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6418B1 - 지폐자동지급기 - Google Patents

지폐자동지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418B1
KR100366418B1 KR1019990051837A KR19990051837A KR100366418B1 KR 100366418 B1 KR100366418 B1 KR 100366418B1 KR 1019990051837 A KR1019990051837 A KR 1019990051837A KR 19990051837 A KR19990051837 A KR 19990051837A KR 100366418 B1 KR100366418 B1 KR 10036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bills
roller
banknot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042A (ko
Inventor
윤기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1999005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4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폐카세트(130) 내부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그 내부의 지폐를 한장씩 꺼내기 위한 지폐분리부(140)의 구성을 별도로 하고 이를 지폐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지폐카세트(130)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옵션품목으로 그 제품가격을 최소로 만들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폐자동지급기{cash dispenser}
본 발명은 지폐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를 원하는 매수만큼 고객에게 자동으로 지급하는 지폐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는 지폐카세트(10), 피드모듈(20), 두께검지유니트(30), 딜리버리모듈(40) 및 회수함(50)으로구성된다.
상기 지폐카세트(10)는 지급하기 위한 지폐를 보관하여 두는 곳으로, 그 내부에 보관된 지폐를 한장씩 상기 피드모듈(20)로 전달하기 위해 분리하는 지폐분리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폐분리부(12)는 상기 피드모듈(20) 측에 구비된 직류모터(25)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직류모터(25)의 구동력을 지폐카세트(10)의 내부로 연장된 워엄기어(14)를 통해 전달받아, 지폐의 분리를 위한 각종 부품을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지폐를 한장 씩 방출하기 위해 상기 지폐카세트(10)의 내부에 설치된 픽업롤러(16)를 구동하여 지폐를 가이더(18) 측으로 안내하게 한다. 도면부호 17은 안내롤러이다.
상기 지폐카세트(10)에서 방출되는 지폐는 피드모듈(20)에 의해 상기 지폐검지유니트(3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피드모듈(20)에서는 다수개의 풀리(p)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20v)와 롤러(20r)에 의해 지폐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두께검지유니트(30)에서는 롤러(30r)에 의해 지폐가 이송되면서 두께검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두께검지유니트(30)에서는 2장의 지폐가 한번에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두께검지유니트(30)를 통과한 지폐는 딜리버리모듈(40)에서 이송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40)에서는 고객에게 지폐를 전달하기 위한 방출부(42)로 지폐를 전달하게 되고, 불량지폐와 2장이 한꺼번에 이송된 지폐를 회수하여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회수함(50)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딜리버리모듈(40)에도 다수개의 풀리(40p)와 밸트(40v) 및 롤러(40r)에 의해 지폐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모듈(20), 두께검지유니트(30) 및 딜리버리모듈(40)의 각각의 풀리와 밸트 및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45)가 상기 딜리버리모듈(4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45)의 동력은 구동풀리(46)에 걸어감아진 벨트(47)에 의해 종동풀리(48)로 전달되고, 상기 종동풀리(48)에서 각각의 풀리와 롤러로 벨트와 기어 등을 사용하여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지폐자동지급기에서는, 상기 지폐카세트(10) 내에 들어 있는 지폐가 상기 직류모터(25)에 의해 구동되는 지폐분리부(12)에 의해 한장씩 분리되어 상기 피드모듈(20)로 전달되고, 상기 피드모듈(20)을 거쳐 두께검지유니트(30)에서 2장이 동시에 전달되는 것을 검지하여 딜리버리모듈(40)로 전달된다. 딜리버리모듈(40)에서는 고객의 접근이 가능한 방출부(42)로 지폐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불량지폐나 2장이 동시에 전달된 지폐는 상기 회수함(50)으로 회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폐자동지급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지폐카세트(10)의 내부에 지폐분리부(12)가 구비되어 있어 지폐카세트(10)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각각의 지폐카세트(10) 마다 지폐분리부(12)를 별도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지폐카세트(10)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폐카세트(10)의 지폐분리부(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지폐의 이송을 위한 구동모터(45)와 별도의 구동모터(25)를 사용함에 의해 전체적으로 현금자동지급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사용하여 지폐카세트의 지폐를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카세트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지폐이송계가 별도의 모듈이 아닌 하나로 구성된 지폐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를 보인 동력전달계통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지폐가 이송되는 경로를 보인 지폐이송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지폐분리부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케이스 110: 구동모터
112: 구동풀리 114: 밸트
116: 종동풀리 117: 기어부
120: 제1분리기어 121: 제1구동기어
122: 제2구동기어 124: 아이들기어
126: 제3구동기어 128: 클러치구동기어
129: 아이들기어 130: 지폐카세트
140: 지폐분리부 142: 픽업롤러
144: 이송롤러 145: 구동풀리
146: 분리롤러 147: 종동풀리
150,150': 제1이송롤러쌍 152,152': 제2이송롤러쌍
154,154': 제3이송롤러쌍 155: 이송안내판
160: 솔레노이드 161: 구동플레이트
162: 다이버터 162a: 제1가이드면
162b: 제2가이드면 164: 방출롤러
166: 회수롤러 170: 고객취납구
172: 이젝트센서 180: 회수함
182: 회수센서 190: 준비센서
192: 두께검지센서 195: 클러치
196: 단속구동유니트 197: 구동축
198: 종동기어 199: 픽업구동기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폐가 저장되고 착탈가능한 지폐함과, 상기 지폐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와, 상기 클러치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지폐를 한장씩 지폐함으로부터 방출시키도록 일부 구간에는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러버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은 매끄럽게 형성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방출된 지폐중 겹쳐져서 방출되는 지폐를 분리하도록 서로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분리롤러쌍을 구비하고, 상기 지폐함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지폐함의 지폐를 한장씩 방출하는 지폐분리부와, 상기 지폐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전달된 지폐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롤러를 통해 직선경로로 이송시켜 방출하는 지폐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지폐를 상기 분리롤러쌍으로 안내하는 가이더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지폐의 이송을 위한 구동원으로 지폐의 이송 뿐만아니라 지폐의 분리까지 수행하도록 되어 지폐카세트의 내부 구성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폐자동지급기의 외관을 케이스(100)가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일측에는 지폐의 이송과 지폐의 분리를 위한 구동모터(11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112)에 걸어 감아진 타이밍벨트(114)의 타측에는 종동풀리(1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벨트(114)는 상기 구동풀리(112)에서 종동풀리(116)로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종동풀리(116)에는 동축으로 기어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풀리(116)의 기어부(117)와 맞물려서 제1분리기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분리기어(120)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분리하여 전달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3이동롤러쌍(154,154')을 구동하는 제1구동기어(121)가 맞물려 있고, 타측에는 제2이동롤러쌍(152,152')을 구동하는 제2구동기어(122)가 맞물려 있다.
상기 제2구동기어(122)에는 아이들기어(124)가 맞물려 있고, 상기 아이들기어(124)에는 제1이송롤러쌍(150,150')을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기어(126)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기어(122)에는 클러치구동기어(128)가 맞물려 있다.
한편, 상기 클러치구동기어(128)에 의해 구동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롤러(144)와 동축으로 픽업구동기어(19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업구동기어(199)와 맞물려 아이들기어(129)가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픽업롤러(142)를 구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후단에는 지폐가 보관되는 지폐카세트(130)가 설치된다. 상기 지폐카세트(130)는 상기 케이스(1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폐카세트(130)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지폐카세트(130) 내부의 지폐를 한장씩 분리하여 강제로 전달하는 지폐분리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폐분리부(140)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클러치(195)의 구성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클러치구동기어(128)에는 상기 클러치(195)의 종동기어(198)가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198)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종동기어(198)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구동축(197)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97)의 일단부에는 단속구동유니트(196)가 설치된다. 상기 단속구동유니트(196)는 상기 구동축(197)과 일체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기어(198)와는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속구동유니트(196)는 아래에서 설명될 준비센서(190)나 이젝트센서(172) 및 회수센서(182)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동축(197)의 타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픽업롤러(142)를 구동하기 위한 픽업구동기어(19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업구동기어(199)는 아이들기어(129)와 맞물려 상기 픽업롤러(142)를 구동하게 된다.
한편, 지폐분리부(140)에는 상기 지폐카세트(130)의 지폐를 한장씩 취출하는 픽업롤러(1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픽업롤러(142)에는 지폐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지폐를 지폐카세트(130)로부터 꺼내기 위해 러버부(도시되지 않음)가 일정 구간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은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픽업롤러(142)에서 픽업된 지폐를 안내하는 가이드(143)가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롤러(144) 쪽으로 픽업롤러(142)로부터 연장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롤러(142)에서 픽업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144)가 상기 구동축(197)에 동축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송롤러(144)는 상기 구동축(197)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롤러(144)에도 지폐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러버부(144')가 일정 구간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은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롤러(144)에 밀착되게 분리롤러(146)가 설치된다. 상기 분리롤러(146)는 상기 이송롤러(14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롤러(144)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중에서 겹쳐서 이송되는 것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144)와 분리롤러(146)의 같은 방향 회전을 위한 상기 이송롤러(144)에는 동축으로 구동풀리(145)가 설치되어 있고, 분리롤러(146)에도 역시 동축으로 종동풀리(14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145,147)는 벨트(145v)에 의 연결되어 있다.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이송가이드(149)가 상기 이송롤러(144)와 분리롤러(146) 사이를 통과한 지폐를 아래에서 설명되는 지폐이송경로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이송가이드(149)에 의해 안내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해 다수개의 이송롤러쌍이 설치된다.
먼저, 제1이송롤러쌍(150,150')이 제3구동기어(126)에 의해 구동되도록 나란히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롤러(150)는 제3구동기어(126)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이에 대응되는 제1이송롤러(150')는 상기 제1이송롤러(150)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롤러쌍(150,150')의 상부에는 제2이송롤러쌍(152,152')이 제2구동기어(122)에 의해 구동되게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제3이송롤러쌍(154,154')이 제1구동기어(121)에 의해 구동되게 나란히 설치된다. 여기서도 상기 이송롤러쌍(152,152')(154,154') 사이에는 마찰에 의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이송롤러쌍(150,150')(152,152')(154,154') 들은 직선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쌍(150,150')(152,152')(154,154')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경로를 따라서는 이송안내판(155)이 양측에 설치되어 지폐의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롤러(150)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회전감지센서(151)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151)는 상기 제1이송롤러(150)에 동축으로 설치된 회전휠(150w)의 회전을 감지하여 구동모터(11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직선경로를 따라 이송된 지폐를 고객취납구(170)나 회수함(180)으로 분리하여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직선경로를 따라 이송된 지폐의 이송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구동력은 솔레노이드(16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60)의 구동플레이트(161)에는 다이버터(162)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이버터(162)는 상기 직선경로의 끝부분에 그 선단부가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60)의 구동에 의해 지폐가 이동되는 경로를 절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이버터(162)의 선단부에는 양갈래로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면(162a,162b)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163은 상기 솔레노이드(160)의 초기 동작을 검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이다.
한편, 상기 직선경로를 따라 이송된 후 상기 다이버터(162)에 의해 이송경로가 결정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3이송롤러쌍(154,154')과 각각 대응되게 방출롤러(164)와 회수롤러(166)가 설치된다. 상기 방출롤러(164)는 지폐를 제3이동롤러(154)와 협력하여 고객취납구(17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롤러(166)는 상기 제3이동롤러(154')와 협력하여 지폐를 회수함(180)으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출롤러(164)와 회수롤러(166)는 각각제3이송롤러쌍(154,154')과의 마찰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로 고객취납구(170)에서 지폐가 방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방출된 지폐의 매수를 카운트하고, 다음의 지폐방출동작을 위해 상기 지폐분리부(14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이젝트센서(172)가 상기 고객취납구(170)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경로에는 지폐의 회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다음의 지폐방출동작을 위해 상기 지폐분리부(14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회수센서(182)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직선경로에는 지폐의 이송을 위한 구동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제공하는 준비센서(190)와 이송되는 지폐의 두께를 검지하여 2장이 겹쳐져 이송되는 것을 상기 회수함(180)으로 전달되게 하는 두께검지센서(192)가 구비된다. 상기 준비센서(190)는 지폐가 상기 제1이송롤러쌍(150,150')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두께검지센서(192)의 동작을 준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60)의 구동과 상기 지폐분리부(140)의 구동정지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지폐의 방출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구동모터(110)가 회전하여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지폐분리부(140)의 픽업롤러(142)가 회전하면서 상기 지폐함(130) 내부의 지폐를 한장씩 픽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142)에 의해 픽업된 지폐는 가이드(143)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이송롤러(144)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구동기어(128)를 통해 상기종동기어(198)로 상기 종동기어(198)에서 단속구동유니트(196)를 통해 구동축(197)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동축(197)에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144)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142)의 구동은 상기 구동축(197)에 설치된 픽업구동기어(199)와 아이들기어(129)를 통해 픽업롤러(142)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1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폐가 이송되는데, 상기 이송롤러(14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롤러(146)에 의해 겹쳐져 이송되는 지폐가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지폐는 도시되지 않은 기구에 의해 상기 가이드(143)에 안내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된 지폐를 가이드(143)에 안내되어 있게 하는 기구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구성과 동작설명을 생략했다. 이와 같이 가이드(143)에 남아 있는 지폐는 다음의 지폐방출명령시에 상기 이송롤러(144)에 의해 이송되어 방출된다.
한편,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지폐는 상기 이송롤러(144)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이송롤러(144)와 분리롤러(146) 사이를 지나 이송가이드(149)에 의해 안내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제1이송롤러쌍(150,150') 사이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롤러쌍(150,150')에 의해 지폐는 직선경로를 따라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롤러쌍(150,150')을 통과한 지폐의 선단부가 상기 준비센서(190)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준비센서(190)는 상기 두께검지센서(192)의 동작준비명령을 내리고, 상기 지폐분리부(140)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게 한다. 즉 상기 단속구동유니트(196)가 상기 종동기어(198)와 분리되어 상기 지폐분리부(140)가더 이상 동작되지 않게 되어 지폐카세트(130)로부터 더 이상의 지폐가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가 계속하여 이송되면 상기 두께검지센서(192)에 의해 지폐의 두께가 검지되어 2장이 겹쳐져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즉 1장이 이송되는 경우와 2장이 겹쳐져 이송되는 경우의 두께차이를 감지하여 1장만이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두께검지센서(192)를 통과한 후에는 제2이송롤러쌍(152,152')과 제3이송롤러쌍(154,154')에 의해 지폐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송롤러쌍에 의해 지폐가 이송될 때, 상기 이송안내판(155)에 의해 지폐의 직선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께감지센서(192)에서 1장의 지폐가 이송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60)를 동작시키지 않고 초기상태로 두어 상기 제3이송롤러쌍(154,154')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가 상기 다이버터(162)의 제1가이드면(162a)에 가이드되면서 방출롤러(164)와 제3이송롤러(154)에 의해 고객취납구(17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젝트센서(172)는 지폐의 방출을 검지하여 방출된 지폐의 매수를 카운트하고, 지폐의 방출완료를 감지하여 상기 지폐분리부(140)가 다시 동작될 수 있게 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즉 상기 단속구동유니트(196)가 상기 종동기어(198)과 연결되어 클러치구동기어(128)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두께감지센서(192)에서 여러장의 지폐가 겹쳐져 전달되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불량지폐인 것으로 판정되면, 그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160)가 동작하여 상기 다이버터(162)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가이드면(162b)에 지폐가 안내되어 제3이송롤러(154')와 회수롤러(166)에 의해 지폐가 회수함(180)으로 회수된다.
이때 상기 회수센서(182)는 지폐의 회수를 검지하여 상기 지폐분리부(140)가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폐가 방출되거나 회수되고 나면 다시 상기의 동작이 반복되면서 원하는 매수만큼의 지폐를 방출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는 그 구성요소를 일체화하고 하나의 구동모터로 구동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지폐자동지급기의 크기를 경박단소화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지폐카세트의 내부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므로 옵션품목으로서 수요자가 추가 요구가 있는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지폐카세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폐의 이송을 위한 경로가 직선화되어 지폐 이송중에 잼발생이 크게 줄어들게 되며, 또한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동모터만을 사용하였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지폐가 저장되고 착탈가능한 지폐함과,
    상기 지폐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와, 상기 클러치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지폐를 한장씩 지폐함으로부터 방출시키도록 일부 구간에는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러버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은 매끄럽게 형성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방출된 지폐중 겹쳐져서 방출되는 지폐를 분리하도록 서로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분리롤러쌍을 구비하고, 상기 지폐함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지폐함의 지폐를 한장씩 방출하는 지폐분리부와,
    상기 지폐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전달된 지폐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롤러를 통해 직선경로로 이송시켜 방출하는 지폐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자동지급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지폐를 상기 분리롤러쌍으로 안내하는 가이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자동지급기.
KR1019990051837A 1999-11-22 1999-11-22 지폐자동지급기 KR10036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837A KR100366418B1 (ko) 1999-11-22 1999-11-22 지폐자동지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837A KR100366418B1 (ko) 1999-11-22 1999-11-22 지폐자동지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042A KR20000007042A (ko) 2000-02-07
KR100366418B1 true KR100366418B1 (ko) 2002-12-31

Family

ID=1962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837A KR100366418B1 (ko) 1999-11-22 1999-11-22 지폐자동지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304A (ko) * 2002-09-03 2004-03-10 엘지엔시스(주) 지폐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지급장치
KR101046045B1 (ko) 2009-08-13 2011-07-0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88A (ja) * 1981-02-10 1983-01-20 オムロン株式会社 現金カセツト
JPS59172335A (ja) * 1983-03-18 1984-09-29 Hitachi Ltd 紙葉処理装置
US4494747A (en) * 1983-07-01 1985-01-22 Diebold, Incorporated Paper currency dispenser friction picker mechanism
JPH10194607A (ja) * 1997-01-07 1998-07-28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88A (ja) * 1981-02-10 1983-01-20 オムロン株式会社 現金カセツト
JPS59172335A (ja) * 1983-03-18 1984-09-29 Hitachi Ltd 紙葉処理装置
US4494747A (en) * 1983-07-01 1985-01-22 Diebold, Incorporated Paper currency dispenser friction picker mechanism
JPH10194607A (ja) * 1997-01-07 1998-07-28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304A (ko) * 2002-09-03 2004-03-10 엘지엔시스(주) 지폐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지급장치
KR101046045B1 (ko) 2009-08-13 2011-07-0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042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3435B2 (ja) 紙幣等の取り扱い装置
US7255216B2 (en) Bill handling machine
JP3086167B2 (ja) 紙幣処理機
KR101017073B1 (ko) 지폐감별기능 및 자동결속기능을 갖는 다중포켓 지폐계수기및 그의 구동제어방법
JP3284040B2 (ja) 紙幣処理機
JPH0198553A (ja) シート処理装置
EP1881462B1 (en) Paper-sheet handling apparatus
RU2474880C1 (ru) Обработчик документов
JP3197810B2 (ja) 紙幣処理機
KR100366418B1 (ko) 지폐자동지급기
KR100366417B1 (ko) 지폐자동지급기
KR100333616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자동지급방법
KR102323433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CN209993030U (zh) 一种纸币推压机构以及纸币存取款箱
KR100555828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픽업롤러 위치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8930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방법
JPS6112535A (ja) 紙葉類供給装置
JP2003335453A (ja) 丁合装置
KR102644437B1 (ko) 지폐 출금기
US5540544A (en) Intermediate sheet storage means
KR940001008Y1 (ko) 현금 자동 지급기
KR10034704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제어회로
WO2016132609A1 (ja) 媒体引渡装置及び媒体集積受渡機構
KR100353371B1 (ko) 매체자동지급기
JP3046155B2 (ja) 紙葉類入出金機における紙葉類収納繰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