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452A -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 Google Patents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1452A KR20240001452A KR1020220078107A KR20220078107A KR20240001452A KR 20240001452 A KR20240001452 A KR 20240001452A KR 1020220078107 A KR1020220078107 A KR 1020220078107A KR 20220078107 A KR20220078107 A KR 20220078107A KR 20240001452 A KR20240001452 A KR 20240001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ist handle
- vehicle
- bent
- mounting bracket
- handle mou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은, 차체 패널에 체결되는 제1 체결 홀을 포함하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절곡부는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폼(form) 형상을 가져 차량의 주행 중에는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격 발생 시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폼 형성부와, 어시스트 핸들에 체결되는 제2 체결 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시스트 핸들을 고정하는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어시스트 핸들(Assist Handle)은 보조 손잡이를 말하는 것으로, 차량의 실내에 승차한 승차자가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차 실내의 도어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승합차 또는 트럭과 같은 2열 좌석 차량이나 3열 좌석 차량의 경우 뒷좌석에 앉는 승차자의 승차 또는 하차 편의를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Assist Handle Mounting Bracket)(이하, '브라켓'이라 칭함)은 어시스트 핸들의 고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차량의 패널에 고정한 후 반대편에서 어시스트 핸들을 고정하여 완성하게 된다. 조립이 완료된 어시스트 핸들의 경우, 차량의 충돌 사고 등의 충격이 발생할 때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는 차체 패널의 강성 부족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량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브라켓이 차체 패널과 부딪히면서 전체적인 충격 파손 정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에는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 시키고 충격 발생 시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충족하기 위한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은, 차체 패널에 체결되는 제1 체결 홀을 포함하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절곡부는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폼(form) 형상을 가져 차량의 주행 중에는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격 발생 시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폼 형성부와, 어시스트 핸들에 체결되는 제2 체결 홀을 포함한다.
몸체는, 절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몸체를 고정 시키는 고정부와, 지지부 및 고정부 사이에 노치 형상으로 구비되는 노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노치부에 의해 차량 충격 발생 시에 응력 집중을 이용하여 지지부의 변형을 차체 내부로 유도함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는 응력 집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은 차량의 주행 중에는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 시키고, 충격 발생 시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충족시켜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부의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폼(form) 형상을 가져 차량의 주행 중에는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격 발생 시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몸체의 지지부와 고정부 사이에 노치 형태를 적용함에 따라, 차량 충격 발생 시에 응력 집중을 이용하여 지지부의 변형을 차체 내부로 유도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시스트 핸들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진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브라켓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진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브라켓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반영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시스트 핸들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어시스트 핸들(Assist Handle)(10)은 보조 손잡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 실내의 루프, 도어, 대시보드, 시트 뒷면 등과 같은 곳에 장착되어 탑승자가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Assist Handle Mounting Bracket)(이하, '브라켓'이라 칭함)은 어시스트 핸들에 조립되어, 차체 내부에서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점을 제공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브라켓(20)은 차체 패널의 고정 면에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되거나 직접 용접을 통해 체결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면(22)과 I면(24). 2면의 고정 면에 체결됨에 따라 탑승자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높인다.
이에 비해, 차량 충돌 및 전복을 포함한 충격 발생 시에 탑승자의 머리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브라켓이 내부로 변형되면서 흡수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브라켓(20)은 충격 흡수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브라켓(20)이 차체 판넬과 부딪치면서 전체적인 충격 파손 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포함된 브라켓 구조의 설계 및 제작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진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은 몸체(32)의 지지부(320) 일단에 폼(Form) 형상을 적용하고, 지지부(320)와 인접한 면을 고정부(322)로 사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는 탑승자의 어시스트 핸들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며, 충격 발생 시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브라켓(30)은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과 충격 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30)은 몸체(32)와 2개의 절곡부(34)를 포함한다.
몸체(32)는 차체 패널에 고정되고 절곡부(34)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차체 패널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1 체결 홀(324)을 포함한다. 몸체(32)는 고정부재를 통해 차체 패널에 고정되거나 직접 차체 패널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볼트, 클립 류일 수 있다.
2개의 절곡부(34)는 몸체(32)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다. 절곡부(34)와 몸체(32)는 서로 수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절곡부(34)는 폼 형성부(340) 및 제2 체결 홀(342)을 포함한다.
폼 형성부(340)는 절곡부(34)의 절곡되어 접힌 부분으로, 폼(form) 형상을 가진다. 폼 형상은 표면들이 곡선 형태로 휘어진 모양을 갖는 것으로, 아래로 오목한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폼 형성부(340)의 폼 형상에 의해, 차량의 주행 중에는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410) 시키고 충격 발생 시에는 폼 형성부(340)의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420) 하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중에 탑승자가 어시스트 핸들을 잡아서 지지할 때 아래로 힘을 받는 경우 폼 형성부(340)로 힘을 분산시켜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 발생 시에는 폼 형성부(34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인가되는 충격량은 폼 형성부(840)를 변형시키면서 흡수되므로 전체적인 변형량이 감소하게 된다.
폼 형성부(340)는 차량 충돌 및 전복으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압축 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 그 압축 에너지를 탄성 내지 소성에 의한 변형 에너지로 변환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충격 완화를 통해 탑승자의 머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체결 홀(342)은 절곡부(34)의 지지부(320)가 아닌 고정부(322)에 일정 거리 간격을 가지고 이격 되어 구비되고, 어시스트 핸들에 체결된다. 제2 체결 홀(342)은 고정 부재를 통해 어시스트 핸들에 고정될 수 있고, 직접 어시스트 핸들에 용접 고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32)는 지지부(320), 고정부(322) 및 노치부(326)를 포함한다. 지지부(320)는 절곡부(34)를 지지하며, 지지부(320)의 중간 상단 위치에 절곡부(34)가 마련된다.
고정부(322)는 지지부(320)의 인접 면으로서, 복수의 제1 체결 홀(324)을 통해 차체 패널에 고정된다. 제1 체결 홀(324)은 고정 부재를 통해 차체 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직접 차체 패널에 용접 고정될 수도 있다.
노치부(326)는 지지부(320) 및 고정부(322) 사이에 노치 형상으로 구비된다. 몸체(32)는 차량 충격 발생 시에 노치부(326)에 의해 응력 집중을 이용하여 응력 집중부(326)에 응력을 집중시킴에 따라 지지부(320)의 변형을 차체 내부로 유도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응력 집중부(326)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 상해치를 감소시키고, 프리 모션 헤드폼(Free Motion Headform: FMH)의 임팩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브라켓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 차체 패널에 체결되는 제1 체결 홀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는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폼(form) 형상을 가져 차량의 주행 중에는 어시스트 핸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격 발생 시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폼 형성부; 및
어시스트 핸들에 체결되는 제2 체결 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절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몸체를 고정 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 노치 형상으로 구비되는 노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노치부에 의해 차량 충격 발생 시에 응력 집중을 이용하여 지지부의 변형을 차체 내부로 유도함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는 응력 집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107A KR102776302B1 (ko) | 2022-06-27 | 2022-06-27 |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107A KR102776302B1 (ko) | 2022-06-27 | 2022-06-27 |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452A true KR20240001452A (ko) | 2024-01-03 |
KR102776302B1 KR102776302B1 (ko) | 2025-03-06 |
Family
ID=8953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8107A Active KR102776302B1 (ko) | 2022-06-27 | 2022-06-27 |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630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9036A (ja) * | 1990-03-28 | 1991-12-10 | Kinugawa Rubber Ind Co Ltd | 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 |
KR100558742B1 (ko) * | 2004-12-03 | 2006-03-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충격 흡수를 위한 루프 어시스트 핸들용 브라켓 |
KR100787673B1 (ko) * | 2006-09-13 | 2007-12-2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구조 |
JP2009078696A (ja) * | 2007-09-26 | 2009-04-16 | Mazda Motor Corp | 車両のアシストグリップ取付ブラケット |
KR20090112439A (ko) * | 2008-04-24 | 2009-10-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어시스트핸들 설치용브래킷 |
KR20180068019A (ko) * | 2016-12-13 | 2018-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
-
2022
- 2022-06-27 KR KR1020220078107A patent/KR10277630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9036A (ja) * | 1990-03-28 | 1991-12-10 | Kinugawa Rubber Ind Co Ltd | 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 |
KR100558742B1 (ko) * | 2004-12-03 | 2006-03-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충격 흡수를 위한 루프 어시스트 핸들용 브라켓 |
KR100787673B1 (ko) * | 2006-09-13 | 2007-12-2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구조 |
JP2009078696A (ja) * | 2007-09-26 | 2009-04-16 | Mazda Motor Corp | 車両のアシストグリップ取付ブラケット |
KR20090112439A (ko) * | 2008-04-24 | 2009-10-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어시스트핸들 설치용브래킷 |
KR20180068019A (ko) * | 2016-12-13 | 2018-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76302B1 (ko) | 2025-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07982B2 (ja) | 車体上方構造 | |
JP3521452B2 (ja) | 自動車のドア構造 | |
US6604781B2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JP5444256B2 (ja) | 乗用車ドア用2点保護パッド | |
US7658428B2 (en) | Device for attaching a backrest | |
KR20140105365A (ko) | 승용물용 시트를 위한 시트 프레임 | |
JP2001145538A (ja) |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 |
KR20240001452A (ko) |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 |
JP3972937B2 (ja) |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 |
KR100487670B1 (ko) | 차량용 센터필라의 보강패널 | |
JP3653844B2 (ja) |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 |
JP2577298Y2 (ja) | 自動車用トリム構造 | |
JP2007513000A (ja) | 自動車用のシート及び同シートが装備された自動車 | |
JP3564713B2 (ja) |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 |
JP4228737B2 (ja) | 車両用サイドドア | |
CN218986781U (zh) | 一种车辆前地板及车辆 | |
JPH0872642A (ja) | 車室内の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 |
JPH1159302A (ja) | 衝撃吸収装置 | |
JP2000038101A (ja) | 車両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 |
JPH05185952A (ja) | フレーム車の車体構造 | |
JP2001341565A (ja) | 自動車用座席 | |
KR101587904B1 (ko) | 자동차의 워크인 레버 조립체 | |
KR20050011521A (ko) | 자동차용 대시 판넬 보강 구조 | |
JPH0781404A (ja) | 自動車のドア構造 | |
KR0120077Y1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