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5434B1 -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434B1
KR100445434B1 KR10-2002-0040007A KR20020040007A KR100445434B1 KR 100445434 B1 KR100445434 B1 KR 100445434B1 KR 20020040007 A KR20020040007 A KR 20020040007A KR 100445434 B1 KR100445434 B1 KR 100445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lithium
positive electrode
sulfur battery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440A (ko
Inventor
김석
정용주
한지성
김잔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434B1/ko
Priority to US10/429,824 priority patent/US7291424B2/en
Priority to CNB031314740A priority patent/CN1293652C/zh
Priority to JP2003156958A priority patent/JP2004055544A/ja
Publication of KR2004000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황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계면활성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상기 양극 활물질 조성물은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유기 용매 중에 잘 분산되어 있어, 균일한 양극을 제조할 수 있고, 따라서 에너지 밀도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황 전지{POSITIVE ACTIVE MATERIAL COMPOSITION FOR LITHIUM SULFUR BATTERY AND LITHIUM SULFUR BATTERY FABRICATED USING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황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에너지 밀도 및 수명 특성을갖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휴대용 전자 기기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이차 전지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작고, 가볍고, 얇고, 작아지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는 고 에너지 밀도의 전지의 등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값싸고 안전하며 환경친화적인 면을 만족시켜야 하는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리튬-황 전지는 사용되는 활물질 자체가 값싸고 환경친화적인 물질이며,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음극에 사용되는 리튬의 에너지 밀도는 3830mAh/g이고, 양극에 사용되는 황의 에너지 밀도는 1675mAh/g으로 에너지 밀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유망한 전지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황 전지는 황 계열 화합물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이차 전지로서, 환원 반응시(방전시) S-S 결합이 끊어지면서 S의 산화수가 감소하고, 산화 반응시(충전시) S의 산화수가 증가하면서 S-S 결합이 다시 형성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 및 생성한다.
즉 리튬-황 전지 내에서 활성 황은 리튬 금속과 반응하여 리튬 설파이드 또는 리튬 폴리설파이드로 환원된다. 활성 황의 이론적인 마지막 산화 상태는 S8이며, 마지막 환원 상태는 Li2S이다. S8이 Li2S까지 완전히 환원되었을때(100% 이용율(utilization)) 이론 용량은 1675mAh/g으로 어느 화학종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리튬-황 전지에서 양극은 양극 활물질 조성물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유기 용매 중에서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전류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을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상기 유기 용매 중에 잘 분산되지 않고, 서로 응집되어 응집체 및 응고체가 형성되어, 상분리 일어나는 등의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응집체 및 응고체가 형성된 활물질 조성물로 양극을 제조하면, 표면이 불균일한 양극이 제조되고,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 표면적이 감소되어 리튬-황 전지의 에너지 밀도 및 수명 특성 감소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용매 중에 잘 분산된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황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사진.
도 2는 종래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황 전지의 사이클 수명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황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계면활성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 활물질,바인더, 도전재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양극과,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은 종래 사용되던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유기 용매로 구성된 양극 활물질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분산제의 역할을 하고, 점도를 강하시키는 역할(즉, 점도 제어제)을 하므로,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가 유기 용매 중에서 응집되어 응집체나 응고체가 형성되고 상분리되지 않고 잘 분산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이온전도성 향상 효과도 있다. 따라서, 종래 양극 활물질 조성물에서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가 유기 용매 중에서 응집되고 상분리되어 응집체나 응고체가 형성됨에 따른 에너지 밀도 및 수명 특성 저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오히려 증가되어 응집이 더 잘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00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아민계 염(amine salts), 4급암모늄염(quaternary ammonium salts), 아미노 아마이드(amino amides) 또는아미다졸린(amodazolines)을 들 수 있고,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s), 설포릭 산 에스테르(sulfuric acid esters) 또는 설포닉 산(sulfonic acid)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아크릴산의 암모늄염, 알킬 또는 알킬-아릴 에테르계(alkyl, alyl-aryl ethers), 티오에테르계(thioethers), 또는 에스테르계와 아마이드계(esters and amides)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하기 화학식 1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하기 화학식 2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1]
-(CH2-CH2-O)n-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50이다)
[화학식 2]
CH3CH2-O-(CH2-CH2)n-O-CH2-CH3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50이다)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n이 50보다 크면 계면 장력이 낮고 점도가 너무 커서 양극 활물질 조성물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양극 활물질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양극 활물질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이면, 분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양극 활물질 조성물에서 양극 활물질의 중량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무기 황(S8, elemental sulfur), Li2Sn(n ≥1), 유기황 화합물 또는 탄소-황 폴리머[(C2Sx)n, 여기에서 x=2.5-50, n ≥ 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전자가 양극 극판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물질로써, 이러한 도전재로는 특히 한정하지 않으나, 카본), 카본 블랙과 같은 전도성 물질 또는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을 집전체에 잘 부착시킬 수 있는 물질로써, 그 바인더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알킬레이티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상품명: Kynar),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리딘, 폴리스티렌,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코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조성물에서, 도전재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 상기 양극 활물질의 함량은 60 내지 90 중량%, 바인더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이다.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유기 용매로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쉽게 증발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대표적으로는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된 양극 활물질 조성물은 이 조성물은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기에 적절한 점도인 500 내지 5000cps의 점도를 갖는다. 양극 활물질 조성물의 점도가 500보다 낮은 경우에는 코팅이 어렵고, 5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코팅이 어려우며 또한 겔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여 양극을 제조한다. 상기 전류 집전체로는 특히 제한하지 않으나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본-코팅된 알루미늄 집전체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가 코팅된 Al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탄소가 코팅되지 않은 것에 비해 활물질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촉 저항이 낮으며, 알루미늄의 폴리설파이드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양극은, 응집체 및 응고체가 없는 균일한 양극이 제조되어 향상된 결착력을 나타내고, 증가된 전기화학 반응 표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높은 에너지 밀도 및 향상된 수명 특성을 나타내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기 황(element sulfur, S8), 케첸 블랙(Ketjen Black(Mitsubishi)),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라텍스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중량 평균 분자량 2000) 계면활성제를 아크릴로니트릴 용매와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무기 황, 케첸 블랙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라텍스의 혼합 비율은 60 : 20 : 20 중량비로 하였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상기 무기 황 중량의 2.5 중량%로 하였다.
혼합 공정은 이들 물질이 균질하게 혼합될 때까지 실시하였으며, 혼합 후, 생성된 슬러리를 전류 집전체(탄소 코팅된 Al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였다. 코팅된 전류 집전체를 완전히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과, 음극으로 리튬 호일을 사용하고, 세퍼레이터로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드라이룸에서 리튬-황 전지를 조립하였다. 이때, 전해질로는 1M의 LiSO3CF3이 용해된 1,3-디옥솔란/디글라임/설포란/디메톡시 에탄(5:2:1:2부피비)을 사용하였으며, 전지의 조립 공정은 리튬/세퍼레이터/양극을 적층한 후 전해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비교예 1)
무기 황(element sulfur, S8) 60 중량%, 케첸 블랙(Ketjen Black(Mitsubishi)) 20 중량%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20 중량%를 아크릴로니트릴 용매와 혼합하였다.
혼합 공정은 이들 물질이 균질하게 혼합될 때까지 실시하였으며, 혼합 후,생성된 슬러리를 전류 집전체(탄소 코팅된 Al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였다. 코팅된 전류 집전체를 완전히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과, 음극으로 리튬 호일을 사용하고, 세퍼레이터로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드라이룸에서 리튬-황 전지를 조립하였다. 이때, 전해질로는 1M의 LiSO3CF3이 용해된 1,3-디옥솔란/디글라임/설포란/디메톡시 에탄(5:2:1:2부피비)을 사용하였으며, 전지의 조립 공정은 리튬/세퍼레이터/양극을 적층한 후 전해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의 SEM 사진을 도 1 및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실시예 1의 양극은 표면 상태가 균일한 반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양극은 불균일한 표면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지의 사이클 수명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은 초기 용량은 비교예 1보다 다소 낮지만, 50회 충방전시 용량 유지율이 비교예 1보다 매우 우수한, 즉 우수한 사이클 수명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지를 전류 밀도 1mA/㎠로 하여 방전을 실시하여, 활물질 중량당 에너지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전지가 비교예 1의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결과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계면활성제가 양극 표면을 균일하게 만듦에 따라, 비교예 1에 비하여 전기 화학 반응을 야기하는 반응 표면적이 증가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 조성물은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유기 용매 중에 잘 분산되어 있어, 균일한 양극을 제조할 수 있고, 따라서 에너지 밀도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황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계면활성제; 및
    유기 용매
    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 내지 100,000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아민계 염, 4급암모늄 염, 아미노 아마이드 및 아미다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카르복실산, 설포릭 산 에스테르 및 설포닉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아크릴산의 암모늄염, 알킬 또는 알킬-아릴 에테르계, 티오에테르계 및 에스테르와 아마이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화학식 1]
    -(CH2-CH2-O)n-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50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2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화학식 2]
    CH3CH2-O-(CH2-CH2)n-O-CH2-CH3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50이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활물질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활물질 중량에 대하여 1내지 5 중량%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10. 황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양극;
    음극;
    전해질; 및
    세퍼레이터
    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2002-0040007A 2002-07-10 2002-07-10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KR100445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007A KR100445434B1 (ko) 2002-07-10 2002-07-10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US10/429,824 US7291424B2 (en) 2002-07-10 2003-05-06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fabricated using same
CNB031314740A CN1293652C (zh) 2002-07-10 2003-05-15 锂硫电池的正极及采用它制备的锂硫电池
JP2003156958A JP2004055544A (ja) 2002-07-10 2003-06-02 リチウム−硫黄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硫黄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007A KR100445434B1 (ko) 2002-07-10 2002-07-10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440A KR20040005440A (ko) 2004-01-16
KR100445434B1 true KR100445434B1 (ko) 2004-08-21

Family

ID=2999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007A KR100445434B1 (ko) 2002-07-10 2002-07-10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91424B2 (ko)
JP (1) JP2004055544A (ko)
KR (1) KR100445434B1 (ko)
CN (1) CN12936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4342A2 (en) * 2004-12-14 2006-06-22 Nissan Motor Co., Ltd. Electrode for use in a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880096B1 (ko) * 2005-03-22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온저장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첨가제 및이를 이용한 리튬이차 전지
KR100892048B1 (ko) * 2006-09-18 2009-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N101431155B (zh) * 2007-11-05 2011-01-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二次电池的正极浆料和正极及包括该正极的电池
JP5561029B2 (ja) * 2010-08-27 2014-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ES2532216T3 (es) * 2010-12-21 2015-03-25 Linak A/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lineal
JP2014232567A (ja) * 2011-09-21 2014-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130164615A1 (en) * 2011-12-22 2013-06-27 Arumugam Manthiram Conductive polymer-coated, shaped sulfur-nanocomposite cathodes for rechargeable lithium-sulfur batter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2569730A (zh) * 2012-01-31 2012-07-11 中南大学 一种锂硫电池正极极片的制备方法
EP2811550B1 (en) * 2012-02-02 2018-01-1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secondary cell electrode, secondary cell electrode, and secondary cell
DE102012215878A1 (de) * 2012-09-07 2014-03-13 Robert Bosch Gmbh Elektro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de
US10033040B2 (en) 2013-07-08 2018-07-2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dford Junior University Stable cycling of lithium sulfide cathodes through strong affinity with multifunctional binders
KR20160075590A (ko) * 2013-10-23 2016-06-29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리튬-황 전지용 양극
JP6450555B2 (ja) * 2013-11-12 2019-01-09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スラリー組成物、電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極の製造方法
KR101575439B1 (ko) * 2013-12-27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바인더가 적용된 리튬황 전지의 유황 양극
CN104752683B (zh) * 2013-12-31 2017-05-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正极材料用组合物和浆料及制备方法以及正极材料和正极及制作方法以及锂离子电池
US9570752B2 (en) * 2014-05-16 2017-0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based batteries
CN105304861B (zh) * 2014-06-30 2017-10-2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锂硫电池用电极及其制备和应用
US10050265B2 (en) * 2014-12-18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ve electrode having sulfur contained in pores between nanocarbon structures, alkali metal-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positive electrode
CN104659422B (zh) * 2015-02-26 2017-02-01 广东烛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硫电池及其制备方法
CN106876785B (zh) * 2015-12-13 2019-02-19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含添加剂的锂硫电池电解液
KR102259744B1 (ko) 2018-03-06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19175838A (ja) * 2018-03-29 2019-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極及び硫化物固体電池
KR102268184B1 (ko) * 2018-08-08 2021-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0137349A1 (ja) * 2018-12-28 2020-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正極スラリー、正極、二次電池、および正極の製造方法
US11605817B2 (en) 2019-09-24 2023-03-14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Sulfurized carbon cathodes
JP2023519148A (ja) 2020-03-26 2023-05-10 ゼータ エナ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伝導性炭素骨格を有する硫化炭素カソー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2568A (ja) * 1986-03-20 1987-09-30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JPH117942A (ja) * 1997-06-19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固体リチウム電池
KR19990014589A (ko) * 1998-11-25 1999-02-25 김복희 에멀젼법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 재료의 분말 제조 방법
JP2002151057A (ja) * 2000-11-13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用ペース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605A (ja) 1993-07-14 1995-01-31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58643B1 (en) * 1994-11-23 2002-03-19 Polyplus Battery Company Liquid electrolyte lithium-sulfur batteries
JP3482733B2 (ja) 1995-04-27 2004-01-06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EP0958627B1 (en) * 1996-05-22 2002-02-27 Moltech Corporation Composite cathodes,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novel composite cathodes, and processes for fabricating same
JP3281819B2 (ja) 1996-09-30 2002-05-1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110619A (en) * 1997-12-19 2000-08-29 Moltech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s with cationic polymers and electroactive sulfur compounds
US6402795B1 (en) 1998-02-18 2002-06-11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Plating metal negative electrodes under protective coatings
JPH11329414A (ja) 1998-03-31 1999-11-30 Aventis Res & Technol Gmbh & Co Kg リチウム電池および電極
JP2000123824A (ja) 1998-10-20 2000-04-28 Yuasa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346552B1 (ko) * 2000-09-01 2002-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설퍼 2차 전지
KR100378007B1 (ko) * 2000-11-22 2003-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US6589299B2 (en) 2001-02-13 2003-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electrode
JP3896058B2 (ja) 2001-09-05 2007-03-22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電池用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78487B2 (en) * 2001-09-05 2005-04-12 Samsung Sdi, Co., Ltd. Active material for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20030063060A (ko) * 2002-01-22 2003-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2568A (ja) * 1986-03-20 1987-09-30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JPH117942A (ja) * 1997-06-19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固体リチウム電池
KR19990014589A (ko) * 1998-11-25 1999-02-25 김복희 에멀젼법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 재료의 분말 제조 방법
JP2002151057A (ja) * 2000-11-13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用ペース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09396A1 (en) 2004-01-15
CN1467865A (zh) 2004-01-14
US7291424B2 (en) 2007-11-06
CN1293652C (zh) 2007-01-03
KR20040005440A (ko) 2004-01-16
JP2004055544A (ja)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434B1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US6919143B2 (en) Positive active material composition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fabricated using same
CN1331252C (zh) 用于锂硫电池的正极及其制造方法和锂硫电池
CN101621124B (zh) 复合负极活性材料、包含其的负极和使用该负极的锂电池
KR101654448B1 (ko)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수지 조성물,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2971451B1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467455B1 (ko) 리튬 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황 전지
CN108780892B (zh) 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粘结剂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浆料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用电极及非水系二次电池
KR20030063060A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KR20150120795A (ko)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과 리튬 전지
CN107958997B (zh) 正极浆料、正极极片及锂离子电池
WO2007072948A1 (ja) 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及び二次電池電極
US11637291B2 (en) Lithium-protecting polymer layer for an anode-less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JP4889067B2 (ja) 非水電池並びに該電池に用いる電極用ペースト及び電極
JP2013196910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467454B1 (ko) 리튬 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황 전지
CN101536217B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电极及使用该电极的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2008204829A (ja) 電気化学セル電極用バインダー
KR20150107928A (ko) 리튬폴리아크릴레이트와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제조용 수계 결합제조성물
JP2013145712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5327630A (ja) リチウム電池電極用バインダ樹脂組成物、リチウム電池用電極及びリチウム電池
JP2013149395A (ja) 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6221525B1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doped electrolyte and associated fabrication and electrochemical processes
JP2005332743A (ja)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板の製造方法
JP2008198427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8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