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6994B1 -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 및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 및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994B1
KR900006994B1 KR1019860007668A KR860007668A KR900006994B1 KR 900006994 B1 KR900006994 B1 KR 900006994B1 KR 1019860007668 A KR1019860007668 A KR 1019860007668A KR 860007668 A KR860007668 A KR 860007668A KR 900006994 B1 KR900006994 B1 KR 90000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particles
spherical
thermosetting
novola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144A (ko
Inventor
요시아끼 에찌고
켄이찌 스가하라
무쯔노리 야마오
요시유끼 스에마쯔
게이이찌 아사미
쯔네유끼 오오자와
Original Assignee
유니지가 가부시기가이샤
히라다 유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지가 가부시기가이샤, 히라다 유다까 filed Critical 유니지가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9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08G8/0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 C08G8/1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with phen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6Powdering or granulating by coagulating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J23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 및 그 제조법
본 발명은,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신규한 제조법, 및 이러한 제조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구형상의 연경화성 페놀수지입자에 관한 것이다.
페놀수지는 밸런스가 잡힌 성질을 가진 플라스틱으로서 성형재료, 바인더, 접착제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있다. 이 페놀수지는 일반적으로 노블랙수지와 레조올수지로 구별되고 있다.
노블랙수지는 페놀류에 대한 알데히드류의 배합몰비를 약 0.7∼약 0.9로서 옥살산염산등과 같은 산(酸)매체를 사용해서 가열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는 수지이다. 노볼랙수지의 분자는 4∼8개의 페놀류의 분자가 메틸렌결합을 개재해서 직쇄형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메티로올기의 수가 레조올수지의 수에 비해서 매우 적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메티로울기의 함유율이 적기 때문에, 노볼랙수지는 가열만으로는 경화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노볼랙수지를 경화시켜서 작용할 경우에는 통상,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같은 경화제를 노볼랙수지에 약 8∼약 15무게% 첨가해서 가열경화시키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한편,레조올수지는 페놀류에 대하여 몰비로 약 1.1∼약 1.5배량의 알데히드류와 페놀류를 암모니아수, 수산화나트륨등의 염기성화합물의 존재하에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수지이다. 이 레조올수지의 분자는 분기된 구조를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메티로올기의 수가 많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에티로올기의 함유율이 높기때문에 레조올수지는 가연만으로 경화된다.
노볼랙수지와 레조올수지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사용해서 경화시킨 노볼랙수지와, 가열해서 경화시킨 레조올수지를 비교하면, 경화반응시에 있어서의 열경화성특성이나 경화시킨후의 성형품의 물성에 있어서, 전자의 쪽이 우수하다. 그러나, 노볼랙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할 경우에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경화제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헥사베틸렌테트라민이 분해해서 암모니아가스나 포르마린가스가 발생하여 성형체에 이들 가스에 의해서 공극이 발생하고, 미반응의 헥사메틸렌데트라민이 형성체에 잔존하여, 물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노볼랙수지에 헥사에틸렌테트라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일이 어렵기 때문에 균일하게 경화된 성형체를 얻는일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노볼랙수지의 특성을 살리면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노볼랙수지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등의 염기성화합물 혹은 경우에 따라서 알데히드등을 혼합햐서 반응시키는 일도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현저히 빠르기 때문에, 급속히 겔(Gel)화해 버리므로, 목적으로 하는 열경화성의 페놀수지를 얻을 수 없다.
한편, 레조올수지를 구(球)형상의 고체입자로서 얻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823,103호 공보, 미국특허 제4,026,828호 공보, 미국특허 제4,039,525호 공보, 미국특허 제4,206,095호 공보, 미국특허 제4,182,696호 공보, 미국특허 제4,316,827호 공보, 미국특허 제4,366,303호 공보에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류를 수성매체속에서 염기성 매체와 gum ara bic, gum ghatti, hydroxy alkylated guar gum 및 부분가수분해하는 PVA와 같은 보호콜로이드의 존재하에 에멀션 중합시켜서 미소한 구형상의 레조올수지입자를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53-42077호 공보에는 페놀류와 포름알데히드를 에틸렌디아민과 같은 질소함유 화합물의 존재하에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축합물에 제라틴, 카세인, PVA와 같은 친수성유기 고분자를 첨가해서 다시 반응을 계속하여 미소한 구형상의 레조올수지 입자를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제조법으로 얻어지는 페놀수지는, 열경화성이나, 이 페놀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켰을 경우에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사용해서 경화시킨 노볼랙수지에 비해서, 열경화특성이나 성형체의 물성이, 어느 것이나 만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경화성특성, 대열성, 역학적 강도등의 성형체의 물성이 극히 뛰어단 약 100μm 이하의 입자직경을 가진 구형상의 연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구형상의 연경화성 페놀수지입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결과, 수성매체에 현탁된 노볼랙수지와 특정의 유기화합물을 반응시키므로서, 상기 목적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노볼랙수지와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을 수성매체속에서 현탁배양(서스펜션)안정제의 존재하에 현탁배양상태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직경이 약 1000μm 이하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 및 이러한 제조법으로 제조되는 구형상의 연경화성 페놀수지입자 혹은 노볼랙수지와 알데히드류와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을 수성매체속에서 현탁배양안정제의 존재하에 현탁배양 상태에서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가 약 1000μm 이하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 및이러한 제조법으로 제조되는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는, 직쇄형상의 분자구조를 가진 노볼랙수지를 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페놀을 원료로 하고 있는 종래의 레조올수지나 산성속에서 과잉의 포르마린과 페놀을 반응시킨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에 비해서, 열경화특성과 성형체의 물성이 극히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에 의하면, 약 1000μm 이하의, 임의의 입자직경을 가진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노볼랙수지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류를 페놀류에 대한 알데히드류의 배합몰비를 약0.7∼약 0.9로 해서 옥살산, 염산과 같은 산촉매를 사용해서 가열반응시키고, 이어서 감압탈수한후 냉각해서 분쇄한 것이며 일반 시판품으로서 유니온 카아바이드 코오포레이션, 도우케미칼, 몬산토컴퍼니, 미쓰이도오아쓰케미칼(주), 군에이케미칼(주)등의 노볼랙수지의 메이커로부터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유니온 카아바이드고오포레이션의 노볼랙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베이클라이트페놀수지 BKR-2620,CKR-1634, CKM-2400, CKM-5254, 미쓰이도오아쓰케미칼의 노볼랙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노볼랙수지 #3000PN, #6000, #7000, #9000, 군에이케미칼의 노볼랙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레시토프㉿(RESITOP㉿)PSP-2322, PSK-2222를 들수 있다.
노볼랙수지의 응점으로서는 JIS-K-6910에 정해진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융점이, 약 100℃이하, 특히70∼100℃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노볼랙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미쓰이도오아쯔케미칼의 노볼랙수지 #6000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헥사메틸렌테트라민 외에, 디메틸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알킬아민 등을 들수 있다.
이들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의 사용량으로서는, 노볼랙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약 0.1∼약 50중량부, 특히 0.5∼20중량부, 나아가서는 0.5∼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데히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포르마린 또는 파라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포름알데히드 뿐만아니라, 프루프랄등을 들수 있다.
알데히드를 사용할 것인가의 여부는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들면,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로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알데히드류를 사용해도 되나, 사용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알데히드류를 사용할경우에 있어서의 사용량으로서는, 노볼랙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50중량부 이하, 특히 30중량부 이하, 나아가서는 0.5∼20중량부 특히 2∼2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현탁배양 안정제로서는, 실질적으로 물에 불용성의 무기염류나, 유기성의 보호콜리이드등을 들수 있다.
실질적으로 물에 불용성인 무기염류로서는, 25℃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0.2g/1이하의 무기염류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플루오르화칼슘, 플루오로화마그네슘, 플루오르화스트론틈, 인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인산바륨, 인산알루미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수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철등을 들수 있고, 특히 플루오르화칼슘, 플루오르화마그네슘, 플푸오르화스트론튬이 바람직하다. 또, 그 사용량은 노볼랙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약 0.2∼약 10중량부, 특히 0.5∼3.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물에 불용성인 무기염류의 첨가방법으로서는, 이러한 무기염류를 직접 첨가해도 되나, 반응시에 이러한 무기염류가 생성되는 것과 같은 2종류 이상의 수용성인 무기염류를 첨가하는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의 플루오르화합물 대신에, 수용성의 무기염류의 한쪽으로서 플루오르나트륨, 플루오르카륨, 플루오르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무기염류를 사용하고, 다른쪽의 수용성의 무기염류로서,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의 염화물, 황산염, 질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무기염류를 첨가함으로서, 반응계내에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의 플루오르화합물을 생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성보호콜로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고무, 가티(ghatti)고무, 히드록시알킬구와율(guayule)고무 혹은 PVA등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으로서는 노볼랙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약 0·1∼약 20중량부 특히 0.2∼10중량부, 나아가서는 0.5∼3.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 이들 실질적으로 물에 불용성인 무기염류와 유기성 보호클로이드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입자직경은 사용하는 현탁배양 안정제의 사용량에 의존하고 있으며, 사용량이 많아지면 입자직경은 작아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성매체로서는 물이 바람직하나, 메틸알콜, 에틸알콜, 아세톤등의 수용성의 유기용매를 소량용해시킨 물로도 된다. 이 유기용매의 사용량으로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약 5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수성매체의 사용량으로서는, 수성매체와 노볼랙수지의 합계량에 대한 노볼랙수지의 고형분이 약 10∼약90중량% 특히 20∼70무게%, 나아가서 는 30∼60중량%가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에 있어서는, 원료인 노볼랙수지와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서 알데히드류를 수성매체 속에서 현탁배양안정제의 존재하에 현탁배양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해서 반응시킨다.
반응온도로서는, 약 70∼약 100℃ 특히 80∼100℃, 나아가서는 90∼98℃가 바람직하다.
이들 원료류, 현탁배양 안정제, 수성매체는, 어떠한 방법으로 배합해도 되고 어떠한 순서로 배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면저 반응기에 물 및 현탁배양 안정제를 넣고, 이것을 교반하면서 95℃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융한 노볼랙수지를 투입하고, 이어서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과 필요에 따라서 알데히드류를 첨가해서 반응시키는 방법, 혹은 반응기에 물 및 노볼랙수지를 넣고, 이것을 교반하면서 95℃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현탁배양 안정제,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서 알데히드류를 순차적으로 투입해도 된다.
모든 원료를 투입한후, 교단을 게속하면서, 바람직하게는 약 5∼약 12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5∼9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0분 가열해서 반응시킨다. 약 120분을 초과해서 가열을 게속하면 경화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열경화성 페놀수지를 얻는 일이 어려워진다. 반응종료후, 반응물을 약 40℃ 이하로 냉각하고, 이어서 여과 또는 원심분리등의 방법으로 고체를 분리하여, 얻어진 고체를 물등에서 세정한후 건조하면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법은 연속법 혹은 뱃치(batch)법의 어느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노볼랙수지를 원료로하는 본 발명의 제조법에 있어서는 페놀류를 원료로하는 종래 공지의 레조올수지의 제조법에 비하여 유상(油相)의 점도가 늪기 때문에, 수성매체속에 현탁배양상태로 분산된 유상은, 미립자상이 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입자직경은, 극단적으로 작은 것이 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입자분포도 종래 공지의 레조올수지의 제조법으로 얻어지는 레조올수지의 입자직경분포에 비해서 비교적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같은 이유에 의해,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하면 입자직경이 약 1000μm∼약 2μm정도이고, 또한 입자분포가 비교적 좁은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어의 경화라 함은, 수지가 용융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나 그 판정법으로서는 JIS-K-6910에 정해진 열경화성 수지의 겔타임의 측정법에 있어서 수지가 용융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겔타임이 측정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입자직경은, 현미경을 사용해서 300배 정도로 확대해서 측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미립자 직경의 분포는 Coulter Counter를 사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어의 구형상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구형상인 것을 가리키나, 그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구형상체의 일부가 이지러져 있는 것이나, 입자의 일부가 2차 응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어의 현탁배양이라 함은, 수성매체속에 노볼랙수지가, 미세한 물방울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현탁배양 안정제라 함은, 이와같은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있어서, 노볼랙수지와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과 필요에 따라서 알데히드류를 현탁배양 안정제의 존재하에 수성매체속에서 반응시키는데 있어서, 연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 난연제, 발포제, 보강제, 충전제, 중량제, 균전제(均展劑), 흐름조절제, 안정제, 대전방지제, 전기전도제 혹은 염, 안료등의 첨가제를 정가할 수 있다.
열가소성수지로서는, 노볼랙수지와 상용성(相容'性)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고부변성폴리스틸렌, AS, ABS,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랄레이트, 폴리카아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담,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설피드 등을 들수 있다.
열경화성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푸란수지, 알키드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을 들수 있다.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를 비롯하여 할로겐학합물 등을 들수 있다.
보강제, 충전제, 중량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석, 유리섬유, 아스베스트 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석영,운모,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3산화안티몬 등을 들수 있다.
기타의 첨가제로서는, 산화티단, 산화철, 알루미늄분말, 철분, 금속비누, 카아본블랙, 나무분말, 종이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으로 얻어지는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는, 필요에 따라서 연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 난연제, 발포제, 보강제, 충전제, 증량제, 균전제, 흐름조절제, 안정제, 대전방지제, 전기전도체 혹은 염.안료등과의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수지로서는, 노볼랙수지와 상용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고무변성폴리스틸렌 AS, ABS,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아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담,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설피드 등을 들수 있다.
열경화성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푸란수지, 알키드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등을 들수 있다.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데카브로모 디페닐에티르 등을 비롯하여 할로겐화합물, 무기 및 유기 인화합물등을 들수 있다.
보강제, 충전제, 증량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석, 유리섬유, 아스베스트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석영, 운모,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3산화안티몬등을 들수 있다.
기타의 첨가제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철, 알루미늄분말, 철분, 금속비누, 카아본블랙, 나부분말, 종이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으로 얻어지는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는, 보슬보슬한 융착이 없는 구형상의 고체입자이므로, 고체입자의 흐름특성이 좋을 뿐만아니라, 경화시켰을 경우의 열경화특성도 양호하다. 이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법으로 얻어지는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를 사용해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성형체가 우수할 뿐만아니라, 성형체의 물성이나, 성형체의 외관도 극히 양호한 것이된다.
이때문에, 본 발명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는 성형재료, 바인더접착제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리터의 유리제플라스크에 37무게%의 포르마린 20g, 물 200g, 염화칼슘 8.4g 및 플루오르화카륨 5.8g을넣고, 교반하면서 내용물을 95℃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교반을 계속하면서 용융한 노볼랙수지(미쓰이도오아쯔케미칼사제 #6000, 융점 70∼76℃) 200g을 첨가하여 분산시켰다. 여기에,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0g을 물 100g에 용해한 액을 가하여 교반하면서 10분간 95℃에서 반응시켰다. 이어서 내용물을 30℃까지 냉각하여 500g의 물을 첨가한후, 여과지를 사용해서고체를 여과하고, 물을 사용해서 고체를 세정해서 수지입자를 얻었다. 이 수지입자를 5mmHg 이하의 감압하에 35℃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이 수지를 수지 A라고 한다.
[실시예 2∼5]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반응시간의 10분을, 5분, 20분, 40분, 80분으로 바꾼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수지입자를 얻었다. 이들 수지를 각각 수지 B,C,D,E라고 한다.
[실시예 6]
1리터의 유리제플라스크에, 노볼랙수지(미쓰이도오아쯔케미칼사제#6000, 융점70∼76℃)200g, 물150g및 아라비아 고무 4g을 넣고, 교반하면서 내용물을 95℃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헥사메틸렌테트라민 20g을 물 150g에 용해시킨 액을 가하고, 95℃에서 교반을 게속하면서 l5분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내용물을 30℃까지 냉각하고, 500g의 물을 첨가한후, 여과지를 사용해서 고체를 여과하고, 물을 사용해서 고체를 세정해서 수지입자를 얻었다. 이 수지입자를 5mmHg 이하의 감압하에 35℃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이 수지를 수지 F라고 한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사용한 노볼랙수지를 미쓰이도오아쯔케미칼사제 #3000PN(융점 75∼90℃)로 바꾼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조건으로 반응시켜서 수지입자를 얻었다. 이 수지를 수지 G라고 한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아라비아고무의 사용량을 4g에서 2g으로 바꾼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조건에서 반응시켜서 수지입자를 얻었다. 이 수지를 수지 H라고 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반응시간을 160분으로한 이외에는 실시예 l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수지입자를 얻었다. 이 수지를 수지 I 라고 한다.
[비교예 2]
노볼랙수지(미쓰이도오아쯔케미칼사제 #6000, 융점 70∼76℃) 100g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0g을 300cc의 스테인레스제 보올 및 (IRIE SHOKAI Co, Ltd.제 형식 U-lM, 내경 70mm, 깊이 80mm 운전속도눈금범위 0∼10, 보올의 직경 2.0mm)에 넣고 운전속도 눈금법위를 8에 설정해서 실온해서 30분간 혼합분쇄하여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노볼랙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 K라고 한다.
[비교예 3]
비교예 2에 있어서의 노볼랙수지인 미쓰이도오아쯔케미칼사제 #6000을 미쓰이도오아쯔케미칼사제 #3000PN(융점 75∼90℃)로 바꾼 이외에는 비교예 2와 같은 조건으로 조작해서, 헥사베틸렌 테트라민과 노볼랙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 K라고 한다.
[비교예 4]
노볼렉수지(미쓰이도오아쓰케미칼사제 #6000)200g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20g을, 90℃에서 10분간 혼합한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스테인레스제의 보올 밀(IRIE SHOKAI Co Ltd.제, 형식 U-lM, 내경70mm, 깊이 80mm, 회전속도눈금범위 0∼10, 보올의 직경 2.0mm)에 넣고 회전속도 눈금을 8에 설정해서 실온에서 30분간 혼합해서 분쇄하여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노볼랙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 L이라고 한다.
[비교예 5]
비교예 4에 있어서의 혼합온도인 90℃를, 130℃로한 이외에는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조정해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노볼랙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 M이라고 한다.
상기의 실시예 1∼8에서 얻어진 수지 A∼H와, 비교예 1∼5에서 얻어진 수지 I∼M에 대해서 JIS-K-6911에 준해서 150℃의 열판상에 있어서의 겔화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제 1 표에서, 본 발명으로 얻어진 페놀수지가 열경화성이라는것, 경화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수지 A∼H의 평균입자직경 및 입자직경분포를 측정하였다. 평균입자직경 및 입자직경분포는, Coulter Counter TA-II형(日科核제)을 사용해서 10mm 이하까지는 1μm눈금으로, 10∼100mm까지는 l0μm 눈금으로, 100mm 이상에서는 100μm 눈금으로 존재비율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입자는, 상기와 같이 해서 측정한 존재비율치의 가장 큰치에 대응하는 입자직경의 값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자분포는, 측정한 입자의 전중량 70중량% 이상의 입자가 존재하는 입자직경의, 최대의 입자직경치와 최소의 입자직경치로 나타내었다.
측정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3
또, 수지 A∼L(I는 제외)을 사용해서, 금형온도 160℃, 성형압력 150kg/cm2에서 10cm, 폭 2cm, 두께5mm의 성형품올 프레스 성형하였다.
또한 프레스성형시간을, 3분, 5분, 7분으로 해서 성형하였다. 이들 성형품의 단면을 현미경을 사용해서 관찰한바, A에서 H까지의 수지로부터, 얻어진 성형품에 대해서는, 그 대부에 공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것에 비해서, 수지 J,K,L로부터 얻어진 성형품에는, 암모니아가스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공극이 확인되었다. 또, 이들 성형품의 벤딩강도, 열변형온도를 각각 JIS K-6911 및 ASTM D 648(18.5kg/cm2)에 준해서 측정한 결과를 제 3 표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제 3 표로부터, 본 발명으로 얻어진 페놀수지를 사용하면, 비교예의 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비교해서, 프레스시간 3분으로도 성형품의 열변형온도나 벤딩강도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얻어진 페놀수지는, 경화속도가 빠른 것을 알수 있다.
또, 비교예의 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7분동안 프레스하여도 성형품의 열변경온도나 벤딩강도가, 본발명의 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서 떨어진다.
노볼랙수지를 경화제를 사용해서 경화시켰을 경우에는 페놀류를 사용해서 제조된 레조올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켰을 경우에 비해서, 성형시의 열경화 특성이나 경화성형해서 얻어진 성형체의 물성이 우수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와같이, 성형시의 열경화특성이나 경화성형해서 얻어진 성형체의 물성이 우수하다고 말하고 있는 노볼랙수지와 비교해도, 본 발명의 제조법으로 제조된 열경화성 페놀수지는, 성형시의 열경화특성 뿐만아니라, 경화성형해서 얻어진 성형체의 역학적강도나 내열성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노볼랙수지와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올 수성매체속에서 현탁때양 안정제의 존재하에 현탁배양 상태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입자직경이 1000μm 이하의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이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
  3. 노볼랙수지와 알데히드류와 질소함유 염기성화합물을 수성매체속에서 현탁배양 안정제의 존재하에 현탁배양 상태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직경이 l000μm 이하인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의 제조법.
KR1019860007668A 1985-09-17 1986-09-12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 및 그 제조법 Expired KR900006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06103 1985-09-17
JP60206103A JPS6264816A (ja) 1985-09-17 1985-09-17 熱硬化性フエノ−ル樹脂の製造法
JP206103 1985-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144A KR870003144A (ko) 1987-04-15
KR900006994B1 true KR900006994B1 (ko) 1990-09-25

Family

ID=1651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668A Expired KR900006994B1 (ko) 1985-09-17 1986-09-12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39445A (ko)
EP (1) EP0217587B1 (ko)
JP (1) JPS6264816A (ko)
KR (1) KR900006994B1 (ko)
CA (1) CA1300296C (ko)
DE (1) DE3679138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626A (ko) * 2017-11-07 2019-05-15 (주)코멕스카본 구형 페놀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8100A (ko) * 2018-11-19 2020-05-27 (주)코멕스카본 구형 페놀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365B2 (ja) * 1986-08-14 1996-10-30 リグナイト 株式会社 粉粒状フエノ−ル樹脂の製造方法
JPH0273820A (ja) * 1988-09-09 1990-03-13 Sumitomo Bakelite Co Ltd 積層板用フェノール樹脂の製造方法
US5108862A (en) * 1989-02-21 1992-04-28 Toda Kogyo Corp. Composite carrier particles for electrophotograph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118587A (en) * 1989-07-28 1992-06-02 Toda Kogyo Corporation Magnetic particles used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HU225723B1 (en) * 2001-03-21 2007-07-30 Izotop Intezet Kft Method for covering of plastic material
EP2054455B1 (en) * 2006-08-07 2013-12-25 Dynea Chemicals OY Stable aqueous novolac dispersion
JP6423167B2 (ja) * 2014-04-09 2018-11-14 アイカ工業株式会社 球状フェノール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74148B2 (en) * 2015-02-11 2019-01-08 Durez Corporation Cured phenolic spher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0358031B (zh) * 2019-08-01 2021-01-19 杭摩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核壳结构的固体热固性酚醛树脂及其制备方法
CN111995723B (zh) * 2020-07-13 2021-12-07 杭摩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固体热固性酚醛树脂以及采用悬浮法制备该酚醛树脂的方法
CN113637286A (zh) * 2021-10-15 2021-11-12 北京玻钢院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增韧、阻燃热熔型酚醛树脂、预浸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51161A (fr) * 1932-02-27 1933-08-28 Raschig Gmbh Dr F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ompositions de moulage par la condensation de phénols avec l'aldéhyde formique ou avec des matières cédant de l'aldéhyde formique
US2162035A (en) * 1935-10-14 1939-06-13 Bakelite Corp Resinous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king same
GB760699A (en) * 1953-09-26 1956-11-07 Distillers Co Yeast Ltd Preparation of novolak resins
DE1167528B (de) * 1962-04-13 1964-04-09 Leuna Werke Iawalter Ulbrichti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inkoernigen, gegebenenfalls farbigen Kondensationsprodukten aus Phenol, seinen Homologen oder hoeheren Alkylphenolen
DE1669891B2 (de) * 1966-04-01 1976-04-29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nell haertenden pressmassen
US3472915A (en) * 1968-10-18 1969-10-14 Monsanto Co Process of preparing seemingly one-stage novolacs
DE2414097A1 (de) * 1974-03-23 1975-10-16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lbsthaertenden phenolharzen
IT1051396B (it) * 1975-12-19 1981-04-21 Sir Soc Italiana Resine Spa Composizioni da stampaggio mi gliorate comprendenti una resina fenolica novolacca
US4239869A (en) * 1979-04-13 1980-12-16 Hooker Chemicals & Plastics Corp. Phenolic resins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ing stability
US4403076A (en) * 1980-07-14 1983-09-06 Pacific Resins & Chemicals, Inc. Fast curing novolac resin and shell molding composition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A1216697A (en) * 1981-12-29 1987-01-13 Peter W. Kopf Process for producing particulate novolac resins and aqueous dispersions
JPS5980437A (ja) * 1982-10-28 1984-05-0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アルデヒド化合物とフエノ−ル系化合物との縮合物の微粒子化方法
CA1243909A (en) * 1984-07-17 1988-11-01 Yoshiaki Echigo Microspherical particles of resole resi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S61258819A (ja) * 1985-05-13 1986-11-17 Unitika Ltd 微小球状硬化フエノ−ル樹脂粒子の製造法
JPH05342077A (ja) * 1991-02-22 1993-12-24 Oki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保存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626A (ko) * 2017-11-07 2019-05-15 (주)코멕스카본 구형 페놀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8100A (ko) * 2018-11-19 2020-05-27 (주)코멕스카본 구형 페놀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71043B2 (ko) 1993-10-06
EP0217587A3 (en) 1987-11-04
CA1300296C (en) 1992-05-05
US4839445A (en) 1989-06-13
EP0217587A2 (en) 1987-04-08
EP0217587B1 (en) 1991-05-08
JPS6264816A (ja) 1987-03-23
DE3679138D1 (de) 1991-06-13
KR870003144A (ko) 1987-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994B1 (ko) 구형상의 열경화성 페놀수지입자 및 그 제조법
US4640971A (en) Microspherical particles of resole resi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748214A (en) Microspherical cured phenolic resin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ing emulsion stabilizers
US4182696A (en) Process for producing particulate filler-containing resole molding compositions from aqueous dispersion
KR20110116739A (ko) 페놀수지 올리고머를 이용한 구형 페놀수지의 제조방법
JPH1160664A (ja) 感圧熱自硬化性球状フェノール樹脂の製造方法
JP3159443B2 (ja) 球状フエノール樹脂の製造法
JPH0629315B2 (ja) 微小球状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S6227455A (ja) 粒状レゾ−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H0582857B2 (ko)
JPH066615B2 (ja) 微小球状レゾ−ル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法
CA2000472A1 (en) Composite particle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mino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particles
JP2000503141A (ja) レフレクターブランク、該ブランク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手段
JPS6218415A (ja) 微小球状変性レゾ−ル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法
JPS62161813A (ja) 難燃性フエノ−ル樹脂の製造法
JPS6210126A (ja) 微小球状硬化メラミン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法
JPH0292952A (ja) フエノール樹脂成形材料組成物
JPH1180300A (ja) 微小球状硬化フェノール樹脂粒子の製造法
JP5387299B2 (ja) フェノール樹脂の製造方法
JPH0546860B2 (ko)
JPS62235312A (ja) 微小球状硬化フエノ−ル樹脂粒子の製造法
JPH03265619A (ja) 粉末フェノール系樹脂の製造方法
JP2001011145A (ja) 成形用フェノール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から得られるフェノール樹脂成形体
JPS63154742A (ja) 熱硬化性球状メラミン系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法
JPH03172341A (ja) メラミン樹脂被覆粒子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9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92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