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조선 고종 2년, 을축년(乙丑年), 1865년

조선 고종 2년, 을축년(乙丑年), 1865년

1월 10일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집을 개수하도록 함.

1월 16일

• 임금이 태묘에 전알(展謁)하고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1월 19일

• 이원조(李源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27일

• 의정부 청사를 개수하도록 함.

1월 29일

• 의정부 청사 개수에 필요한 돈 2만 냥을 지출함.

1월 30일

• 100세 이상 노인 46명에게 가자(加資)하고 숭정대부에 올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64년 회계장부를 올림.

2월 7일

• 서형순(徐衡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5일

• 서헌순(徐憲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6일

• 남병길(南秉吉)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9일

• 박규수(朴珪壽)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1일

• 비변사에서 한성부 안 개천 준설작업의 필요성을 올림.

3월 2일

• 준천사(濬川司)에서 개천에 대한 준설작업에 착수함.

3월 8일

• 개천 준설에 필요한 경비 8,900냥을 영문(營門)에 내림.

3월 11일

• 개천 준설에 각 군문의 장교와 공시인(貢市人), 각도의 저리(邸吏), 제사(諸司)의 관생(官生) 등을 동원하여 3일간씩 부역하게 하고, 각영의 군병과 각사의 도예(徒隸)와 공장군(工匠軍) 등은 2일씩 부역에 동원함.

3월 12일

• 신관호(申觀浩)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28일

• 대왕대비의 전교에 의해 비변사와 의정부를 통합함.

4월 2일

• 한성부 오부로 하여금 좌경(坐更) 도는 것을 금지함.

4월 3일

• 경복궁영건도감(景福宮營建都監)이 설치되고 조두순(趙斗淳)과 김병학(金丙學)을 도제조로 삼음.

4월 4일

• 경복궁 영건에 따른 고유제(告由祭)를 지냄.

4월 5일

• 경복궁 중건에 원납전(願納錢)을 낸 사민(士民)에게 작상(爵賞)을 내림.

4월 8일

• 경복궁 중건비용으로 대왕대비가 내탕금(內帑金) 10만 냥을 하사함.

4월 12일

• 고종이 경복궁 터를 살펴보고 관련 대신들을 접견함.

• 경복궁 터 주위의 철거된 민호(民戶)들을 구휼함.

4월 13일

• 경복궁 중건공사 착공.

4월 16일

• 경복궁 중건공사에 자원하여 참여하는 자에게 선전관을 파견하여 위로하고 일정한 급료를 주도록 함.

4월 17일

• 경복궁 중건공사에 가담한 공사현장 인근의 농민들에게 돌아가서 농사에 전념하도록 효유함.

4월 19일

• 경복궁 중건공사 참여자 중 집이 멀어 돌아가지 못하는 사람들을 경복궁 근처의 양반가와 상민가에 숙박시킴.

4월 25일

• 이원조(李源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 임금이 경복궁 중건공사를 관람하고 관리들을 격려함.

4월 26일

• 식년문과를 시행하여 33명을 뽑음.

4월 27일

• 한성부의 준천작업이 부진하고 개천변에 사는 사람들의 원성이 자자하여 공사 당상관과 훈련대장 등을 추고함.

4월 28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식년 문 · 무과 전시를 행하여 문과 43명, 무과 28명을 뽑음.

• 경복궁영건도감에서 궁성을 쌓기 시작하는 날과 교태전(交泰殿) 공사 개시일 등을 택일하여 올림. 궁성은 6월 20일, 교태전 주춧돌 6월 20일, 기둥 10월 9일, 대들보 10월 11일.

5월 2일

• 영건도감에서 경복궁 사문과 소동문(小東門)의 개건 길일을 정하여 올림. 광화문 10월 11일, 신무문 9월 22일, 건춘문 12월 25일, 영추문 11월 25일, 소동문 12월 25일.

5월 9일

• 대원군 이하응을 국태공(國太公)에 봉함.

5월 12일

• 영건도감에서 장공인(匠工人)의 수효가 모자라 중들 중에서 장공에 능한 자를 선발하여 공사에 참여하도록 함.

5월 16일

• 경복궁 공사에 사용되는 목재의 분실을 막기 위해 각 영문으로 하여금 입직 순찰하게 함.

5월 20일

• 경복궁 내부에 설치되었던 궁중 소속의 농포(農圃)를 호조와 한성부로 이전함.

• 강시영(姜時永)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26일

• 서헌순(徐憲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 군부 최고기관인 삼군부(三軍府)를 설치함.

윤5월 13일

• 《철종실록》 · 《순조실록부록(純祖實錄附錄)》 · 《철종실록부록(哲宗實錄附錄)》이 완성됨.

윤5월 15일

• 대왕대비가 밀려 있는 공납인의 공납물을 탕감해 줌.

윤5월 23일

• 종묘에서 특별 기우제를 지냄.

윤5월 24일

• 밀린 공납물을 전부 탕감해 준다고 했으나 1년분에 해당하는 수량은 제외하고 나머지만 탕감하도록 함.

6월 1일

• 목재의 남벌을 금지하고 아울러 수시로 재목을 식재하도록 함.

6월 17일

• 심경택(沈敬澤)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20일

• 경복궁을 수축하기 시작하고 교태전(交泰殿) 주춧돌을 놓음.

7월 10일

• 비가 계속되자 한성부 각지에서 산사태 등의 예방에 만전을 기하도록 함.

7월 17일

• 한성부 오부 안에서 홍수피해를 당한 1,322호에 휼전을 행함.

7월 23일

• 이시원(李是遠)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28일

• 김세균(金世均)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일

• 이경세(李經世)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2일

• 이도중(李imagefont重)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7일

• 김응균(金應均)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5일

• 친삼촌 내외와 외할아버지 및 외할머니의 장례에 휴가를 주도록 함.

9월 4일

• 윤교성(尹敎成)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17일

• 영건도감에서 경복궁의 각 전과 당, 각 문의 현판을 쓸 서사관의 명단을 올림. 교태전(交泰殿)은 조석원(曺錫元), 연생전(延生殿)은 이재원(李載元), 경성전(慶成殿)은 조성하(趙成夏), 인지당(麟趾堂)은 이주철(李周喆), 천추전(千秋殿)은 정범조(鄭範朝), 만춘전(萬春殿)은 송희정(宋熙正), 광화문(光化門)은 임태영(任泰瑛), 건춘문(建春文)은 이경하(李景夏), 영추문(迎秋門)은 허계(許棨), 신무문(神武門)은 이현직(李顯稷) 등.

9월 23일

• 날씨가 추워 경복궁 건축공사장에 인원 수에 따라 무명 1필씩을 나누어 주도록 함.

10월 1일

• 의정부 중건공사가 완료됨.

10월 5일

• 조회할 때 종친부와 의빈부(儀賓府)를 반드시 동쪽 반열에 들어와 참가하도록 함.

11월 12일

• 유장환(兪章煥)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13일

• 성단(星壇)을 혜화문 밖 숭신방(崇信坊) 어창계(御倉契)에 설치하여 분성(分星)을 제사하도록 함.

11월 25일

• 성단(星壇)의 제사는 매해 첫 인일(寅日)에 지내는 것을 규칙으로 삼음.

11월 30일

• 《대전회통(大典會通)》과 《양전편고(兩銓便攷)》가 완성됨.

12월 9일

• 대원군이 남종삼(南鍾三)에게 선교사들의 초청을 명하여 황해도와 충청도를 순회중이던 선교사 다블뤼(Marie-Antoine-Nicolas Daveluy)가 서울에 옴.

12월 13일

• 프랑스 선교사 베르누(Simeon-Francois Berneux, 張敬一)가 한성에 옴.

• 오취선(吳取善)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17일

• 《육전조례(六典條例)》를 찬집하도록 함.

12월 27일

• 이선익(李宣翼)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연관목차

1158/1457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정치 경제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