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758B1 -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 Google Patents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58B1
KR890000758B1 KR1019850007036A KR850007036A KR890000758B1 KR 890000758 B1 KR890000758 B1 KR 890000758B1 KR 1019850007036 A KR1019850007036 A KR 1019850007036A KR 850007036 A KR850007036 A KR 850007036A KR 890000758 B1 KR890000758 B1 KR 89000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drive shaft
cylindrical portion
st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301A (ko
Inventor
데쓰오 이마무라
야스아끼 유가와
Original Assignee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도야 신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도야 신조오 filed Critical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5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2Separate power mes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7Reduction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tarder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1실시예 사용되는 내부 기어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표시된 내부기어의 배면도.
제4도는 제2도에 표시된 내부 기어의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1실시에 사용되는 원판의 정면도.
제6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1실시에 사용되는 중앙 브래킷의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에 표시된 중앙 브래킷의 평면도.
제8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1실시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 마찰판의 평면도.
제9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1실시에 사용되는 회전원판의 평면도.
제10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1실시에 사용되는 고정원판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1실시에 사용되는 벨레빌레(Belleville)스프링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표시된 벨레빌레 스프링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 따른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전형적인 부분의 부분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에 따른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전형적인 부분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표시된 제3실시의 수정의 전형적인 부분의 부분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에 따른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전형적인 부분의 부분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에 따른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전형적인 부분의 부분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에 따른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전형적인 부분의 부분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에 따른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전형적인 부분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타아터모우터 3 : 요우크
5 : 전기자 6 : 전기자 샤프트
7 : 프레임 10 : 태양기어
11 : 베어링 12 : 구동샤프트
13 : 돌기 14 : 베어링
15 : 하우징 16 : 떠돌이 기어
18 : 베어링 19 : 속기어
20 : 중앙트래킷 20a : 원통부분
20b : 원판형 부분 21 : 원판
22 : 베어링 23, 24 : 마찰판
25 : 회전원판 26 : 고정원판
27 : 벨레빌레스프링 28, 30 : 클립
33 : 클러치 34 : 피니온
35 : 링기어 40 : 차폐판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시동에 쓰이는데 적합한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서 알려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한 형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제50-12981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의하여 중앙 브래킷과 속기어 간의 위치에 유지된 스프링을 가진다.
스프링이 중앙 브래킷과 속기어의 사이에 넣어지는 배치 때문에 위에 언급된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는 그의 축방향의 길이가 스프링의 존재로 증가 되므로 스타아터의 전체 크기가 크게 되고, 미끄럼 로오크의 측정은 스프링이 스타아터에 맞추어지는 뒤까지 얻기 어렵고, 미끄럼 토오크를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결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완충장치에 대한 미끄럼 로오크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스타아터의 전체 크기를 증가함이 없이 맞추게 되어야 할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의 설비를 그의 목적으로서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의 스타아터가 제공되고, 스타아터는 전기자 샤프트를 가진 스타아터모우터와, 전기자 샤프트에 관하여 동축으로 연장하는 구동샤프트와,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샤프트의 축단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진 구동샤프트와,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샤프트의 외부 주위와 스폴라인 결합의 피니온과, 스타아터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를 가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도록 구동샤프트의 돌기에 회전되게 설치된 복수의 떠돌이 기어와, 떠돌이 기어와 맞물리는 결함으로 되도록 떠돌이 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와,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게 작동되고, 태양기어, 떠돌이 기어 및 속기어를 통하여 구동샤프트에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전기자 샤프트와 구동샤프트의 하나의 외주 곁의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원통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과, 원통부분의 축단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의 부분과, 회전하지 않으나 속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에 배치된 회전원판을 가진 완충장치와,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 부분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형 부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서 스프링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의 스타아터가 더욱 제공되고, 스타아터는 전기자 샤프트에 관하여 동축으로 연장하는 구동샤프트와,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샤프트의 축단부분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진 구동샤프트와,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샤프트의 외주와 스플라인 결합의 피니온과, 스타아터 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를 가진 떠돌기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태양 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되도록 구동샤프트의 돌기에 회전되게 설치된 다수의 떠돌이 기어와, 떠돌이 기어와 만물리게 결합되도록 떠돌이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와, 태양기어, 떠돌이 기어 및 속기어를 통하여 구동샤프트에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고,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속되게 작용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전기가 샤프트와 구동샤프트의 하나의 외주 결의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제1원통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과, 제1원통형 부분의 축단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 부분과, 제2원통형 부분의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속기어를 가지고 원판형 부분의 외주단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원판형의 부분과, 회전하지 않으나 속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중앙 브래킷의 제1원통형 부분 주위에 배치된 회전원판을 가진 완충장치와,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 부분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제1원통형 부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제1원통형 부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제1원통형 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서 스프링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의 스타아터가 제공되고, 스타아터는 전기자 샤프트를 가진 스타아터모우터와, 전기자 샤프트에 관하여 동축으로 연장하는 구동샤프트와,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샤프트의 축단으로 부터 외축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진 구동샤프트와,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샤프트의 외주와 스플라인 결합의 피니온과, 스타아터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를 가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태양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되도록 구동샤프트의 돌기에 회전하게 설치된 다수의 떠돌이 기어와, 떠돌이 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되도록 떠돌이 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와, 태양기어, 떠돌이기어 및 속기어를 통하여 구동샤프트에 전기자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고,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게 작동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구동샤프트와 전기자 샤프트의 하나의 의주결의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원통형 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과, 원통형 부분의 축단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 부분과, 회전하지 않으나 속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형 부분 주위에 배치된 회전원판을 가진 완충장치와,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 부분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형 부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원통형 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서 스프링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과, 완충장치와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 간에 놓여지고, 그들간의 역간의 갭을 통하여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수단에 면하는 차폐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의 스타아터가 더욱 제공되고, 그 스타아터는 전기자 샤프트를 가진 스타아터모우터와, 전기자 샤프트에 동축관계로 연장하는 구동샤프트와,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샤프트의 축단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진 구동샤프트와,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샤프트의 외주와 스플라인 결합의 피니온과, 스타아터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를 가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구동샤프트의 돌리에 회전되게 설치된 다수의 떠돌이 기어와, 그들과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떠돌이 기어의 외축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와, 동일한 고착을 위하여 속기어의 외축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부재와 속기어 간의 소정의 갭을 이루는 외부주위면을 가진 속기어와, 태양기어, 떠돌이 기어 및 속기어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에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고, 전기차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게 작동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전기자 샤프트와 구동샤프트의 하나의 외주 결의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원통형의 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과, 원통형 부분의 축단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 부분과 회전하지 않으나 속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형 부분 주위에 배치된 회전원판을 가진 완충장치와,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 부분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형 부분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원통형 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서 스프링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가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유사한 또는 동일한 부분 또는 성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하여 표시된다.
제1조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번호(1)로 표시된 스타아터모우터와 전자스위치(2)를 가진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스타아터가 표시된다. 스타아터모우터(1)는 증가된 직경의 측단의 내부 주위면 부분(3c)을 가지고 각기 제1계단(3a)과 제2계단 (3b)을 가지고 그것의 반대단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통모양의 요우크(3)를 가진다. 그것 주위에 감겨진 코일(4a)을 가진 극심(4)이 요우크(3)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그것에 동심의 관계로 극심(4)에 설치된 전기자(5)가 전기자(5)의 중앙을 통하여 연장하는 전기자 샤프트(6)를 가진다. 전기자 샤프트(6)는 끝 프레임(7)에 의하여 일단에 회전하게 지지되고 반대단의 외주면에 태양기어(10)를 가지고 형성된다. 브러시(9)다 정류자(8)의 외주면에 미끄러지는 접촉으로 배치된다. 구동샤프트(12)가 전기자 샤프트 (6)와 동심적으로 베어링(11)에 의하여 저어널되고, 그것의 일단에 또는 스타아터모우터(1) 축에 그것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의 돌기(13)를 가지고 형성된다. 구동샤프트(12)는 하우징(15)에 설치된 베어링(14)에 의하여 그것의 반대단에 저어널된다. 돌기(13)는 서로가 주위적으로 등간격으로 된 다수의 구멍(13a)을 가지고 형성된다. 태양기어(10)의 의주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유지된 복수의 떠돌이 기어(16)가 돌기(13)에 형성된 구멍(13a)의 대응하는 하나에 맞추어진 각각의 핀(17)의 힘에 의하여, 각각의 베어링(18)을 통하여 회전되게 보유된다.
제2,3 및 4도에 표시된 속기어(19)가 떠돌이 기어(16)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모양이 원통의 속기어(19)가 전기자(5)에 인접한 그것의 축방향으로 반의 내주면 부분에, 떠돌이 기어(16)와 맞물리는 기어톱니(19a)를 가지고 형성되고, 전기자(5)로 부터 떨어진 그것의 한끝부분에, 서로가 주위적으로 등간격으로 간격을 뗀 4개의 절삭(19b)을 가지고 형성된다. 속기어(19)는 요우크(3)의 내주면 부분 (3c)과 속기어(19)의 주위간에 이루어지는 약간의 갭을 가지고 배치되고 요우크(3)의 제1계단(3a)과 참조번호(20)으로 일반적으로 표시된 중앙 브래킷 간에 위치한다. 태양기어(10), 떠돌이 기어(16) 및 속기어(19)는 떠돌이 기어형 감속기구를 구성한다.
제5도에 표시된 원판(21)이 요우크(3)의 제1계단(3A)과 속기어(19)간에 위치되고, 그것의 위주에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만곡한 만곡부분(21a)을 가지고 형성되고, 만곡부분(21a)의 탄성에 의하여 소정위치에 속기어(19)의 장소를 보증한다. 원판 (21)은 역시 떠돌이 기어(16)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동일하게 핀(17)으로 부터의 이동을 방지한다. 제6 및 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중앙 브래킷(20)은 돌기(13)로 부터 떨어진 원통부분(20a)의 끝으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일체로 된 방법으로 연장하는 원판형 부분(20b)과, 돌기(13)에 인접한 구동샤프트(12)의 그 부분의 외주에 베어링(22)에 의하여 저어널된 원통부분(20a)을 가진다. 원판형 부분 (20b)은 그것의 외주에 하우징(15)에 관하여 중앙 브래킷(20)을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장방형 돌기(20c)가 형성된다. 원판형 부분(20b)은 역시 원통부분(20a)에 인접한 그것의 축방항의 끝면에 서로가 주위적으로 동일하게 간격을 뗀 3개의 위치결정의 돌기 (20d)가 형성된다. 원통부분(20a)은 그것의 외주에 서로가 주위적으로 동일하게 간격을 뗀 5개의 축방향의 홈(20e)이 형성된다. 제2의 주위적인 홈(20f)이 돌기(13)에 인접한 그것의 축방향의 끝, 인접한 원통부분(20a)의 외주의 부분에 형성된다. 제8도에 표시된 링형의 제1 및 제2마찰관 (23)및 (24)이 각각의 마찰판 (23) 및 (24)의 의주와 속기어(19)의 내주간에 따로따로 한정되는 약간의 틈새를 가지고 배치된다. 제9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마찰판 (23)및 (24)에 직경이 동일하고, 링의 형의 회전원판(25)이 그것의 외주면에서 서로가 주위적으로 동일하게 간격을 뗀 4개의 장방형의 돌기 (25a)를 가지고 형성된다. 4개의 장방형의 돌기(25a)는 속기어(19)에 형성된 4개의 절삭(19b)에 따로따로 삽입되어, 회전원판(25)은 속기어(19)에 관하여 중앙 브래킷 (20)의 원판형의 부분(20b)쪽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이나, 속기어(19)에 비례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부터 방지된다. 제1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링형의 고정원판(26)이 그것의 내주면에,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에 형성된 5개의 제1홈(20e)에 따로따로 맞추어지는 5개의 돌기(26a)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원판(26)은 축방향으로 움직이나 중앙 브래킷(20)에 관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부터 방지된다. 고정원판(26)은 제2마찰판(24)의 외주면에 직경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그것의 외주를 가진다. 제11및 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벨레빌레스프링(27)은 원추대형을 가지고,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의 외주에 맞추어진 중앙개구(27a)가 그것에 형성된다. 원형의 클립(28)이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에 형성된 제2홈(20f)에 삽입된다.
제1마찰판(23)이 중앙 브래킷(20)의 원판형 부분(20b)과 접촉하고, 원판형 부분(20b)의 돌기(20d)에 의하여 위치결정되도록 먼저 조립된다. 다음에 회전원판(25)과 제2마찰판(24)이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 조립된다. 회전회판(26)의 돌기(26a)가 그때 원통부분(20a)의 각각의 제1홈(20e)에 맞추어지고 회전원판(26)이 제2마찰판 (24)에 대하여 인접하게 된다. 벨레빌레스프링(27)에 형성된 개구(27a)가 그때 원통부분(20a)을 그것에 받고, 벨레빌레스프링(27)의 외주단부가 고정원판(26)에 대하여 인접되게 된다. 벨레빌레스프링(27)이 그때 구부러지고 원형의 클립(28)이 벨레빌레스프링(27)의 내주끝부에 대하여 인접하게 된다. 원형의 클립(28)이 그때 제2홈(20f)에 맞추어진다. 따라서, 원형의 클립(28)은 벨레빌레스프링(27)의 축방향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착수단으로서 봉사한다. 따라서, 벨레빌레스프링(27)의 바이어스하는 힘은 고정원판(26), 제2마찰판(24) 및 회전원판(25)을 통하여 중앙 브래킷(20)의 원판형 부분(20b)에 대하여 제1마찰판(23)이 재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소정의 토오크가 제1마찰판(23)과 중앙 브래킷(20)의 원판형 부분(20b)간의 마찰견인력, 제1마찰판 (23)과 회전원판(25)간의 마찰력인력, 제2마찰력(24)과 회전원판(25)간의 마찰견인력 및 제2마찰판(24)과 고정원판(26)간의 마찰견인력에 의하여 설정된다. 제1마찰판 (23), 회전원판(25), 제2마찰판(24) 및 고정원판(26)은 벨레빌레스프링(27)의 바이어스하는 힘에 의하여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의 외주에 한 단위로 보유된다. 제1마찰판(23), 회전원판(25), 제2마찰판(24), 고정원판(26) 및 벨레빌레스프링 (27)은 완충장치를 구성한다. 와서(29)와 원형의 클립(30)은 중앙 브래킷(20)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끝프레임(7)이 볼트(31)를 통하여 하우징(15)에 고착될때, 중앙 브래킷(20)의 원판형의 부분(20b)의 외주단은 소정위치에 중앙 브래킷(20)을 고착하기 위하여 요우크(3)와 하우징(15)간에 유지되고, 속기어(19)는 소정위치에 고착되도록 요우크(3)의 제1계단(3a)과 중앙 브래킷(20)간에 유지된다. 중앙 브래킷(20)과 조립되는 회전원판(25)은 속기어(19)의 절삭(19b)에 따로따로 맞추어지는 돌기(25 a)를 가진다. 따라서, 중앙 브래킷(20)은 베어링(22)을 통하여 구동샤프트(12)를 회전하게 지지한다. 스플라인튜우브(32)는 구동샤프트의 나선 스플라인(12a)과 스플라인 결함으로 되고 단일방향성 클러치(33)를 통하여 피니온(34)에 연결된다. 링기어(35)는 내연기관을 시동하기 위하여 피이온(34)과 맞물리게된다. 레버(36)가 스플라인튜우브(32)의 외주를 그것의 U형의 일단에서 결합하고, 타단에서 전자스위치(2)의 플런저(37)의 조인트(37a)를 결합한다.
상술한 구조의 스타아터의 작동이 이제 설명된다. 전자스위치(2)가 켜졌을때, 플런저(37)가 흡인되고, 조인트(37a)를 결합하는 테버(36)가 전자스위치(2)쪽으로 당겨지고 각도적으로 움직인다. 레버(36)의 각도 또는 피벗적인 이동은 스플라인튜우브(32)와 단일방향성 클러치(33)를 경유하여 피니온(34)을 앞으로(제1도에서 좌측으로)움직이게 한다. 피니온(34)이 링기어(35)에 접촉되었을때, 전자스위치(2)의 접촉이 닫혀지고 스타아터모우터(1)의 코일(4a)을 통하여 전류가 통과하게 된다.
코일(4a)의 부세는 전기자(5)를 회전하는 자속을 산축한다. 전기자(5)의 회전은 태양기어(10)를 경유하여 떠돌이 기어(16)에 전달한다. 회전토오크가 소정의 치이하일때 속기어(19)는 중앙 브래킷(20)의 원판형부분(20b)에 대하여 벨레빌레스프링 (27)에 의하여 재촉되는 회전원판(25)에 의한 회전이 막아진다. 따라서, 전기자 샤프트(6)의 회전은 속도가 감소되고, 속기어(19)의 톱니(19a)와 태양기어(10)에 맞물리는 떠돌이 기어(16)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에 전달된다. 감소된 회전속도는 스플라인튜우브(32)와 단일방향성 클러치(33)를 통하여 피니온(34)에 전달된다. 피니온 (34)의 회전은 링기어(35)에 전달되고 그것에 의하여 내연기관이 시동한다.
그러나, 피니온(34)이 링기어(35)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었을때, 소정의 치보다 높은 토오크가 적용된 경우에서, 그것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온(34)이 과부하상태가 생기게 링기어(35)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었을때, 회전포오크는 피니온(34), 떠돌이 기어 및 속기어(19)를 통하여 회전원판(25)에 전달되고, 그때 슬립이 제1마찰판 (23)과 중앙브래킷(20)의 원판형 부분(20b) 간에, 제1마찰판(23)과 회전원판(25)간에, 제2마찰판(24)과 회전원판(25)간에 및/또는 제2마찰판(24)과 고정원판(26)간에 생겨, 그것에 의하여 회전원판(25)이 회전하게 된다. 이것은 회전원판 (25)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었던 속기어(19)가 회전원판(25)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소정치 보다 높은 토오크는 전기자(5)로부터 피니온(34)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통로에 적용되는 것이 방지된다.
완충장치는 구동 샤프트(12)를 회전하게 지지하는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의 외주 주위의 공간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이것은 스타아터의 축방향의 크기를 증가하지 않고 완충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의 외주 주위의 공간에 설치된 완충장치는 구동 샤프트(12)의, 외주에 놓여진 단일 구조를 형성된다. 이것은 이 장치가 스타아터에 실제적으로 설치되기에 앞서 설정되어야 할 완충장치의 슬립토오크를 가능하게 한다. 특별하게 슬립토오크는 중앙 브래킷(20)이 고착되고, 회전하는 힘이 회전원판(25)의 돌기(25a)를 따로따로 받게 적용된 절삭을 가지고 형성되고, 속기어(19)에 모양이 유사한 원통링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측정되어도 좋다. 슬립토오크가 바라는 설정치에 상이한 치를 가질 경우에서, 벨레빌레스프링(27)은 소정의 부하를 가진 다른 벨레빌레스프링에 의하여 교체되든지 하나 또는 더하는 와셔가 벨레빌레스프링(27)과 원형의 클립(28) 사이에 삽입되고, 그것에 의하여 벨레빌레스프링(27)의 부하를 증가하고, 슬립토오크를 증가한다.
상술된 바와같이, 완충장치는 단일구조로서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 주위에 설치된다. 이것은 다른 감속비율을 가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에 대하여 동일한 성분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여기에서, 예로서 속기어(19)는 다른 톱니(19a)의 수를 가진 다른 것에 의하여 고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감소율의 떠돌이 기어형 감속기구에 대하여 다른 완충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필요가 제거된다.
완충장치는 피니온(34)에 인접한 떠돌이 기어형 감속기구의 축에 놓여진다. 이 구조 배치는 완충장치가 스타아터모우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에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져온다.
제13도는 중앙 브래킷(120)이 구동 샤프트(12)의 외주의 베어링(22)에 의하여 저어널된 제1원통부분(120a)과, 떠돌이 기어형 감속기구에 대향하는 제1원통부분 (120a)의 축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 부분(120b)과, 제1원통부분(120a)에 평행으로 연장하고, 원판형 부분(120b)의 외주로부터 직각으로 만곡된 제2원통부분(120g)을 가진다. 대부기어(19)가 제2원통부분(120g)내에 설치된다. 제2원통부분(120g)은 소정위치에 중앙 브래킷(120)을 고착하게, 요우크(3)의 외주의 계단(3a)과 하우징(15)에 의하여 대향하는 끝에서 유지된다. 중앙 브래킷(120)은 제6도의 참조번호(20c), (20d), (20e) 및 (20f)로 표시된 그들에 각기 대응하는 장방형 부분, 돌기, 축방향 홈 및 주변홈을 물론 가진다.
상술되고, 제1 내지 12도에 표시된 제1실시에 의하여 제공된 장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장점이 제13도에 표시된 제2실시에 의하여 제공된다. 제2원통부분(120g)의 설비는 링기어(35)와 맞물리는 피니온(34)에서 하우징(15)의 개구를 통하여 제1 및 제 2마찰판(23) 및 (24)에 들어오는 튀기는 물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마찰판 (23) 및 (24)에 점착하는 물이 그들이 각각의 외주의 마찰계수를 감소하고, 전달토오크를 감소하여, 그것에 의하여 스타아터모우터(1)(제1도)로부터 피니온(34)(제1도)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볼가능하게 만드는 문제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역시, 제1 및 제2마찰판에 점착하는 물이 그것에 녹의 형성을 일으키고, 마찰계수와 토오크의 충격을 증가하여 그것에 의하여 회전전달통로가 손상하는 문제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4도는 속기어(219)가 돌기(219c) 및 (13)간에 이루어진 약간의 축방향의 갭을 가지고 중앙 브래킷(20)에 인접한 구동사프트(12)의 돌기(13)의 끝면에 면하고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차폐판으로서 종사하는 돌기(219c)를 가지고 그것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3의 실시를 표시한다.
속기어(219)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된 참조번호(19a) 및 (19b)로 표시된 그들에 각기 대응하는 기어톱니와 절삭을 물론 가진다.
제1실시에 의하여 제공된 장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장점이 제3실시에 의하여 제공된다. 떠돌이 기어형 감속기구에 함유된 윤활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이스가 흐트러질지라도 돌기(219c)의 설비는 그리이스가 완충장치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그리이스가 완충장치의 슬립토오크를 감소하게 제1 및 제2마찰판 (23)및 (24)에 점착하여 그것에 의하여 피니온 (34)(제1도)으로의 스타아터모우터(1)(제1도)의 구동력의 전달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문제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돌기(219)는 제3실시에서, 속기어(219)의 내주에 형성된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돌기(219c)는 제1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떠돌이 기어(16)에 인접한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의 축단에 고착된 환상형의 차폐판(40)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차폐판(40)은 속기어(19)와 차폐판(40)간에 이루어지는 약간의 방사상의 갭을 가지고 속기어(19)의 내주에 면하는 그것의 외주를 가진다. 차폐판(40)의 내주는 중앙 브래킷 (20)의 원통부분(20a)의 제2홈(20f)에 따라 고착된다. 차폐판(40)은 역시 제14도에 표시된 원형의 클립(28)의 장소에서 벨레빌레스프링(27)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6도는 제2원통부분(120g)이 제13도에 표시된 제2실시의 경우와 같이 중앙 브래킷(120)에 형성되고 돌기(219c)가 제14도에 표시된 제3실시의 경우와 같이 속기어(219)의 내주에 형성된 제4실시를 표시한다.
제17도는 속기어(519)가 톱니(519a)를 가지고 그것의 전체 내주면에 형성된 제5실시를 표시한다. 회전원판(525)은 속기어(519)의 각각의 톱니(519a)에 맞추어지는 모양으로 된 그것의 외주부분(525a)을 가진다.
제17도에 표시된 실시는 제1실시에 의하여 제공된 장점에 부가하여, 속기어 (519)의 조립이 톱니(519a)가 속기어(519)의 전체 내주면에 걸쳐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고, 속기어(519)는 어느 방향에서도 삽입되어, 그것에 의하여 조립작동성이 개량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18도는 환상 또는 주위의 요홈(619d)이 합성수지 물질로 형성된 속기어(61 9)의 외주부분에 형성되고, 그것의 대향하는 내주면부분에는 톱니(619)의 외주부분에 형성되고, 그것의 대향하는 내주면 부분에는 톱니(619a)가 형성된 제6실시를 표시한다. 속기어(619)는 그들간에 이루어지는 약간의 갭을 가지고 요우크(3)의 내주면부분 (3c)에 면하는 대직경부분(619e)과 그들간에 위치된 환상요홈(619d)을 가지고 요우크(3)의 내주면부분(3c)에 면하는 소직경부분(619f)을 가진다. 대직경부분 (619e)은 속기어(619)를 중심에 맞추는 기능을 하고, 환상의 요홈(619d)은 합성수지물질로 형성된 속기어(619)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속기어 (619)의 탄성변형이 속기어(619)의 외주를 요우크(3)의 내주면부분(3c)엔 접촉하게 하여, 그것에 의하여 속기어(19)가 회전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9도에 표시된 제7실시예서, 중앙 브래킷(20)은 떠돌이 기어형 감속기구에 관하여 전기자(5)에 인접한 축에 놓여진다. 중앙 브래킷(20)은 베어링(22)을 통하여 전기자 샤프(6)를 지지하고, 전기자 샤프트(6)는 베어링(11)을 통하여 구동 샤프트 (12)를 지지한다. 중앙 브래킷(20)은 요우크(3)의 제1계단(3a)과 속기어(19)간에 고착되고 유지된다.
제19도에 표시된 이 구조배치에 의하여, 완충장치는 구동 샤프트(12)를 지지하는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의 외주 주위에 편리하게 맞추어진다. 따라서, 완충장치는 스타아터의 축방향의 크기의 증가없이 설치된다. 그것에 의하여 전기자 샤프트(6)의 외주 주위에 설치되는 중앙 브래킷(20)의 원통부분(20a)의 외주 주위에 놓여진 단일구조로서 구성된 완충장치의 배치는 그것이 스타아터와 조립되는데에 앞서 완충장치의 슬립토오크가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립토오크는 회전원판(25)의 각각의 돌기(25a)를 받게 적용된 절삭을 가지고 형성되고, 속기어(19)와 같은 모양을 가진 원통링에 회전력을 발휘하고, 소정위치에 중앙 브래킷(20)을 고착하는 것에 의하여 측정된다.
제1내지 19도에 표시된 실시에서, 회전원판(25),(525)이 높은 마찰저항의 물질로 형성되면, 회전원판은 중앙 브래킷(20), (120)의 원판형의 부분(20b),(120b)에 대하여 직접 인접하고, 중앙 브래킷(20), (120)에 대하여 벨레빌레스프링(270)에 의하여 재촉되어도 좋다. 벨레빌레스프링(27)은 스테이킹(staking), 용접 또는 그와 같은 것에 의하여 중앙 브래킷(20), (120)의 원통부분(20a)의 외주에 맞추어져도 좋다.
이것은 제1실시에 참조로 설명된 장점에 부가하여, 제1및 제2마찰판(23) 및 (24)과 고정원판(26)을 사용할 필요가 제거되고, 그것에 의하여 성분의 수와 제조비를 감소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원형의 클립(28)이 벨레빌레스프링(27)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게 이용되도록 설명되었다. 그러나, 원형의 클립의 장소에, 벨레빌레스프링(27)이 스프링(27)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게 중앙 브래킷(20),(120)의 원통부분(20a),(120a)에 스테이크 되어도 좋다.
벨레빌레스프링(27)이 중앙 브래킷(20), (120)의 원통부분(20a),(120a)의 외주 주위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대체되어도 좋다.
돌기(26a)가 중앙 브래킷(20),(120)의 원통부분(20a),(120a)에 형성된 각각의 제1홈(20e)에 맞추어지고, 고정원판(26)의 내주에 형성되도록 설명되었다. 그러나, 홈은 고정원판(26)의 내주에 형성되도록 설명되었다. 그러나, 홈은 고정원판(26)의 내주에 형성되어도 좋고, 돌기는 고정원판(26)의 홈에 각기 맞추어지고, 중앙 브래킷 (20), (120)의 원통부분(20a),(120a)의 외주에 형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은 막대한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 완충장치는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의 외주 주위의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스타아터와 조립된다. 이 구조배치는 스타아터의 전체 축방향의 길이를 증가함이 없이 완충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의 외주 주위의 완충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의 사용은 완충장치가 스타아터에 조립되기에 앞서 완충장치의 슬립토오크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 그것에 의하여 슬립토오크의 설정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장점에 부가하여 속기어의 외주 주위에 놓여진 중앙 브래킷의 제2원통부분의 설비가 외측으로부터 완충장치로 흩트러진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정점에 부가하여,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와 스프링 간에 놓여진 차폐판의 설비가 그리이스가 어느 사고에 의하여 흩트러졌을때, 떠돌이 기어형 감속기구내로 그리이스가 완충장치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장점에 부가하여, 속기어에 첨부된 부재와 속기어의 외주간의 소정의 방사상의 갭의 설비는 속기어의 탄성의 변형이 첨부된 부재와 속기어의 외주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속기어가 회전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2)

  1.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 스타아터에 있어서, 스타아터가 전기자 샤프트를 가진 스타아터모우터와, 전기자 샤프트에 동축은 관계로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를 가지고, 구동 샤프트는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 샤프트의 축단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지고, 스타아터는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 샤프트의 외주와 스플라인 결합의 피니온과, 상기 스타아터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를 가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지고, 다수의 떠돌이 기어는 떠돌이 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떠돌이 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와,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구동 샤프트의 돌기에 설치되고,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는 전기자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게 작동되고, 태양기어, 떠돌이 기어 및 속기어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에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고, 원통부분의 축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 부분과, 전기자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하나의 외주에 의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원통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과, 회전하지 않으나 속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에 배치된 회전원판과,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의 부분에 대하여 회전 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의 스프링 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을 가진 완충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소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속기어는 축방향의 절삭이 그 속에 형성되고, 회전원판은 속기어의 절삭에 맞추어 지게 적용된 돌기가 그것에 형성되는 스타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중앙 브래킷은 스타아터모우터의 요우크와 하우징 간에 유지되는 그것의 원판형의 부분의 외주를 가지고 고착되는 스타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완충장치의 고착수단은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주위의 홈에 맞추어진 원형의 클립을 가지는 스타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벨레빌레스프링을 가지는 스타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완충장치는 스프링수단과 회전원판 간에 놓여진 고정원판을 포함하고, 고정원판은 중앙 브래킷에 관하여 회전되기않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의 외주와 요홈-돌기와 서로 결합되는 스타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완충장치는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의 부분과 회전원판 간에 놓여진 제1마찰판과, 고정원판과 회전원판 간에 놓여진 제2마찰판을 포함하는 스타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속기어는 떠돌이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는 속기어의 전체 내주면에 걸쳐 연장하고, 회전원판은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는 스타아터.
  9.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 스타아터에 있어서, 스타아터가 전기자 샤프트를 가진 스타아터모우터와, 전기자 샤프트에 동축의 관계로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를 가지고 상기 구동 샤프트는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 샤프트의 축단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외측으롤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지고, 스타아터는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 샤프트의 외주와 스플라인 결합의 피니온을 가지고, 스타아터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와,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구동 샤프트의 돌기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다수의 떠돌이 기어와, 떠돌이 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떠돌이 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를 가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지고,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는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게 작동되고, 태양기어, 떠돌이 기어 및 속기어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에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고, 전기자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하나의 외주에 의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제1원통부분과, 제1원통부분의 축단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의 부분과 제2원통부분의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를 가지고, 원판형 부분의 외주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원통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을 가지고, 회전하지는 않으나 속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에게 중앙 브래킷의 제1원통부분 주위에 배치된 회전원판과,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의 부분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제1원통부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제1원통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서 스프링 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을 가진 완충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10.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 스타아터에 있어서, 스타아터가 전기자 샤프트를 가진 스타아터모우터와 전기가 샤프트에 동축의 관계로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를 가지고, 상기 구동 샤프트는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 샤프트의 축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지고, 스타아터는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 샤프트의 외주와 스폴라인 결합의 피니온과, 스타아터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와,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구동 샤프트의 돌기에 회전하게 설치된 다수의 떠돌이 기어와, 떠돌이 기어와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떠돌이 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를 가진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지고, 상기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는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게 작동되고, 태양기어, 떠돌이 기어 및 속기어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에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고, 전기가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하나의 외주에 의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원통부분과, 원통부분의 축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의 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을 가지고, 회전할 수 없으나 내부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에 배치된 회전원판과, 중앙 브래킷의 원판형의 부분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원토우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 스프링 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을 가진 완충장치를 가지고, 완충장치와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간에 배치되고, 그들간의 약간의 캡을 통하여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수단에 면하는 차폐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속기어의 내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지고, 약간의 갭을 가진 구동 샤프트의 돌기의 끝면에 면하는 상기 돌기가 그들 간에 이루어지는 스타아터.
  12. 링기어를 가진 내연기관용 스타아터에 있어서, 스타아터가 전기자 샤프트를 가진 스타아터모우터와, 전기자 샤프트에 동축관계로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를 가지고, 상기 구동 샤프트는 전기자 샤프트에 인접한 구동 샤프트의 축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사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가지고 스타아터는 내연기관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적용되고, 구동 샤프트의 외주와 스플라인 결합의 피니온을 가지고, 스타아터모우터의 전기자 샤프트의 축단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와, 태양기어의 돌기에 회전하게 설치된 다수의 떠돌이 기어와, 그들과 맞물리는 결합으로 되게 떠돌이 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속기어를 가지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지고, 상기 속기어는 동일한 고착을 원하여 속기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부재와 속기어간에 소정의 갭을 이루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는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게 작동되고, 태양기어, 떠돌이기어 및 내부기어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에 전기자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하고, 전기자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하나의 외주 곁의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원통부분과, 원통부분의 축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판형의 부분을 가진 중앙 브래킷을 가지고 회전하지 않으나 속기어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에 회전원판과, 중앙 브래킷의 원판부분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재촉하게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수단과, 중앙 브래킷의 원통부분 주위의 그들의 각각의 위치의 스프링수단과 회전원판을 보유하기 위한 고착수단을 가진 완충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KR1019850007036A 1984-10-30 1985-09-25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Expired KR890000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229885 1984-10-30
JP59229885A JPS61106974A (ja) 1984-10-30 1984-10-30 遊星歯車減速機構付スタ−タ
JP229885 1985-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301A KR870003301A (ko) 1987-04-16
KR890000758B1 true KR890000758B1 (ko) 1989-04-03

Family

ID=1689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036A Expired KR890000758B1 (ko) 1984-10-30 1985-09-25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35489A (ko)
EP (1) EP0180016B1 (ko)
JP (1) JPS61106974A (ko)
KR (1) KR890000758B1 (ko)
DE (1) DE357475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09Y2 (ko) * 1986-02-24 1993-07-02
JPH0528384Y2 (ko) * 1986-05-15 1993-07-21
US4719818A (en) * 1986-08-28 1988-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Turbocharger planetary drive
JPH0674829B2 (ja) * 1986-10-11 1994-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始動及び後退用減速装置
KR910000941Y1 (ko) * 1986-12-25 1991-02-13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유성감속형 시동기
JPS63195383A (ja) * 1987-02-10 1988-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タ装置
JPS63164567U (ko) * 1987-04-15 1988-10-26
JPH01152068U (ko) * 1988-04-13 1989-10-19
JPH01157273U (ko) * 1988-04-19 1989-10-30
JPH0218828A (ja) * 1988-07-06 1990-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吸引装置
JPH0264260A (ja) * 1988-08-29 1990-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同軸形スタータ
DE4006797A1 (de) * 1990-03-03 1991-09-12 Bosch Gmbh Robert Andrehvorrichtung mit bremseinrichtung
JP2544677B2 (ja) * 1990-06-05 1996-10-16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エンジン用始動装置
JPH0465963U (ko) * 1990-10-09 1992-06-09
JPH04232379A (ja) * 1990-12-28 1992-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装置
JP2515602Y2 (ja) * 1991-04-15 1996-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遊星歯車減速スタータ装置
IT1249933B (it) * 1991-06-25 1995-03-30 Magneti Marelli Spa Dispostitivo di avviamento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per autoveicolo.
JP3158514B2 (ja) * 1991-08-22 2001-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DE4302854C1 (de) * 1993-02-02 1994-06-09 Bosch Gmbh Robert Andreh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4324876C2 (de) * 1993-07-23 1995-06-01 Ims Morat Soehne Gmbh Getriebe und dessen Verwendung
JP2950118B2 (ja) * 1993-10-25 1999-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遊星歯車減速機構付スタータ
US5592912A (en) * 1994-05-27 1997-01-14 Nippondenso Co., Ltd. Starter having improved heat radiation
US5690577A (en) * 1994-07-25 1997-11-25 Ims Morat Sohne Gmbh Gear Mechanism
JPH0882273A (ja) * 1994-09-13 1996-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装置
US5953955A (en) * 1994-11-24 1999-09-21 Nippondenso Co., Ltd. Starter with planetary gear speed reduction mechanism
JPH08291783A (ja) * 1995-04-20 1996-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遊星歯車減速スタータ装置
JP3301303B2 (ja) * 1995-10-13 2002-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機
US5905309A (en) * 1996-02-15 1999-05-18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shock absorbing device
JP3603508B2 (ja) * 1996-02-15 2004-12-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EP0790405B1 (en) * 1996-02-16 1999-04-28 Denso Corporation Starter having planetary gear reduction device
JPH1028351A (ja) * 1996-07-08 1998-01-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遊星減速形スタータ
FR2758370B1 (fr) * 1997-01-16 1999-03-05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a reducteur a train epicycloidal comportant un dispositif limiteur de couple
EP1094246B1 (en) 1999-10-22 2004-06-02 Denso Corporation Shock absorber and overload protection device
US6338689B1 (en) * 2000-06-16 2002-01-15 Sauer-Danfoss Inc.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JP2002276517A (ja) * 2001-01-10 2002-09-25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装置
US6732837B2 (en) * 2001-02-28 2004-05-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Lubrication control device
JP2003074449A (ja) * 2001-09-05 2003-03-12 Denso Corp スタータ
JP2004060520A (ja) * 2002-07-29 2004-02-26 Denso Corp スタータ
JP4174820B2 (ja) * 2003-03-11 2008-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165362B2 (ja) 2003-10-08 2008-10-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872907B2 (ja) * 2007-12-26 2012-02-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US8169115B1 (en) * 2008-09-26 2012-05-01 Edward Riggs Monfort Motor distributor system
US20100105514A1 (en) * 2008-10-28 2010-04-29 Caterpillar Inc. Drive Assembly having ring gear friction clutch
US8584770B2 (en) 2010-03-23 2013-11-19 Black & Decker Inc. Spindle bearing arrangement for a power tool
US8324775B2 (en) * 2010-08-05 2012-12-04 Hiwin Mikrosystem Corp. Brush DC motor with reduction mechanism
RU2560932C2 (ru) * 2013-07-30 2015-08-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тартер с планетарным редуктором
JP2017070026A (ja) * 2015-09-29 2017-04-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タータ
WO2017187450A1 (en) * 2016-04-26 2017-11-02 Varroc Engineering Pvt. Ltd. Compact starter mo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3637A (en) * 1941-07-21 1942-12-01 Jack & Heintz Inc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679170A (en) * 1952-04-16 1954-05-25 Jack & Heintz Inc Torque limiting device
US3891351A (en) * 1974-03-25 1975-06-24 Theodore J Norbut Turbine disc
US4192195A (en) * 1975-12-03 1980-03-11 Nippondenso Co., Ltd. Starter with a shock absorbing arrangement
DE3063860D1 (en) * 1979-05-25 1983-07-28 Lucas Ind Plc Starter motor
FR2498392A1 (fr) * 1981-01-21 1982-07-23 Paris & Du Rhone Perfectionnements aux demarreurs electriques pour moteurs a combustion interne comportant un reducteur insere entre son moteur electrique et son lanceur
JPS5863361U (ja) * 1981-10-24 1983-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遊星歯車減速機付スタ−タ
JPS5870463U (ja) * 1981-11-07 1983-05-13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電動機
GB8314793D0 (en) * 1983-05-27 1983-07-06 Lucas Ind Plc Starter 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80016A1 (en) 1986-05-07
EP0180016B1 (en) 1989-12-13
JPH0233872B2 (ko) 1990-07-31
US4635489A (en) 1987-01-13
KR870003301A (ko) 1987-04-16
DE3574759D1 (de) 1990-01-18
JPS61106974A (ja) 198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758B1 (ko) 떠돌이 기어형의 감속기구를 가진 스타아터
EP0276315B1 (en) Planetary gear type reduction starter
US3185276A (e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normally disengaged spring clutches
JPH0210307Y2 (ko)
US4592251A (en) Two speed accessory drive
GB2249360A (en) Electromagnetic clutch
US4273226A (en) Electromagnetic spring-wound clutch
US4932273A (en)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1187364A (ja) スタータ装置
US3690188A (en) Engine starter drive assembly
US5130586A (en) Intermediate gear type starter motor
JPS6235119A (ja) トルク調整方法
US4194607A (en) Electro-magnetic spring-wound clutch
JPS63277859A (ja) ブレ−キもしくはクラツチ装置
JPH0337049B2 (ko)
US4023870A (en) Self-centering device to fasten a rotatory wheel against axial movements
JPH0381565A (ja) 遊星歯車減速機構付スタータ
JPS62247175A (ja) 遊星歯車減速機構付スタ−タ
US3057212A (en) Starter clutch
US3197002A (en) Two torque clutch
USRE30609E (en) Resilient connection between inner and outer poles on electromagnetic clutch
JP4013784B2 (ja) 緩衝装置
JPH0633741B2 (ja) 遊星歯車減速機構付スタ−タ
EP0249490A2 (en) Yoke locking mechanism for electromagnetic clutches
EP0460688B1 (en) Intermediate gear type starter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1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9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3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