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4295B1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295B1
KR0174295B1 KR1019950036361A KR19950036361A KR0174295B1 KR 0174295 B1 KR0174295 B1 KR 0174295B1 KR 1019950036361 A KR1019950036361 A KR 1019950036361A KR 19950036361 A KR19950036361 A KR 19950036361A KR 0174295 B1 KR0174295 B1 KR 017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age
stand
flyweight
gover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72A (ko
Inventor
구니오 가토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1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는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플라이웨이트를 상시 작동하는 제1평형스프링과, 케이지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과속도 이상일때만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플라이웨이트를 작동하는 제2평형스프링과의 2개의 평형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설정속도를 각각 따로따로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설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설정속도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제1도 이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요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 제1도의 일부가 잘린 좌측면도.
제3도 제1도의 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구성도.
제4도 제1도의 가동측 로프캐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5도 제1도의 장치에서의 케이지속도와 플라이웨이트 회동각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도.
제6도 이 발명의 실시예 2를 표시하는 구성도.
제7도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한 예를 표시하는 구성도.
제8도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한 예를 표시하는 요부 정면도.
제9도 제8도의 종단면도.
제10도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요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호이스트(구동장치) 5 : 케이지
8 : 로프풀리 10 : 조속기로프
12 : 스탠드 12a : 설치부
13 : 로프풀리축 15 : 플라이웨이트
19 : 케이지정지용 스위치 21 : 래칫
31, 32 : 로드 34 : 제1평형스프링
37 : 제2평형스프링 39 : 누름스프링
42 : 가동측 로프캐치 43 : 훅 부재
45 : 걸림상태 보존스프링 46 : 고정측 로프캐치
47 : 푸시업로드 48 : 관통구멍
49 : 걸림해제돌기 50 : 로프캐치기구
이 발명은 케이지 또는 균형추의 과속도를 검출하여 비상정지장치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제7도에는, 예컨데 일본국 실개소 63-151480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2)내에는 구동장치로서의 호이스트(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호이스트(3)의 로프풀리(3a)에는 복수의 메인로프(4)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메인로프(4)의 한쪽 끝부분에는 케이지(5)가 접속되고, 메인로프(4)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케이즈(5)측의 중량을 보상하는 균형추(6)가 접속되어 있다.
기계실(2)의 바닥위에는 호이스트(3)에 인접하여 조속기(거버너)(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속기(7)의 로프풀리(8)에는 승강로(1)내에 아래로 매달린 끝이 없는 형상의 조속기로프(10)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로프(10)의 하부에는 장력풀리(9)가 매달려 있다.
또, 조속기로프(10)는 암(11)을 통하여 케이지(5)의 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조속기(7)는 케이지(5)의 속도가 규정이상으로 된때에 작동하고, 케이지(5)를 감속 또는 정지시킨다.
이하, 종래의 조속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8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한 예를 표시하는 요부정면도이며, 제9도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조속기로프(10)가 감겨진 로프풀리(8)는 로프풀리축(13)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스탠드(12)에 지지되어 있다.
로프풀리(8)의 측면에는 핀(14)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한쌍의 플라이웨이트(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플라이웨이트(15)는 링크(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플라이웨이트(15)는 로프풀리(8)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각 작동편(15a)이 로프풀리(8)의 직경방향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핀(1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한쪽의 플라이웨이트(15)의 다른쪽 끝부분과 로프풀리(8)사이에는 원심력에 대향하는 평형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12)에는 작동편(15a)과 대향하는 작동암(19a)을 가지는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19)가 어댑터(18)을 통하여 고착되어 있다.
각 플라이웨이트(15)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폴(Pawl)(15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12)의 베어링부(12a)의 베어링에는 래칫(ratchet)(21)이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 지지되어 있다.
이 래칫(21)에는 로프풀리(8)의 한방향으로의 회전시에만 폴(15b)이 걸어맞추는 톱니(21a)가 설치되어 있다.
또, 래칫(21)에는 로프캐치 보존용 훅(22)이 설치되고, 로프캐치(23)를 보존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지(5)의 승강과 동기하여 조속기용 로프(10)가 이동하므로서 로프풀리(8)가 회전한다.
이때 플라이웨이트(15)는 로프풀리(8)와 함께 회전하면서 로프풀리(8)의 회전속도, 즉 케이지(5)의 속도에 대응한 원심력을 받는다.
그리고, 케이지(5)의 속도가 소정치이상으로 되면, 플라이웨이트(15)는 평형스프링(17)에 반하여 핀(1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또, 케이지(5)의 승강속도가 소정치를 초과한 제1과속도(통상은 정격속도의 1.3배 정도)의 속도로 되면 원심력에 의한 플라이웨이트(15)의 변위에 의해 작동편(15a)이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19)의 작동암(19)에 접하여 작동암(19a)을 회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상기 스위치(19)가 작동하고, 호이스트(3)의 전원이 차단되어 케이지가 정지한다.
또, 예컨데 메인로프(4)가 파단한 경우 등 호이스트(3)가 정지하여도 케이지(5)가 정지하지 않고 하강을 계속하여 케이지속도가 제2과속도(통상은 정격속도의 1.4배)로 되면, 이 속도에 대응한 로프풀리(8)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플라이웨이트(15)가 더욱 변위하여 폴(15b)이 래칫(21)에 걸어맞춘다.
이것으로 인하여 래칫(21)이 로프풀리(8)와 동기하여 회전하고, 래칫(21)에 설치된 로프캐치 보존용 훅(22)이 회전하기 때문에 로프캐치 보존용 훅(22)과 로프캐치(23)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로프캐치(23)에 의해 조속기용 로프(10)가 제동되고, 이것에 연동하여 케이지(5)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도시생략)가 동작하여 케이지(5)가 급정지한다.
또, 제10도는 예컨데 일본국 실개소 54-20456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표시하는 것이며, 도면 중 스탠드(12)에는 고정측 로프캐치(24)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 스탠드(12)에서의 가동측 로프캐치(25)의 동작범위내의 최하단부에는 노치(notch)(26)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제2과속도에 의해 가동측 로프캐치(25)가 동작하여 동작범위내의 최하단부로 낙하한후, 이것을 복귀시키는 경우 스탠드(12)에 설치된 노치(26)로부터 로드(도시생략)를 삽입하여 가동측로프캐치(25)를 들어올린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속기는, 예컨데 일본국 특공평 4-28622호 공보에도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라이웨이트(15)의 진동적인 회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정격속도를 초과하고 조속기의 제1과속도에 도달하기전에, 플라이웨이트(15)가 회동을 개시하고, 또한 제2과속도에서 플라이웨이트(15)가 래칫(21)을 회전시키도록 평형스프링(17)의 스프링정수를 조정하지 않으면 않되며, 동작속도의 설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플라이웨이트(15) 및 링크(16)의 각 핀 주위에 갭에 있기 때문에 로프풀리(8)의 회전서에 플라이웨이트(15)가 흔들리고 검출과속도가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가동측로프캐치(25)의 측면으로부터 이것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작업스페이스인 조속기(7)와 기계실(2)의 벽사이의 갭 및 반대측의 조속기(7)와 호이스트(3)사이의 갭이 좁은 경우는 로프캐치(23)의 복귀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하게된 것이며, 동작속도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안정된 과속도 검출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로프캐치의 복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는, 스탠드와 이 스탠드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조속기 로프가 감겨지며 케이지의 승강속도에 따라서 회전하는 로프풀리와 이 로프풀리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풀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하는 한쌍의 플라이웨이트와, 상기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라에웨이트를 상시 작동하는 제1평형스프링과,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과속도 이상일 때만 상기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라이웨이트를 작동하는 제2평형스프링과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제1과속도로 된때에는,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케이지의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와,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상기 제1과속도보다 큰 제2과속도로 된때에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제동하는 로프캐치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는 스탠드와 이 스탠드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조속기 로프가 감겨지며, 케이지의 승강속도에 따라서 회전하는 로프풀리와 상기 로프풀리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풀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회동하는 한쌍의 플라이웨이트와, 상기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라에웨이트를 작동하는 평형스프링과,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과속도로 된때에,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케이지의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와, 상기 로프풀리의 로프풀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로프풀리축과 평행으로 돌기한 걸림해제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상기 제1과속도보다 큰 제2과속도로 된때에,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로프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과, 상기 스탠드에 걸려져 있으며, 상기 래칫이 회전한 때에 상기 걸림해제돌기에 의해 한 끝부분이 눌려지므로서, 상기 스탠드로의 걸림상태가 헤제되는 훅 부재와, 이 훅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훅 부재의 상기 스탠드로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서, 가동축 로프캐치 및 훅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스탠드에 고정된 고정측 로프캐치와의 사이에 상기 조속기 로프를 크램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요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가 잘린 좌측면도이며, 제7도 내지 제9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풀리(8)의 측면부에는 멈춤판(8a)(8b)이 고착되어 있다.
멈춤판(8a)(8b)에는 한쌍의 로드(31),(32)가 관통하고 있다.
각 로드(31),(32)의 양단부는 한쌍의 플라이웨이트(15)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페링크가 구성되어 있다.
로드(31)에 나사로 고정된 스프링력 조정용 넛(33)과 멈춤판(8a)사이에는 로드(31)를 통하여 각 플라이웨이트(15)를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시 작동하는 제1평형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로드(31)에는 제1평형스프링(34)의 작동방향으로의 로드(31)의 이동을 규제하는 칼라(collar)(31a)가 고착되어 있으며, 이 칼라(31a)는 초기 설정상태에 있어서, 제1평형스프링(34)의 초기 압축스프링력(예압)을 받고 있다.
로드(32)에는 스프링력 조정용 넛(35)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멈춤판(8b)을 관통하는 칼라(32a)가 고정되어 있다.
칼라(32a)의 스프링력 조정용 넛(35)측의 끝면에는 로드(32)가 관통한 접촉판(35)이 접하고 있다.
스프링력 조정용 넛(35)과 접촉판(36)사이에는, 제2평형스프링(3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평형스프링(37)은, 케이지(5)(제7도)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과속도 이상일 때만,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플라이웨이트(15)를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 1의 제2평형스프링(37)은, 제1과속도에서는 작용하지 않고, 제1과속도를 초과한 소정의 속도에 도달하고부터 작용한다.
이 때문에 초기상태에 있어서, 접촉판(36)과 멈춤판(8b)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 칼라(32a) 및 접촉판(36)은 제2평형스프링(38)의 예압을 받고 있다.
또, 로드(31)은 피벗(38)을 통하여 플라이웨이트(15)에 연결되어 있다.
제3도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바와같이 로드(31)는 피벗(38)의 구멍(38a)을 관통하고 있으며, 로드(31)의 머리부분(31b)과 구멍(38a)의 주위 가장자리부분사이에는 누름스프링(3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스프링(39)에 의해 로드(31)에는 인장력이 가해지고, 한쌍의 플라이웨이트(15) 및 로드(31),(32)에 의해 구성되는 페링크의 각 회동지지부에 에압이 주어져 있다.
스탠드(12)에는, 로프캐치용 스프링(41)의 한쪽 끝부분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로프캐치용 스프링(41)의 다른 쪽 끝부분에는 가동측로프캐치(4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훅부재(43)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훅 부재(43)의 중간부에는 오목부(43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43a)는 스탠드(12)에 설치된 걸림용 돌기(44)에 걸려져 있다.
스탠드(12)와 훅부재(43)사이에는 오목부(43a)를 걸림용 돌기(44)에 누르도록 훅 부재(43)를 작동시키는 걸림상태 보존스프링(풀링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12)에는 가동측로프캐치(42)에 대향하는 고정측로프캐치(46)가 고정되어 있다.
스탠드(12)의 고정측로프캐치(46)의 접촉부(12a)에는, 가동측로프캐치(42)를 복귀시킬 때에 사용하는 푸시업로드(47)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48)이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제1도의 가동측로프캐치(42)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로프풀리측(13)에는 회전 가능한 래칫(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래칫(21)의 측면부에는 로프풀리축(13)과 평행인 걸림해제돌기(49)가 고착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 1의 로프캐치기구(50)는 래칫(21), 걸림해제돌기(49), 훅 부재(43), 걸림용 돌기(44), 걸림상태 보존스프링(45), 가동측로프캐치(42), 로프캐치용 스프링(41) 및 고정측로프캐치(4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지(5)의 승강과 동기하여 로프풀리(8)가 회전하면, 로프풀리(8)의 회전속도, 즉 케이지(5)의 속도에 대응한 원심력을 한쌍의 플라이웨이트(15)가 받는다.
제5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의 케이지속도와 플라이웨이트 회동각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도이다.
접촉판(36)과 멈춤판(8b)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지속도가 제1과속도 V1을 초과한 소정의 속도 V3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2평형스프링(37)은 작용하지 않는다.
또, 제1평형스프링(34)은 미리 압축되어 있으며, 케이지속도가 정격속도 V0를 초과하고서부터 플라이웨이트(15)가 회동하기 시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지속도가 제1과속도 V1에 도달하면 플라이웨이트(15)의 회동각도가 θ1으로 되고, 작동편(15a)이 작동암(19a)에 접하여 케이지정지용 스위치(19)가 작동하여 호이스트(3)(제7도)의 전원이 차단되어 케이지가 정지한다.
또, 호이스트(3)가 정지하여도 케이지(5)가 정지하지 않고, 케이지속도가 제1과속도 V1을 초과하여 V3에 도달한 때에 접촉판(36)이 멈춤판(8b)에 접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평형스프링(34),(37)의 양쪽이 작용한다.
제5도의 구간 A는 제2평형스프링(37)이 미리 압축되므로서, 플라이웨이트(15)의 회동이 한번 정지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구간 A를 지난 후, 플라이웨이트(15)는, 제1 및 제2평형스프링(34),(37)에 반하여 재차 회동하고, 케이지속도가 제2과속 V2에 도달하면, 플라이웨이트(15)의 회동각도가 θ2로 되어 폴(pawl)(15b)이 래칫(21)에 걸어 맞춘다.
이것에 의해 래칫(21)이 로프풀리(8)와 동기하여 회전하고, 래칫(21)에 설치된 걸림해제돌기(49)가 훅 부재(43)를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 제4도의 2점 쇄선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훅 부재(43)가 변위하고, 오목부(43a)의 걸림용 돌기(44)로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 결과, 가동측로프캐치(42) 및 훅 부재(43)가 제4도의 실선의 위치로 이동하여, 가동측로프캐치(42)와 고정측로프캐치(46)사이에 조속기로프(10)가 크램프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로프(10)가 제동되고 이것에 연동하여 케이지(5)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가 동작하여 케이지(5)가 급정지한다.
이후, 가동측로프캐치(42)를 제1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경우, 관통구멍(48)으로부터 푸시업로드(47)를 삽입하여, 그 푸시업로드(47)의 선단부로 가동측로프캐치(42)의 지지부를 밀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가동측로프캐치(42) 및 훅 부재(43)가 위쪽으로 움직이고, 오목부(43a)가 걸림용 돌기(44)에 걸려진다.
이때, 걸림상태 보존스프링(45)의 동작에 의해, 훅 부재(43)를 밀어올리는 것만으로 걸림용 돌기(44)가 오목부(43a)속으로 스무즈하게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예에서는, 하나의 평형스프링의 조정에 의해, 제1 및 제2과속도의 설정을 하고 있었으므로, 설정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더구나 제1과속도의 설정정도가 나쁘고, 특히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고속으로 되어가면 정격속도 이하에서 플라이웨이트가 회동하기 시작하여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 실시예 1의 조속기에 의하면, 제1과속도 V1의 설정은 제1평형스프링(34)의 스프링력 조정용 넛(33)의 조임에 의해 시행되고, 제2과속도 V2의 설정은 제2평형스프링(37)의 스프링력 조정용 넛(35)의 조임에 의해 시행할 수 있다.
즉, 2개의 설정속도를 각각 따로따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정작업이 용이하고, 조립성이 향상하며, 또한 설정속도의 정도로 향상한다.
또,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누름스프링(39)에 의해 플라이웨이트(15) 및 로드(31),(32)의 각 회동지지부에 예압이 주어지고 있기 때문에 플라이웨이트(15)이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된 과속도 검출성능이 유지된다.
또, 가동측로프캐치(42)에 연결된 훅 부재(43)는 래칫(21)이 아니고, 고정부재인 스탠드(12)에 걸려지므로, 복잡한 위치맞춤등이 없고, 가동측로프캐치(42)의 복귀작업이 용이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더구나, 스탠드(12)와 훅 부재(43) 사이에 걸림상태 보존스프링(45)을 설치하였으므로, 가동측로프캐치(42)의 복귀작업이 더욱 더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오목부(43a)의 걸림용돌기(44)로의 걸림상태가 진동등에 의해 잘못되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스탠드(12)의 고정측로프캐치(46)의 접촉부(12a)에 관통구멍(48)을 설치하였으므로, 가동측로프캐치(42)를 복귀시킬 때, 조속기(7)와 기계실(2)(제7도)의 벽 사이의 갭이나, 조속기(7)와 호이스트(3)사이의 갭이 좁은 경우에도 복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로드(31)와 플라이웨이트(15)사이에, 피벗(38)을 개재시켰으나, 예컨데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플라이웨이트(15)에 구멍(15c)을 설치하여 플라이웨이트(15)와 로드(31)사이에 누름스프링(39)을 직접 설치하여도 되며 구성이 간단하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평형스프링(34),(37)의 스프링력 조정용 넛(33)(35)에 의해 시행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데 평형스프링과 그 끝부분이 접하고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라이너를 삽입하여 스프링력조정을 시행하는 등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훅 부재(43)의 오목부(43a)를 스탠드(12)의 걸림용돌기(44)에 걸리게 하였으나, 훅 부재(43)의 스탠드(12)로의 걸림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제1 및 제2평형스프링(34),(37)을 각각 미리 압축하여두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그 압축량은 설정속도에 따라서 조정하면 되며 미리 압축이 되지않는 상태도 있을 수 있다.

Claims (6)

  1. 스탠드와 이 스탠드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조속기 로프에 감겨지며 케이지의 승강속도에 따라서 회전하는 로프풀리와 이 로프풀리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풀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하는 한쌍의 플라이웨이트와, 상기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라에웨이트를 상시 작동하는 제1평형스프링과,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과속도 이상일 때만 상기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라이웨이트를 작동하는 제2평형스프링과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제1과속도로 된때에,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케이지의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와,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상기 제1과속도보다 큰 제2과속도로 된때에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제동하는 로프캐치기구와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플라이웨이트는 한쌍의 로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플라이웨이트 및 상기 로드의 회동지지부에 예압을 주는 스프링이 상기 플라이웨이트와 상기 로드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로드의 한쪽 끝부분이 플라이웨이트를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의 한쪽 끝부분과 상기 플라이웨이트사이에 스프링이 직접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4. 스탠드와 이 스탠드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조속기 로프가 감겨지며, 케이지의 승강속도에 따라서 회전하는 로프풀리와 상기 로프풀리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풀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하는 한쌍의 플라이웨이트와, 상기 원심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라에웨이트를 작동하는 평형스프링과,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과속도로 된때에,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케이지의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케이지정지용 스위치와, 상기 로프풀리의 로프풀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로프풀리축과 평행으로 돌기한 걸림해제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지의 속도가 상기 제1과속도보다 큰 제2과속도로 된때에, 상기 플라이웨이트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로프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과, 상기 스탠드에 걸려져 있으며, 상기 래칫이 회전한 때에, 상기 걸림해제돌기에 의해 한 끝부분이 눌려지므로서, 상기 스탠드로의 걸림상태가 헤제되는 훅 부재와, 이 훅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훅 부재의 상기 스탠드로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훅 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스탠드에 고정된 고정측로프캐치와의 사이에 상기 조속기 로프를 크램핑하는 가동측로프캐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스탠드와 훅 부재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훅 부재의 상기 스탠드로의 걸림상태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상기 훅 부재를 작동하는 걸림상태 보존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스탠드의 고정측로프캐치의 설치부에 가동측로프캐치를 복귀시킬 때에 사용하는 푸시업로드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19950036361A 1994-10-20 1995-10-20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0174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55596A JP2790615B2 (ja) 1994-10-20 1994-10-20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94-255596 1994-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72A KR960013972A (ko) 1996-05-22
KR0174295B1 true KR0174295B1 (ko) 1999-04-15

Family

ID=1728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361A KR0174295B1 (ko) 1994-10-20 1995-10-20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53312A (ko)
JP (1) JP2790615B2 (ko)
KR (1) KR0174295B1 (ko)
CN (1) CN1053633C (ko)
TW (1) TW2905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6014B2 (ja) 1999-05-17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調速装置
JP4109384B2 (ja) * 1999-05-27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調速機
JP4491126B2 (ja) * 2000-09-27 2010-06-30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鋼索鉄道車両の過速度検出器
KR100382973B1 (ko) * 2000-11-16 2003-05-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0382974B1 (ko) * 2000-12-27 2003-05-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식 운반수단의 조속기
US6691834B2 (en) * 2001-09-06 2004-02-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EP1493706B1 (en) * 2002-04-10 2012-09-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EP1633671B1 (de) * 2003-06-16 2008-05-21 Inventio Ag Seilbremse für einen aufzug
EP1510493A1 (de) * 2003-08-12 2005-03-02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belastungsabhängigem Tragmittelfixpunkt
AU2003291124A1 (en) * 2003-11-18 2005-07-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device
EP2402276B1 (en) 2004-07-22 2013-04-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peed governor
JP4456967B2 (ja) * 2004-09-22 2010-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836437B2 (ja) * 2004-11-19 2011-12-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機。
JP4744861B2 (ja) * 2004-12-16 2011-08-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CN100460307C (zh) * 2005-02-22 2009-02-11 陈汉昌 一种电梯双向超速保护装置
JP4986428B2 (ja) * 2005-09-21 2012-07-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868807B2 (ja) * 2005-09-21 2012-02-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機
KR100848994B1 (ko) * 2006-04-20 2008-07-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0761638B1 (ko) 2006-05-04 2007-09-2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기 조속기 장치
BRPI0622155A2 (pt) * 2006-12-20 2011-12-27 Otis Elevator Co conjunto para controlar movimento de um carro de elevador
JP5169022B2 (ja) * 2007-05-22 2013-03-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構造
EP2316775A4 (en) * 2008-08-28 2014-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PEED LIMITER
CN102196986A (zh) * 2008-10-24 2011-09-21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的速度限制器
US8950554B2 (en) * 2009-04-09 201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overnor
CN102471012B (zh) * 2009-07-20 2015-10-0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调速器系统
DE102010009357B4 (de) * 2010-02-25 2012-02-16 Konecranes Plc Seilzug mit Notbremseinrichtung
CN103052583A (zh) * 2010-08-06 2013-04-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限速器
JP5135396B2 (ja) * 2010-08-11 2013-02-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271404B1 (ko) * 2011-11-15 2013-06-0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기용 조속기
JP5850754B2 (ja) * 2012-01-24 2016-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調速機及びこの調速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50014100A1 (en) * 2012-03-06 2015-01-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JP5809746B2 (ja) * 2012-05-21 2015-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5917764B2 (ja) * 2013-02-13 2016-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03466495B (zh) * 2013-08-12 2015-10-14 杭州沪宁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失电夹轨装置
CN104192667A (zh) * 2014-09-28 2014-12-10 苏州福沃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用限速器
JP6295189B2 (ja) * 2014-11-28 2018-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07848749B (zh) * 2015-08-25 2019-06-1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用调速器及电梯装置
CN105197718B (zh) * 2015-10-23 2018-04-10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减行程双向自动限速系统
CN105217407B (zh) * 2015-10-23 2018-01-12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减行程单向自动防溜车限速系统
CN107021395B (zh) * 2016-01-04 2020-11-10 奥的斯电梯公司 具有自动复位的电梯超速调节器
CN107673159B (zh) * 2016-08-01 2020-09-08 奥的斯电梯公司 升降机的限速器
WO2018047334A1 (ja) * 2016-09-12 2018-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調速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N107304791A (zh) * 2017-07-01 2017-10-31 武汉过控科技有限公司 一种转动限速装置
CN108584606B (zh) * 2018-01-11 2019-09-06 上海电机学院 一种柔性双向电梯限速器
JP6909755B2 (ja) * 2018-04-06 2021-07-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装置
US11034546B2 (en) * 2018-06-28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US10968077B2 (en) * 2018-07-19 2021-04-06 Otis Elevator Company Enhanced governor system for elevator
DE202019105089U1 (de) * 2018-11-19 2020-02-20 Wittur Holding Gmbh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ein Hebezeug mit fliehkraftbetätigter Bremse
WO2025009113A1 (ja) * 2023-07-05 2025-01-0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0352U (ko) * 1975-06-14 1976-12-20
JPS53130775A (en) * 1977-11-14 1978-1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Manufacture of plug
KR890003878B1 (ko) * 1985-09-05 1989-10-10 미쓰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엘레베이터장치
JPS63151480A (ja) * 1986-12-16 1988-06-24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材料
US5299661A (en) * 1992-11-03 1994-04-05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overspeed safety device
FI95021C (fi) * 1993-06-08 1995-12-11 Kone Oy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tarrauslaitteen laukaise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90615B2 (ja) 1998-08-27
US5653312A (en) 1997-08-05
CN1053633C (zh) 2000-06-21
TW290522B (ko) 1996-11-11
CN1127723A (zh) 1996-07-31
JPH08119555A (ja) 1996-05-14
KR960013972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295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1201617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US5363942A (en)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KR101235477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US6988593B2 (en) Elevator governor
JP4612953B2 (ja) エレベーター設備のかごの制御不能な加速を防止する装置
EP1852383A1 (en) Governor for elevator
KR101398725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US4006799A (en) Speed limiting device for lifts or the like
JP4566351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止め装置
JPH0339951B2 (ko)
CN107777502B (zh) 一种稳态低速限速器
JP272787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US2244893A (en) Elevator governor
JP2004315128A (ja) エレベータ用ガバナ
KR101967590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19089637A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CN113928949B (zh) 电梯用调速器和电梯装置
JP7227120B2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
JP7500847B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JPH11139709A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KR20020085558A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US1957311A (en) Inertia type governor
CN110171760A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KR96000600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