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68019A -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19A
KR20180068019A KR1020160169554A KR20160169554A KR20180068019A KR 20180068019 A KR20180068019 A KR 20180068019A KR 1020160169554 A KR1020160169554 A KR 1020160169554A KR 20160169554 A KR20160169554 A KR 20160169554A KR 20180068019 A KR20180068019 A KR 2018006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frame
mounting bracket
coupled
vehicle body
sun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019A/ko
Publication of KR2018006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1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는, 선루프 프레임을 차체에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어시스트 핸들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차체와 상기 선루프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SUNROOF FRAME}
본 발명은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선루프 프레임과 차체 사이를 연결하는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루프는 자동차의 천장 부분을 개방시키고, 이 공간에 유리 등의 투명한 판재를 설치하여 외부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루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선루프 프레임을 차체에 고정 설치해야 한다. 이때, 선루프 프레임과 차체를 결합시키기 위해 복수 개소를 볼팅 결합시키게 된다.
종래의 선루프 프레임과 차체의 결합 구조가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프레임(21)은 루프사이드(10)의 이너패널(11) 및 아우터패널(12)이 결합되는 면에 고정되어 선루프(22)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선루프 프레임(21)과 루프사이드(10)의 이너패널(11) 및 아우터패널(12)은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지만,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미도시)와 센터 필러(미도시) 사이 영역은 내부 구조 특성상 선루프 프레임(21)과 루프사이드(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팅 구조를 설치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 영역의 선루프 프레임(21)과 루프사이드(10) 사이에는 기계적 결합 구조 없이 단순히 접착재 또는 밀봉재 역할을 하는 접합재(23)만이 개재되어 접합 강도가 낮았다.
그러나 차량이 전복되는 등의 사고로 인해 루프사이드(10)에 하중이 가해지면, 접합재(23)만으로는 그 하중을 견디지 못 하고 선루프 프레임(21)과 루프사이드(10)가 분리되면서 프론트 필러 및 센터 필러가 꺽이면서 내부 공간이 침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루프사이드(10)의 이너패널(11)에는 어시스트 핸들(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4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언급하는 어시스트 핸들은 차량 주행 중 탑승자가 신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앞좌석 도어 위쪽 트림에 부착되는 루프 어시스트 핸들을 의미한다.
마운팅 브라켓(40)은 일측이 이너패널(11)에 결합된 외팔보 구조의 구성으로서, 그 타측에 상술한 어시스트 핸들이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마운팅 브라켓(40)은 외팔보 구조로 어시스트 핸들을 지지하기 위해 넓이 및 두께가 커질 수밖에 없어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선루프 프레임(21)을 지지하지 못 하기 때문에 전복시 선루프 프레임(21)의 파손을 방지하지 못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10019 (2006.10.2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루프 프레임과 차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과 선루프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는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는, 선루프 프레임을 차체에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어시스트 핸들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차체와 상기 선루프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선루프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시스트 핸들과 결합되는 제2연결부와, 각각의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루프 프레임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되는 보조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차체의 루프사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차체의 프론트필러와 센터필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루프사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을 외팔보 구조가 아닌 양단 체결 구조로 변경하여 면적 및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마운팅 브라켓의 면적 및 두께가 감소되어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선루프 프레임과 루프사이드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사고시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루프 프레임과 루프사이드의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선루프 프레임과 루프사이드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과 루프사이드의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과 루프사이드의 결합부를 나타낸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과 루프사이드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선루프 프레임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는 마운팅 브라켓(100)과 선루프 프레임(21)을 직접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선루프 프레임(21)이 차체, 특히 루프사이드(10)에 연결되어 하중의 전달 경로를 마련함으로써, 전복 사고 등으로 루프사이드(10)에 압력이 가해질 때 선루프 프레임(21)과 루프사이드(10)가 분리되면서 차량 내부공간을 잠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는 마운팅 브라켓(100)의 형태를 변경하고, 선루프 프레임(21)에 추가 구성을 부가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운팅 브라켓(100)을 제1연결부(110)와, 이 제1연결부(110)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결부(120)와, 각각의 제2연결부(1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연결부(130)로 구분되는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연결부(110)는 선루프 프레임(21)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제1관통홀(111)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관통홀(111)과 후술할 선루프 프레임(21)의 보조연결부(200)를 체결수단(30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제2연결부(120)는 제1연결부(110)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어시스트 핸들(미도시)과의 결합을 위한 제2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3연결부(130)는 각각의 제2연결부(120)에서 연장 형성되는데, 제1연결부(110), 제2연결부(120) 및 제3연결부(130)가 전체적으로 U자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3연결부(130)는 루프사이드(10)의 이너패널(11)에 용접되어 마운팅 브라켓(100)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100)은 U자 형태의 각 단부, 즉 제3연결부(130)가 루프사이드(10)의 이너패널(11)에 고정되고, U자 형태의 중앙부, 즉 제1연결부(110)가 선루프 프레임(21)의 보조연결부(200)에 결합됨으로써, 루프사이드(10)와 선루프 프레임(21)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제3연결부(130)가 결합되는 루프사이드(10)의 이너패널(11)의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하면, 자동차의 프론트필러(미도시)와 센터필러(미도시) 사이에 형성된 부위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종래에 루프사이드(10)와 선루프 프레임(21)의 결합부는 센터필러 상단과 프론트 루프 레일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프론트필러와 센터필러 사이에는 루프사이드(10)와 선루프 프레임(21)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어시스트 핸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루프사이드(10)와 선루프 프레임(21)이 결합시킴으로써, 상술한 위치의 결합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선루프 프레임(21)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연결부(200)는 종래의 선루프 프레임(21)에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시킨 구성으로서, 선루프 프레임(21)에서 마운팅 브라켓(100)의 제1연결부(110)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조연결부(200)의 내부에는 상술한 제1관통홀(111)과 대응되는 보조연결홀(210)이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체결수단(300)이 제1관통홀(111)과 보조연결홀(210)을 함께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마운팅 브라켓(100)과 선루프 프레임(21) 사이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30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마운팅 브라켓(100)과 루프사이드(10) 사이를 용접 결합시켰지만, 본 발명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마운팅 브라켓(100)과 선루프 프레임(21) 사이를 본딩 결합시킬 수도 있고, 마운팅 브라켓(100)과 루프사이드(10) 사이를 볼팅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어시스트 핸들과의 결합을 위한 제2관통홀(121)을 이용하여 어시스트 핸들-마운팅 브라켓-선루프 프레임의 세 구성을 동시에 체결하는 구조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루프사이드 11: 이너패널
12: 아우터패널 21: 선루프 프레임
22: 선루프 23: 접합재
40: (종래) 마운팅 브라켓 41: (종래) 볼트
42: (종래) 볼트홀 100: 마운팅 브라켓
110: 제1연결부 111: 제1관통홀
120: 제2연결부 121: 제2관통홀
130: 제3연결부 200: 보조연결부
210: 보조연결홀 300: 체결수단

Claims (5)

  1. 선루프 프레임을 차체에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어시스트 핸들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차체와 상기 선루프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선루프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시스트 핸들과 결합되는 제2연결부와, 각각의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프레임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되는 보조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차체의 루프사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차체의 프론트필러와 센터필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루프사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KR1020160169554A 2016-12-13 2016-12-13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Ceased KR20180068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54A KR20180068019A (ko) 2016-12-13 2016-12-13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54A KR20180068019A (ko) 2016-12-13 2016-12-13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19A true KR20180068019A (ko) 2018-06-21

Family

ID=6280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554A Ceased KR20180068019A (ko) 2016-12-13 2016-12-13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452A (ko) *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신영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019A (ko) 2005-04-13 2006-10-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용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019A (ko) 2005-04-13 2006-10-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용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452A (ko) *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신영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0241B2 (ja) サンルーフ付き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EP2676869B1 (en) Structure for lower portion of vehicle
EP1808362B1 (en) vehicle body
JP5593813B2 (ja) 車体補強構造
WO2011024552A1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CN105209326B (zh) 车身上部结构
WO2008062763A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JP4704738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6348922B2 (ja) ルーフ構造
CN111824263B (zh) 车身前部结构
KR20200092526A (ko) 차량용 도어
KR20180068019A (ko) 선루프 프레임 연결 구조
KR100828616B1 (ko) 자동차의 선루프 링 레인프 결합 구조
CN111824264B (zh) 车身前部结构
JP2010083375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5039745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JP2021195005A (ja) 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KR102169361B1 (ko) 루프사이드레일과 프런트루프레일의 연결구조
CN112172923B (zh) 前柱构造
KR101458706B1 (ko) 자동차의 b필러 상단부 루프 사이드 아웃터 레인포스먼트
CN219325874U (zh) 一种横梁总成及车辆
CN113879405B (zh) 车身结构
JP6099205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10181352A (ja) 自動車用ドアの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の下部取付構造
JP5888270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