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8713B1 -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713B1
KR100708713B1 KR1020050089027A KR20050089027A KR100708713B1 KR 100708713 B1 KR100708713 B1 KR 100708713B1 KR 1020050089027 A KR1020050089027 A KR 1020050089027A KR 20050089027 A KR20050089027 A KR 20050089027A KR 100708713 B1 KR100708713 B1 KR 10070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omposite
clay
sulfonated polysulfone
formula
polymerizabl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388A (ko
Inventor
최용석
김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713B1/ko
Priority to CN2006101054837A priority patent/CN1944537B/zh
Priority to JP2006155441A priority patent/JP4392723B2/ja
Priority to US11/445,334 priority patent/US7652089B2/en
Publication of KR2007003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술폰화 폴리술폰(sulfonated polysulfone); 및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중에 분산되어 있는 비변성 클레이(clay)를 포함하며, 상기 비변성 클레이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층 사이에 술폰화 폴리술폰이 인터칼레이션되어 있거나 상기 층이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이온전도성이 우수한 술폰화 폴리술폰에 층상 구조를 갖는 비변성 클레이가 나노스케일로 분산되어 이온전도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나노복합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나노복합 전해질질막은 메탄올과 같은 극성 유기 연료의 침투를 억제하는 매우 향상된 성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을 채용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메탄올 수용액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 메탄올의 크로스오버가 더욱 억제되며, 그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의 작동 효율 및 수명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Nanocomposite, nao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도 1a 및 도 1b는 스멕타이트계 클레이의 결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몬모릴로나이트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은 벤토나이트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첫번째 제조방법에 따른 나노복합체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두번째 제조방법에 따른 나노복합체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세번째 제조방법에 따른 나노복합체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체의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체의 DOSY-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비교예 1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체의 열중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내열성과 이온 전도성이 우수한 술폰화 폴리술폰/클레이 나노복합체, 이를 포함한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진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 인산 방식, 용융탄산염 방식, 고체 산화물 방식 등으로 구분가능하다. 그리고 사용되는 전해질에 따라 연료전지의 작동온도 및 구성 부품의 재질이 달라진다.
클레이(clay)는 나노 스케일로 고분자와 분산하는 경우,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 내열성, 기계적 강도와 배리어(barrier) 특성과 같은 기존 복합체에서 구현할 수 없는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 그래서 클레이를 고분자를 이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기술이 공지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0-290505 및 2003-277610호)
그런데 클레이를 도입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경우 축합 중합(condensation polymerization)이 높은 모노머 순도, 모노머 반응성 제어, 수분 제거, 온도 제어 가 요구되어 분자량이 높은 고분자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클레이를 도입하면서 분자량이 높은 고분자를 얻어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 및 이온 전도도성이 향상된 나노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채용하여 연료의 효율, 에너지 밀도 등이 향상된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술폰화 폴리술폰(sulfonated polysulfone); 및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중에 분산되어 있는 비변성 클레이(clay)를 포함하며,
상기 비변성 클레이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층 사이에 술폰화 폴리술폰이 인터칼레이션되어 있거나 상기 층이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비변성 클레이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층 사이에 술폰화 폴리술폰이 인터칼레이션되어 있거나 상기 층이 박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변성 클레이와,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1중합성 모노머,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2중합성 모노머 및 디올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를 가열하여 중합반응을 실시하여 상술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1중합성 모노머,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2중합성 모노머 및 디올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를 가열하여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축중합 반응 결과물에 비변성 클레이를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술폰화 폴리술폰을 용매에 용해하여 술폰화 폴리술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클레이를 분산매에 분산하여 클레이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 용액과 클레이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또한 상술한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 전해질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상술한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 전해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술폰화 폴리술폰과, 이 술폰화 폴리술폰중에서 분산 되어 있는 비변성 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비변성 클레이는 층간 간격이 물 또는 인터칼런트(intercalant)에 의해 팽창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실리케이트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유기 포스포늄기 등으로 개질된 변성 클레이에 비하여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 효율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며 또한 클레이는 메탄올에 비해 물과 친화력이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막내에 박리 형태 또는 삽입형으로 고 나노스케일(nanoscale)로 분산되어 있는 경우 소량을 클레이를 사용하고도 메탄올 크로스오버를 억제하며 클레이의 흡수 특성으로 인해 무기 물질 추가에 의한 막의 전도성 감소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가져 보다 유리하다.
상기 클레이의 함량은 나노복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0 중량부이다. 만약 클레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클레이 효과의 배리어 특성을 기대할 수 없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고, 브리틸(brittle)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변성 클레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도 1과 같은 결정 격자 구조를 갖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클레이를 사용한다. 스멕타이트계 클레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사포나이트 (saponite), 베이델라이트 (beidellite), 논트로나이트 (nontronite), 헥토라이트 (hectorite), 스티븐사이트 (stevensite) 등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상술한 몬모릴로나이트 및 벤토나이트의 전자주사현미경 분석 사진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층상 구조를 갖는 클레이가 술폰화 폴리술폰중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층상 구조를 갖는 클레이의 층간에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이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되어 있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각층 사이의 층간 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각층이 박리(exfoliation)된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층상 구조를 갖는 클레이의 각 층이 이온화 전도성이 우수한 술폰화 폴리술폰에 의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분자중에 분산되어 있거나, 상기 각층이 박리된 상태로 상기 고분자중에 분산되어있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이온 전도도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일단 물에 함습된 후에는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극성 유기 연료가 그 안으로 침투하는 억제한다. 따라서 이러한 나노복합체는 극성 유기 연료의 크로스오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극성 유기 연료를 직접 애노드에 공급하는 방식의 연료전지의 전해질막 형성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53439463-pat00001
상기식중, R1은 서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며, C1-C10의 알킬기, C2-C10 알케닐기, 페닐기, 또는 니트로기이고,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C(CF3)2-, -C(CH3)2- 또는 -P(=O)Y'-(Y'는 H 또는 C6H5임)이고,
M은 Na, K, 또는 H이고,
m은 0.1 내지 10이고, n은 0.1 내지 10이고, k는 5 내지 500의 수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m 과 n의 비는 각각 SO3M기를 갖고 있지 않은 술폰 반복단위 및 SO3M기를 갖고 있는 술폰화 술폰 반복단위의 혼합비를 나타내며, 이 혼합비에 따라 화학식 1의 술폰화 폴리술폰의 이온전도도 등과 같은 특성이 매우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m은 0.1 내지 4이고, n은 0.1 내지 4인 것이 이온 전도성이 우수하다.
상기 화학식 1에서 p가 0인 경우는 수소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53439463-pat00002
상기식중, m은 0.1 내지 4이고, n은 0.1 내지 4 이고,
k는 5 내지 500의 수이다.
상기 화합물은 클레이와 강한 인력을 형성하는 S=O, S-O기를 갖고 있고 클레 이 층과 고분자간의 상호 작용은 충분하며, 분자의 말단에 작용기(functional group)가 존재하여 부가적으로 고분자 말단에 클레이와의 상호작용을 증대된다.
클레이 층간에 포함되는 양이온(Na, K 등, 여기서는 Na 양이온)과 교환 반응(양이온 교환 반응)을 하여 클레이와 강한 인력을 형성하는 아미노기와 클레이 층 표면과 반데바알스(wan der Vaals), 극성 및 이온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 (예를 들어 벤질, 메틸, 설페이트, 카르보닐기, 아미드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갖는 화합물로 상기 화학식 1의 술폰화 폴리술폰의 양 말단이 엔드 캡핑(endcapping)하여 클레이와 강한 상호 작용(치환성 포함)을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레이 개질제의 구체적인 예로서, 2-아세트아미도페놀, 3-아세트아미도페놀,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3-에틸페놀, 2-아미노-4-클로로페놀, 6-아미노-2,4-디클로로-3-메틸페놀, 4-아미노-3-메틸페놀, 2-아미노-3-니트로페놀, 2-아미노페놀, 2-sec-부틸페놀, 3-아미노페놀, 3-디에틸아미노페놀, 4,4'-설포닐디페놀, 2-메틸-3-니트로페닐, 3-터트-부틸페놀, 2,3-디메톡시페놀, 4-아미노-2,5-디메틸페놀, 2,6-디메틸-4-니트로페놀, 4-sec-부틸페놀, 4-이소프로필페놀, 2-아미노-4-터트-부틸페놀, 2-터트부틸-4-메틸페놀, 4-터트-부틸-2-메틸페놀, 4-터트-부틸페놀,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5-이소프로필-3-메틸페놀, 4-(메틸아미노)페놀 설페이트, 4-sec-부틸페놀, 3-메톡시페놀, 3,5-디메틸티오페놀, 3,5-디메틸페놀, 2-아미노페놀, 3-아미노페놀, 4-아미노페놀, 3-(N,N'-디에틸아미노)-페놀, 2,6-디메톡시페놀, 4-아세트아미노페놀, 2-아미노-4-메틸페놀, 2,5-디메틸페놀, 2-에틸페놀, 4-에틸페놀 또는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후술하는 세가지 방법에 따라 제조가능하다.
첫째, 수분을 제거한 비변성 클레이를 술폰화 폴리술폰 형성용 제1중합성 모노머(이하, "제1중합성 모노머"라고 지칭하기로 함), 술폰화 폴리술폰 형성용 제2중합성 모노머(이하, "제2중합성 모노머"라고 지칭하기로 함) 및 디올 화합물(제 3monomer)와 혼합하여 인-시튜(in-situ)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
두번째 방법은, 먼저 제1중합성 모노머, 제2중합성 모노머, 디올 화합물을 혼합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한 후, 중합 말기에 수분을 제거한 비변성 클레이를 부가하는 방법이 있다.
세번째 방법은 제1중합성 모노머, 제2중합성 모노머, 디올 화합물을 혼합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술폰화 폴리술폰을 얻은 다음, 이를 용매에 용해하여 얻은 술폰화폴리 술폰 용액과 비변성 클레이를 용매에 분산한 클레이 분산액을 교반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도 4-6를 참조하여, 상기 세가지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첫번째 제조방법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변성 클레이의 수분을 제거한 후, 이를 분산매에 분산하여 클레이 분산액을 얻고, 이 클레이 분산액과 화학식 3의 제1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4의 제2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5의 디올 화합물과 용매와 염기를 혼합한다. 여기에서 분산매로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을 사용하며, 분산매의 함량은 클레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10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클레이가 골고루 분산되어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합성 모노머로는 도 4에 나타나 있지는 하지만, 화학식 3의 화합물이외에 4,4'-디플루오로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4m-디클로로벤젠, m-디플루오로벤젠 등과 같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여도 화학식 4의 중합성 모노머와 혼합하여 반응하면 목적하는 폴리술폰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 벤젠, 자일렌(xylene) 등을 사용하며, 이의 함량은 화학식 제1중합성 모노머 (아실 할라이드), 제2중합성 모노머(설페이트(sulfated) 아실 할라이드)와 제3중합성 모노머(디올 화합물)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여 50 내지 5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로는 탄산칼륨(K2CO3), 탄산나트륨(Na2CO3) 등을 사용하며, 이의 함량은 제3중합성 모노머 1몰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3몰을 사용한다.
클레이는 하기 과정에 따라 세척한다.
클레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를 클레이와 함께 용기에 넣고 100 rpm으로 볼 밀링(ball milling)을 3일 이상 실시한다. 그 후 클레이를 원심분리하여 3차 증류수로 세척 후 재분산하고 원심분리하여 세척한다.(3회 이상) 세척한 클레이를 가열하거나 동결건조하여 건조한 후 건조된 것을 갈아서 분말형태로 보관한다.
상기 비변성 클레이의 수분 제거시 첫번째 상압 5시간 이상 100도로 가열하는 방법과, 두번째 감압에서 60도 이상으로 4시간 이상 가열 하는 방법)한 방법을 사용하며, 클레이의 함량은 나노복합체 100 중량부 또는 모노머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0 중량부이다. 여기에서 모노머의 총중량은 화학식 3의 제1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4의 제2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5의 디올 화합물의 총중량을 의미한다. 만약 클레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클레이 효과의 배리어 특성을 기대할 수 없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고, 브리틸(brittle)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05053439463-pat00003
상기식중, R1 및 p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Cl, F, Br, 또는 I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05053439463-pat00004
상기식중, M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Cl, F, Br, 또는 I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5053439463-pat00005
상기식중, R1 , X 및 p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제1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서, 4,4'-디클로로디페닐 설폰(4, 4` 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 4, 4`-디플루오로디페닐 설폰 등이 있고, 상기 제2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서, 설페이티드-4,4'-디클로로디페닐 설폰(sulfated-4, 4` dichlorodiphenyl sulfone: S-DCDPS ) 등이 있다.
상기 디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ENOL: HFIPDP,), 4,4'-설포닐디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4,4'-티오디페놀, 3,3'-(에틸렌디옥시)디페놀, 4,4'-(9-플루오레닐리덴)디페놀, 4,4'-(1,3-아다만탄디일)디페놀, 4,4'-(9-플루오레닐리덴)디페놀, 4,4'-(1,3-아다만탄디일)디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3,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4,4'-(9-플루오레닐리덴)디페놀,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4,4'-설포닐디페놀, 4,4'-티오디페놀, 비스페놀-A,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 등이 있다.
상기 중합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친핵 반응(nucleophilic reaction)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을 톨루엔과 환류하면서 제거할 수 있는 온도로 10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에서 제1단계와 140 내지 195℃,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80℃에서 가열하는 제2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또는 140℃에서 환류후(4시간) 160℃로 승온후 4시간 이상 유지하고 180℃로 승온후 4시간 동안 유지하여 중합을 실시한다.
상기 제1단계는 생성된 물을 제거하여 폴리술폰 형성용 프리커서가 형성되는 공정에 해당하고, 상기 제2단계는 중합이 본격적으로 진행하는 공정으로서 중합이 진행됨에 따라 점도가 상승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고, 이 결과물을 냉각후, ethanol, 증류수 등에 침전하는 과정과 같은 워크-업 과정을 거쳐 나노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중합성 모노머의(sulfonated dihalide) 함량은 제1중합성 모노머(dihalide) 1몰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3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2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이 0.1몰 미만이면 이온 전도성이 낮고, 3몰을 초과하면 고분자의 물에 의한 팽윤이 과다하여 막을 형성하기 힘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디올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1중합성 모노머와 제2중합성 모노머의 총몰수 1몰을 기준으로 하여 0.7 내지 1.3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디올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 중합 반응의 반응성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조과정시 술폰화 폴리술폰의 양 말단에 비변성 클레이와, 제1중합성 모노머 , 제2중합성 모노머의 혼합물에 아미노기 및 메틸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갖는 클레이 개질제(clay modifier)를 부가하기도 한다.
상기 아미노기 및 메틸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함량은 화학식 3의 제1중합성 모노머, 화학식 4의 제2중합성 모노머 및 화학식 5의 디올 화합물의 총몰수 1몰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0.5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아미노기 및 메틸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함량이 0.001몰 미만이면 클레이와 접촉할 수 있는 수가 적어 효과가 없고, 0.5몰을 초과하면 분자량이 증가 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두번째 제조방법을 살펴 보면, 먼저, 상기 화학식 3의 제1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4의 제2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5의 디올 화합물과 용매를 혼합하고 이를 가열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가열 조건, 용매, 제1, 2 중합성 모노머 및 제3중합성 모노머, 디올 화합물의 함량 및 그 종류는 첫번째 제조방법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중합 반응의 말기에 필요에 따라 클레이 개질제를 부가하고, 이를 50 내지 195℃에서 중합하여 고분자 말단에 존재하도록 한다. 만약 열처리온도가 195℃를 초과하면 역중합반응이 일어나서 소망하는 분자량을 갖는 나노복합체를 얻기가 곤란하고, 50℃ 미만이면 반응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결과물을 20 내지 150℃로 냉각한 후, 여기에 비변성 클레이를 분산매에 분산하여 얻은 클레이 분산액을 부가하고, 이를 70℃에서 6 내지 48시간동안 특히 약 24시간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증류수에 침전하는 워크-업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클레이 개질제, 비변성 클레이, 분산매의 종류 및 함량을 상기 첫번째 방법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세번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화학식 3의 제1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4의 제2중합성 모노머와 화학식 5의 디올 화합물과 용매를 혼합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화학식 1의 술폰화 폴리 술폰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중합온도는 실온(20℃) 내지 50℃ 범위이다.
상기 화학식 1의 술폰화 폴리 술폰을 용매에 용해한 다음, 여기에 비변성 클레이를 분산매에 분산하여 얻은 클레이 분산액을 부가하고, 이를 실온(20℃) 내지 100℃에서 6 내지 48시간동안 특히 약 24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한다. 여기에서 용매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을 사용하며, 그 함량은 화학식 1의 술폰화 폴리 술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600 중량부이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증류수에 침전하는 워크-업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세번째 제조방법에 따라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클레이 개질제를 부가하는 경우, 고분자 중합이 종료되는 시점에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 때 클레이 개질제의 종류 및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본 발명의 술폰화 폴리술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만 내지 50만이고, 수평균 분자량은 1만 내지 30만으로서 고분자량의 고분자이다. 만약 중량 평균 분자량 또는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성막성이 저하되어 전해질막을 얻기가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나 빠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통하여 구조 확인이 가능하다.
비변성 클레이의 건조 상태에서 회절 패턴은 2θ값에서 7.8 °(층간 간격은 1.14Å임)에서 나타나며 층간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X-ray 회절 패턴이 2θ값이 1.2(기계의 하한치) 범위까지 이동하고 궁극적으로는 회절 패턴이 없어지게 된다(박리된 구조). X-선 시료는 분말 또는 박막 상태로 CuK-알파 특성 X-선 파장 (1.541Å)을 실온 및 공기 중에서 측정한다.
X-ray 회절 분석 결과를 살펴 보면, 클레이의 001면의 피크가 없어지거나(박리형: exfoliated structure) 또는 넓어지는 구조(삽입형 구조: intercalation structure)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를 이용하면 연료전지의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제조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체 및 용매를 혼합하여 얻은 나노복합 전해질막 형성용 조성물을 캐스팅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용매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을 사용하며, 이의 함량은 나노복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600 중량부이다. 만약 용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캐스팅 또는 코팅시 작업성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 등의 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술폰화 폴리술폰의 말단에 OH기가 남도록 조절한 나노복합 체를 용매에 용해한 다음, 이를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알콜을 첨가고, 이를 캐스팅 또는 코팅하는 과정을 거쳐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알콜을 이용하면 성막성이 우수하여 작업하기가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고 특히 술폰화 폴리술폰의 분자량이 1만 이하인 경우에 적용하면 막 형성이 매우 용이해지고 막의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적인 예로서,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 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고, 이의 함량은 술폰화 폴리술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알콜의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하며, 폴리알콜의 함량은 술폰화 폴리술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두께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상기 두께가 너무 얇으면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강도가 과도하게 저하되고, 상기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연료전지의 내부저항이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나노복합전해질막의 두께는 약 30 내지 약 200㎛ 정도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을 채용한 연료전지의 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은 폴리머전해질을 포함하는 전해질막을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전지, 예를 들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에 적용될 수 있으며, PEMFC의 특수한 형태로서, 메탄올과 물의 혼합증기, 또는 메탄올수용액을 연료로 사용하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메탄올수용액을 연료로 사용하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소의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캐소드, 연료의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으로서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사용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캐소드는 산소의 환원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층을 포함한다. 상기 촉매층은 촉매 입자와 양이온교환기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백금담지카본촉매 (Pt/C촉매) 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는, 수소, 천연가스,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연료의 산화반응를 촉진시키는 촉매층을 포함한다. 상기 촉매층은 촉매 입자와 양이온교환기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백금담지카본촉매, 백금-루테늄담지카본촉매 등이 있다. 특히, 백금-루테늄담지카본촉매는 수소 이외의 유기연료를 애노드에 직접 공급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에 사용되는 촉매는 촉매금속 입자와 촉매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분말과 같이, 전도성을 가지며 촉매금속입자를 담지할 수 있는 미세기공 (micropore) 을 갖는 고체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탄소 분말의 예로서는, 카본블랙, 케첸블랙, 아세틸렌블랙, 활성탄소분말, 탄소나노섬유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양이온교환기를 갖는 폴리머로서는 앞에서 설명한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의 촉매층은 상기 나노복합전해질막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는 촉매층 외에 가스확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확산층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한다. 가스확산층은 집전체의 역할과 반응물과 생성물의 출입통로의 역할을 한다. 가스확산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페이퍼,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수처리된 카본페이퍼,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발수처리된 카본블랙층이 도포된 발수처리된 카본페이퍼일 수 있다. 발수처리된 카본페이퍼는,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등과 같은 소수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소결 (sintering) 되어 있다. 가스확산층의 발수처리는, 극성액체반응물과 기체반응물에 대한 출입통로를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발수처리된 카본블랙층을 갖는 발수처리된 카본페이퍼에 있어서, 발수처리된 카본블랙층은 카본블랙; 및 소수성 바인더로서 PTFE 등과 같은 소수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발수처리된 카본페이퍼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다. 발수처리된 카본블랙층의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소결되어 있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의 제조는 여러 문헌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애노드에 공급될 수 있는 연료는 수소, 천연가스, 메탄올, 에탄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극성 유기 연료 및 물을 포함하는 액상 연료를 상기 애노 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 연료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연료는 메탄올 수용액이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는, 상기 나노복합 전해질막에 의하여 극성 유기 연료의 크로스오버 현상이 매우 억제되므로, 더욱 고 농도의 메탄올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종래의 직접메탄올연료전지에서는, 메탄올 크로스오버 현상 때문에, 일반적으로 6 ~ 16 중량%의 저농도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과 명확히 대비된다. 또한 저농도의 메탄올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나노복합전해질막에 의하여 극성 유기 연료의 크로스오버 현상이 더욱 억제되므로, 본 발명의 연료전지는 더욱 향상된 수명 및 효율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S-DCDPS(0.1 mole) 와 DCDPS(0.35 mole)와 HFIPDP(0.459 mole)와 비변성 클레이인 몬모릴로니트릴(모노머 총중량 100 중량부 대비 3 중량부)와 탄산칼륨(0.55 mole)을 이용하여 NMP(120 mL) 및 톨루엔(100 mL)을 용매로 사용하여 160℃에서 12 시간 동안 환류하여 형성된 물을 제거한후 더 이상 물이 딘 스탁(dean stock)을 통해 나오지 않음을 확인하고 톨루렌을 밸브를 통해 제거하였다. 이어서, 2시간에 걸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80℃로 증가 시킨 후 4시간 동안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중합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게 되었다. 중합이 끝난후 중합물을 실온으로 내린 후 3차 증류수(1000ml)에 부어 침전을 얻고 이를 3회 세척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는 나노복합체 70 중량부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0 중량부에 용해한 다음, 100 메시로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용액을 40 중량%로 가열농축하여 점도를 조절한 뒤 여기에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 중량부를 부가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조성물을 유리판 위에 마이어바(mayor bar)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이를 60℃, 80℃, 120℃, 150℃ 및 170℃로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함으로써, 약 50㎛ 두께의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1-2: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클레이 함량이 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3: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DCDPS의 함량이 0.407몰이고,HFIPDP의 함량이 0.56몰이고, 탄산칼륨의 함량이 0.6.72몰이고, 4-아미노페놀(AP)의 함량이 0.00357몰을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4: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클레이 함량이 10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5: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DCDPS의 함량이 0.25몰이고, HFIPDP의 함량이 0.357몰이고, 탄산칼륨의 함량이 0.428몰이고 4-아미노페놀 0.00357몰을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6: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DCDPS의 함량이 0.25몰이고, HFIPDP의 함량이 0.357몰이고 클레이 함량이 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7: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DCDPS의 함량이 0.19몰이고, HFIPDP의 함량이 0.305몰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1: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S-DCDPS(0.1 mole) 와 DCDPS(0.35 mole)와 HFIPDP(0.459 mole)와 탄산칼륨(0.55 mole)을 이용하여 NMP(120 mL) 및 톨루엔(100 mL)을 용매로 사용하여 160℃에서 12시간 동안 환류하여 형성된 물을 제거한후 더 이상 물이 딘 스탁(dean stock)을 통해 나오지 않음을 확인하고 톨루렌을 밸브를 통해 제거하였다. 이어서, 2시간에 걸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80℃로 증가시킨 후 4시간 동안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후 중합기의 온도를 70℃로 내린 후 비변성 클레이인 몬모릴로니트릴(3 중량부: 모노머의 총중량 100 중량부 대비)를 중합기에 주입하였고 그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반응하였다. 고분자 회수 및 처리는 실시예 1-1과 같다.
실시예 2-2: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DCDPS의 함량이 0.25몰이고, HFIPDP의 함량이 0.357몰이고, 4-아미노페놀(AP) 0.00357몰을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3: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4-아미노페놀을 부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나노복합체 및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제조
세번째 제조방법에 따라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클레이 개질제를 부가하는 경우, 고분자 중합이 종료되는 시점에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 때 클레이 개질제의 종류 및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다.
S-DCDPS(0.1 mole) 와 DCDPS(0.35 mole)와 HFIPDP(0.459 mole)와 탄산칼륨(0.55 mole)을 이용하여 NMP(120 mL) 및 톨루엔(100 mL)을 용매로 사용하여 160℃에서 12 시간 동안 환류하여 형성된 물을 제거한 후 더 이상 물이 딘 스탁(dean stock)을 통해 나오지 않음을 확인하고 톨루렌을 밸브를 통해 제거하였다. 이어서, 2시간에 걸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80℃로 증가 시킨 후 4시간 동안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중합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게 되었다. 중합이 끝난 후 중합물을 실온으로 내린 후 3차 증류수(1000ml)에 부어 침전을 얻고 이를 3회 세척하여 건조하여 폴리술폰을 합성하였다.
상기 폴리술폰 70 중량부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0 중량부에 용해하였다.
이어서, 상기 폴리술폰 용액에 비변성 클레이인 몬모릴로니트릴(모노머 총중량 100 중량부 대비 3 중량부)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분산한 클레이 분산액을 첨가하고, 이를 약 70℃에서 24시간 이상 강하게 교반한 다음, 이를 100 메시로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용액을 40 중량%로 가열농축하여 점도를 조절한 뒤 여기에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 중량부를 부가하여 나노복합 전해질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조성물을 유리판 위에 마이어바(mayor bar)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이를 60℃, 80℃, 120℃, 150℃ 및 170℃로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함으로써, 약 50㎛ 두께의 나노복합 전해질막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클레이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S-DCDPS(0.1 mole) 와 DCDPS(0.35 mole)와 HFIPDP(0.459 mole)와 탄산칼륨(0.55 mole)을 이용하여 NMP(120 mL) 및 톨루엔(100 mL)을 용매로 사용하여 160℃에서 12 시간 동안 환류하여 형성된 물을 제거한 후 더 이상 물이 딘 스탁(dean stock)을 통해 나오지 않음을 확인하고 톨루렌을 밸브를 통해 제거하였다. 이어서, 2시간에 걸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80℃로 증가 시킨 후 4시간 동안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식 1]
Figure 112005053439463-pat00006
비교예 2
S-DCDPS(0.1 mole) 와 DCDPS(0.1 mole)와 HFIPDP(0.204mole)와 탄산칼륨(0.2448 mole)을 사용하여 비교에 1과 같은조건으로 중합하였다.
비교예 3
DCDPS(0.25 mole)인것과 HFIPDP(0.357 mole)인것과 탄산칼륨(0.4284 mole) 인것을 제외하고 비교예1과 같은 조건으로 중합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체의 핵자기공명 스펙트럼(NMR) 분석을 실시하여 그 구조를 확인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2,3,4-피크 면적을 이용하여 고분자내에 존재하는 각 모노머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8을 참조하여 8.3 ppm(sulfonated DCDPS proton), 8.0ppm(DCDPS proton), 7.43 ppm (HFIPDP proton)으로 각 피크의 면적비로 합성된 고분자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에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체의 DOSY-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DOSY를 이용하여 합성된 실시예에서 합성된 고분자는 클레이가 존재하여도 공중합체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분자량 분포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관계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S-DCDPS, DCDPS 및 HFIPDP(0.459 mole)의 함량이 하기 표 1와 같은 조성에 따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고, 이들의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표 1]
No S-DCDPS (몰) DCDPS(몰) HFIPDP(몰) AP(4-아미노페놀) (몰) 클레이 (모노머 총중량 100 중량부)
1 0.1 0.25 0.357 0.00357 3
2 0.1 0.25 0.357 0.00357 5
3 0.1 0.25 0.357 0.00357 10
4 0.1 0.35 0.459 첨가하지 않음 3
5 0.1 0.35 0.459 첨가하지 않음 5
6 0.1 0.35 0.459 첨가하지 않음 10
7 0.1 0.45 0.598 첨가하지 않음 3
8 0.1 0.45 0.598 첨가하지 않음 5
9 0.1 0.45 0.598 첨가하지 않음 10
상기 실시예 2-2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듯이, 클레이의 (001)면의 규칙성에 인한 피크가 나타나지 않고 박리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예 1-1 및 비교예 1의 나노복합체의 열중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의 분자량 및 다분산성 지수(Mw /Mn)를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구분 S-DCDPS/DCDPS/HFIPDP 몰비율(모노머 총중량 100 대비 클레이의 함량:중량부) Mn Mw Mp Mw/Mn
실시예 1-1 1/3.5/4.59 (3 중량부) 21,166 40,161 42,162 1.90
실시예 1-2 1/3.5/4.59 (5 중량부) 17,207 31,318 32,611 1,82
실시예 1-5 1/2.5/3.57(3%), aminophenol 0.0357 mole 후첨 26,257 50,245 54,407 1.91
실시예 2-1 1/3.5/4.59 (5%) 35,326 66,738 70,639 1.89
실시예 2-2 1/2.5/3.57(3%), aminophenol 0.0357 mole 후첨 34,503 65,685 71,336 1.90
실시예 2-3 1/2.5/3.57(5 중량부) 38,249 73,075 80,255 1.91
비교예 1 1/3.5/4.59 (클레이 첨가하지 않음) 34,379 62,544 68,712 1.82
비교예 2 1/1/2.04 (클레이 첨가하지 않음) 33,564 60,379 59,500 1.80
비교예 3 1/2.5/3.57, 4-아미노페놀 0.0357 mole 후첨 20,035 33,317 34,438 1.66
상기 표 1로부터 클레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고분자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7, 2-1, 2-3 및 비교예 1에 따라 얻은 나노복합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이온전도도를, 4점탐침법 (4-point probe method)을 이용하여, 25℃, 50℃ 및 75℃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과 같았다.
[표 3]
구분 이온전도도(S/cm)
실시예 1-7 5.5E-03
실시예 2-1 1.25E-03
실시예 2-3 4.7E-03
비교예 1 1.26E-03
상기 표 3으로부터 실시예가 클레이가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전도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 나노복합전해질막을 채용한 연료전지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은 나노복합전해질막, 백금-루테늄촉매를 갖는 애노드, 백금촉매를 갖는 캐소드를 접합하여 연료전지를 구성하였다.
상기 연료전지에 대하여 전류밀도에 따른 전지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작동온도는 약 50℃이었고, 연료는 2M 농도의 메탄올수용액이었으며, 산화제로서는 공기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나노복합전해질막 대신에 듀퐁사의 나피온11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연료전지를 제조하여, 실시예 2와 같은 조건하에서 전류밀도에 따른 전지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평가결과 1- 메탄올 침투 억제 성능 평가
나노복합전해질막에 메탄올이 침투하면 나노복합전해질막의 체적이 증가하여 스웰링 (swelling) 현상이 발생한다. 나노복합전해질막의 메탄올 침투 억제 성능은 나노복합전해질막을 메탄올수용액에 담근 후 스웰링의 정도 (degree of swelling)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실시예 1-1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나노복합전해질막을 4 M농도의 메탄올수용액과, 메탄올과 물의 몰비가 1:1인 메탄올수용액에 각각 2시간 동안 담근 후에, 나노복합전해질막의 체적증가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체적증가량은, 메탄올수용액에 담그기 전의 전해질막의 체적을 기준으로 한, 전해질막의 체적증가분의 백분율이다.
그 결과, 실시예 1-1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의 체적증가량이 비교예 1의 체적증가량보다 월등히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이 향상된 메탄올 침투 억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효과는 에탄올과 같은 극성 유기 연료에 대해서도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을 채용한 연료전지에 메탄올수용액을 연료로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 메탄올의 크로스오버가 억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의 작동 효율 및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평가결과 2 - 연료전지 성능 비교
조사 결과, 같은 전류밀도에서 실시예 2의 전압이 비교예 1의 전압보다 매우 높다. 전압이 더 높다는 것은 작동효율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이 메탄올의 크로스오버를 매우 억제할 뿐만아니라,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이온전도성이 우수한 술폰화 폴리술폰에 층상 구조를 갖는 비변성 클레이가 나노스케일로 분산되어 이온전도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 하다. 이러한 나노복합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나노복합 전해질질막은 메탄올과 같은 극성 유기 연료의 침투를 억제하는 매우 향상된 성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전해질막을 채용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메탄올수용액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 메탄올의 크로스오버가 더욱 억제되며, 그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의 작동 효율 및 수명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4)

  1. 술폰화 폴리술폰(sulfonated polysulfone); 및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중에 분산되어 있는 비변성 클레이(clay)를 포함하며,
    상기 비변성 클레이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층 사이에 술폰화 폴리술폰이 인터칼레이션되어 있거나 상기 층이 박리되고,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06089840177-pat00026
    상기식중, R1은 서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며, C1-C10의 알킬기, C2-C10 알케닐기, 페닐기, 또는 니트로기이고,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C(CF3)2-, -C(CH3)2- 또는 -P(=O)Y'-(Y'는 H 또는 C6H5임)이고,
    M은 Na, K, 또는 H이고,
    m은 0.1 내지 10이고, n은 0.1 내지 10이고, k는 5 내지 500의 수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화학식 2]
    Figure 112006089840177-pat00008
    상기식중, m은 0.1 내지 4이고, n은 0.1 내지 4이고,
    k는 5 내지 500의 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의 양 말단이 클레이 개질제로 엔드 캡핑되어 클레이와의 치환성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이 개질제가 2-아세트아미도페놀, 3-아세트아미도페놀,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3-에틸페놀, 2-아미노-4-클로로페놀, 6-아미노-2,4-디클로로-3-메틸페놀, 4-아미노-3-메틸페놀, 2-아미노-3-니트로페놀, 2-아미노페놀, 2-sec-부틸페놀, 3-아미노페놀, 3-디에틸아미노페놀, 4,4'-설포닐디페놀, 2-메틸-3-니트로페닐, 3-터트-부틸페놀, 2,3-디메톡시페놀, 4-아미노-2,5-디메틸페놀, 2,6-디메틸-4-니트로페놀, 4-sec-부틸페놀, 4-이소프로필페놀, 2-아미노-4-터트-부틸페놀, 2-터트부틸-4-메틸페놀, 4-터트-부틸-2-메틸페놀, 4-터트-부틸페놀,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5-이소프로필-3-메틸페 놀, 4-(메틸아미노)페놀 설페이트, 4-sec-부틸페놀, 3-메톡시페놀, 3,5-디메틸티오페놀, 3,5-디메틸페놀, 2-아미노페놀, 3-아미노페놀, 4-아미노페놀, 3-(N,N'-디에틸아미노)-페놀, 2,6-디메톡시페놀, 4-아세트아미노페놀, 2-아미노-4-메틸페놀, 2,5-디메틸페놀, 2-에틸페놀, 4-에틸페놀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변성 클레이가 스멕타이트(smectite)계 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멕타이트계 클레이가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사포나이트 (saponite), 베이델라이트 (beidellite), 논트로나이트 (nontronite), 헥토라이트 (hectorite), 스티븐사이트 (stevens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수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만 내지 50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9. 비변성 클레이와,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1중합성 모노머,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2중합성 모노머 및 디올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중합반응을 실시하여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온도가
    100 내지 160℃에서 환류하여 생성된 물을 제거하는 제1단계; 및
    140 내지 195℃에서 가열하여 중합반응을 실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비변성 클레이와,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1중합성 모노머 ,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2중합성 모노머의 혼합물에 클레이 개질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2.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1중합성 모노머, 술폰화 폴리 술폰 형성용 제2중합성 모노머 및 디올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축중합 반응 결과물에 비변성 클레이를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중결합 반응 결과물에 비변성 클레이를 부가하기 이전에 클레이 개질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온도가
    100 내지 160℃에서 환류하여 생성된 물을 제거하는 제1단계; 및
    140 내지 195℃에서 가열하여 중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합성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할라이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06089840177-pat00009
    상기식중, R1 및 p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Cl, Br, 또는 I이다.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합성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할라이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06089840177-pat00010
    상기식중, M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Cl, F, Br, 또는 I이다.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5]
    Figure 112006089840177-pat00011
    상기식중, R1 , X 및 p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8. 술폰화 폴리술폰을 용매에 용해하여 술폰화 폴리술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클레이를 분산매에 분산하여 클레이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 용액과 클레이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술폰화 폴리술폰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6089840177-pat00027
    상기식중, R1은 서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며, C1-C10의 알킬기, C2-C10 알케닐기, 페닐기, 또는 니트로기이고,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C(CF3)2-, -C(CH3)2- 또는 -P(=O)Y'-(Y'는 H 또는 C6H5임)이고,
    M은 Na, K, 또는 H이고,
    m은 0.1 내지 10이고, n은 0.1 내지 10이고, k는 5 내지 500의 수이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이 분산액 제조시 40 내지 90℃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술폰화 폴리술폰 형성용 제1중합성 모노머, 술폰화 폴리술폰 형성용 제2중합성 모노머 및 디올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시 클레이 개질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23.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 전해질막.
  24.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 전해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KR1020050089027A 2005-09-24 2005-09-24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70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027A KR100708713B1 (ko) 2005-09-24 2005-09-24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CN2006101054837A CN1944537B (zh) 2005-09-24 2006-05-31 纳米复合材料,纳米复合材料电解质膜和采用它的燃料电池
JP2006155441A JP4392723B2 (ja) 2005-09-24 2006-06-02 ナノ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ナノ複合電解質膜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US11/445,334 US7652089B2 (en) 2005-09-24 2006-06-02 Nanocomposite, nano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027A KR100708713B1 (ko) 2005-09-24 2005-09-24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388A KR20070034388A (ko) 2007-03-28
KR100708713B1 true KR100708713B1 (ko) 2007-04-17

Family

ID=3789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027A KR100708713B1 (ko) 2005-09-24 2005-09-24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2089B2 (ko)
JP (1) JP4392723B2 (ko)
KR (1) KR100708713B1 (ko)
CN (1) CN194453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64B1 (ko) 2006-12-22 2008-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818265B1 (ko) * 2006-12-22 2008-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1451803B1 (ko) * 2007-12-07 2014-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연료전지
KR101697300B1 (ko) 2016-02-19 2017-02-01 임석훈 절수기능이 있는 샤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6819B2 (en) * 2001-04-25 2006-05-16 Digimarc Corporation Encoded reference signal for digital watermarks
KR100803199B1 (ko) * 2006-09-18 2008-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체 이온 착물을 이용한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KR100853713B1 (ko) * 2007-03-29 2008-08-25 한국과학기술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146191B1 (ko) * 2009-01-16 2012-05-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 복합체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나노 복합체 전해질 막 및 그를 구비한 막-전극 어셈블리
KR101634287B1 (ko) * 2009-05-19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알킬화 비스페놀계 화합물,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술포네이티드 폴리아릴렌술폰,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JP5820576B2 (ja) * 2010-10-20 2015-11-24 株式会社Kri 複合材料の製造方法
KR101936924B1 (ko) 2012-12-06 201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CA2919892C (en) 2013-08-12 2019-06-18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Research Services, Inc. Extruded immediate release abuse deterrent pill
US9492444B2 (en) 2013-12-17 2016-11-15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Research Services, Inc. Extruded extended release abuse deterrent pill
US10172797B2 (en) 2013-12-17 2019-01-08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Research Services, Inc. Extruded extended release abuse deterrent pill
DK3169315T3 (da) 2014-07-17 2020-08-10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Res Services In Væskefyldt doseringsform til forhindring af misbrug med øjeblikkelig frigivelse
AU2015336065A1 (en) 2014-10-20 2017-05-04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Research Services, Inc. Extended release abuse deterrent liquid fill dosage form
EP3340350B1 (en) * 2015-08-17 2020-05-20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Polyphenylsulfone-based prot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 proton conduct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lectrode catalyst layer for solid polymer fuel cell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solid polymer fuel cel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3126A (ja) * 1989-10-31 1991-08-22 Union Carbide Ind Gases Technol Corp スルホン化ヘキサフルオロビス―aポリスルホン膜と流体分離方法
JPH09245818A (ja) * 1996-02-29 1997-09-19 Aisin Aw Co Ltd 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94466A1 (en) 1999-04-30 2002-07-18 Jochen Kerres Composites and composite membranes
KR20040101752A (ko) * 2003-05-26 2004-12-03 한국화학연구원 기체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술폰계 나노복합재
KR20050022744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나노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4064B2 (ja) * 1996-06-28 2005-12-07 住友化学株式会社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及び燃料電池
GB9803714D0 (en) 1998-02-24 1998-04-15 Cytec Tech Corp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
JP2000290505A (ja) * 1999-04-07 2000-10-1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サルホン樹脂組成物および製造方法
WO2002025764A1 (en) * 2000-09-20 2002-03-28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Ion-conducting sulfonated polymeric materials
JP2002203577A (ja) 2000-12-28 2002-07-19 Honda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解質膜
JP2003272439A (ja) 2002-03-20 2003-09-2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複合高分子電解質、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燃料電池
JP2003277610A (ja) * 2002-03-22 2003-10-02 Mitsui Chemicals Inc 熱可塑性芳香族ポリスルホン樹脂組成物
KR100486728B1 (ko) * 2002-12-12 2005-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JP2005166384A (ja) 2003-12-02 2005-06-23 Kaneka Corp プロトン伝導性膜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トン伝導性膜
JP2006031970A (ja) * 2004-07-12 2006-02-02 Hitachi Chem Co Ltd 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電解質膜、高分子電解質膜−電極接合体、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3126A (ja) * 1989-10-31 1991-08-22 Union Carbide Ind Gases Technol Corp スルホン化ヘキサフルオロビス―aポリスルホン膜と流体分離方法
JPH09245818A (ja) * 1996-02-29 1997-09-19 Aisin Aw Co Ltd 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94466A1 (en) 1999-04-30 2002-07-18 Jochen Kerres Composites and composite membranes
KR20040101752A (ko) * 2003-05-26 2004-12-03 한국화학연구원 기체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술폰계 나노복합재
KR20050022744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나노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64B1 (ko) 2006-12-22 2008-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818265B1 (ko) * 2006-12-22 2008-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1451803B1 (ko) * 2007-12-07 2014-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연료전지
KR101697300B1 (ko) 2016-02-19 2017-02-01 임석훈 절수기능이 있는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4537A (zh) 2007-04-11
US7652089B2 (en) 2010-01-26
JP4392723B2 (ja) 2010-01-06
US20070072982A1 (en) 2007-03-29
CN1944537B (zh) 2010-05-12
KR20070034388A (ko) 2007-03-28
JP2007084786A (ja)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2723B2 (ja) ナノ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ナノ複合電解質膜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KR100803199B1 (ko) 나노복합체 이온 착물을 이용한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Lee et al. Effect of functionalized SiO2 toward proton conductivity of composite membranes for PEMFC application
Bose et al. Polymer membranes for high temperatur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Recent advances and challenges
Di Vona et al. SPEEK-TiO2 nanocomposite hybrid proton conductive membranes via in situ mixed sol–gel process
JP2011021199A (ja) 架橋性スルホン化共重合体とその製造方法、架橋性スルホン化共重合体の硬化生成物とその製造方法、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KR20090059846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연료전지
KR20070083044A (ko) 다중 블럭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상기 다중 블럭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0818265B1 (ko)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Munusamy et al. PbS nanoparticles dispersed in acid–base pair polymer nanocomposite foams for high-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s
US8211588B2 (en) Sulfonated poly(arylene sulfone), crosslinked material thereof, clay nanocomposite including the same,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Hussin et 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olybenzimidazole/boron nitride composite membranes for high‐temperature PEM fuel cells
KR102602488B1 (ko) 쯔비터이온을 포함하는 작용기화된 산화흑연 기반의 음이온 유무기 복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Hooshyari et al. New nanocomposite membranes based on polybenzimidazole with improved fuel cell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s
KR101634287B1 (ko) 알킬화 비스페놀계 화합물,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술포네이티드 폴리아릴렌술폰,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JP4646814B2 (ja) 燃料電池用の高分子電解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
KR100818264B1 (ko) 나노복합체, 나노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727216B1 (ko) 신규한 술폰화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Salehi Artimani et al. Proton Conducting Nanocomposite Membranes Based on Poly Vinyl Alcohol (PVA)/Glutaraldehyde (GA)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US20070218335A1 (en) Polymer having oxocarbon group, and use thereof
KR20110117994A (ko) 다중 페닐기를 포함하는 디히드록시 단량체, 상기 단량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EP3156438B1 (en)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570686B1 (ko)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rnian et al. application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Lim Electrospinning-Enabled Structural Control of Proton-Conducting Composite Memb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