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1264B1 -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64B1
KR960001264B1 KR1019920004685A KR920004685A KR960001264B1 KR 960001264 B1 KR960001264 B1 KR 960001264B1 KR 1019920004685 A KR1019920004685 A KR 1019920004685A KR 920004685 A KR920004685 A KR 920004685A KR 960001264 B1 KR960001264 B1 KR 96000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feed
signal
output
frequ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194A (ko
Inventor
유타카 니오
류지 마쯔우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2Multi-standard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4도는 제1도의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의 일실시예(제3도)의 동작파형도.
제5도(a)는 피일드주파수 변환의 상하반전문제의 설명도.
제5도(b)는 상하반전문제를 해결하는 수법의 설명도.
제6도는 제1도의 주사선수 변환회로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7도는 제1도의 주사선수 변환회로의 일실시예(제6도)의 동작파형도.
제8도는 제1도의 동기신호가 입력쪽과 비동기인 회로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9도는 제1도의 동기신호가 입력쪽과 비동기인 회로의 일실시예를 동작파형도.
제10도는 종래의 다방식 텔레비전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AL 입력단자 2 : NTSC 입력단자
3 : SECAM 입력단자 4 : 동기재생회로
5, 10, 17, 25 : PAL 방식, NTSC 방식의 신호절환기
6 :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 7 : 주사선수 변환회로
8, 51, 52 : 피일드메모리 9 : 라인메모리
11 :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 12 : 동기신호선
13 : 편향요우크 14 : 디스플레이
15 : 입력쪽 수평동기 신호 입력단자 16 : 입력쪽 수직동기신호 입력단자
18 : 6체배기 19 : 위상비교회로
20 : 클록신호 발생회로 21 : 수정발진자
22 : 분주기 23 : 625 2분주기
24 : 5체배기 26 : 출력쪽 클록신호 출력단자
27 : 출력쪽 수평주파수 출력단자 28 : 출력쪽 수직주파수 출력단자
29, 37, 48 : 출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
30, 38, 47 : 입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 31, 39, 46 : 영상신호 입력단자
32, 35, 50, 55 : 홀수짝수 판별 33 : 입력신호 제어회로
34, 41 : 출력신호 제어회로 36, 45, 57 : 영상신호 출력단자
42, 43 :승산기 44 : 가산기
49, 56 : 신호절환기 53 : 제어회로
54 : 예지(豫知)회로
본 발명은 현행 세계 방송방식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텔레비젼 방송방식은, PAL, NTSC, SECAM의 색의 방식의 차이, 또 각각에 방송대역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합계하면 10종류 이상이나 존재하고, 각각 개개의 방식의 표시장치에서는 다른 방식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것은 할 수 없다.
그래서 다른 방송방식의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현행 세계 방송방식 대응텔레비전 수상기(이후, 다방식 텔레비전이라 호칭함)가 있다.
이하에 종래의 다방식 텔레비전에 대해서 제10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1)∼(3)은 PAL, NTSC, SECAM 각각의 방송방식의 영상신호 입력단자, (4)는 동기재생회로, (5), (10)은 피일드주파수 50Hz, 주사선수 625개(PAL, SECAM)와 피일드주파 수 60Hz, 주사선수 525개(NTSC)의 신호절환기, (58)은 피일드주파수 50Hz, 주사선수 625개(PAL, SECAM)의 편향회로, (59)는 피일드주파수 60Hz, 주사선수 525개 (N TSC)의 편향회로, (13)은 편향요우크, (14)는 디스플레이이다.
이제부터 피일주파수 60Hz이고 주사선수 525개인 신호를 NTSC 방식, 피일드주파수 50Hz이고 주사선수 625개인 신호를 PAL 방식이라 호칭한다.
PAL, NTSC, SECAM의 영상입력 신호에 대해서, 각자 동기재생회로(4)에서 동기재생을 행하고, PAL 방식, NTSC 방식의 동기신호를 스위치(5), (10)에 의해서 절환하여, 각각 편향회로(58), (59)에 의해서 편향신호로 되어 디스플레이(14)의 편향요우크(13)를 구동한다. 그리고 영상신호는 PAL 방식, NTSC 방식 각각의 편향주파수로 디스플레이(14)에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PAL 방식 또는 NTSC 방식의 편향주파수에 대응한 절환을 행하여 각각에 대해서 애널로그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구성이 복잡하며, 또 각각의 입력방식에 의해서 표시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14)가 CRT의 경우는 컨버젼스, 실패형 왜곡(bobbin winder distorsion)등의 기하학적 변형에 대한 조정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다방식 텔레비전의 편향회로나 기하학적변형의 조정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1프레임이 각각 복수의 주사선을 포함하는 홀수 피일드와 짝수피일드로 구성된 입력쪽 영상신호에 응해서 제1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재생하여 발생하는 제1동기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1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표시의 편향용의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한 편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입력쪽 영상신호의 화상을 소정의 피일드수파수 및 소정수의 주사선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의 파일드주파수보다도 낮은 제1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출력쪽 제2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그 출력쪽 제2영상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제1변환수단 ; 및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수보다도 작은 개수의 제1주사선수 및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를 지니는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니는 출력쪽 제4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그 출력쪽 제4영상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제2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에 의하면, PAL 또는 SECAM 방식의 입력에 대해서는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에서 피일드주파수를 50Hz로부터 60Hz로 변환하고, NTSC 방식의 입력에 대해서는 주사선수 변환회로에서 주사선수를 525개로부터 625개로 변환한다. 그리고, 현행 세계방송방식의 영상신호를 피일드주파수 60Hz, 주사선수 625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를 제1도∼제9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3)은 PAL, NTSC, SECAM 각 방식의 영상신호 입력단자, (4)는 동기재생회로, (5) 및 (10)은 PAL 방식과 NTSC 방식의 신호절환기, (6)은 피일드주파수를 59Hz로부터 60Hz로 변환하기 위한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 (7)은 주사선수를 525개로부터 625개로 변환하기 위한 주사선수 변환회로, (8)은 피일드주파수 변환·주사선수 변환을 행하기 위한 피일드메모리, (9)는 보간을 행하는 라인메모리, (11)은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 (13)은 편향요우크, (14)는 디스플레이이고, (12)는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11)가 입력쪽과 동기를 취할 경우는 동기재생회로 (4)와 접속되고, 동기를 취하지 않는 경우는 접속되지 않는 동기신호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표시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PAL, NTSC, SECAM 방식의 신호를 각각의 영상신호 입력단자(1)∼(3)로부터 입력한다. 각각의 영상입력 신호는 신호절환기(5), (10)에서 PAL 방식과 NTSC 방식으로 절환된다. 영상입력 신호가 PAL 방식의 경우는 피일드메모리(8)를 사용한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6)에 의해서 피일드주파수가 50Hz로부터 60Hz로 변환되고, 영상입력 신호가 NTSC 방식의 경우는 피일드메모리(8)와 라인메모리(9)를 사용한 주사선수 변환회로 (7)에 의해서 주사선수가 525개로부터 625개로 변환된다. 피일드메모리(8)는,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6), 주사선수 변환회로(7)에서 공용하고, 피일드메모리 (8), 라인메모리(9)의 제어는 동기재생회로(4)에서 발생하는 입력쪽의 동기신호,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11)에서 발생하는 출력쪽의 동기신호에 의해서 행한다. 각각 변환후 피일드주파수 60Hz, 주사선수 625개로 된다. 그리고 출력동기 신호발생회로(11)의 동기신호로 편향요우크(13)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디스플레이(14)의 표시화면상에 항상 피일드주파수 60Hz, 주사선수 625개로 영상이 표시된다. 또, 출력쪽의 동기신호가 입력쪽의 동기신호가 입력쪽의 동기신호와 동기를 취할 경우와 취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하나, 먼저 최초에 출력쪽의 동기신호가 입력쪽의 동기신호와 동기를 취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력쪽과 동기를 취할 경우의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11)의 구성예를 제2도에 표시한다. (15)는 입력쪽 수평동기 신호 입력단자, 1(6)은 입력쪽 수직동기신호 입력단자, (17), (25)는 PAL 방식, NTSC 방식의 신호절환기, (20)은 수정발진자 (21)를 사용한 클록신호 발생회로, (22)는 수평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 (23)은 수직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625분주기. (24)는 5체배기, (18)은 6체배기, (19)는 위상 비교기이다.
다음에 이와같은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1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생회로는 PLL(위상동기루프)을 사용하고 있으며, 입력쪽과 출력쪽의 신호를 분주 즉, 주파수분할해서 위상비교함으로써 주파수를 록 한다. 클록신호 발생회로(20)로부터의 출력은 분주기(22)에 의해서 1라인이 화소수로 분주되어 수평펄스를 출력하고, 재차 분주기(23)에 의해서 주사선수 625로 분주함으로써 수직펄스를 출력한다. 이들 펄스는 동기신호로서 단자(27), (28)로부터 출력되는 동시에, NTSC 방식 입력, 즉 주사선수 변환을 행할 경우는 수평주파수, PAL 방식입력, 즉 피일드주파수 변환을 행할 경우는 수직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들의 절환은 스위치(17), (25)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입력쪽의 동기신호는 6체배기(18), 출력쪽은 5체배기(24)에서 체배를 행하고, 이들을 위상비교기(19)에서 비교를 행하여 그 출력을 클록신호 발생회로(20)에 피이드백한다.
다음에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6)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피일드주파수 변환회로(6)의 블록도이다. (31)은 영상신호 입력단자, (30)은 입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 (29)는 출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 (33)은 입력신호 제어회로, (34)는 출력신호 제어회로, (8)은 피일드메모리, (32)는 입력신호의 홀수짝수 판별회로, (35)는 출력영상신호의 홀수짝수 판별회로, (36)은 영상신호 출력단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50Hz로부터 60Hz로의 피일드주파수 변환은 1화면분을 기억할 수 있는 피일드메모리(8)를 사용하여 그 제어에 의해서, 5피일드에 1피일드의 비율로 중복호출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다. 입력신호 제어회로(33)는 입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30)의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출력신호 제어회로(34)는 홀수짝수 판별회로(32), (34)와 출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29)로부터의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제어신호를 만들고, 그리고 피일드메모리(8)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의 피일드메모리(8)의 입출력제어예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제4도의 (a)에 피일드메모리(8)에의 기록과 판독의 홀수짝수의 관계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피일드 메모리(8)의 중복호출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홀수짝수 라인의 고체가 주기적으로 생긴다. 홀수짝수 판별회로(32), (35)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제4도의 (b), (c)에 출력한다 이 펄스로부터 제4도의 (d)에 표시한 바와 같은 홀수짝수 교체판정의 펄스를 만든다. 판정펄스(d)가 상태 H(고)일 경우는 홀수짝수의 관계가 일치하고 있으나, L(저)의 상태가 되면 홀수짝수가 반전하고 있다. 홀수짝수의 고체가 발생하면 제5도의 (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하관계가 역전해 버린다. 그래서 홀수짝수가 교체되었을 경우에는 홀수피일드를 A의 방향으로 1라인 어긋나게 하여 (b)와 같이 해주면 상하관계가 유지된다. 즉, 홀수짝수 교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홀수피일드의 판독을 1라인분지연시킴으로써 상하관계를 유지한다. 그래서 제4도의 (c), (d)로부터 (e)가 되는 펄스를 만들고 H상태일 때는 기록개입 중단신호, 판독개입 중단신호 양쪽을 변화시키지 않고, L상태(홀수짝수가 교체되고 또하 홀수피일드의 경우)일때는 1라인분 지연해서 메모리의 판독을 행하는 제4도의 (f)와 같은 펄스를 판독개입 중단신호에 입력한다.
다음에 주사선수 변환회로(7)의 구성을 제6도에 표시한다. 제6도에 있어서 (39)는 영상신호 입력단자, (38)은 입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 (37)은 출력쪽 동기신호 입력단자, (40)은 피일드메모리(8)의 입력신호 제어회로, (41)은 피일드메모리(8)·라인메모리(9)의 출력신호 제어회로, (8)은 주사선수 변환을 행하는 피일드메모리, (9)는 주사선보간을 행하는 라인메모리, (42), (43)은 주사선수 변환의 가중(wei ghting)을 행하는 승산기, (44)는 가중을 행한 2라인의 가산을 행하는 가산기, (45)는 영상신호 출력단자이다.
이하, 제6도의 주사선수 변환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사선수 변환은, 먼저 입력신호 제어회로(40)와 출력신호 제어회로(41)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피일드메모리(8)의 제어를 행하여 주사선수 525개로부터 625개로의 수평주파수의 변환을 행한다. 그리고 다음에 출력신호 제어회로(41)의 제어에 의한 라인메모리(9)를 통과한 1라인지연된 신호와 원래의 신호를 각각 승산기(42), (43)에 의해서 (1-K), K배하고, 가산기(44)에 의해서 각각을 가산함으로써 보간라인의 생성을 행한다.
다음에 피일드메모리(8), 라인메모리(9)의 제어예를 제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피일드메모리(8)의 제어에 대해서 제7도의 (a)와 같은 라인배열을 (b)와 같은 배열로 변환시켜 준다. 그 제어는 판독의 클록을 판독클록의 6/5배로 해서, 판독개입 중반을 제7도의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5라인에 1라인 판독을 금지하고, 즉 출력쪽에 일정하지 않은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주사선수의 변환을 행한다. 다음에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라인메모리(9)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리세트, 판독리세트는 제7도의 (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출력제어신호 발생회로(41)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평동기 신호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제7도의 (b)에 표시한 일정하지 않은 부분에 영상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라인메모리(9)의 기록개입 중단을 제6도의 (e)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부분은 기록하지 않는 조작에 의해서 제어한다. 그리고, 피일드메모리(8)의 출력(f)와 라인메모리(9)의 출력(g)를 하중해서 각각을 보태어 합쳐서, 보간신호(h)를 출력한다. 그 하중 합성의 계수 K의 값을 제1표에 표시한다.
[표 1]
다음에, 출력쪽의 동기신호가 입력쪽의 동기신호와 동기를 취하지 않는 경우이다. 피일드주파수 변환 주사선수 변환 다같이 메모리에의 기록과 판독의 주파수가 단독이기 때문에, 메모리내에서 앞지르기나 뒤처짐이 발생하여 화면의 상하가 갈라져 버린다. 그래서, 피일드메모리(8)를 2화면분 준비하여 앞지르기나 뒤처짐의 예측을 하고, 2개의 메모리의 절환을 행하여 변환하는 방법을 취한다. 그 구성을 제8도에 표시한다. (46)은 영상신호 입력단자, (47)은 입력쪽의 동기신호 입력단자, (48)은 출력쪽의 동기신호 입력단자, (49), (56)은 신호절환기, (51), (52)는 피일드메모리, (50), (55)는 홀수짝수 판별회로, (54)는 앞지르기의 예지회로, (53)은 피일드메모리(51), (52)의 제어회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입력단자(46)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홀수짝수 판별회로(50)에 따르는 신호절환기(49)에서 홀수피일드, 짝수피일드로 분할되어 각각 피일드메모리(51), (52)에 기록된다. 그리고 영상입력 신호의 제어가 제어회로(53)가 행하여지고, 판독쪽의 신호절환기(56)는 출력쪽의 홀수짝수 판별을 행하는 홀수짝수 판별회로(55)와 입력쪽의 홀수짝수 판별을 행하는 홀수짝수 판별회로(5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앞지르기의 예지를 예지회로(54)에서 행하여 신호절환기(56)를 절환한다.
제9도에 그 제어예를 표시한다. 입력쪽, 출력쪽의 홀수짝수 판별후의 신호를 (a), (b)에 표시한다. 출력쪽의 홀수짝수 판별신호(b)의 위상을 90°지연시켜서 (c)라는 신호를 만들고, 그 하강부분을 인출하여 (d)와 같은 신호를 만든다. 그리고 입력쪽의 홀수짝수 판별신호(a)를 (d)에서 래치를 행하여 (e)와 같은 신호를 만든다. 이것은 홀수짝수 교체판별 신호로 된다. 그리고 (d)의 신호가 H일 때는 입력쪽의 홀수짝수 판별신호(a)를 그대로 판독하고, L일 경우는 반전시켜서 판독하여, 신호절환기(56)의 제어신호를 만든다. 신호가 H일 때는 홀수쪽의 피일드메모리를 판독하고, L일 때는 짝수쪽의 피일드메모리를 판독한다. 또 홀수짝수 교체판정신호 (e)가 H일 때는 상하관계의 역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판독의 홀수쪽의 판독개입 중단신호를 제5도의 (f)와 같이 해서 1라인분 지연시켜서 피일드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조작을 행한다. 피일드주파수 변환과 주사선수 변환은 각각의 피일드메모리 (51), (52)에 있어서 입력동기신호와 동기를 취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제어신호(제5도, 제7도)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주사선수 변환을 행하는 경우는 출력단자(57)의 뒤에 상기한 라인메모리(9)를 사용한 보간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에 의하면, PAL 방식, NTSC 방식의 영상신호를 피일드주파수 변환, 주사선수 변환을 행함으로써, 표시부에서는 피일드주파수 60Hz, 주사선수 625개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AL 방식에 대해서는 피일드주파수를 중첩기록에 의해서 행하여 50Hz로부터 60Hz의 변환을 행하고, NTSC 방식에 대해서는 주사선수를 525개로부터 625개의 변환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변환에 의한 화질열화를 최소로 억제할 수 있어 고화질로 디스플레이에 표시가 가능하다.
또 상기 회로를 실현하기 위하여,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가 입력쪽의 동기신호와 동기를 취하는 경우, 신호발생기가 복잡한 구성으로 되나 피일드메모리 1화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가 입력쪽의 동기신호와 동기를 취하지 않는 경우, 피일드메모리 2화면분이 필요하게 되나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는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된다.

Claims (7)

1프레임이 각각 복수의 주사선을 포함하는 홀수피일드와 짝수피일드로 구성된 입력쪽 영상신호에 응해서 제1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재생하여 발생하는 제1동기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1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표시의 편향용의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한 편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입력쪽 영상신호의 화상을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소정수의 주사선으로 표시되는 표시수단 ;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보다도 낮은 제1피일드주파주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출력쪽 제2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그 출력쪽 제2영상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제1변환수단 ; 및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보다도 작은 개수의 제1주사선수 및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를 지니는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니는 출력쪽 제4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그 출력쪽 제4영상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제2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수단은,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기억하는 피일드메모리 ; 상기 표시수단상에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의 화상을 표시할 때 홀수피일드의 주사선이 짝수피일드의 주사선으로 교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그 판별결과를 나타내는 제1판별신호를 발생하는 제1판별신호발생수단 ; 및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신호에 응해서,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제1기록제어 신호와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쪽 제2영상신호로서 판독하기 위한 제1판독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기록 및 판독제어 신호를 상기 피일드 메모리에 출력하며, 또 상기 제1판별신호가 상기 홀수피일드의 주사선의 짝수피일드의 주사선으로 교체된 것을 나타낼 때 상기 제1판독제어 신호를 1주사선분만큼 지연시키는 제1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환수단은, 상기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기억하는 피일드메모리 ; 상기 피일드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1주사선분 지연시키는 지연수단 ;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해서 상기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제2기록제어 신호와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해서 상기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판독하여 그 판독된 제3영상신호에 데이터를 지니지 않은 소정의 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삽입하기 위한 제2판독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기록 및 판독제어 신호를 상기 피일드메모리에 출력하며, 이때 상기 제2판독제어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2기록제어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해당 제2판독제어 신호의 주파수의 비에 따라 상기 제2기록제어 신호의 주파수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제2제어신호 발생수단 ; 상기 피일드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소정의 제1증폭률로 증폭하는 제1증폭수단 ;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 ; 및 가산된 영상신호에 데이터를 지니지 않은 상기 소정의 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보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영상신호와 상기 제2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결과를 지닌 상기 가산된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쪽 제4영상신호로서 출력하는 가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수단은,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기억하는 피일드메모리·상기 표시수단상에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의 화상을 표시할 때 홀수피일드의 주사선이 짝수피일드의 주사선으로 교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그 판별결과를 나타내는 제1판별신호를 발생하는 제1판별신호발생수단 ; 및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제1기록제어 신호와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쪽 제2영상신호로서 판독하기 위한 제1판독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기록 및 판독제어 신호를 상기 피일드메모리에 출력하여, 또 상기 제1판별신호가 상기 홀수피일드의 주사선이 짝수피일드의 주사선으로 겨체된 것을 나타낼 때 상기 제1판독제어 신호를 1주사선분만큼 지연시키는 제1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변환수단은, 상기 피일드메모리 ; 상기 피일드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제3영상신호를 1주사선분 지연시키는 지연수단 ;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해서 상기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제2기록제어 신호와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해서 상기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판독하여 그 판독된 제3영상신호에 데이터를 지니지 않은 소정의 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삽입하기 위한 제2판독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기록 및 판독제어 신호를 상기 피일드메모리에 출력하며, 이때 상기 제2판독제어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2기록제어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해당 제2판독제어 신호의 주파수의 비에 따라 상기 제2기록제어 신호의 주파수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제2제어신호 발생수단 ; 상기 피일드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소정의 제1증폭률로 증폭하는 제1증폭수단 ;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 ; 및 가산된 영상신호에 데이터를 지니지 않은 상기 소정의 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보간하도록 상기 제1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영상신호와 상기 제2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결과를 지닌 상기 가산된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쪽 제4영상신호로서 출력하는 가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복수종류의 영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방송파를 상기 복수종류의 영상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튜너수단 ; 상기 복수종류의 영상신호중 1개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수단 ; 1프레임이 각각 복수의 주사선을 포함하는 홀수피일드와 짝수피일드로 구성된 상기 스위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선택된 영상신호에 응해서, 제1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재생하여 발생하는 제1동기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1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표시의 편향용의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한 편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선택된 영상신호의 화상을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소정수의 주사선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 상기 제1 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보다도 낮은 제1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상기 선택된 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출력쪽 제2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그 출력쪽 제2영상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제1변환수단 ; 상기 제1및 제2동기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보다도 작은 개수의 제1주사선수 및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를 지니는 다른 선택된 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니는 출력쪽 제4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제2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선택된 영상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변환수단중 한쪽 변환수단을 동작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수상기.
외부의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소정의 피일드주파수보다도 낮은 제1피일드주파수 및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1프레임이 각각 복수의 주사선을 포함하는 홀수피일드와 짝수피일드로 구성된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닌 출력쪽 제2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그 출력쪽 제2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변환수단은,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기억하는 피일드메모리 ; 표시수단상에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의 화상을 표시할 때 홀수피일드의 주사선이 짝수피일드의 주사선으로 교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를 나타내는 제1판별신호를 발생하는 제1판별신호발생수단 ; 및 상기 외부의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제1기록제어 신호와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쪽 제1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쪽 제2영상신호로서 판독하기 위한 제1판독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기록 및 판독제어 신호를 상기 피일드메모리에 출력하며, 또 상기 제1판별신호가 상기 홀수피일드의 주사선이 짝수피일드의 주사선으로 교체된 것을 나타낼 때 상기 제1판독제어 신호를 1주사선분만큼 지연시키는 제1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변환장치.
외부의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해서, 소정수의 주사선보다도 작은 개수의 제1주사선수 및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를 지니는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상기 소정의 피일드주파수 및 상기 소정수의 주사선을 지니는 출력쪽 제4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그 출력쪽 제4영상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제2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변환수단은, 상기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기억하는 피일드메모리 ; 상기 피일드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제3영상신호를 1주사선분 지연시키는 지연수단 ; 상기 외부의 제1 및 제2수직·수평동기 신호에 응해서,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해서 상기 입력쪽 제3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제2기록제어 신호와 상기 피일드메모리를 제어해서 상기 제3영상신호를 판독하여 그 판독된 제3영상신호에 데이터를 지니지 않은 소정의 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삽입하기 위한 제2판독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기록 및 판독제어 신호를 상기 피일드메모리에 출력하며, 이때 상기 제2판독제어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2기록제어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해당 제2판독제어 신호의 주파수의 비에 따라 상기 제2기록제어 신호의 주파수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제2제어신호 발생수단 ; 상기 피일드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소정의 제1중폭률로 증폭하는 제1증폭수단 ;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 ; 및 가산된 영상신호에 데이터를 지니지 않은 상기 소정의 영상신호를 1피일드분 보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영상신호와 상기 제2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영상신호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결과를 지닌 상기 가산된 영상신호를 상기·출력쪽 제4영상신호로서 출력하는 가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변환장치.
KR1019920004685A 1991-03-22 1992-03-21 화상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58661 1991-03-22
JP3058661A JP2502829B2 (ja) 1991-03-22 1991-03-22 画像表示装置
JP92-058661 1991-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194A KR920019194A (ko) 1992-10-22
KR960001264B1 true KR960001264B1 (ko) 1996-01-24

Family

ID=1309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685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264B1 (ko) 1991-03-22 1992-03-21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341172A (ko)
EP (2) EP0669762B1 (ko)
JP (1) JP2502829B2 (ko)
KR (1) KR960001264B1 (ko)
DE (2) DE6923116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5760A (ko) * 1991-12-31 1993-07-24 강진구 텔레비젼모드 자동변환장치
JP2585957B2 (ja) * 1992-08-18 1997-02-26 富士通株式会社 ビデオデータ変換処理装置とビデオデータ変換装置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JP2956738B2 (ja) * 1993-04-27 1999-10-04 株式会社メルコ 映像表示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3904244B2 (ja) * 1993-09-17 2007-04-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シングル・チップ・データ処理装置
KR0177860B1 (ko) * 1994-02-04 1999-05-01 모리시타 요이찌 영상신호처리장치
AU693217B2 (en) * 1994-07-25 1998-06-25 Australian Research And Design Corporation Pty Ltd A controller for providing timing signals for video data
AUPM700494A0 (en) * 1994-07-25 1994-08-18 Australian Research And Design Corporation Pty Ltd A controller for providing timing signals for video data
US6735683B2 (en) 1994-09-14 2004-05-11 Hitachi, Ltd. Single-chip microcomputer with hierarchical internal bus structure having data and address signal lines coupling CPU with other processing elements
AU4149196A (en) * 1994-11-04 1996-05-31 Catapult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osely synchronizing closed free-running raster displays
KR960024874A (ko) * 1994-12-30 1996-07-20 김광호 마이컴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암호 설정 장치 및 암호 설정 방법
JPH08234701A (ja) * 1995-02-28 1996-09-13 Sony Corp 映像表示装置
JP2770801B2 (ja) * 1995-09-27 1998-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JPH1011009A (ja) * 1996-04-23 1998-01-16 Hitachi Ltd 映像信号の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6542150B1 (en) 1996-06-28 2003-04-01 Cirrus Log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display of graphic images
US6380979B1 (en) 1996-07-02 2002-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anning line converting circuit and interpolation coefficient generating circuit
US6195086B1 (en) * 1996-09-12 2001-02-27 Hearme Method and apparatus for loosely synchronizing closed free running raster displays
KR100359112B1 (ko) * 2000-07-22 2002-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드 및/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방법 및 장치
KR100359111B1 (ko) * 2000-07-21 2002-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드 및/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방법 및 장치
JP4178455B2 (ja) * 2003-01-21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フレーム変換方法、フレーム変換回路および電子カメラ
JP2005031368A (ja) * 2003-07-11 2005-02-03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KR100671299B1 (ko) * 2004-11-15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장치 및 텔레비전 장치의 제어방법
JP2012242194A (ja) * 2011-05-18 2012-12-10 Casio Comput Co Ltd 電波時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1215A (en) * 1978-02-21 1979-08-31 Sony Corp Converter of video signals
JPS5523689A (en) * 1978-08-08 1980-02-20 Sanyo Electric Co Ltd Color television receiver
JPS6016154B2 (ja) * 1978-10-12 1985-04-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ラ−テレビジョン受像機
DE3376613D1 (en) * 1982-11-30 1988-06-16 British Telecomm Television signal transmission
JPS59104866A (ja) * 1982-12-08 1984-06-16 Nippon Hoso Kyokai <Nhk> テレビジヨン方式変換方法
US4633293A (en) * 1983-09-26 1986-12-30 Rca Corporation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for film-television standards conversion system
JPS60100887A (ja) * 1983-11-07 1985-06-04 Sony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0112381A (ja) * 1983-11-22 1985-06-18 Sony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1139174A (ja) * 1984-12-11 1986-06-26 Sony Corp 倍速変換装置
JP2508419B2 (ja) * 1985-08-08 1996-06-1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のフレ―ム周波数変換装置
JPS6324595A (ja) * 1986-07-16 1988-02-01 松下電工株式会社 調光装置
JP2526558B2 (ja) * 1986-10-21 1996-08-21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のスキャンコンバ−タ装置
EP0280932B1 (en) * 1987-03-04 1992-11-19 Hitachi, Ltd. Video system for displaying lower resolution video signals on higher resolution video monitors
JPH0194782A (ja) * 1987-10-06 1989-04-13 Nec Eng Ltd 文字多重方送再放送装置
JP2537903B2 (ja) * 1987-10-07 1996-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78859B2 (ja) * 1987-12-25 1997-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方式変換装置
JPH01194782A (ja) * 1988-01-29 1989-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信号方式変換装置
US4872054A (en) * 1988-06-30 1989-10-03 Adaptive Video, Inc. Video interface for capturing an incoming video signal and reformatting the video signal
KR930004307B1 (ko) * 1989-06-15 1993-05-22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신호의 주사선 수 변환 장치, 이것을 사용한 다운 컨버터 및 그 화면 텔레비젼 수상기
JP2842913B2 (ja) * 1990-01-24 1999-0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ワイド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回路
DE4015020A1 (de) * 1990-05-10 1991-11-14 Philips Patent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zum umsetzen eines fernseh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41172A (en) 1994-08-23
EP0507159A1 (en) 1992-10-07
EP0669762A2 (en) 1995-08-30
JP2502829B2 (ja) 1996-05-29
DE69215939T2 (de) 1997-07-17
US5351088A (en) 1994-09-27
KR920019194A (ko) 1992-10-22
EP0669762B1 (en) 2000-06-07
EP0507159B1 (en) 1996-12-18
EP0669762A3 (en) 1996-01-10
DE69231161D1 (de) 2000-07-13
JPH04293384A (ja) 1992-10-16
DE69215939D1 (de) 1997-01-30
DE69231161T2 (de) 200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264B1 (ko) 화상표시장치
KR100195589B1 (ko) 나란한 화상의 동기식 표시가 가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US5349385A (en) Adaptive scan converter
US549719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rogressive scanning video signal comprising progressive to interlaced signal converter and interlaced to progressive signal converter
US5208660A (e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picture-in-picture display function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255907B1 (ko) 영상신호 변환장치와 텔레비젼신호처리장치
JP2607020B2 (ja) テレビモードの自動変換装置
US5111297A (en) Picture-in-picture double-scanning television receiver
KR100209850B1 (ko) 비비월 주사 비디오 신호와 비월 주사 비디오 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GB2168219A (en) Progressive scan television system
US4672446A (en) Television receiver having interlaced scanning with doubled field frequency
US4722007A (en) TV receiver having zoom processing apparatus
US5894332A (en) Scanning circuit structure of a television receiver
JP2799713B2 (ja) Muse―ntsc変換方式
JP2737149B2 (ja) 画像記憶装置
JP3550302B2 (ja) 往復偏向式映像信号表示装置
KR10019294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순차주사변환장치
JP2699305B2 (ja) n倍速走査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525431B2 (ja) Rgbマルチ端子入力対応型順次走査変換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S584738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545631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S6262115B2 (ko)
EP0624975B1 (en) Television system dependent video signal processing
JP2681996B2 (ja) 画像処理装置
JPH04365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1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