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60002715Y1 - 통신용 보안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용 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715Y1
KR860002715Y1 KR2019820009648U KR820009648U KR860002715Y1 KR 860002715 Y1 KR860002715 Y1 KR 860002715Y1 KR 2019820009648 U KR2019820009648 U KR 2019820009648U KR 820009648 U KR820009648 U KR 820009648U KR 860002715 Y1 KR860002715 Y1 KR 860002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lightning arrester
communication
typ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460U (ko
Inventor
쯔네히사 도우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하구산 세이사구쇼 다이효사 요시무라 가쯔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하구산 세이사구쇼 다이효사 요시무라 가쯔히고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하구산 세이사구쇼 다이효사 요시무라 가쯔히고
Publication of KR840003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4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6Series resist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Fuse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용 보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통신용 보안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통신용 보안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3a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3b도는 좌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5도는 저면도.
제6도는 제4도의 VI-VI선 단면도.
제7a도, 제7b도, 제7c도는 열저항 소자를 끼워주는 접속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8도는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는 상태의 개략도.
제9도는 실시예 2를 표시한 평면도.
제1a도, 제1b도는 실시예 2에 사용되는 접촉단자의 사시도.
제11도는 단자 삽입편의 배치를 표시한 저면도.
제12도는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는 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13도는 실시예 3을 표시한 평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 a1,2a,a3: 전극
R1,R2: 서미스타 r1,r2: 전극
1 : 절연기체 2,3 : 개구
9 : 접속단자 13 : 접촉면
14 : 가용도전체 20,21 : 겸용단자
30,31 : 분할기체
본 고안은 통신선에 이상전압이 유입될 때 통신기를 보호하기 위한 통신용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신용 보안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단일 유닛(Unit)에 넣어서 프린트 기핀에 장착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용 보안장치로는, 제1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평형 통신회선에서 외선측(L1,L2)에 위치하고 중간 전극을 접지한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A)가 선로에 병렬로 삽입되고 내선측(I1,I2)에 위치하는 열저항 소자로서 서미스타(R1,R2)가 각각 직렬로 삽입되어 구성되 있다. 이 통신선로 L1I1,과 L2, I2에는 낮은 통신 전압이 사용되므로 접촉 불량은 통신 전압에 악영향을 미치며 데이타 회선에 있어서는 부호변환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통신선로(L1,I1)(L2,I2)에는 신뢰성이 높은 납땜을 실시하고 있지만 병렬 접속되는 접지측에서는 가벼운 접촉 불량이 생겨도 과전압이 확실히 접지되기 때문에 코넥타등 기계적 접속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유 때문에 피뢰소자(A)와 서미스타(R1,R2)는 통신용 보안 장치에 각기 개별적으로 부착하여 넓은 부착 공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부착 작업하는데 시간이 걸렸다.
특히 서미스타(R1,R2)의 각리이드선을 터미널이나 단자 등에 납땜하는 것이 번거러울뿐 아니라, 땜납이 용해 후 굳을때까지의 수초간 땜납 부분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하여 자동 공정으로 실시할 수 없었다.
이와같은 결점은 집합 회선의 장착때는 한층더 불편하였다.
상기 실정에 비추어 미리 각 소자를 집어넣은 유닛 개발에 착안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즉, 최근의 통신회선의 집합화에 따라 프린트 기판에 장착할 유닛은 프린트 기판상에 다수 늘어 놓을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더구나 이 경우 피뢰소자(A)와 2개의 서미스타(R1,R2)의 형상과 전극 배치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과 프린트 기판의 구멍간격을 적합하도록 배치해야만 한다.
또 상기 유닛에 각 소자를 집어 넣는 작업을 손쉽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납땜 작업을 하지 않고 각 단자의 접속을 하는것이 좋기 때문에 각 단자를 독립적으로 성형하여 프린트 기판에서 접속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 방식대로 하면 3극 피뢰소자(A)의 접지측이 프린트 기판에서 양통신선로(L1,I1)(L2,I2)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접지측 배선에는 쟘퍼선등을 써야할 필요가 또 생겼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납땜 작업없이 각 소자를 끼워 넣기만 하면 유닛화 할 수 있고 프린트 기판에 다수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그 목적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2도와 같이 3극 피뢰소자(A)와 그 측방에 리이드선이 없는 2개의 서미스타(R1,R2)를 거의 병렬로 배치한 절연기체(1)를 프린트 기판에 병렬 장착 가능케 형성하고 절연기체(1)에는 3극 피뢰소자(A)전극(a1,a2,a3)에 접속하는 접속단자(9)가 마련되는 동시에 2개의 열저항 소자(R1,R2)의 각 전극면에 가용도 전체를 끼워서 각기 탄지하는 2쌍의 접촉단자가 마련되고 2쌍의 접촉단자(13)중 병렬로 양외측에 위치하는 각기 한쪽의 접촉단자(13)가 3극 피뢰소자(A)측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통신용 보안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3(a)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동제3(b)도는 좌측면도.
제4도는 동 평면도 제5도는 동 저면도.
제6도는 제4도의 VI-VI선 단면도.
제7(a)도 제7(b)도 제7(c)도는 열저항 소자를 끼워주는 접속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제8도는 프린트 기판에 장착되는 상태를 표시한 개략도.
도면중 1은 절연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등을 재질로 하여 구형체로 상형된 절연기체이며 절연기체(1)는 상면으로 집어 넣게한 개구(2,3)로 되고 3극 피뢰소자(A)와 리이드선 없이 전극면을 표출한 2개의 원반형 열저항 소자인 서어미스타(R1,R2)를 집어 넣어서 유닛을 구성한다.
절연기체(1)는 프린트 기판(P)에 다수 병렬로 장착할 수 있는 외형 치수로 하는 동시에 프린트 기판(P)의 구멍 간격과 각 단자 간격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피뢰소자(A)가 절연기체(1)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에 대하여 서어미스타(R1,R2)가 피뢰소자(A) 측방의 길이 방향으로 비스듬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개구(2)는 피뢰소자(A)를 지지하도록 저부(2a)가 반원형이고 저부(2a) 중앙에는 중간전극(a2)을 받아줄 홈(2b)이 있다. 이 개구(2)에는 절연기체(1)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3개의 관통공(4)이 관설되어 있는 동시에 각 관통공(4)에는 단부(5)와 발지부(6)가 각기 형성된다.
각 관통공(4)은 피뢰소자(4)의 각 전극(a1,a2,a3)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관통공(4)이 위치하는 벽면 상방에는 절결부(7)가 각기 형성되는 동시에 절결부(7) 사이에는 돌벽(8)이 형성된다.
또 각 관통공(4)에는 접속단자(9)가 각기 끼워지게 된다.
접속단자(9)는 상하를 뻗은 기판(9a)과 기판(9a)상부를 만곡하여 피뢰소자(A)각 전극 주면을 지지하는 만곡부(9b)와 만곡부(9b)에 상단을 외방으로 구부린 안내편(9c)과 기판(9a) 하부를 상방으로 잘라서 세운 절기편(9d)과 기판(9a) 하단에서 폭이 좁게 뻗힌 핀(9e)으로 이루어진다.
이 각 접속단자(9)는 각기 동일 형상의 금속판으로 성형한다.
접속단자(9)의 설치는 광통공(4)상방에서 핀(9e)을 따라서 끼우면 기판(9a)하단이 관통공(4)단부(5)에 닿는 동시에 절기편(9d)이 발지부(6)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각 접속단자(9)는 서로 전극 간격 만큼 떨어져 있고 만곡부(9b)는 절결부(7)에서 개구(2) 안쪽으로 보고있고 핀(9e)은 기체 저면에서 소정 치수만큼 돌출하고 있다.
한편 개구(3)는 2개의 서미스타(R1,R2)를 각기 요동할 수 있도록한 넓이고 서비스타(R1,R2)를 각기 지지할 수 있도록 저부(3a)가 반원형을 형성하고 있다.
각 개구(3)에는 4개의 관통공(10)이 각기 관설된다.
각기 한쪽 관통공(10)은 절연기체(1)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각 개구(3)내에서 서로 기체폭 방향, 즉 양 외측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이들과 대향하는 각기 다른쪽 관통공(10)은 절연기체(1)의 길이 방향 우측에 위치하는 각 개구(3)내에서 서로 폭 방향으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관통공(10)은 평면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되고 프린트 기판(P)의 삽입공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관통공(10)에는 단부(5)와 발지부(12)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또 관통공(10)은 개구(3)벽면에서 떨어져서 배치된다.
상기 관통공(10)에는 2쌍의 접촉단자(13)가 각각 끼워지게 되어있다.
접촉단자(13)는 금속판으로 각각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하로 뻗은 기판(13a)과 기판(13a)상부로 부터 깃발 모양으로 뻗은 접촉편(13b)과 기판(13a)하부를 상방으로 잘라서 세운 절기편(13c)과 기판(13a)하단에서 좁은 폭으로 늘인 핀(13d)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접촉면(13b)은 서미스타(R1,R2)의 전극면(r1,r2)의 약 반에 면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고, 기판(13a)을 축으로 하고 탄성을 발휘한다.
또 접촉편(13b)에는 가용도전체(14)가 설치되어 있다.
가용도전체(14)는 접촉면에 도금, 또는 코오팅하여 부착되었으며 저온에서 용융하는 인듐(In)등의 금속, 합금, 또는 도전재료가 사용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용도전체(14)를 서미스타(R1,R2)의 전극면(r1,r2)에 마련해도 좋고 또는 양자 사이에 끼워주어도 된다.
또 상기 접촉단자(13)는 관통공(10)상방에서 핀(13d)을 가이드로 하여 삽입하면 기판(13a)하단이 단부(5)에 닿는 동시에 절개편(13c)이 발지부(12)에 걸리도록한 것이다. 끼울때는 쌍을 구성하는 접촉단자(13)의 접촉편(13b)이 서로 대면하듯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2쌍의 접촉단자 중 다음 설명하는 프린트 기판(P)에 끼우고 전기 피뢰소자(A)의 주전극(a1,a3)의 각 접속단자(9)에 접속할 각기 한쪽의 각 접촉단자(13)가 서로 양외측으로 떨어져 있고 이들과 쌍을 이루는 각기 다른쪽의 각 접촉단자(13)가 비스듬하게 내측으로 떨어져 있다.
또 각 접촉단자(13)의 핀(13d)이 절연기체(1) 저면에서 상기 배치로 소정치수로 돌출하고 있다. 쌍을 이루는 접촉단자(13)의 접촉편(13)의 간격(h)과 서미스타(R1,R2)의 두께(H)는 h<H의 관계로 설정된다.
또 두께(H)와 기판(13a)의 거리(l)는 H<l의 관계로 설정한다. 또 도중(15)는 절연기체(1)의 하면에 돌설된 각대이다.
상기 각 단자(9)…(13) 배치에 대응해서 프린트 기판(P)은 통신선로(L1,I1)를 구성하는 꼽히는 구멍(P1a)(P1b)과 접속되어 있고 똑같이 통신선로(L2,I2)를 구성하는 구멍(P3a)(P3b)이 접속되어 있다. 구멍(P1b)(P3b)은 구멍(P1a)(P3a)과 동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쟘퍼하지 않고 구멍(P2a)에 접속하는 접지선(E)이 배설된다. 그리고 내선측(I1,I2)에는 구멍(P1c)(P2c)이 서로 근접된 거리에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피뢰소자(A)를 개구(2)에 끼우면 각 안내하는 핀(9C)이 각 전극(a1∼a3) 주면으로 안내되어서 벌어지고 각 만곡부(9b)가 각 전극(a1∼a3)주면에 타지되어 지지하기에 이른다.
각 접속단자(9)는 절결부(7)에 눌리고 있는 상태이기에 피뢰소자(A)를 다른쪽벽에 탄성으로 압압하여 지지한다.
그 다음에 서미스타(R1)를 개구(3)에 끼우면 서미스타(R1) 두께(H)로 인해 접촉편(13b)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눌러저서 서미스타(R1)가 각 접촉편(13b)의 경사진 방향과 교차 하듯이 비스듬하게 위치하고 접촉편(13b)의 탄성 복귀력으로 압압되어 있다.
이때에 접촉편(13b)과 전극면(r1) 사이에서 각각 직렬 접촉점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점에는 가용도전체(14 개재시킨 상태로 상시 압력이 부여되는 동시에 전극면(r1)이 접촉편(13b)으로 압압되고 있다. 상기 요령으로 서미스타(R2)를 끼운다.
끼운후에 절연기체(1)를 전기로 또는 고주파로를 통과시켜 전체를 가열하면 가용도전체(14)가 용융하여 접촉점을 용융접속하고 각 소자를 결합한 유닛이 형성된다.
접촉점에는 가압력이 있기 때문에 납땜 같은 것을 안해도 되고 확실하고 신뢰성 있는 접속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유닛을 프린트 기판(P)의 구멍 간격에 적합하도록 장착한다. 이 장착으로 통신용 보안장치가 구성된다.
유닛을 구성하는 절연기체(1)는 프린트 기판(P)에 적합하니까 다수 병렬로 장착된다.
그리하여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각 소자(A,R1,R2)를 절연기체(1)의 개구(2,3)에 끼우기만 하면, 유닛을 구성할 수 있고, 로내를 통과하면 가용도전체(14)를 용융시켜서 접촉하므로 접점의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용도전체(14)의 용융에서 고화까지의 사이가 압력이 부여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접융점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시킬 필요가 없고, 번거로운 납땜작업을 생략하고 양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깃발 모양의 접촉편(13b)을 대면 시켜서 기판(13a)을 비스듬이 배치했기 때문에 동일 형상의 접촉단자(13)를 사용할 수 있고 접촉편(13b)의 이간 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서미스타(R1,R2)의 두께(H)에 관계없이 끼워줄 수 있을뿐 아니라 기판(13a)을 축으로한 접촉편(13b)을 끼워주는 방향으로의 탄성으로 강력히 끼울수가 있다.
그리고 또한 피뢰소자(A)를 압압하는 각 접속단자(9)가 각 만곡부(9b)에 의해 전극(a1∼a3) 측면에 확실하게 접속하고 더구나 각 접속단자(9)를 동일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면 제9도는 실시예 2를 표시한 평면도.
제10(a)도 제10(b)도는 실시예 2에 사용되는 접촉단자의 사시도.
제11도는 단자 삽입편에 배치를 표시한 저면도.
제12도는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고 도중의 동일부호는 동등 부분의 표시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함.
20,21은 겸용 단자이고, 겸용단자(20,21)는 전기 금속단자(9)와 접촉단자(13)의 동일 구조 부분을 갖추고 있으며, 기판(13a) 상부의 다른쪽에는 접촉편(20a)이 일체 형성되고 있다.
접촉편(20a)은 연결부(20b)를 직각으로 절곡시켜 연결하고; 상단을 일측으로 절곡한 안내편(20c)과 그 하부를 만곡한 만곡부(20d)로 구성된다. 접촉편(20a)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절곡 배채되고 피뢰소자(A)의 주전극(a1,a3)을 압압지지 한다.
상기 겸용단자(20,21)와 전기 접속단자(9)는 피뢰소자(A)의 각 전극(a1∼a3)의 간격으로 절연기체(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한 관통공이 뚫려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뢰소자(A)를 끼우면 각 안내편(20C,9C,21C)이 각 전극(a1∼a3) 주면에서 벌어저서 각 만곡부(20d,9b,21d)에 지지되어 접촉된다.
이 경우에, 접촉편(20a,21a)은 연결부(20b,21b)의 절곡방향 쪽으로 탄성을 발휘한다.
그런 다음 서미스타(R1)를 끼우면 겸용단자(20)의 접촉단자 부분이 쌍으로 접촉단자(13)와 기능을 발하여 서미스타(R1)를 끼워넣게 된다.
이와 똑같이 서미스타(R2)가 겸용단자(21)와 접촉단자(13)사이에 끼워지니까 전기로 또는 고주파로 내에서 가용도전체(14)가 용융되어 제조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의 공통 이용화(利用化)가 방해 받지만 전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는 동시에 프린트 기판(P)의 구멍과 배선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절연기체(1)를 보다 소형화 하는데 공헌할 수 있다. 또 겸용단자(20)(21)의 위치를 치환하여도 똑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면 제13도는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 이다.
동일 부호는 동등 부분을 표시하기에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중 30은 피뢰소자(A)를 집어넣은 분할 기체, 31은 2개의 열저항소자(R1,R2)를 집어넣은 분한 기체이고 양분할기체(30,31)를 조합해서 절연기체가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조합한 쪽에는 측색을 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피뢰소자(A)와 서미스타(R1,R2)를 끼워 넣는 작업을 단순화 할 수 있고 분할기체(31)만을 전기로나 고주파로를 통과시키면 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분할기체(30,31)마다 소자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열저랑소자로서 서미스타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원반형 소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와 2개의 열저항 소자를 미리 집어넣은 프린트기판 장착용 유닛을 제공할 수 있고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기만 하면 통신용 보안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수 회선용으로서 프린트 기판에 다수 병렬로 장착할 수 있다.
더구나 접촉단자와 열저항소자 전극면 사이에는 가용도전체를 협압시켰기 때문에 로내를 통과시키기만 하면 접촉 불량이 없는 접속을 할수 있고 종래와 같은 납땜 작업등을 일체 안해도 되고 양산 공정으로 실용화 할 수 있다. 또 겸용단자를 형성하여 열저항소자 양외측의 각기 한쪽의 접촉단자를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측에 근접 배치 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 중간에 위치하는 접지선을 쟘퍼시키지 않고도 접촉단자간을 배선할 수 있다.

Claims (4)

  1.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가 통신선로 사이와 접지(E)사이에 병렬삽입되고 복수개의 열저항소자(R1,R2) 가 각 통신선로에 각각 직렬 삽입되어 있는 통신용 보안장치에 있어서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A)와 이측방에 리이드선(Lead)이 없는 2개의 열저항소자(R1,R2)를 거의 병렬로 조립한 절연기체(1)가 프린트(Print)기판(P)에 병렬 장착 가능케 형성되고 절연기체(1)에는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 전극(a1,a2,a3)에 접속하는 접속단자(9)가 설치되는 동시에 2개의 열저항소자의 각 전극면(r1,r2)에 가용(可溶) 도전체(導電體)를 형성하여 각기 압압하는 2쌍의 접촉단자가 마련되고 2쌍의 접촉단자(13)중 병렬로 양외(兩外)측으로 위치하는 각기 한쪽의 접촉단자가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A)측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보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쌍의 접촉단자(13)중 내측에 위치하는 각기 다른쪽의 접촉단자(13)가 각기 한쪽의 접촉단자(13)에 대하여 비스듬이 떨어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보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절연기체(1)는 3극 보턴형 가스입 피뢰소자(A)와 2개의 열 저항소자(R1,R2)를 각기 개별조 조립하여 복수의분할기체(30,31)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보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체로된 접촉편(20a,21a)과 기판(13a)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피뢰소자의 주전극과 서미스타의 전극면이 접촉되도록 겸용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통신용 보안장치.
KR2019820009648U 1981-12-04 1982-12-02 통신용 보안장치 KR8600027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180126U JPS5887424U (ja) 1981-12-04 1981-12-04 通信用保安装置
JP56-180126 1981-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60U KR840003460U (ko) 1984-07-25
KR860002715Y1 true KR860002715Y1 (ko) 1986-10-15

Family

ID=2997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648U KR860002715Y1 (ko) 1981-12-04 1982-12-02 통신용 보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87424U (ko)
KR (1) KR8600027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87Y2 (ja) * 1987-12-22 1994-04-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線保安用正特性サーミスタ
JP5463249B2 (ja) * 2010-09-07 2014-04-09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ヒューズ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87424U (ja) 1983-06-14
KR840003460U (ko) 1984-07-25
JPS6334435Y2 (ko) 198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1187A (en) Subminiature f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999412A (en) Printed-circuit board and method for the precise assembly and soldering of electronic components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circuit board
KR100264849B1 (ko) 정션박스 및 그의 기판 조립체
US6088234A (en) Connection structure of circuit protection element
KR100957485B1 (ko) 전자통신 기술 장치를 위한 과전압 보호 매거진
CA2176772C (en) Connecting block protector device
US5718593A (en) Polarity-sensitive protector device
KR20000075515A (ko) 외부 단락 장치를 갖는 가스 충전식 서지 프로텍터
KR860002715Y1 (ko) 통신용 보안장치
CA1140963A (en) Miniature electric fuse
KR100527854B1 (ko) 퓨즈 장치
JP2003036836A (ja) トレースヒューズ
KR920003693Y1 (ko) 가스 봉입형 삼국 피뢰기의 단락기구
EP4228078B1 (en) Battery connection module
WO2022118642A1 (ja) ヒューズ及び車載機器
JPH07120568B2 (ja) 正特性サーミスタ装置
KR200376449Y1 (ko) 퓨즈 장치
JP2002367496A (ja) 温度ヒューズ
KR200184145Y1 (ko)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JPH0140153Y2 (ko)
JP2568103Y2 (ja) 通信用保安素子
KR810001893Y1 (ko) 마이크로모우터의 불꽃소거장치
KR100507625B1 (ko) 크림 솔더를 이용한 표면실장형 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1191178A (en) Fuse for thick film device
JPH09223450A (ja) リード付き電流ヒ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212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2120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915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03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9

Payment date: 19870323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5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