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조선 영조 50년, 갑오년(甲午年), 1774년

조선 영조 50년, 갑오년(甲午年), 1774년

1월 1일

• 임금이 선원전(璿源殿)에 전배(展拜)하고, 지나는 길에 육상궁(毓祥宮)에 들러 배알(拜謁)함.

1월 6일

• 임금이 건명문(建明門)에서 오부(五部)의 백성들을 불러들여 마음 속에 품고 있는 바를 물음.

• 빚을 징구하기 위해 여러 달 사람을 구류(拘留)시킨 금위대장을 파면함.

1월 7일

• 선전관에게 떠돌아다니는 거지들을 데리고 오게 하여 쌀 세 말씩을 내림.

1월 10일

• 성균관의 유생에게 전강(殿講)을 행하고 3명에게 급제를 내림.

1월 15일

• 임금이 근정전 옛터에서 등준과(登俊科)를 설시하여 문과 15명, 무과 18명을 뽑음.

• 조덕성(趙德成)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1월 22일

• 임금이 창의궁(彰義宮)에 나아가 궁장(宮墻) 밖의 매곡(梅谷) 십자다리[十字橋] 가에 사는 노인 18명을 불러들여 각기 비단과 고기를 내림.

2월 1일

• 2월 안에 부세(賦稅)와 요역(徭役)을 특별히 감하고, 도성민과 삼강(三江) 지역 사람에게도 모두 2월의 요역을 감하도록 함.

4월 10일

• 임금이 연화문(延和門)에 나아가 의릉(懿陵)을 적간(摘奸)하려 한 선전관을 잡아들여 곤장형을 내림.

4월 15일

• 임금이 창의궁에 나아갔다가 저경궁(儲慶宮)에 들러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대축(大祝)에게는 가자(加資)하고, 집례에게는 현직에 준하여 서임(敍任)하고, 여러 승지와 통례에게는 말을 내림.

4월 19일

• 임금이 서강(西江)의 세선(稅船)을 점검하는 곳에 거둥하여 방포(放砲)하도록 함.

5월 5일

• 임금이 자극문(紫極門)에 나아가 승지를 보내 사직단을 봉심(奉審)하도록 함.

5월 12일

• 임금이 덕유당(德游堂)에 나아가 향을 전하고, 적전(籍田)의 양맥(兩麥)을 받음.

• 임금이 수은묘(垂恩墓)에 나아가 진작(陳酌)하고 관왕묘(關王廟)에 들림.

5월 21일

• 단군(檀君)의 사당으로부터 전조(前朝)의 여러 능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 사전(祀典)에 있는 곳은 도신(道臣)으로 하여금 봉심(奉審)하고, 양도(兩都)의 유수(留守) 역시 똑같이 봉심하게 함.

5월 22일

• 임금이 연화문(延和門)에 나아가 시골 백성으로 한성에 온 사람들을 불러 농사의 형편을 물음.

5월 25일

• 큰비가 내리니 기우제를 지낸 제관에게 상을 줌.

6월 8일

• 임금이 육상궁(毓祥宮)에 나아가 창덕궁 동구(洞口) 및 육상궁 동구 안에 사는 백성 중 60세 이상을 불러 쌀을 내림.

6월 9일

• 김용겸(金用謙)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7월 4일

• 1774년 전세(田稅)의 반을 특별히 줄이고, 사서인(士庶人)으로서 80세 이상인 사람에게 각각 한 자급(資級)씩을 올리며, 공시인(貢市人)은 과거의 예에 따라 수량을 줄이게 하고, 현방속전(懸房贖錢)은 7월에 한해 탕감해 주도록 함.

7월 11일

• 이홍제(李弘濟)가 수년 전부터 과거의 명칭이 해마다 늘어 과거 합격자가 늘어나는 데에 대한 폐단을 상소함.

7월 13일

• 임금이 연화문(延和門)에 나아가 잡인을 금하지 못한 창경궁 수직군사(守直軍士)와 중관(中官)들에게 곤장을 치게 함.

7월 20일

• 임금이 집경당(集慶堂)에 나아가 문신의 제술(製述)을 행하여, 수석을 차지한 이조정랑 홍이건(洪履健)을 승진시켜 서용함.

7월 22일

• 임금이 창의궁(彰義宮)에 거둥하여 계유생(癸酉生)과 갑술생(甲戌生) 노인에게 사찬(賜饌)하도록 하고, 기로소(耆老所)의 당상에게는 호피(虎皮)를 하사하고, 나머지 사람에게는 명주와 무명을 하사함.

7월 27일

• 한성부우윤 김응순(金應淳)이 죽으니 특별히 예조판서로 추증함.

8월 20일

• 경복궁에서 문과정시(文科庭試)를 설시(設試)하였는데, 무과회시(武科會試)도 같이 설시함.

11월 4일

• 임금이 금상문(金商門)에 나아가 감귤(柑橘)을 나누어주고 선비를 시험 보여, 한성에서는 김종순(金鍾純)을, 지방에서는 박장설(朴長卨)을 뽑음.

11월 25일

• 경과(慶科)의 대과회시(大科會試)를 창방(唱榜)하여 33명을 뽑음.

11월 28일

• 임금이 숭정전 월대(月臺)에 나아가 경과전시(慶科殿試)를 설행하여 44명을 뽑음.

12월 23일

• 오부(五部)에 엄중히 신칙(申飭)하여 이달 안으로 한성에서 술 담그는 일이 없도록 함.

12월 29일

• 이해 한성 오부(五部)의 원호(元戶)는 3만 8,531호, 인구는 19만 7,558명(남자 9만 5,435명, 여자 10만 2,123명)이며, 팔도의 원호는 166만 4,499호, 인구는 690만 883명(남자 334만 2,652명, 여자 355만 8,231명)임.

연관목차

1066/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