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7533B1 -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및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및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533B1
KR100737533B1 KR1020000060628A KR20000060628A KR100737533B1 KR 100737533 B1 KR100737533 B1 KR 100737533B1 KR 1020000060628 A KR1020000060628 A KR 1020000060628A KR 20000060628 A KR20000060628 A KR 20000060628A KR 100737533 B1 KR100737533 B1 KR 100737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vibration
pattern
data
vibration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042A (ko
Inventor
요코미죠야스히사
핫토리요시가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5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05B19/105Physical layout of switches or displays; Switches co-operating with the displa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효율적인 바늘진동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어 그 바늘진동 데이터에 따른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할 수 있는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좌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데이터가 여러개의 블록마다 입력되어 기억된다. 여러개의 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로부터 소정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가 선택되고, 선택한 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가 수정되어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가 수정된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바늘진동 데이터가 여러개의 블록마다 입력되어 격납되므로 수정도 각 블록마다 행할 수 있어 수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수정한 각 프로그램으로 시험 재봉도 행할 수 있어 수정내용의 확인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및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ELECTRONIC SEWING MACHINE FOR ZIGZAG KNITTING AND NEEDLE VIBRATION MA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의 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바늘진동기구의 대략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의 제어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조작패널의 각 종 스위치 및 표시기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
도 5는 각 종의 바늘진동패턴에 의한 솔기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바늘진동패턴의 각종 고유데이터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A)는 바늘진동패턴의 고유데이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B)는 락 스티치패턴과 바늘진동패턴이 동일한 경우의 솔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C)는 락 스티치패턴과 바늘진동패턴이 다른 경우의 솔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락 스티치패턴과 바늘진동패턴이 다른 경우의 솔기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연결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패턴 프로그램의 하나에 대해 데이터를 수정하는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0은 연결프로그램 안에 포함되는 작은 프로그램(블록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플로우챠트.
도11은 연결프로그램의 봉제준비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12는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 및 그 데이터에 의한 솔기를 나타낸 설명도.
도13은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폭을 설정하는 플로우챠트.
도14는 설정된 바늘진동 폭에 따라 바늘진동패턴을 축소하는 플로우챠트.
도15는 설정된 바늘진동 폭에 따라 바늘진동패턴을 확대하는 플로우챠트.
도16은 연결프로그램을 설정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바늘 봉 3: 바늘
6: 이송눈금 다이얼 7: 콘덴스눈금 다이얼
11: 바늘진동모터
본 발명은 바늘판위에 출몰하여 천을 보내는 천이송 톱니를 구비한 천이송장치와, 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재봉틀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되는 바늘과, 이 바늘을 천이송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바늘을 진동시키는 바늘진동기구에 의해 천에 새발뜨기 솔기를 형성하는 전자새발뜨기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새발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틀 주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바늘진동캠을 이용하여 상기 바늘진동기구를 동작하고, 소정의 바늘진동패턴을 발생하도록 하고 있지만 바늘진동패턴이 많아지면 그에 따라 바늘진동캠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캠의 교환작업이 귀챦아지고 또 캠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최근 바늘진동패턴을 데이터로서 기억하고, 판독된 이 바늘진동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바늘진동량을 제어하는 펄스모터 등을 구동하는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이런 종류의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바늘진동패턴을 변경하거나 새로이 작성하는 것을 재봉틀에서 하지 않고 좌표입력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한 데이터작성장치에 의해 작성하거나 변경해야 하므로 데이터작성장치를 별도로 준비했어야 했다.
또 종래 전자새발뜨기 재봉틀에서는 재봉시작 또는 재봉종료시 솔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 스티치(lock-stitch)를 행하기 위해 락 스티치의 개시 혹은 종료의 바늘 수를 설정함으로써 소정의 새발뜨기 패턴의 시작 또는 종료에 락 스티치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락 스티치의 개시 또는 종료의 바늘 수 를 설정함으로써 행했기 때문에 락 스티치의 개시 또는 종료하는 바늘진동위치가 의도한 위치로 되지 않고 락 스티치로부터 통상의 새발뜨기 또는 통상의 새발뜨기에서 락 스티치로 이행할 때 바늘진동위치가 어긋나 봉제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락 스티치패턴으로서는 바늘진동의 패턴을 새발뜨기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융통성이 결여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효율적인 바늘진동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어 그 바늘진동 데이터에 따른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할 수 있는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및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 데이터를 여러개의 블록마다 입력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여러개의 블록에 포함되는 소정 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한 블록 또는 그 바늘진동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단과, 수정된 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판독하여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이다.
또 본 발명은 작성된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를 여러개의 블록마다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여러개의 블록에 포함되는 소정 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한 상기 소정 블록 또는 그 바늘진동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이다.
어떠한 구성도 바늘진동 데이터가 여러개의 블록마다 입력하여 격납되므로 수정도 각 블록마다 행할 수 있어 수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수정한 각 프로그램으로 시험 바느질도 할 수 있어 수정내용의 확인도 간단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 데이터로서 바늘진동위치 및 반복 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를 판독하여 주 모터 및 바늘 진동기구를 작동하고, 바늘진동위치 및 반복 수에 따른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이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로서 바늘진동위치 외에 그 반복 수가 이용되므로 바늘진동위치가 공통적인 솔기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단순히 반복 수를 증가시키면 될 뿐이므로 간단하게 여러가지의 바늘진동 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과, 바늘진동 폭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의 최대 바늘진동 폭과 상기 설정 바늘진동 폭을 기초로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를 변형하는 수단과, 변형된 바늘진동 데이터를 기초로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이다.
또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과, 바늘진동 폭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의 우단 바늘위치와 좌단 바늘위치의 간격과 상기 설정된 바늘진동 폭을 기초로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를 변형하는 수단과, 변형된 바늘진동 데이터를 기초로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이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바늘진동 폭을 설정함으로써 바늘진동패턴을 임의 크기로 축소 내지 확대할 수 있어 바늘진동 데이터의 작성이 효율화된다.
다음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의 형태를 기초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의 개관이 도시되고 있고, 동 도면에 있어서 주축을 회전시키는 주 모터(1)에 의해 바늘봉(2)에 지지된 바늘(3)이 상하이동된다. 이 바늘(3)의 상하이동에 관련하여 바늘판(4)위에 천이송장치의 이송톱니(도시생략)가 출몰하고, 그에 따라 누름판(5)에 눌린 천이 보내지며, 천이송장치와의 협동에 의해 천에 솔기가 형성된다. 천의 솔기이송량은 이송눈금 다이얼(6)로 설정할 수 있고, 또 재봉개시 또는 종료일 때에 행해지는 락 스티치는 콘덴스눈금 다이얼(7)로 콘덴스이송량을 설정하여 그 설정된 이송량으로 이송장치를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콘덴스 이송량은 정이송량과 같은 량의 역이송량으로부터 0으로 설정가능하며, 통상의 설정량으로서는 미소이송 또는 새발뜨기 솔기이송량이 된다. 그 경우 박음질레버(8)를 조작함으로써 또는 락 스티치시에 도시하지 않은 박음질 솔레노이드를 구동하고 이송량을 변환하여 박음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호 9는 전원스위치이며, 부호 10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각 종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패널이다.
본 발명의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은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바늘진동기구가 마련되고, 바늘(3)을 지지하는 바늘 봉(2)은 바늘진동모터(예를들면 스텝핑모터 또는 서보모터)(11)로 구동되는 링크기구(12)에 의해 천이송장치의 천이송작용과 동기시키면서 천이송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이동되고, 그에 따라 소정의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늘진동기구에는 바늘진동모터(1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차폐판(11a)을 검지하는 원점센서(13)가 마련되어 바늘진동위치의 원점이 검출된다.
도 3에는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의 제어시스템이 블록도로서 나타나고, 페달지령(20)에 의해 재봉틀 회전제어회로(21), 재봉틀 주축구동회로(22)를 통해 주 모터(1)가 구동되며, 그에 따라 재봉틀의 주 축이 구동되어 이송톱니가 이른바 좌우상하로 이송하고, 이송눈금 다이얼(6)로 설정한 이송량으로 천이송을 함과 동시에 바늘(3)이 상하이동하여 솔기가 형성된다. 싱크로나이저(synchronizer)(23)는 주축위치를 검출하고, 1바늘 솔기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위치, 하위치를 검출하여 그 신호가 재봉틀회전 제어회로(21) 및 바늘진동 제어회로(24)에 입력된다. 바늘진동 제어회로(24)는 바늘진동 구동회로(25)를 통해 바늘진동모터(11)를 구동하고, 원점센서(13)의 신호를 받아 바늘진동기구를 제어한다. 락 스티치시에는 박음질 솔레노이드(27)가 작동하여 콘덴스눈금 다이얼(7)로 설정한 이송량이 된다. 조작패널(10)에 의해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재봉틀의 제어에 필요한 여러가지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고, 이들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일단 메모리(26)에 격납되며, 이들의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또 이송눈금다이얼(6) 및 콘덴스눈금 다이얼(7) 등으로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재봉틀 주축의 회전이 제어되고 또 바늘진동기구가 제어된다.
(조작패널)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조작패널(10)에 배치된 각 종 스위치 및 표시기에 대해 설명한다.
부호 41은 설정스위치 SW로서 설정모드의 변환 등의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스위치(42)는 시작 락 스티치를 「한다/하지 않는다」의 설정을 행하는 시작 락 스티치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시작 락 스티치 표시 LED(발광다이오드)(42a)가 점등/소등한다. 또 스위치(43)는 종료 락 스티치를 「한다/하지 않는다」의 설정을 행하는 종료 락 스티치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종료 락 스티치 표시 LED(43a)가 점등/소등한다.
부호 44는 반 바늘(또는 1바늘) 스위치로서, 재봉틀을 반 바늘(또는 1바늘)동작시키는 스위치이며, 부호 45는 실절단 금지스위치로서 페달 뒤 발판에서 락 스티치는 행하지만 실절단은 행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실절단 금지표시 LED(45a)가 점등하여 실절단 금지가 유효한 것을 나타낸다.
부호 46은 세그먼트 표시기(48a)(48b)(48c)를 구비한 실진동 표시기(48)의 2항목(桁目)을 표시하는 표시기(48a)의 표시수치를 +-시키는 스위치로서, LED(42a)밑에 「A」라고 표시된 시작 락 스티치 스위치(42)를 조작한 경우는 시작 락 스티치의 락 스티치의 회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부호 47은 바늘진동 표시기(48)의 1항목을 표시하는 표시기(48b)의 표시수치를 +-시키는 스위치로서, LED(43a) 밑에 「B」라고 표시된 종료 락 스티치(43)를 조작한 경우, 종료 락 스티치의 락 스티치회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이 1항목 및 2항목의 표시기(48a)(48b)는 바늘진동 폭 또는 바늘 수의 설정을 표시하고, LED(50a) 내지 (56a) 및 (60a)의 각 밑에 「C」라고 표시된 각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 바늘진동 폭 또는 바늘 수를 설정변경할 수 있다. 그 외 표시기(48a)(48b)(48c)는 LED(61a) 밑에 「D」라고 표시된 기선스위치(61)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3항의 기선위치를 표시 한다.
부호 49는 바늘진동패턴 직선바느질 선택스위치로 이를 선택하면 직선바느질 표시LED(49a)가 점등하고, 바늘진동패턴으로서 직선바느질이 선택된 것이 나타난다. 2점 새발뜨기 스위치(50)는 바늘진동패턴 2점 새발뜨기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고, 바늘진동패턴으로서 2점 새발뜨기를 선택하면 2점 새발뜨기 표시 LED(50a)가 점등한다. 또 3점 새발뜨기 스위치(51)는 바늘진동패턴 3점 새발뜨기를 선택하는 스위치로, 이 스위치를 조작하고 바늘진동패턴으로서 3점 새발뜨기 표시 LED(51a)가 점등한다. 또 4점 새발뜨기 스위치(52)는 바늘진동패턴 4점 새발뜨기를 선택하는 스위치로 이 스위치를 조작하고, 바늘진동패턴으로서 4점 새발뜨기를 선택하면, 4점 새발뜨기 표시 LED(52a)가 점등한다.
좌 스캘럽 스위치(53)는 바늘진동패턴 좌 스캘럽바느질을 선택하는 스위치로, 바늘진동패턴으로서 좌 스캘럽 바느질을 선택하면, 좌 스캘럽 표시 LED(53a)가 점등한다. 또 우 스캘럽 스위치(54)는 바늘진동패턴 우 스캘럽바느질을 선택하는 스위치로, 바늘진동패턴으로서 우 스캘럽바느질을 선택하면 우 스캘럽 표시 LED(54a)가 점등한다. 한편 좌 블라인드스티치 스위치(55)는 바늘진동패턴 좌 블라인드스티치 바느질을 선택하는 스위치로, 바늘진동패턴으로서 좌 블라인드스티치 바느질을 선택하면 좌 블라인드스티치 표시 LED(55a)가 점등한다. 또 우 블라인드스티치 스위치(56)는 바늘진동패턴 우 블라인드스티치 바느질을 선택하는 스위치로, 바늘진동패턴으로서 우 블라인드스티치 바느질을 선택하면 우 블라인드스티치 표시 LED(56a)가 점등한다. 또 커스텀패턴 스위치(57)는 바늘진동패턴 커스텀 패 턴재봉을 선택하는 스위치로, 바늘진동패턴으로서 커스텀 패턴 재봉을 선택하면 커스텀패턴 표시 LED(57a)가 점등한다.
정지위치 지시스위치(58)는 페달중립으로 바늘 정지위치 지정을 행하는 스위치로, 좌 정지인 경우는 좌 정지지시 표시 LED(58a)가 점등하고, 우 정지인 경우는 우 정지지시 표시 LED(58b)가 점등하며, 임의 정지인 경우는 양 LED(58a)(58b)가 소등한다.
상세 설정 스위치(59)는 설정스위치(41)와 조합하여 사용되고, 설정스위치(41)에서 상세한 설정을 행한다. 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세 설정 표시 LED(59a)가 점등한다. 바늘수 설정 스위치(60)는 스캘럽·블라인드스티치의 바늘수를 설정할 때 사용되고, 바늘 수 설정시에는 바늘 수 설정 표시 LED(60a)가 점등한다. 또 기선스위치(61)는 기선위치를 변경할 때 사용되고, 기선위치 설정시에는 기선위치 표시 LED(61a)가 점등한다.
부호 62는 밑실 카운터 리셋 스위치로, 재봉틀의 밑실(바늘 수) 카운터를 리셋하기 위해 사용된다. 밑실 카운터 「+」「-」스위치(63)는 카운터에 카운트수를 셋트하는 스위치이다. 이 카운터의 수는 4세그먼트(64a∼64d)를 구비한 밑실 카운터 표시기(64)에 표시된다.
〔바늘진동패턴〕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에서는 바늘진동패턴으로서 직선바느질, 2점 새발뜨기, 3점 새발뜨기, 4점 새발뜨기, 스캘럽, 블라인드스티치, 커스텀 패턴이 준비되고 있다. 직선바느질은 도 5(A)와 같이 바늘진동을 행하지 않고 기 선위치에서 직선바느질을 행하는 패턴으로서 바늘진동 폭(NW)은 0이다. 2점 새발뜨기는 도 5(D)와 같이 기선에 준하여 1바늘진동 폭이 바늘진동 폭(NW)으로 좌, 우 2점에 바늘을 낙하하는 재봉방법이며, 3점 새발뜨기는 도 5(E)와 같이 기선에 준하여 1바늘진동 폭이 바늘진동 폭(NW)의 2분의 1로 좌, 중심, 우의 3점에 바늘 낙하하는 재봉방법이며, 4점 새발뜨기는 도 5(F)와 같이 기선에 준해 1바늘진동 폭이 바늘진동 폭(NW)의 3분의 1에서 좌, 중심 2점, 우의 4점에 바늘을 낙하하는 재봉방법이다.
한편 스캘럽은 도 5(B)와 같이 2개의 원호안을 12바늘 또는 24바늘로 바느질을 하는 초생달모양의 재봉방법으로 운침의 종류로 「표준, 초생달, 균등」의 3종류가 있다. 또 원호 방향으로 좌우의 스캘럽이 있고 좌우의 규정은 재봉틀의 안쪽을 우로 하여 원호의 정상측이 안쪽에 있는 경우를 우 스캘럽이라 하고, 그 역인 경우를 좌 스캘럽으로 한다. 블라인드스티치는 도 5(C)와 같이 재봉시작은 직선바느질을 행하여 운침 바늘수의 최종 바늘 2바늘로 바늘진동 폭(NW)으로 바늘진동을 행하고, 최종바늘 1바늘로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패턴의 반복동작을 행하는 재봉방법이다. 이 경우도 바늘진동방향에 의해 좌,우 블라인드스티치가 있고, 우(좌) 블라인드스티치는 직선바느질에서 우측(좌측)에 바늘진동하는 패턴이다. 또 커스텀 패턴은 임의로 작성되는 오리지널 패턴이다.
〔고유데이터〕
상술한 각 바늘진동패턴에는 바늘진동 폭(NW), 기선위치(NP), 기선기준위치(NPs), 재봉시작위치(NS), 재봉종료위치(NE), 바늘수(NC)의 고유데이 터가 있다.
바늘진동 폭(NW)은 각 바늘진동패턴에서 바늘진동 폭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들면 도 6(A)과 같은 4점 새발뜨기인 경우 1바늘폭(NWs)은 바늘진동 폭(NW)을 3분할값으로 한다. 즉 NWs=NW/3이다. 이 때 분할값에 나머지가 나온 경우는 바늘진동 폭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균등이 되도록 한다. NW가 5.0인 경우 NWs=1.6 나머지 0.2가 된다. 따라서 최초의 1바늘은 1.7, 2바늘째는 1.6, 3바늘째는 1.7이되며, 뒤집어서 1.7, 1.6, 1.7이 된다. 또 예를들면 스캘럽인 경우의 바늘진동 폭은 모양폭으로 바늘진동에는 바늘진동 데이터를 이용하고, 바늘진동 데이터는 중심배분으로 규정한다. 패턴에 의해 24바늘, 12바늘의 데이터를 갖고, 운침위치계산은 NDn을 운침데이터, NDp를 운침위치, NP를 기선위치로 하며, NDp=NP+(NW * NDn/8.2)의 식에 따라 행한다.
기선위치(NP)는 도 6(B)과 같이 재봉틀 바늘진동기구의 중심을 「0」으로 하고, 재봉틀 안쪽을 「+」(우측), 그 반대측을 「-」(좌측)으로 한 바늘진동의 진동기점위치를 말하고, 최대바늘진동 폭(WPx)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5.0∼0∼+5.0의 범위로 설정된다.
기선기준위치(NPs)는 바늘진동을 도 6(C)과 같이 「중심기준배분·우단기준진동·좌단기준진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의 기선기준위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초기설정은 중심기준배분로 설정되고 있고, 기선위치(NP)에 대해 중앙·우·좌로 진동기준을 지정한다. 예를들면 2점 새발뜨기에 있어서 기선위치(NP)=0.0, 바늘진동 폭(NW) = 3.0, 기선기준위치(NPs) = 좌로 한 경우 바늘은 0.0과 3.0사이 에서 바늘진동을 행한다.
재봉시작위치(NS)는 도 7(A)과 같이 실절단 후 다음 재봉시작 위치를 「좌·우」로 설정하는 것으로 초기설정은 좌 재봉시작이다. 또한 스캘럽, 블라인드스티치에 있어서, 좌우가 있지만 우 스캘럽, 우 스캘럽 스티치인 경우, 좌 재봉시작이 재봉시작위치가 된다.
바늘수(NC)는 스캘럽, 블라인드스티치의 바늘수로서 스캘럽인 경우, 기준은 24바늘, 초생달 모양도 24바늘, 균등으로 12바늘과 24바늘이며, 블라인드스티치는 3∼250바늘 사이에서 설정된다. 초기설정은 스캘럽인 경우 표준·초생달·균등과 함께 24바늘이며, 블라인드스티치는 4바늘이다.
또 바늘진동패턴의 시작 또는 종료에 형성되는 락 스티치패턴(콘덴스 패턴이라고도 함)은 직선바느질, 2점 새발뜨기, 3점 새발뜨기, 4점 새발뜨기 및 커스텀패턴의 각 패턴에 대해 유효하게 된다. 콘덴스의 회수는 재봉시작에서 반환까지를 1패턴으로서 패턴단위로 행하고, 바늘 수는 19바늘 이내로 설정가능하다. 또 콘덴스시의 콘덴스 이송량은 콘덴스 이송량 설정 다이얼(7)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들면 4점 새발뜨기인 경우는 도 7(B)와 같이 6패턴가능하며, 1패턴에 3바늘이므로 바늘 수는 18이 된다.
또 락 스티치(콘덴스)의 옵션설정으로서 첫번째로 바늘진동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락 스티치를 행하는 방법과, 둘째로 락 스티치의 커스텀설정으로서 바늘진동 폭(NW)이내에서 바늘진동 폭을 좁게하여 바늘 수를 설정할 수 있고, 바늘진동 폭(NW)내의 운침중은 동일방향으로 바늘진동을 하는 방법과, 셋째로 락 스티치 커 스텀패턴(오리지널 패턴)이 있다.
제 1의 바늘진동패턴과는 별도의 락 스티치 패턴으로 락 스티치를 행하는 방법은 바늘진동패턴과는 별도로 시작 락 스티치, 종료 락 스티치마다 락 스티치패턴(PC), 바늘진동 폭(CW), 콘덴스회수(CC)를 설정하는 것으로 기선위치(NP), 기선기준위치(NPs), 재봉시작위치(NS)는 바늘진동패턴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도 7(C)과 같이 시작 락 스티치 패턴을 4점 새발뜨기, 바늘진동패턴을 2점 새발뜨기, 종료 락 스티치패턴을 3점 새발뜨기로 하는 예로 설명하면, 시작 락 스티치 패턴은 4점 새발뜨기로서 바늘진동 폭은 CW1이며, 콘덴스회수는 3회가 된다. 이 락 스티치에 계속하는 바늘진동패턴은 2점 새발뜨기로, 이 경우 시작 락 스티치가 종료한 후 바늘진동패턴에서 2-4점 새발뜨기와 같이 반드시 개시위치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락 스티치 종료위치에 가까운 바늘진동개시점에서 바늘진동을 행한다. 또 시작 락 스티치패턴의 종료위치와, 바늘진동패턴의 개시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락 스티치 종료후 1바늘 사이의 속도를 제한한다. 또 종료 락 스티치 패턴은 3점 새발뜨기로 바늘진동 폭은 CW2, 콘덴스회수는 4회가 된다. 이 종료 락 스티치에서는 바늘진동패턴에서 종료 락 스티치패턴으로 이행하는 데 1바늘 필요하므로 콘덴스회수는 +1바늘을 콘덴스 바늘수로 한다.
제 2의 락 스티치의 커스텀설정으로서 바늘진동 폭(NW)이내에서 바늘진동 폭을 좁게하여 바늘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바늘진동 폭(NW)내의 운침중은 동일방향으로 바늘진동을 하는 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이 커스텀설정에서는 시작 락 스티치, 종료 락 스티치마다 시작 콘덴스를 메우는 피치폭(CPs), 시작 콘덴스를 메 우는 피치 바늘수(CNs), 종료 콘덴스를 메우는 피치 폭(CPe), 종료 콘덴스를 메우는 피치 바늘수(CNe)가 설정가능하고, 메우는 피치 * 메우는 피치 바늘 수 > 바늘진동 폭의 경우는 설정불가능하다.
락 스티치 패턴이 2점 새발뜨기인 경우, 바늘진동 폭에서 메우는 피치 동작 바늘진동량을 뺀 것을 통상 바늘진동과 메우는 피치 바늘진동의 이행 바늘진동 폭(NI)으로 한다. 이행 바늘진동 폭(NI) = 바늘진동 폭(NW) - 메우는 피치(CP*) * 메우는 피치 바늘수(CN*)가 된다. 3점 새발뜨기인 경우 바늘진동 폭에서 메우는 피치 동작 바늘진동량을 뺀 것이 1바늘 바늘진동 폭(NTs)보다 작을 경우, 이행 바늘진동 폭(NTe)으로 한다. 3점 새발뜨기인 경우 바늘진동 폭에서 메우는 피치 동작 바늘진동 량을 뺀 것이 1바늘 바늘진동 폭(NWs)보다 클 경우, 1바늘 바늘진동 폭 만큼을 차감한 바늘진동 폭을 이행 바늘진동 폭(NI)으로 하고, 메우는 피치 제어, 이행 바늘진동, 1바늘 바늘진동 순으로 제어한다. 4점 새발뜨기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메우는 피치 폭을 차감한 나머지(NN)가 1바늘 바늘진동 폭보다 클 경우 NN을 1바늘 바늘진동 폭으로 나눠 나머지를 이행 바늘 폭(NI)으로 하고, 몫을 1바늘 바늘진동 폭 바늘 수(NCn)로 한다. 콘덴스 바늘수는 「메우는 피치 바늘수와 이행 바늘 수와 나머지 패턴바늘수」를 뺀 나머지의 바늘 수이며, 바늘진동패턴은 이 바늘 수로 가능한 회수로 한다. 메우는 피치를 행한 패턴도 1 패턴으로 센다.
시작 락 스티치를 3패턴에 대해 예시한 것이 도 8에 도시되고 있다.
〔바늘진동 데이터의 작성, 수정〕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는 프로그램 패턴의 데이터로서 기술되지만 프로그램 패턴을 수정할 때 종래는 수정 스텝까지 스텝을 불러 내어 수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500 솔기 수의 프로그램으로 250번째의 솔기 수 근처의 데이터를 수정할 경우는 그 근처까지 스텝을 불러내야 하므로 곤란한 작업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솔기 수 60정도의 작은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 작은 프로그램을 블록으로서 각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큰 솔기 수의 프로그램을 완성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연결프로그램으로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수정이 간단하게 된다. 예를들면 도 9와 같이 제 1 ∼ 제 3의 바늘진동패턴의 프로그램이 연결프로그램으로서 결합되고 있을 때 제 2바늘진동패턴의 프로그램을 수정할 때는 제 2바늘진동패턴의 프로그램을 단독으로 읽어내고 이를 단독으로 수정하여 이를 연결프로그램에 반영시킨다.
연결프로그램의 작성에 대해 도 16에 있어 설명하면 스위치(57)(58)가 동시에 조작되면(스텝 S50), 연결프로그램 작성모드가 된다. 그리고 나서 연결프로그램번호를 스위치(46)(47)를 사용하여 결정한다(스텝 S51). 이 번호가 표시기(48)에 표시된다. 이어서 스위치(59)(41)가 동시에 조작되면(스텝 S52), 작은 프로그램번호 설정모드가 되고, 스위치(46)(47)를 사용하여 이 연결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작은 프로그램(블록 프로그램)의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설정된 작은 프로그램번호가 제 1패턴으로서 상기 설정된 연결프로그램 번호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기억된다(스텝 S53). 이 작은 프로그램은 미리 작성되어 있는 것 또는 커스텀패턴과 같은 작업자가 작성하는 것으로 RAM 혹은 ROM등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각각에 미리 번호가 붙여져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위치(45)가 조작되어 온이 되면(스텝 S54), 스텝 S53을 반복하고, 입력된 작은 프로그램번호가 제 2 …제 N패턴으로서 순차로 기억된다(스텝 S55). 스위치(45)가 온되기 전에 스위치(59)가 온 되면(스텝 S56), 연결프로그램의 작성이 종료한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프로그램 안의 개개의 작은 프로그램을 수정할 경우, 제 1 ∼ 제 3패턴 순번의 작은 프로그램이 연결프로그램으로서 결합되고 있으면 제 2패턴의 작은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정할 때는 제 2패턴에 대응하는 원래의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단독으로 수정한다. 예를들면 제 1작은 프로그램이 프로그램번호 「12」, 제 2작은 프로그램이 프로그램번호 「15」, 제 3작은 프로그램이 프로그램번호 「14」의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응할 때 프로그램번호「15」의 프로그램을 소정의 어드레스로부터 읽어내고, 이를 수정하고 나서 다시 소정의 어드레스에 고쳐 기억한다. 이에 따라 연결프로그램 중 제 2패턴인 작은 프로그램(프로그램번호 「15」)은 별개로 수정하지 않고 수정된다.
우선 도 10에 있어서 연결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작은 프로그램의 조합을 수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의 조합 변경모드에 입력하기 전에 연결프로그램을 갖는 패턴이 지정되어있다. 표시기(64)에는 제 1작은 프로그램(블록 프로그램)의 순번인 「1」이 표시되고, 표시기(48)에는 제 1작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번호가 표시되고 있다.
스위치(63)가 조작되면(스텝 S1), 그 입력에 의해 작은 프로그램(블록 프로그램)의 순번이 지정되어 표시기(64)에 표시됨과 동시에 그 작은 프로그램의 프로 그램번호가 표시기(48)에 표시된다(스텝 S2). 이어서 스위치(46)(47)의 조작이 있으면(스텝 S3), 그 입력에 의해 작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번호가 지정되어 치환됨과 동시에 표시기(48)에 프로그램번호가 표시된다(스텝 S4). 스위치(59)가 온 되지 않으면 스텝 1로 복귀하여 상기 스텝을 반복하고, 스위치(59)가 온되면 종료한다(스텝 S5).
즉 이 제어에 의하면 연결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모든 작은 프로그램에 대해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다.
봉제를 행할 때 도 11과 같이 연결프로그램인 경우는(스텝 S10), 각 블록의 프로그램을 읽고(스텝 S11), 이를 연결데이터로서 연결하기 위해 작은 프로그램 번호의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붙어있는 종료코멘드를 무시하고 다음의 작은 프로그램 번호의 프로그램의 선두를 불러내도록 처리하여(스텝 S12) 봉제준비를 완료한다. 이와같이 소정 블록을 단위로 하여 수정된 연결프로그램이 준비된다. 또한 연결프로그램이 아닐 때에는 각 프로그램의 종료 코멘드는, 읽혀지게 되면 자신의 프로그램의 선두로 복귀되도록 작용한다.
이와같이 수정이 작은 프로그램인 블록마다 행해지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작은 프로그램으로 시험 바느질도 행할 수 있어 수정내용의 확인도 간단하게 된다.
또 콤팩트로 유연성에 뛰어난 프로그램 데이터(커스텀패턴)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늘진동 데이터로서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늘낙하 데이터(바늘진동위치)(D), 반복 바늘 낙하 수(N) 및 이송 종류별(이송 방향)(F)을 이용한 다. 바늘낙하 데이터는 도 2에 도시한 바늘진동기구의 기계적 바늘진동중심을 「0」으로 하고, 재봉틀의 안쪽을 「+」, 역측을 「-」로 하여 ±4.0내의 바늘낙하 좌표데이터로 한다. 또 반복 바늘낙하 수는 바늘낙하 데이터를 몇 번 반복할 지에 대해 이 반복 바늘 낙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바늘진동위치가 공통인 솔기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송 종류별은 이송톱니의 이송량의 종류 별로, 통상의 이송방향 F = f와 락 스티치의 이송방향 F = b이다.
도 12에 있어 바늘낙하 데이터(D), 반복 바늘낙하 수(N) 및 이송방향(F)을 도 12 왼쪽에 도시한 데이터시의 바늘질패턴이 도시되고 있다. 이와같이 반복 바늘낙하 수를 바늘진동 데이터의 파라메터로 함으로써 바늘진동위치가 공통인 솔기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단순히 반복 바늘낙하 수를 증가시키면 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여러가지의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바늘진동패턴이 커스텀패턴인 경우 바늘진동위치가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패턴을 축소 내지 확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다시 작성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봉제시 바늘진동 폭을 설정하고, 커스텀패턴 고유의 바늘진동 폭과 그 설정된 바늘진동 폭과의 비를 구해 패턴을 축소 내지 확대하도록 하고 있다.
패턴을 축소하는 예를 도 13, 도 14에 있어 설명한다.
커스텀패턴 스위치(57)에 의해 커스텀패턴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스텝 S20), 설정 스위치(41)를 온으로 하면(스텝 S21), 표시기(48)에 바늘진동 폭이 표시되므로(스텝 S22), 스위치(46)(47)를 이용하여 그 값을 변경하고(스텝 S23), 그것을 설정 변경된 값을 바늘진동 폭(W)으로 하여 기억한다(스텝 S24). 이는 설정스위치(41)가 전기적으로 온으로 되고 있는 한 행할 수 있다(스텝 S25).
실제의 봉제 바늘낙하 데이터는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작성된다. 커스텀패턴이 선택된 경우(스텝 S30), 이 커스텀패턴이 기억되고 있는 바늘낙하 데이터로부터 이 패턴의 최대 바늘진동 폭(WM)을 구하고, 스텝 S24에서 구한 설정 바늘진동 폭(W)과 최대 바늘진동 폭(WM)의 비, 즉 설정 바늘진동 폭(W)비에 대한 최대 바늘진동 폭(WM)의 비를 구해 기억되고 있는 바늘낙하 데이터를 이 비로 곱하고, 봉제 바늘낙하 데이터를 구한다(스텝 S31). 이에 따라 커스텀패턴을 소정의 비로 축소한 패턴에 의한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패턴을 확대하는 예에 대해 도 15에 있어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3에 대해 공통이다. 커스텀패턴이 선택된 경우(스텝 S40), S41에 있어 기억되고 있는 커스텀패턴의 바늘낙하 데이터로부터 그 오른쪽 최대치와 왼쪽 최대치의 차를 바늘진동 폭(WP)으로서 구하고, 스텝 S24에서 구한 설정 바늘진동 폭(W)과 바늘진동 폭(WP)과의 비 즉 설정 바늘진동 폭(W)의 이 바늘진동 폭(WP)에 대한 비를 구하여 기억되고 있는 바늘낙하 데이터를 이 비로 곱하여 봉제 바늘낙하 데이터를 구한다. 설정 바늘진동 폭(W)이 바늘진동 폭(WP)보다 클 경우에는 확대한 커스텀패턴에 의한 솔기를 형성할 수 있고 작은 경우에는 축소한 커스텀패턴에 의한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커스텀패턴의 축소 내지 확대데이터가 바늘진동 폭을 설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얻어지게 되고, 바늘진동 데이터의 작성이 효율적으로 된다.
또한 도 12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송방향을 데이터로 했지만 콘덴스 바느질과 같이 이송방향을 바꾸지 않고 이송핏치를 제어할 경우에는 통상의 이송량과 락 스티치의 이송량을 데이터로 하여 제어하도록 해도 좋으며 통상의 이송방향 또는 통상의 이송량을 「통상의 이송」으로 하고 락 스티치의 이송방향 또는 락 스티치의 이송량을 「락 스티치의 이송」으로 한다.
또 반복 바늘낙하 수를 대신해 반복 솔기 수에 의한 데이터로 해도 좋다. 반복 바늘낙하 수 또는 반복 솔기수를 반복 수로 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늘진동 데이터가 여러개의 블록마다 입력되어 격납되므로 수정도 각 블록마다 행할 수 있어 수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수정한 각 프로그램으로 시험 바느질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정내용의 확인도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바늘진동 데이터의 작성 내지 수정이 효율적으로 된다.
또 본 발명은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로서 바늘낙하 데이터외에 그 반복 수가 이용되므로 바늘진동위치가 공통인 솔기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단순히 반복 수를 증가시키면 될 뿐이므로 간단하게 여러가지의 바늘진동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바늘진동 폭을 설정함으로써 바늘진동패턴을 임의의 크기로 축소 내지 확대할 수 있어 바늘진동 데이터의 작성이 효율적으로 된다.

Claims (8)

  1. 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주 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되는 바늘과,
    바늘판 상에 출몰하여 천을 보내는 천이송톱니를 구비한 천 이송장치와,
    상기 바늘을 천이송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바늘진동시키는 바늘진동기구와의 협동에 의해 천에 솔기를 형성하는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에 있어서,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 데이터를 여러개의 블록마다 입력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여러개의 블록에 포함되는 소정 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한 블록 또는 그 바늘진동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단과,
    수정된 블록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늘진동 패턴의 바늘진동 데이터를 읽어내어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2.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에 있어서,
    작성된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를 여러개의 블록마다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여러개의 블록에 포함되는 소정 블록을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한 상기 소정 블록 또는 그 바늘진동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
  3. 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되는 바늘과,
    바늘판 위에 출몰하여 천을 보내는 천 이송톱니를 구비한 천 이송장치와,
    상기 바늘을 천이송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바늘을 진동시키는 바늘진동기구와의 협동에 의해 천에 솔기를 형성하는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에 있어서,
    바늘진동패턴에 대응하는 바늘진동 데이터로 바늘진동위치 및 반복 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바늘진동 데이터를 판독하여 주 모터 및 바늘진동기구를 작성하고, 바늘진동위치 및 반복수에 따른 바늘진동패턴의 솔기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진동데이터로 이송 종류별을 더 기억하고, 상기 이송 종류별의 데이터를 기초로 천 이송톱니를 통상의 이송과 락 스티치의 이송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00060628A 1999-10-18 2000-10-16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및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37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94660 1999-10-18
JP29466099 1999-10-18
JP2000-308564 2000-10-10
JP2000308564A JP2001187286A (ja) 1999-10-18 2000-10-10 電子千鳥ミシン及び針振りデータ作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042A KR20010051042A (ko) 2001-06-25
KR100737533B1 true KR100737533B1 (ko) 2007-07-10

Family

ID=2655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6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7533B1 (ko) 1999-10-18 2000-10-16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및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1187286A (ko)
KR (1) KR100737533B1 (ko)
CN (1) CN1113996C (ko)
CZ (1) CZ302964B6 (ko)
DE (1) DE10051686B8 (ko)
TW (1) TW517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91B1 (ko) * 2001-11-27 2004-02-26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전자식 지그재그 재봉기에서 사용자패턴 등록 방법 및 그장치
JP2005040333A (ja) * 2003-07-22 2005-02-17 Brother Ind Ltd プログラムミシンのプログラム保護装置
CN103437074A (zh) * 2013-09-13 2013-12-11 吴江市菀坪宝得利缝制设备机械厂 一种工业曲折缝缝纫机线迹转换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745A (en) * 1974-01-08 1976-10-05 The Singer Company Sewing machine stitch pattern generation using servo controls
JPS5311655A (en) * 1976-07-16 1978-02-02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Pattern stitch sewing machine
JPS53128445A (en) * 1977-04-15 1978-11-09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lectronic controlled sewing machine
JPS581954B2 (ja) * 1977-12-12 1983-01-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子ミシンの模様信号発生装置
IT1162042B (it) * 1978-02-21 1987-03-18 Necchi Spa Macchina per cucire elettronica comandata da un microcalcolatore
JPS5652090A (en) * 1979-10-05 1981-05-09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lectronic sewing machine
JPS5775687A (en) * 1980-10-31 1982-05-12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lectronic sewing machine
JPS57168689A (en) * 1982-03-08 1982-10-18 Sharp Kk Electronic sewing machine
DE3235121C2 (de) * 1982-09-22 1984-07-05 Dorina Nähmaschinen GmbH, 7500 Karlsruhe Nähmaschine mit einer elektronischen Steuereinrichtung
JPS5967990A (ja) * 1982-10-08 1984-04-17 シンガ−日鋼株式会社 模様縫ミシンの針棒と送りの制御方法
JPS60182998A (ja) * 1984-02-29 1985-09-18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JPH0659350B2 (ja) * 1985-06-01 1994-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S62129088A (ja) * 1985-11-29 1987-06-11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多模様ミシン
JPS63113672A (ja) * 1986-10-31 1988-05-18 Janome Sewing Mach Co Ltd 編集機能を有するデ−タ入力装置
JPS63300796A (ja) * 1987-05-29 1988-12-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布縁倣い縫可能なミシン
JPH01262891A (ja) * 1988-04-15 1989-10-19 Janome Sewing Mach Co Ltd 電子ミシンの止め縫い制御装置
JP2864503B2 (ja) * 1988-10-19 1999-03-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目模様の重ね縫が可能なミシン
JP2764631B2 (ja) * 1990-03-23 1998-06-11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停止縫い制御装置
JP2778210B2 (ja) * 1990-05-22 1998-07-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止め縫いデータ作成装置
JP2844865B2 (ja) * 1990-07-10 1999-0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3009002B2 (ja) * 1991-11-12 2000-02-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刺繍ミシンの為のデータ処理装置
JPH05293265A (ja) * 1992-04-17 1993-11-09 Juki Corp 千鳥縫いミシンの針振り駆動変更装置
JPH0654971A (ja) * 1992-08-11 1994-03-01 Janome Sewing Mach Co Ltd 刺繍縫いデータ作成装置
JPH09108465A (ja) * 1995-10-19 1997-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JP3567677B2 (ja) * 1997-05-28 2004-09-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ミシン
JPH1157255A (ja) * 1997-08-13 1999-03-02 Juki Corp 針振りミシン
JP3627543B2 (ja) * 1998-11-27 2005-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止め縫いデータ作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998. 12. F① 브라더공업주식회사 발행, LZ2-B855E~B856E 취급설명서
brother industrial equation corporation issue" and the LZ2-B855E~B856E instruction book. One copy. end. 첨부1 1998. 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51686B4 (de) 2005-12-08
CN1113996C (zh) 2003-07-09
CN1319693A (zh) 2001-10-31
CZ20003837A3 (cs) 2002-04-17
JP2001187286A (ja) 2001-07-10
DE10051686B8 (de) 2006-05-24
KR20010051042A (ko) 2001-06-25
TW517116B (en) 2003-01-11
CZ302964B6 (cs) 2012-01-25
DE10051686A1 (de)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6405B2 (ja)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編成データの作成方法
US6321670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for a sewing machine
JPH01218489A (ja) コンピュータ刺繍機用刺繍データ自動作成装置
KR100652273B1 (ko)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KR100737533B1 (ko)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및 바늘진동 데이터 작성장치
US6457429B1 (en) Display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KR100402537B1 (ko) 단추구멍 재봉기
US5778807A (en) Eyelet-end buttonhole sewing machine wherein stitching data is compensated according to a designed one of compensation data sets
KR100726499B1 (ko)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
US5752456A (en) Eyelet-end buttonhole sewing machine wherein tacking data for bar tack are generated based on operator-specified characteristics of the bar tack
KR100730420B1 (ko)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US6170413B1 (en) Correction apparatus for sewing data and correction method
US4945842A (en) Embroidering sewing machine
US6167824B1 (en) Sewing machine having work holder
JP2010046528A (ja) 電子千鳥ミシン
KR20030022048A (ko) 재봉기
US5740748A (en) Embroidery stitch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stitching a computation of stitching time
JP2001190875A (ja) 電子ミシン
US5752458A (en) Stitching data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optionally displaying stitching period of time
JP4369580B2 (ja) 電子ミシン
TW517117B (en) Electronic sewing machine
JP2001129276A (ja) 電子ミシン
JPH0245087A (ja) 自動刺繍ミシン
JP3146477B2 (ja) 電子制御式刺繍ミシン
JP2000000385A (ja) ベルトループ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0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