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1865B1 - 안과질환치료용카르보스티릴유도체 - Google Patents

안과질환치료용카르보스티릴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865B1
KR100281865B1 KR1019980702671A KR19980702671A KR100281865B1 KR 100281865 B1 KR100281865 B1 KR 100281865B1 KR 1019980702671 A KR1019980702671 A KR 1019980702671A KR 19980702671 A KR19980702671 A KR 19980702671A KR 100281865 B1 KR100281865 B1 KR 10028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active ingredient
salt
carbostyry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187A (ko
Inventor
히로끼 우라시마
야스히로 다께지
히사시 시노하라
시게끼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오오쓰까 아끼히꼬
오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쓰까 아끼히꼬, 오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쓰까 아끼히꼬
Publication of KR1999006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42-Quinolinones, e.g. carbosty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
[화학식 I]
[식중, R 은 할로겐 원자이고, 카르보스티릴 뼈대내 식측쇄의 치환위치는 3- 또는 4-위치이고, 및 카르보스티릴 뼈대내 3- 및 4-위치간의 탄소-탄소 결합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과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과질환 치료제{CARBOSTYRIL DERIVATIVE FOR CURING OPHTHALMOLOGICAL DISEASES}
화학식 I 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일본특허공고공보 제 63-35623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항-위궤양제로서의 효능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3-74329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안과활성을 갖는 상기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일본특허출원공개공보 제 3-145468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반응성 산소 대사물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문헌 [Japan. J. Pharmacol., Vol. 49, pp. 441-448 (1969)] 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에 의한 위점막의 보호는 문헌 [Folia Pharmacol. Japon., Vol. 97, pp. 371-380 (1991)] 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효능은 국제공고공보 제 WO 92/21342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질병으로부터의 장점막 보호제로서의 효능은 국제공고공보 제 WO 94/12182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소마토스태틴 분비감소 억제제로서의 효능은 국제공고공보 제 WO 93/2304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안구건조증" (xerophthalmia) 은 안구표면이 눈물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정상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눈의 발병상태 (pathema) 이다. 또한, 안구표면의 점막 (각막 및 결막의 상피) 은 눈물량의 비정상적인 부족 뿐만아니라 눈물의 비정상적인 성질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 [참조. DORAI-AI (안구건조증), 11쪽, Kazuo TSUBOTA, NIPPON-HYORONSHA 출판]. 상기와 더불어, 이러한 안구건조증상은 눈물의 비정상적인 상태 (양 및 성질) 이 수반되는 쇼그렌증후군 (Sjbgren's syndrome) 의 경우에서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안구건조증상은 스티븐스-존슨(Stevens-Johnson) 증후군의 말기단계에 일어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각막 및 결막이 손상되었음이 관찰된다.
누액 (淚液: lacrima) 은 두께 7 ㎛ 의 매우 엷은 액체층으로서, 안구전면의 최외층 (extima layer) 을 덮고 있으며, 지질층, 수성층 및 점액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3층상 구조이다. 누액의 최외표면층상에 존재하는 지질층은 오일성 막으로, 눈꺼풀의 주변에 위치한 마이봄선 (meibomian gland) 에서 주로 생성 및 분비되며, 수성층 전체를 덮고 있다. 상기 지질층은 수성층의 물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수성층은 누액층의 대부분을 점유하며, 성분의 98% 가 물인 소위 "눈물" 부분이다. 상기 수성층의 양이 감소되는 발병상태를 "안구건조증" 이라 부른다. 점액층은 각막상피의 소수성 표면을 덮고 있으며, 상기 점액층은 각막상피의 소수성 표면을 친수성으로 변화시켜 누액내 수성층을 유지 및 확장시켜, 수성층이 각막상피의 표면상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액층 생성과 관련된 세포가 결막내에 포함되어 있는 잔모양세포(盞模樣細胞; Goblet cell) 이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안구건조증" 의 도입을 직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누액은 다양한 조직세포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안구건조증" 의 개념이 복잡하기 때문에, 눈물방울 제조의 일반적인 유형은 단지 일시적인 의학적인 측정만을 제공하며, 따라서 현 단계에서는 "안구건조증" 의 기본적인 의학적 치료방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안구건조증" 치료의 신규방법 및 신규 치료제가 매우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안과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식중, R 은 할로겐 원자이고, 카르보스티릴 뼈대내 식측쇄의 치환위치는 3- 또는 4-위치이고, 및 카르보스티릴 뼈대내 3- 및 4-위치간의 탄소-탄소 결합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상 "안구건조증" 이라 불리는 안과질환, 특히 안구건조증후군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알시안 블루우(Alcian blue) 결합법에 의해 측정된, 정상적인 토끼의 결막을 덮고 있는 점액물질의 양에 대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정상적인 토끼의 잔모양세포의 수에 대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정상적인 토끼에서 분비된 눈물량에 대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정상적인 토끼의 각막상피세포의 증식에 대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로즈 벤갈 스코어 방법에 의해 측정된 정상적인 토끼의 점액 피막염 (mucoid capsulitis) 에 대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깜박거림을 막음으로써 유발되는 정상적인 토끼의 각막상피 상해에 대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알시안 블루우 결합법에 의해 측정된, 점액층을 제거한 정상적인 토끼에서 결막을 덮고 있는 점액물질의 증가량에 대한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집중적인 연구작업의 결과로,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I 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특히 이중에서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이 잔모양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 안구전면의 점액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 각막상피세포의 증식을 가속화시키는 효과, 및 누액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카르보스티릴 유도체가 안구건조증 치료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화학식 I 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특히 이중에서,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은 잔모양세포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안과학적 뮤신의 생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안구건조증" 의 경우 뮤신양의 감소를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은 누액내 수성층을 유지시키도록 눈의 점액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은 누액량의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안구건조증"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안구건조증상을 나타내는 쇼그렌증후군 및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의 치료뿐만 아니라, "안구건조증" 또는 잔모양세포수의 감소 및 점액량의 저하로 발생하는 다양한 안과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2차 질환 (deuteropathy) 의 방지 및/또는 치료에 유용한 제제이다. "안구건조증"의 경우, 눈은 안구의 표면이 건조하기 때문에 상해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이 점에 대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이 각막l상피세포의 증식을 가속화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화합물은 안구표면의 상처 치료제, 특히 각막상피 치료제 또는 안내 (intraocular) 관류용 제제 및 안과수술 (백내장, 투명체 및 녹내장 수술 포함) 에 사용되는 세정제내에 포함되는 활성성분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안과질환 치료제는,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I 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제형화함으로써,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제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제제 형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 또는 부형제, 예를 들어, 충진재,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과 함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I) 를 제형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치료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형태의 대표적인 예로는 안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제제, 예를 들어 점안제제 및 안연고 등이 있다.
점안제제 및 안연고에 추가하여,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환약, 분말, 액상약, 현탁액, 유화액, 과립, 캡슐, 좌약, 주사제제 (액체, 현탁액 등), 에어로졸제제, 시럽제제, 외용제제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수지와 함께 제형화시킴으로써 서방제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점안액, 안연고 등의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시키는 경우, 이들은 안과용 약제학적 제제에 허용가능한 통상적인 부형제 (희석제)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따라서, 유효성분을 적절한 희석제와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멸균처리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안연고를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기재물질, 예를 들어 유화액형 연고기재, 수용성형 연고기재, 현탁액형 연고기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물질의 전형적인 예로는, 백색 바셀린, 정련 라놀린, 액상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점안제제를 제조하는 경우, 대표적인 희석제로 멸균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용해첨가제, 완충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장제, pH-조절제 등을 안과목적으로 적용가능한 약제학적 제제와 함께 제형화시킬 수 있다. 용해첨가제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등; 폴리에틸렌 글리콜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올리에이트 등;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질산, 질산나트륨,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나트륨,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ε-아미노카프로산, 글루탐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클로로부탄올, 염화벤즈알코늄, 염화벤제토늄, 페닐수은염, 티메로살, 펜에틸 알코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을 들 수 있다. 등장제로는,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D-만니톨,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제로는, N-메틸글루카민을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로는, 수산화나트륨, 염산 등을 들 수 있다.
정제형태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의의 공지된 담체, 예를 들어, 락토오스, 백설탕,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우레아, 전분, 탄산칼슘, 카올린, 결정 셀룰로오스, 규산 등과 같은 부형제; 물, 에탄올, 프로판올, 심플시럽, 글루코오스용액, 전분용액, 젤라틴용액,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셸렉, 메틸 셀룰로오스, 인산칼륨,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건조전분, 알긴산나트륨, 한천 분말, 라미나린 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리드, 전분, 락토오스 등과 같은 붕괴제; 백설탕, 스테아린, 카카오 버터, 수소화 오일 등과 같은 분해저해제; 제4암모늄 염기,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등과 같은 흡수촉진제; 글리세린, 전분 등과 같은 습윤제; 전분, 락토오스, 카올린, 벤토나이트, 콜로이드성 규산 등과 같은 흡착제; 정련 탈크, 스테아린산염, 붕산분말,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정제는 통상 코팅된 정제, 예를 들어, 슈가-코팅된 정제, 젤라틴 필름-코팅된 정제, 장 필름-코팅된 정제, 필름-코팅된 정제, 또는 이중층 정제, 다층 정제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환약형태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전분, 카카오 버터, 수소화 식물성 오일, 카올린, 탈크 등과 같은 부형제; 아라비아고무 분말, 트래거캔스고무 분말, 젤라틴, 에탄올 등과 같은 결합제; 및 라미나린, 한천-한천 등과 같은 붕괴제를 들 수 있다.
좌약형태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카오 버터, 고급알코올, 고급알코올 에스테르, 젤라틴, 반-합성 글리세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제형태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멸균되며 바람직하게는 혈액과 등장액 상태로 만들어진다.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주사제제를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에톡시화된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혈액과 등장상태인 주사제제로 만드는 경우, 충분한 양의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또는 글리세린을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해 보조제, 완충액, 진통제 등을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착색제, 방부제, 방향제, 향미제, 감미제 및 기타 약물을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외용제제는 외용의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제 형태로 제조된다. 외용의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제로는, 예를 들어, 액상의약, 의약용 오일, 로션, 바르는 약, 유성연고, 유화액형 연고 (O/W 형 친수성 연고 및 W/O 형 흡수성 연고), 수용성 연고, 파스타, 고약, 패취, 크림, 유화액 등이 있으며, 상기 외용 약제학적 제제의 형태는 본 실시예의 범위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용 약제학적 제제 형태 각각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용 제제의 성형에서,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기재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종 이상의 유성 기재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1종 이상의 수용성 연고 기재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고 기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땅콩기름, 참기름, 콩기름, 잇꽃기름, 아보카도 오일, 해바라기 오일, 옥수수유, 평지씨기름, 면실유, 피마자유, 동백기름, 코코넛 오일, 올리브유, 양귀비씨기름, 카카오 버터, 우지, 라아드, 양모지(羊毛脂) 등과 같은 지방 및 오일; 상기 지방 및 오일에 수소화와 같은 화학적 변화를 실시하여 수득되는 개질 기재; 페트로라툼, 파라핀, 실리콘 오일, 스쿠알렌 등과 같은 미네랄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n-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리놀산염, 아세틸 리시놀산염, 스테아릴 리시놀산염, 프로필 리시놀산염, 이소프로필 리시놀산염, 이소부틸 리시놀산염 , 헵틸 리시놀산염, 디에틸 세바크산염 및 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염과 같은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세틸 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과 같은 고급지방족 알코올; 표백꿀벌왁스, 경랍, 일본왁스, 라놀린, 카르나우바왁스, 셸렉왁스 등과 같은 왁스; 스테아린산, 올레산, 팔미트산 등과 같은 고급지방산; 탄소수 12 내지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모노-, 디- 및 트기-글리세리드 혼합물;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배틸 알코올,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등과 같은 폴리히드릭 알코올; 아라비아고무, 벤조산고무, 유창목기름, 트래칸스고무 등과 같은 고무물질; 젤라틴, 전분, 카제인, 덱스트린, 펙틴, 펙트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수용성 천연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등과 같은 수용성 합성 고분자 화합물;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물을 들 수 있다.
외용 약제학적 제제에는, 겔화제, 보존제, 산화방지제, 완충액, pH 조절제, 습윤제, 방부제, 착색제, 방향제, 안료, 농후제, 금속 킬레이트화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형 제제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I) 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을 추진제와 함께 제형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로 성형하는 경우, 또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희석제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주사제제의 제형화에서 예시된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추진제에 대해서는, 또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추진제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화가스 추진제, 예를 들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또는 트리플루오로디클로로에탄과 같은 클로로플루오로카본; 질소가스, 이산화탄소가스 등과 같은 압축가스 추진제를 들 수 있다. 에어로졸형 제제는 통상적인 용해보조제, 완충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착색제, 방부제, 방향제, 향미제, 감미제를 거기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질환 치료제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구체적으로 제한이 없으며, 넓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0.0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 제제의 투여방법은 구체적으로 제한이 없다. 따라서, 본 제제는 제제의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기타 조건, 환자의 질환상태의 정도에 따라 안과용도에 허용가능한 통상의 약제학적 제제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 제제의 대표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눈을 덮음으로써 안연고를 투여한다. 점안제제는 통상적인 점안제제에서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투여되며, 예를 들어, 점안제제 한두방울을 적절한 점안제제용기로부터 눈에 떨어뜨린다. 또한, 점안제제는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눈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 제제의 기타 투여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환약, 액상제제, 현탁액제제, 유화액제제, 과립제제, 시럽제제 및 캡슐제제를 경구적으로 투여한다. 주사제제는 단독으로 또는 통상적인 보조 용액,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용액 및/또는 아미노산 용액과 함께 정맥내로 투여된다. 필요한 경우, 주사제제를 단독으로 근육내, 피부내, 피하 또는 복강내 투여한다. 좌약은 직장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 제제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환자의 연령, 성별, 및 기타 조건, 및 환자의 질환상태의 정도 및 기타 관련인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점안액 또는 안연고를 일일 1 내지 15 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회의 범위내에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안과질환 치료제는 약제학적 제제 및 약학적 실험의 예를 예증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약제학적 제제 1 의 실시예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0.20 g
염화벤즈알코늄 0.01 g
인산이수소나트륨 0.56 g
인산이수소칼륨 0.80 g
증류수 적정량
총 100.00 ml
상기 언급된 성분 각각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을 멸균 및 적당한 여과지로 여과시켜 점안제제 형태의 본 발명 제제를 제조하였다.
약학적 시험 1
(1) 시험액
본 발명 안과질환 치료제의 유효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 칭함) 을 사용하여 하기의 용해액 및 현탁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a) 3% 용해액
본 발명의 화합물 3.00 g
메글루민 (N-메틸글루카민) 2.64 g
농축 글리세린 1.80 g
염산 적정량
10% 벤즈알코늄 0.10 ml
물 적당량을 첨가하여 전제부피를 100 ml 로 만듦
pH 8.3 내지 9.3 의 범위로 조정
b) 3% 현탁액
본 발명의 화합물 3.00 g
인산이수소나트륨 0.40 g
인산일수소나트륨 0.47 g
염화나트륨 0.50 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 0.20 g
폴리소르베이트 80 0.16 g
10% 염화벤즈알코늄 0.10 ml
물 적당량을 첨가하여 전제부피를 100 ml 로 만듦
pH 7.5 내지 7.5 범위로 조정
한편, 대조시험으로는 시험액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및 결과
3 마리 정상 토끼의 양쪽 눈에, 상기 언급된 시험액을 1회 투여당 한쪽눈에 50 ㎕ 씩 점안투여하였다. 시험군 및 대조군 각각은 3 마리의 토끼로 구성되며, 따라서, 각각의 군에서 6 개의 눈을 사용하였다. 일일 6회 투여하였고, 2주간 계속하였다. 이후, 각가의 토끼를 죽여, 하기의 3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i) 결막표면상에 덮여있는 점액물질량의 측정 (알시안 블루우 결합법에 의한 측정)
상기 언급된 정상 토끼를 죽여, 토끼의 전제 결막을 적출하였다. 다음, 적출된 결막을 0.25 M 수크로오스 빙냉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결막조직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결막을 실온에서 1.5 시간동안 10 ml 의 0.1% 알시안 블루우 용액에 항온배양시킨 후, 0.25 M 수크로오스 수용액으로 15분간 세정하고, 동일 용액으로 45분간 더 세정하였다. 상기 수득된 결막을 10 ml 의 0.5 MgCl2수용액에서 2 시간동안 더 항온배양하여, 결막의 점액층에 결합되어 있는 염료를 추출하였다.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10 ml 의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시키고, 수성층의 광학밀도를 605 nm 에서 측정하고, 조직중량당 광학밀도 (O.D. 유니트/조직 1 g) 를 계산하였다 (평균값 ± S.E., n = 4 개의 눈).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 용해액 및 3% 현탁액 (양쪽 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각각 함유) 을 점안액에 의해 투여한 시험군 정상토끼의 결막을 덮고 있는 점액물질과 결합하고 있는 염료 (알시안 블루우) 의 양은 대조군 토끼에서 측정한 것과 비교하여 보다 큰 수치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막표면을 덮고 있는 점액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ii) 결막에 포함되어 있는 잔모양세포수의 측정 (임프레션 사이톨로지 방법에 의한 측정)
상기 언급된 시험액으로 처리된 토끼눈의 상부 위치에 있는 비루관(nasolacrimal duct)과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구상 결막 부분을 살짝 건조시킨 후, 1 장의 밀리포어 필터를 위에 놓고 상기 필터를 눌러 결막상피세포 및 잔모양세포 시료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세포를 70% 에탄올로 고정시키고, 주기적 산-쉬프 반응 (periodic acid-Schiff reaction: PAS) 및 헤마톡실린을 이용하여 염색하고, 이렇게 염색된 밀리포어 필터를 크실렌을 사용하여 투명화시키고, 프레파라티브 글래스의 공간에 둘렀다. 상기 수득된 프레파라티브 글래스내 시료의 사진을 찍고, 단위면적(0.09 ㎟)당 잔모양세포의 수 (평균값 ± S.E., n = 4 개의 눈) 를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 용해액 및 3% 현탁액 (양쪽 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각각 함유) 을 점안액에 의해 투여한 시험군 정상토끼의 결막에 포함되어 있는 잔모양세포의 수는 대조군 토끼에서 측정한 것과 비교하여 보다 큰 수치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점액물질의 양뿐만 아니라 누액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나타낸다.
(iii) 누액량의 측정 (셔머 시험 I 의 수정된 방법에 의해 측정)
상기 언급된 시험액으로 처리된 시험군의 정상 토끼에, 누액량을 측정하기 위한 하기의 시험 5분전에 30 ㎕ 의 베녹실(Benoxil: 상표명, 점안액 용도의 0.4% 옥시부프로케인 염화수소 용액, Santen Pharmaceutical Co., Ltd.)을 점안투여하였다. 상기 토끼를 4분간 그대로 방치하고, 안구표면의 누액을 닦아내었다. 1 분후, 셔머 시험지 1 장을 하부 눈꺼풀과 안구표면사이의 안쪽에 집어넣었다 (누액량의 측정을 시작). 토끼를 5 분간 그대로 방치한 후, 셔머 시험지에 스며든 누액의 길이 (mm) (평균값 ± S.E., n = 4 개의 눈) 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 용해액 및 3% 현탁액 (양쪽 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각각 함유) 을 점안액에 의해 투여한 시험군 정상토끼의 누액량은 대조군 토끼에서 측정한 것과 비교하여 보다 큰 수치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조군 토끼에서 나타난 것과 비교하여 누액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약학시험 2
(1) 실험방법
뉴질랜드 백색 암컷 토끼의 안구를 적출하여, 공각막의 시료편을 제조하였다. 양안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면서 상기 시료편으로부터 데스메막(Descemet's membrane) 및 내피세포를 벗겨낸 후, 상기 공각막 시료편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로 4 내지 5 회 세정하여 시료를 무균상태 (asepsis) 로 만들었다. 다음으로, 상기 무균 공각막 시료편을 덜베코 수정 이글 배양배지 F12 (DME/Fl2) (1:1) 에 침지시키고, 면도칼을 이용하여 모든 각막시료 각각을 2 - 3 mm 길이의 약 20 개의 소형 사각 시료 블록으로 잘라내었다. 직경 60 mm 의 조직배양접시에, 7 내지 8 개의 상기 소형 각막 시료 블록을 넣고, 접시바닥에 블록의 아랫면을 부착시켜 각막 상피를 위로 향하게 하여, 10% FCS, 10 ng/ml hEGF 첨가-DME/Fl2 (1:1) 를 함유하는 배양배지에서 5% CO2-95% 공기하 37℃ 에서 배양하였다 . 배양 2 일후, 소형 각막상피 시료 블록을 배양배지로부터 취하고, 배지를 교환하였다.
4 - 5 일간 배양을 계속한 후 (배양배지를 1 - 3 회 교환),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소형 각막상피 시료 블록을 인산 완충액으로 세정하고, 세포를 0.1% 트립신 - 0.02% EDTA 용액에 띄우고, 10% FCS 를 함유하는 DME/Fl2 (1:1) 배양배지에 현탁시키고, 다음에 상기 현탁액을 12 개의 웰을 갖는 멀티웰 배양접시에 1 x 104세포/웰 씩 접종하였다. 약 12 시간후, 배양배지를 1% FCS 를 함유하는 다른 DME/Fl2 배지로 교환하고, 약학시험 1 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DMSO 에 용해시켜 10-4내지 10-6M 농도로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한 지 48 시간 후,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양배지를 교환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한 지 96 시간 후, 세포를 0.1% 트립신 - 0.02% EDTA 용액에 띄우고, 쿨터 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의 수를 세었다 (평균값 ± S.E., n = 6 개의 눈). 참조시험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대신에 히알루론산나트륨 (1 mg/ml) 을 사용하였다. 대조시험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DMSO 를 사용하였다.
(2) 시험결과
결과를 도 4 에 나타낸다.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로 각막상피를 처리한 경우, 각막상피증식을 증가시키는 활성을 가진 화합물로 인지되어 있는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이용한 참조실험에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하여, 각막상피증식을 증가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4 에서, 부호 "★" 는 대조군에 대해 p 〈 0.05 임을 의미하고; 부호 "★★" 는 대조군에 대해 p 〈 0.01 임을 의미한다.
약학시험 3 (강제적인 블로윙에 의해 제조된 안구건조증 모델의 시험)
(1) 시험액
본 발명 안과질환 치료제 유효성분의 특정예로,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 칭함) 을 사용하여 하기의 1% 점안액을 제조하고, 이를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1% 점안액
본 발명의 화합물 0.50 g
메글루민 (N-메틸글루카민) 1.32 g
농축 글리세린 0.45 g
10% 벤즈알코늄 50 ㎕
생리식염수 적당량을 첨가하여 전제부피를 50 ml 로 만듦
pH 8.8 내지 9.3 범위로 조정
삼투압 290 내지 300 mOsm
대조시험으로,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의 용해제를 참조로 사용하였다.
(2) 안구건조증 모델의 제조방법 (점액낭염(mucoid capsulitis) 및 각막상피상해)
시험에 뉴질랜드 백색 암컷 토끼를 사용하였다. 토끼의 순막(瞬膜) 을 시험전에 절제하였다.
토끼의 양쪽 눈에, 마취제로서, 근육에 200 mg/체중 의 케타민 염화수소를 주사에 의해, 4% 옥시부프로카인 연화수소 용액을 2 방울/눈의 투여량으로 투여하였다.
드라이어와 각막간의 거리를 10 cm 로 유지하면서, 각막 전면 방향에서 10분동안 바람을 쪼였다. 누액을 증발시키고, 각막표면을 건조시킴으로써 점액낭염 및 각막상피상해를 유도하였다.
(3) 시험화합물의 투여
드라이어로 바람을 쪼이기 2주전에, 1% 점안액을 투여하였다. 드라이어로 바람을 쪼여 안구건조증 모델을 제조한 후, 1% 점안액을 2주동안 투여하였다. 1% 점안액의 투여를 투여 전후로 2.5 시간의 간격으로 일일 4회 실시하였다.
대조시험으로, 참조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 용해제를 사용하였다.
(4) 평가방법 및 결과
시험결과를 1% 점안액 투여전; 바람쪼이기 실시전; 바람을 쪼인 후 1, 4, 7, 10 및 14 일째에 대해 하기의 2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i) 로즈 벤갈 염료를 이용한 인트라바이탈 염색방법에 의한 손상된 각막의 스코어 평가
점액물질로 덮여있지 않은 각막세포를 로즈 벤갈 염료를 이용한 인트라바이탈 염색방법에 의해 염색하고, 시험군 토끼 각막의 점액낭염을 하기의 스코어 평가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각막의 염색정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균값 ± S.E., n = 10 개의 눈).
스코어 평가 (3 점 만점)
스코어 0 : 각막이 전혀 염색되지 않음.
스코어 1 : 전체 각막 지역의 1/3 미만이 균일하게 염색되거나, 또는 전체 각막 지역의 2/3 미만이 반점으로 염색.
스코어 2 : 전체 각막 지역의 1/3 내지 2/3 이 균일하게 염색되거나, 또는 전체 각막 지역의 1/3 미만의 지역이 균일하게 염색되고 또한 염색된 반점이 관찰.
스코어 3: 전체 각막 지역의 2/3 이상이 균일하게 염색되거나, 또는 전체 각막 지역의 1/3 - 2/3 이 균일하게 염색되고 또한 염색된 반점이 관찰.
결과를 도 5 에 나타낸다.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 점안액을 투여한 시험군 뉴질랜드 백색 토끼의 각막의 로즈 벤갈 염료를 이용한 인트라바이탈 염색 스코어는 대조군에서 나타난 것보다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쪼이기 방법에 의해 유발된 점액낭염을 현저하게 저해하며 치료하였다.
(ii) 플루오레세인-Na 염료를 이용한 인트라바이탈 염색방법에 의한 손상된 각막의 스코어 평가
플루오레세인-Na 염료를 이용한 인트라바이탈 염색방법에 의해 세포의 손상부 및 세포간 공간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염색하고, 시험군 토끼 각막의 점액낭염을 상기 언급된 로즈 벤갈 염료를 이용한 인트라바이탈 염색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게 스코어를 기준으로 하여 각막의 염색정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균값 ± S.E., n = 10 개의 눈).
결과적으로, 바람을 쪼인지 1일째 플루오레세인 스코어와 비교하여, 대조군의 스코어는 2 이상인 반면, 1% 점안액을 투여한 시험군 뉴질랜드 백색 토끼의 스코어는 약 1 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을 쪼이는 법에 의해 유도된 점액낭염을 현저하게 저해하며 치료하였다.
약학시험 4 (깜빡거림을 방해함으로써 제조된 안구건조증 모델의 시험)
(1) 시험액
약학시험 3 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1% 점안액 (본 발명의 화합물을 1% 함유하는 점안액) 을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대조시험으로, 본 발명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 용해제를 사용하였다.
(2) 안구건조증 모델 제조방법
시험용으로 뉴질랜드 백색 암컷 토끼를 사용하였다. 시험전에 토끼의 순막을 절제하였다.
토끼의 양쪽눈에, 마취제로서, 2 g/체중의 우레탄을 주사에 의해 복강에 투여하였다. 토끼의 눈꺼풀을 검안경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개방시켜 놓고 25℃ 에서 2시간동안 그대로 두었다. 누액을 증발시키고, 각막표면을 건조시키고, 안구건조증 모델로서의 손상된 각막 상피를 제조하였다.
(3) 시험화합물의 투여
깜빡거림을 방해하기 2주전에, 1% 점안액을 2.5 시간 간격으로 일일 4 회 투여하였다. 깜빡거림을 방지하기 5분전에 점안액의 최종 투여를 실시하였다.
대조시험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 용해제를 참조로 사용하였다.
(4) 평가방법 및 결과
깜빡거림 방해를 종료한 후, 시험군 토끼에게 1% 메틸렌 블루우 용액 50 ㎕ 을 점안액으로 투여하고, 눈을 생리식염수로 완전히 세정하였다.
이후, 과량의 펜토바비탈 주사액을 투여하여 죽여 각막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각막으로부터 아세톤 : 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 7 : 3 혼합물을 이용하여 메틸렌 블루우를 밤새 추출하였다. 상기 수득된 추출물의 660 nm 에서의 광학밀도를측정하고, 각막 상피의 손상부에 염색된 메틸렌 블루우를 계산하였다 (평균값 S.E., n = 8 개의 눈).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도 6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깜빡거림을 방해함으로써 유도되는 각막상피의 상해를 현저하게 저해하였다.
약학시험 5 (결막의 점액층을 제거하여 제조된 안구건조증 모델의 시험)
(1) 시험액
약학시험 3 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1% 점안액 (본 발명의 화합물을 1% 함유하는 점안액) 을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대조시험으로, 본 발명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 용해제를 사용하였다.
(2) 안구건조증 모델 제조방법
10% 농도의 N-아세틸시스틴 용액을 1일간 2 시간 간격으로 6 회 점안액을 점적하여 뉴질랜드 백색 암컷 토끼 결막의 점액층을 용해 및 제거함으로써 안구건조증 모델을 제조하였다.
(3) 시험화합물의 투여
1% 점안액을 2.5 시간간격으로 일일 4회 2주간 계속 투여하였다.
대조시험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 용해제를 참조로 사용하였다.
(4) 평가방법 및 결과
1% 점안액 투여를 시작한 지 2주후, 토끼를 과량의 펜토바비탈 주사액을 투여하여 죽인 후 각막을 적출하였다. 약학시험 1, (2) (i) 의 알시안 블루우 결합법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결막을 덮고 있는 점액물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평균값 ± S.E., n = 6 개의 눈).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 점안액을 투여한 시험군 뉴질랜드 백색 토끼의 결막에 덮여있는 점액물질상에 결합되어 있는 염료의 양, 결막을 덮고 있는 점액물질의 양은 대조군에서 나타난 것조다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막을 덮고있는 점액물질의 양을 거의 정상상태의 안구표면상에서의 수준 이상으로 증가시켰다.
도 7 에서, 부호 "#" 는 정상적인 상태의 운에 대해 p 〈 0.05 임을 의미하고 (t-test); 부호 "★★" 는 대조군의 눈에 대해 p 〈 0.01 임을 의미한다 (t-test).
본 발명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는 안구건조증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 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의 잔모양세포 (盞模樣細胞) 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제제:
    [화학식 I]
    [식중, R 은 할로겐 원자이고, 카르보스티릴 뼈대내 식측쇄의 치환위치는 3- 또는 4-위치이고, 및 카르보스티릴 뼈대내 3- 및 4-위치간의 탄소-탄소 결합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2. 청구항 1 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제제.
  3. 청구항 1 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에서 분비되는 누액의 양을 증가시키는 제제.
  4. 청구항 1 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xerophthalmia) 치료용 제제.
  5. 청구항 1 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의 각막상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이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잔모양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제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이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제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이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에서 분비되는 누액의 양을 증가시키는 제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이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제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이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퀴놀론-4-일)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각막상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제제.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과용도에 적합한 약제학적 제제 형태인 제제.
KR1019980702671A 1995-10-12 1996-10-01 안과질환치료용카르보스티릴유도체 KR100281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63896 1995-10-12
JP26389695 1995-10-12
JP96-57337 1996-03-14
JP5733796 1996-03-14
PCT/JP1996/002850 WO1997013515A1 (en) 1995-10-12 1996-10-01 Carbostyril derivative for curing ophthalmological disea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187A KR19990064187A (ko) 1999-07-26
KR100281865B1 true KR100281865B1 (ko) 2001-02-15

Family

ID=2639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671A KR100281865B1 (ko) 1995-10-12 1996-10-01 안과질환치료용카르보스티릴유도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060486A (ko)
EP (1) EP0859615B1 (ko)
KR (1) KR100281865B1 (ko)
CN (1) CN1132580C (ko)
AR (3) AR004214A1 (ko)
AT (1) ATE201992T1 (ko)
AU (1) AU709734B2 (ko)
CA (1) CA2234247C (ko)
DE (1) DE69613386T2 (ko)
DK (1) DK0859615T3 (ko)
ES (1) ES2159043T3 (ko)
GR (1) GR3036457T3 (ko)
MX (1) MX9802817A (ko)
PT (1) PT859615E (ko)
TW (1) TW446702B (ko)
WO (1) WO1997013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6412B2 (en) 2000-11-29 2003-01-14 Sciencebased Health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US6623754B2 (en) * 2001-05-21 2003-09-23 Noveon Ip Holdings Corp. Dosage form of N-acetyl cysteine
DE10133870A1 (de) * 2001-07-12 2003-02-06 Chris P Lohmann Ophthalmisches Mittel, Verwendung von EGF zur Behandlung von Dry Eye-Syndrom und Insert zur Verabreichung von EGF am Auge
KR100907407B1 (ko) * 2002-09-28 2009-07-10 주식회사 케이티 대량 메시지 동보 전송을 위한 메시지 예약 및 전송 방법
KR100681360B1 (ko) * 2003-07-30 2007-02-12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타액분비 촉진용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ES2381672T3 (es) * 2003-11-14 2012-05-30 Senju Pharmaceutical Co., Ltd. Preparación en solución acuosa que comprende un antibiótico aminoglicósido y bromfenaco
TWI340650B (en) 2004-01-21 2011-04-21 Otsuka Pharma Co Ltd Amine saly of carbostyril derivative
JPWO2006022291A1 (ja) 2004-08-27 2008-05-08 千寿製薬株式会社 ドライアイ治療用点眼液
TWI363626B (en) * 2004-11-15 2012-05-11 Otsuka Pharma Co Ltd Aqueous ophthalmic suspension of crystalline rebamipide
TW200808375A (en) * 2006-05-12 2008-02-16 Otsuka Pharma Co Ltd Hydrogel suspens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TWI415629B (zh) * 2006-10-26 2013-11-21 Otsuka Pharma Co Ltd 含有瑞巴匹特之水性醫藥懸浮物及其製造方法
AU2009261101B2 (en) * 2008-06-19 2013-11-07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ebamipide
US9248196B2 (en) 2011-02-25 2016-02-02 Nuformix Limited Rebamipide complexes and cocrystals
TW201322982A (zh) 2011-11-01 2013-06-16 Otsuka Pharma Co Ltd 用於治療前眼疾病之藥劑,該藥劑包含瑞巴派特及眼淚保持劑
KR101692578B1 (ko) * 2013-04-18 2017-01-03 삼진제약주식회사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용 약제학적 조성물
EP3954269A1 (en) * 2014-05-02 2022-02-16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Grading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KR20170039347A (ko) 2015-10-01 2017-04-11 삼진제약주식회사 레바미피드를 함유하는 신규한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7958B1 (ko) 2015-10-01 2021-10-05 삼진제약주식회사 레바미피드를 함유하는 신규한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BR112019018367A2 (pt) * 2017-03-05 2020-04-07 Resdevco Res And Development Co Ltd uso de uma preparação oftálmica para tratamento de irritação não decorrente de infecção
KR102615076B1 (ko) 2021-07-14 2023-12-19 대우제약 주식회사 안정한 레바미피드 점안제의 대용량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0022C (fi) * 1982-07-05 1990-04-10 Otsuka Pharma Co Ltd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nytt, terapeutiskt anvaendbart karbostyrilderivat.
JPH0713138B2 (ja) * 1986-07-30 1995-02-1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メチレンエ−テルグリコ−ルの製法
EP0543018B1 (en) * 1991-06-07 1996-01-10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Antidiabetic agent
TW227558B (ko) * 1992-05-14 1994-08-01 Otsuka Pharma Co Ltd
CN1105799A (zh) * 1993-03-18 1995-07-26 大制药株式会社 作为基质金属蛋白酶抑制剂的喹诺酮衍生物
JP2839847B2 (ja) * 1993-10-21 1998-12-16 大塚製薬株式会社 インターロイキン−8産生抑制剤
KR970704439A (ko) * 1994-08-10 1997-09-06 오쓰카 아키히코 눈의 염증 및/또는 상처의 예방 및 치료 방법(Method of preventing and treating ophthalmic inflammation and/or w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3386D1 (de) 2001-07-19
DE69613386T2 (de) 2002-05-23
ES2159043T3 (es) 2001-09-16
ATE201992T1 (de) 2001-06-15
CA2234247A1 (en) 1997-04-17
AU7097596A (en) 1997-04-30
EP0859615B1 (en) 2001-06-13
AR070051A2 (es) 2010-03-10
US6060486A (en) 2000-05-09
CN1202108A (zh) 1998-12-16
PT859615E (pt) 2001-09-28
CA2234247C (en) 2005-05-10
GR3036457T3 (en) 2001-11-30
WO1997013515A1 (en) 1997-04-17
KR19990064187A (ko) 1999-07-26
MX9802817A (es) 1998-09-30
EP0859615A1 (en) 1998-08-26
AR004214A1 (es) 1998-11-04
TW446702B (en) 2001-07-21
DK0859615T3 (da) 2001-09-03
AR055393A2 (es) 2007-08-22
AU709734B2 (en) 1999-09-02
CN1132580C (zh)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865B1 (ko) 안과질환치료용카르보스티릴유도체
US6096733A (en) Drugs for topical application of sex steroids in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application
JP6106100B2 (ja) 眼瞼下垂症の非外科的治療用組成物および方法
EA001067B1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е растворы, загущенные с помощью полисахаридов семян тамаринда
JPH02164830A (ja) シクロスポリン眼科用組成物
JP3093661B2 (ja) 眼疾患治療剤
CA2546053A1 (en) Amelioration of cataracts,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ophthalmic diseases
US4826872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taract
EP0410749B1 (en) Anthocyanidins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s
CA2306371C (en) Use of flunarizine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glaucoma
KR100193406B1 (ko) 근시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225890B1 (en) Rivastigmine for the treatment of ocular disorders
EP3682867B1 (en) Lutein-containing ophthalmic composition
US20070178062A1 (en) Treatment of presbyopia with picolinic acid and its analogs
BRPI0708483A2 (pt) formulações farmacêuticas de latrunculina
US10702578B2 (en) Ophthalmic compositions of cyclosporine
US20240299291A1 (en) Ophthalmic preparation administered by eye drops and use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ry macular degeneration and retinal light damage
JPH0813739B2 (ja) 白内障治療剤
Rich Toxic drug effects on the cornea
JPH0625005A (ja) 緑内障の治療に有用な薬剤の製造のためのx−arg−gly−asp−yの使用法
IL303513A (en) Compounds for treating eye diseases and disorders
WO2006053150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on the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ocular hypertension
Sapeika Toxciology of the eye
Gore et al. A Review On: Ophthalmic Drug Dosage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040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