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조선 고종 27년, 경인년(庚寅年), 1890년

조선 고종 27년, 경인년(庚寅年), 1890년

1월 1일

• 이건하(李乾夏)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3일

• 임금이 태묘(太廟)에 전알(展謁)하고 영조대왕(英祖大王) · 정성왕후(貞聖王后) · 정순왕후(貞純王后)에게 존호(尊號)를 추상(追上)함.

1월 6일

• 근래 수년 간 한성에 행잔(行棧)을 개설하는 청나라와 일본 상인들이 많아 육의전(六矣廛) 등 조선 상민의 피해가 많이 발생하자 종로에 거주하는 상민들이 청 · 일 상인들의 철수를 요구하며 제2차 철시(撤市)를 하고 외아문 안팎에서 연좌시위를 함.

1월 11일

• 도성 내에 있는 청나라와 일본 양국의 상민(商民)을 용산으로 철거하도록 양국에 요청함.

1월 13일

• 박홍수(朴弘壽)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16일

• 홍유길(洪裕吉)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20일

• 임금이 영희전(永禧殿)에 전알(展謁)하고 이어 저경궁(儲慶宮)에 전배(展拜)함.

1월 21일

• 변원규(卞元圭)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29일

• 민종묵(閔種黙)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 민유중(閔維重)을 효종의 묘정(廟廷)에, 김만기(金萬基)를 현종의 묘정에 추향(追享)하도록 함.

2월 8일

• 임금이 편전(便殿)에서 각국 공사를 접견하고 음식을 내림.

2월 9일

• 이순익(李淳翼)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11일

• 이현익(李玄翼)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15일

• 경무대(景武臺)에서 관학유생을 대상으로 응제시(應製試)를 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2월 16일

• 민종묵(閔種黙)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19일

• 미국인 리젠드르[李仙得, Le Gendre, Charles W]에게 2품직을 주어 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使)로 삼음.

2월 28일

• 도성 내에 물가가 폭등하자 공시인(貢市人)들의 응공(應供)을 내년 봄까지 정지하도록 교서를 내림.

윤2월 2일

• 이명응(李明應)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윤2월 5일

• 장석용(張錫龍)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윤2월 11일

• 이승오(李承五)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윤2월 21일

• 근래 경기에 절도사건이 많이 발생하여 좌 · 우포도대장으로 하여금 현지에 가서 살펴보도록 함.

윤2월 24일

• 김구현(金九鉉)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윤2월 26일

• 오랜기간 군사훈련에 공을 세운 미국인 훈련교사 다이[茶伊, Dye, Wiliam Mce]에게 병조참판, 닌스테드[仁是德, Nienstead, F.J.H.]에게 병조참의 직을 특별히 수여함.

윤2월 29일

• 조경하(趙敬夏)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2일

• 경무대(景武臺)에서 기로유생(耆老儒生)을 대상으로 응제시를 거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하고, 특별히 합격자에게 가자(加資)하도록 함.

3월 3일

• 민영규(閔泳奎)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4일

• 근정전에서 삼일제(三日製)를 시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3월 10일

• 이원회(李元會)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8일

• 임금이 경복궁 보현당(寶賢堂)에서 구(舊) 미국 공사 딘스모어[丹時謨, Dinsmore]와 신(新) 공사 허드[何德, Heard]을 인견함.

4월 11일

• 경무대(景武臺)에서 유무(儒武)를 대상으로 응제시사(應製試射)를 시행하여 이정연(李鼎淵)과 이희화(李喜和)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4월 15일

• 경무대(景武臺)에서 관학유생을 대상으로 응제시(應製試)를 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4월 17일

• 익종비(翼宗妃) 대왕대비 조씨(趙氏)가 흥복전(興福殿)에서 죽음.

• 태원전(泰元殿)을 빈전(殯殿)으로 하고, 친군영(親軍營) 도제조 이하의 곡반처소(哭班處所)는 정양문(正陽門) 밖으로 하고, 백관(百官)의 회곡처소(會哭處所)는 경유문(景維門) 밖으로 함.

4월 18일

• 문경전(文慶殿)을 혼전(魂殿)으로 함.

4월 22일

• 대왕대비의 시호(諡號)를 신정(神貞), 휘호(徽號)를 경훈(景勳), 전호(殿號)를 인효(仁孝), 능호(陵號)를 홍릉(洪陵)으로 정함.

5월 1일

• 대왕대비의 산릉(山陵)은 수릉(綏陵)으로 합봉(合封)하도록 하고 새로이 정한 능호는 사용하지 말도록 함.

5월 20일

• 신석희(申奭熙)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25일

• 대왕대비 전호(殿號)를 효인(孝仁)에서 효묘(孝慕)로 고침.

6월 9일

• 홍철주(洪澈周)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10일

• 이 제정됨. 개항지에서 시행하고자 했으나 일본의 반대로 철폐됨.

6월 13일

• 양화진(楊花津)에 외국인 공동묘지 설치를 인가함.

6월 17일

• 경성전(慶成殿)에서 화재가 발생함.

7월 6일

• 일본공사가 일본 상인들의 용산 조차지(租借地)를 정해 줄 것을 요청함.

이달

• 영국공사관 건물이 준공됨.

8월 29일

• 임금이 광화문 밖에서 대왕대비의 영가(靈駕)를 봉사(奉辭)하고 예를 행함.

9월 2일

• 신정왕후(神貞王后)의 상여가 나갈 때 미국공사 허드가 각국 공 · 영사들과 함께 동대문(東大門) 밖에서 상여를 조송(弔送)하고, 미국 해군병사 수십명이 연도(沿道)에 정렬하여 예를 표했으므로 협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司務) 민종묵(閔種默)으로 하여금 미국공사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도록 함.

• 뮈텔이 조선천주교 8대 주교에 임명됨.

9월 6일

• 심이택(沈履澤)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19일

• 중국칙사관(中國勅使館)을 마포에 있는 세심정(洗心亭)으로 정함.

9월 26일

• 돈의문 밖에서 청나라 사신 속창(續昌)과 숭례(崇禮)를 맞이함. 사신이 혼전(魂殿)에서 예를 표한 후 근정전에서 다과례(茶果禮)를 행함.

9월 27일

• 홍순형(洪淳馨)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2일

• 주차조선미국공사관참찬관(駐箚朝鮮美國公使館叅贊官) 알렌(Allen, 安連)이 주경대리총영사(駐京代理總領事)로 취임함.

10월 5일

• 경무대(景武臺)에서 관학유생을 대상으로 응제시(應製試)를 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0월 7일

• 서정순(徐正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14일

• 이재완(李載完)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21일

• 민영준(閔泳駿)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25일

• 홍규(洪圭)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29일

• 이돈하(李敦夏)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이달

• 전환국(典圜局) 청사를 완성함.

11월 3일

• 윤우선(尹宇善)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11일

• 변원규(卞元圭)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12일

• 이원회(李元會)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15일

• 경무대(景武臺)에서 관학유생을 대상으로 응제시(應製試)를 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1월 18일

• 한규설(韓圭卨)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2일

• 한성부로 하여금 각도 열읍의 호구 증감을 조사하도록 함.

11월 23일

• 미국인 그레이트 하우스[具禮]를 내무협판(內務協辦)으로 삼음.

11월 25일

• 근정전에서 유생을 대상으로 구일제시(九日製試)를 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1월 27일

• 경과 별시와 문 · 무과 전시를 시행하여 문과에서 15명, 무과에서 민영훈(閔泳勛) 등을 뽑음.

12월 4일

• 도성에 살고 있는 거지들에게 겨울을 맞이하여 은전을 베풀어 주도록 지시함.

12월 6일

• 임금이 한성을 중심으로 각지에 강도와 절도가 횡행하여 통행이 불편하므로 이를 소탕하도록 함.

12월 9일

• 임금이 근자에 과거시험장의 혼잡이 심하여 상민(常民) · 천민(賤民)까지도 함부로 응시(應試)하는 폐단이 있으므로 묘당(廟堂)으로 하여금 방안을 강구하도록 함.

12월 15일

• 일기청(日記廳)이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361권의 개수를 완료함.

12월 24일

• 경복궁 근정전에서 관학유생(館學儒生)을 대상으로 응제시(應製試)를 시행하여 11만 2,327명이 응시한 가운데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5일

• 경복궁 근정전에서 일차유생(日次儒生)을 대상으로 응제시(應製試)를 시행하여 10만 2,123명이 응시한 가운데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6일

• 경복궁 근정전에서 유생을 대상으로 감제시(甘製試)를 시행하여 3,987명이 응시한 가운데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7일

• 이돈하(李敦夏)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30일

• 한성부에서 1890년 전국의 인구 수를 발표함. 호수 157만 5,611호, 인구 660만 7,604명임.

연관목차

1183/1457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정치 경제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