예 1, (b)는 실시예 2, (c)는 실시예 3 그리고 (d)는 비교예 1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를 0.2C의 전류로 전압이 4.2V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한 후에, 0.2C에서 전압이 2.75V 에 달할 때까지 방전하는 충방전을 50회 실시하였다. 50회까지의 용량 유지율을 도 5에 나타내었다. 50회 충방전후의 용량 유지율이란, 수명 1회 충방전시의 방전용량에 대한 50회 충방전시의 방전용량의 비율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기사슬이 공유결합되어있는 실리콘옥사이드 망상구조 막이 도입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음극 활물질을 적용한 전지의 경우,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급격한 용량저하 현상을 보였으나 실시예 1 내지 2의 음극 활물질을 적용한 전지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향상된 수명 특성을 보였다.
또한, 유무기 전구체를 다소 과량을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에는 망상 구조 막이 다소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2보다는 수명 특성이 저하되었으나,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는 다소 향상된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리콘 음극 활물질 표면에 형성된 망상구조의 실리콘 옥사이드 층이 실리콘 활물질과 전해질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해질의 분해반응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망상구조에 공유결합되어 있는 유기사슬이 초기 리튬 충전시 전해질 성분과 함께 분해하여 고분자 막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고분자 막은 화학식 1의 이중결합 부분이 중합되어, 전해질과 친화성이 매우 우수한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극 내 전해질 보유특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활물질 내로의 리튬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 및 2의 전지 수명 특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인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음극과 전해질과의 계면 반응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리튬 이차 전지의 가역 효율과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인 산화 및 환원 반응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망상 구조를 갖고, -M-O-M-(여기에서 M은 Si, Ti 또는 Al)의 구조를 갖고, 이 M에 곁가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R1-CH=C(R2)(R3)m-(R4)n-(여기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CH3이고, R3는 CO2이고, R4는 CH2 또는 CH2CH2O이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내지 5임)인 유기 관능기를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20nm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nm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nm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은 리튬 이온의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및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9. 코어 물질, 유기 용매, 염기 및 물을 포함하는 코어액과 M(여기서 M은 Si, Ti 또는 Al)에 졸-겔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가 두 개 이상 결합되어 있고, 졸-겔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관능기가 하나 또는 둘 결합되어 있는 물질을 포함하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 유기 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전구체 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712007001015396-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CH3이고,
    R3는 CO2이고,
    R4는 CH2 또는 CH2CH2O이고,
    R5는 C1 내지 C5의 선형 알킬이고,
    M은 Si, Ti 또는 Al이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내지 5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암모니아수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의 사용량은 상기 코어 물질 중량의 1 내지 30 중량%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의 사용량은 상기 코어 물질 중량의 1 내지 30 중량%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물질의 사용량은 상기 유기 용매 1000ml당 1 내지 10g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중에서 상기 염기의 농도는 0.05 내지 1M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중에서 상기 물의 농도는 10 내지 20M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물질은 리튬 이온의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및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7. 삭제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는 M(여기서 M은 Si, Ti 또는 Al)에 졸-겔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가 두 개 이상 결합되어 있고, 졸-겔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관능기가 하나 결합되어 있는 물질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9. 삭제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구체는 M(여기에서 M은 Si, Ti 또는 Al)을 포함하 는 알콕사이드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21.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인 산화 및 환원 반응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망상 구조를 갖고, -M-O-M-(여기에서 M은 Si, Ti 또는 Al)의 구조를 갖고, 이 M에 곁가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R1-CH=C(R2)(R3)m-(R4)n-(여기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CH3이고, R3는 CO2이고, R4는 CH2 또는 CH2CH2O이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내지 5임)인 유기 관능기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전해질
    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20nm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nm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nm인 리튬 이차 전지.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Si, Ti 및 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포함하는 물질인 리튬 이차 전지.
  26. 삭제
  27. 삭제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은 리튬 이온의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및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
KR1020050103281A 2005-10-31 2005-10-31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4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81A KR100749486B1 (ko) 2005-10-31 2005-10-31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1/590,980 US8119283B2 (en) 2005-10-31 2006-10-31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US13/347,577 US8920672B2 (en) 2005-10-31 2012-01-10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81A KR100749486B1 (ko) 2005-10-31 2005-10-31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486B1 true KR100749486B1 (ko) 2007-08-14

Family

ID=3799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281A KR100749486B1 (ko) 2005-10-31 2005-10-31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119283B2 (ko)
KR (1) KR100749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285A (ko) * 2019-12-24 2021-07-05 한국세라믹기술원 수명 특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5059B (en) * 2002-11-05 2005-03-16 Imp College Innovations Ltd Structured silicon anode
KR100749486B1 (ko) 2005-10-31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GB0601318D0 (en) 2006-01-23 2006-03-01 Imp Innovations Ltd Method of etching a silicon-based material
GB0601319D0 (en) * 2006-01-23 2006-03-01 Imp Innovations Ltd A method of fabricating pillars composed of silicon-based material
KR100759410B1 (ko) * 2006-11-20 2007-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78450B1 (ko) * 2006-11-22 2007-1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14880B1 (ko) * 2006-11-22 2008-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05123B1 (ko) * 2007-02-15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GB0709165D0 (en) 2007-05-11 2007-06-20 Nexeon Ltd A silicon anode for a rechargeable battery
JP5511128B2 (ja) * 2007-06-07 2014-06-0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非水二次電池
GB0713895D0 (en) * 2007-07-17 2007-08-29 Nexeon Ltd Production
GB0713896D0 (en) * 2007-07-17 2007-08-29 Nexeon Ltd Method
GB0713898D0 (en) * 2007-07-17 2007-08-29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KR100898291B1 (ko) * 2007-09-12 2009-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8276695B2 (en) * 2007-12-25 2012-10-02 Byd Co. Ltd. Battery electrode sheet
GB2464158B (en) 2008-10-10 2011-04-20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GB2464157B (en) 2008-10-10 2010-09-01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JP5408702B2 (ja) * 2009-01-23 2014-02-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
GB2470056B (en) 2009-05-07 2013-09-11 Nexeon Ltd A method of making silicon an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cells
US9853292B2 (en) 2009-05-11 2017-12-26 Nexeon Limited Electrode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cell
GB2470190B (en) 2009-05-11 2011-07-13 Nexeon Ltd A binder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ells
GB201005979D0 (en) 2010-04-09 2010-05-26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GB201009519D0 (en) 2010-06-07 2010-07-21 Nexeon Ltd An additive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ells
GB201014707D0 (en) 2010-09-03 2010-10-20 Nexeon Ltd Electroactive material
GB201014706D0 (en) 2010-09-03 2010-10-20 Nexeon Ltd Porous electroactive material
US9754728B2 (en) 2012-10-09 2017-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terial for electrode of power storage device, power storage device, and electrical appliance
KR101481546B1 (ko) * 2012-12-21 2015-01-13 주식회사 코캄 전극 활물질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리튬 이차 전지
FR3017244A1 (fr) * 2014-01-31 2015-08-0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eriau d'electrode,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dans un accumulateur au lithium
CN105552316B (zh) * 2014-10-27 2018-09-1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用于锂离子电池的负极材料以及包含其的锂离子电池
CN110783559B (zh) * 2019-11-08 2021-06-11 东莞塔菲尔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933951B (zh) * 2020-08-25 2021-10-15 中南大学 一种锂金属活性前驱材料及其制备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568A (ja) * 1994-10-19 1996-05-17 Canon Inc 二次電池並びに、その負極材料形成方法及び負極材料の取扱方法
KR100331370B1 (ko) * 1993-07-06 2002-08-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실리카망상구조와폴리하이드록시화합물쇄를포함하는복합물질의제조방법,이러한복합물질을최상부피막으로서갖는액정표시장치및이러한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9803A (en) * 1997-05-22 2000-02-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thod for making carbon/ceramic composite electrodes for charge storage units
JP2001006683A (ja) * 1999-06-23 2001-01-1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リチウム電池用活物質材料
JP2001210375A (ja) * 2000-01-26 2001-08-03 Kyocera Corp 固体電解質電池
DE10014884A1 (de) 2000-03-24 2001-09-27 Merck Patent Gmbh Beschichtete Lithium-Mischoxid-Partikel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1297796A (ja) 2000-04-13 2001-10-26 Kyocera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JP5000811B2 (ja) * 2001-04-27 2012-08-15 チタン工業株式会社 チタン酸リチウム粉体及びその用途
US6878487B2 (en) 2001-09-05 2005-04-12 Samsung Sdi, Co., Ltd. Active material for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4042413B2 (ja) * 2002-01-11 2008-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
KR20040082803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EP1511101B1 (en) 2003-08-21 2015-05-27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comprising same
KR100570648B1 (ko) 2004-01-26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17780B1 (ko) * 2004-10-27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계 전해질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및 그를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질 이차 전지
KR100749486B1 (ko) 2005-10-31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5128779B2 (ja) * 2006-03-06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370B1 (ko) * 1993-07-06 2002-08-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실리카망상구조와폴리하이드록시화합물쇄를포함하는복합물질의제조방법,이러한복합물질을최상부피막으로서갖는액정표시장치및이러한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JPH08124568A (ja) * 1994-10-19 1996-05-17 Canon Inc 二次電池並びに、その負極材料形成方法及び負極材料の取扱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285A (ko) * 2019-12-24 2021-07-05 한국세라믹기술원 수명 특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371933B1 (ko) * 2019-12-24 2022-03-08 한국세라믹기술원 수명 특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19283B2 (en) 2012-02-21
US20120104312A1 (en) 2012-05-03
US20070099085A1 (en) 2007-05-03
US8920672B2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48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7845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1192665B (zh) 负极活性材料组成物、负极和可再充电锂电池
KR10081488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14826B1 (ko) 리튬 이차 전지
JP5374339B2 (ja) リチウム2次電池用電解液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2次電池
KR10091317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2583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14885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18184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81468A (ko)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64607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00093321A (ko)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47369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215230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1005200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9565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37264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3435453B1 (en)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61401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4231386A1 (en)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CN119495703A (zh) 负电极、形成其的方法和可再充电锂电池
KR20080094214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따라 제조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9386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710

Appeal identifier: 2007101002346

Request date: 200702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3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7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0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