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36322A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322A
KR20190036322A KR1020170125416A KR20170125416A KR20190036322A KR 20190036322 A KR20190036322 A KR 20190036322A KR 1020170125416 A KR1020170125416 A KR 1020170125416A KR 20170125416 A KR20170125416 A KR 20170125416A KR 20190036322 A KR20190036322 A KR 2019003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port
connecto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박종화
손장현
이동근
이정현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322A/ko
Priority to ES18862731T priority patent/ES2927543T3/es
Priority to PCT/KR2018/003138 priority patent/WO2019066171A1/en
Priority to EP18862731.9A priority patent/EP3580614B1/en
Priority to US16/609,468 priority patent/US10845733B2/en
Priority to CN201880058668.8A priority patent/CN111051999B/zh
Priority to PL18862731.9T priority patent/PL3580614T3/pl
Publication of KR2019003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32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기는, 현상제가 유입되는 현상제 유입구와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제 이송부와, 현상제 이송부에 설치되는 현상롤러와, 현상제 유입구와 현상제 배출구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연결구와 제1연결구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폐기하는 폐기구를 구비하는 현상제 순환부와, 현상제 순환부에 설치되어 제1연결구를 통하여 유입된 현상제를 제2연결구와 폐기구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현상기는 토너를 수용하며,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방식으로서는 현상제로서 토너만을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과,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이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현상기 내의 캐리어는 반복으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현상기 내에 새로운 현상제를 공급하고, 잉여 현상제를 현상기로부터 배출하는 트리클(trickle) 현상방식에 채용될 수 있다.
트리클 현상방식을 채용한 현상기의 경우, 현상기 내부의 현상제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상기 내부의 압력의 변동,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환경의 변화로 인한 현상제 유동성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현상기 내부의 현상제 양이 인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일이 발생될 수 있다.
현상기 내의 현상제 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현상제가 교반 및 운반되며, 현상제가 유입되는 현상제 유입구와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제 이송부; 상기 현상제 이송부에 설치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제 배출구와 상기 현상제 유입구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폐기하는 폐기구를 구비하는 현상제 순환부; 상기 현상제 순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하여 유입된 현상제를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기; 폐현상제가 수용되는 폐현상제 용기; 상기 현상기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상기 폐현상제 용기와 상기 현상기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현상제 순환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상기 내의 현상제 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는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과 도 8은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7은 밸브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 도 8은 밸브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10), 노광기(50), 전사기, 정착기(80)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1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와 복수의 현상기(10)는 본체(1)에 착탈가능하며,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카트리지(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와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10)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4)과,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17),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수용부(17a)에 수용된다. 클리닝 부재(17)는 예를 들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리닝 부재(17)는 회전되면서 감광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브러쉬일 수도 있다. 폐현상제 수용부(17a)에 수용된 폐현상제는 도시되지 않은 운송 수단에 의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운반되어 수용될 수도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 즉 토너와 캐리어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현상롤러(13)의 외주면과 감광드럼(14)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일 수 있다.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다. 또한, 현상롤러(13)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내에 마그넷이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토너와 캐리어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현상롤러(13)의 외주면과 감광드럼(14)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일 수 있다.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다. 또한, 현상롤러(13)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내에 마그넷이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규제부재(도 3: 16)는 현상영역으로 운반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한다.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14)로 공급되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는 트리클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잉여 현상제는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현상기(10) 외부로 배출된 잉여 현상제는 폐현상제 용기(2)에 수용될 수 있다. 잉여 현상제를 현상기(10)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노광기(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있다.
전사기는 감광드럼(1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전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전사방식 전사기가 채용된다. 일 예로서, 전사기는 중간전사벨트(60), 중간전사롤러(61)와, 전사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전사벨트(6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중간전사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과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에는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벨트(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전사롤러(61)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70)는 중간전사벨트(6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70)에는 중간전사벨트(6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정착기(80)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5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6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90)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70)와 중간전사벨트(6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새로운 현상제 카트리지(2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새로운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충전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공급유닛(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를 받아서 현상기(10)로 공급한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공급 관로(40)에 의하여 현상기(10)와 연결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제 공급유닛(30)이 생략되고, 공급 관로(40)는 현상제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10)의 일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현상기(10)는 현상 케이싱(110)과, 현상 케이싱(11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현상롤러(13)를 구비한다. 현상 케이싱(110)에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는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현상 케이싱(110) 내에는 현상제 이송부(201)가 마련된다.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부(201)를 따라 운반되며, 교반된다. 현상롤러(13)는 현상제 이송부(201)에 설치된다.
현상제 이송부(201)는 현상실(210)을 포함할 수 있다. 현상실(210)에는 감광드럼(14)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120)가 마련된다. 현상롤러(13)는 현상실(210)에 설치된다. 현상롤러(13)는 개구부(120)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현상실(210) 외부로 노출되며, 현상 롤러(13)의 노출된 부분은 감광드럼(14)과 대향된다. 현상롤러(13)는 현상실(210)에 수용된 토너를 개구부(120)를 통하여 감광드럼(14)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제 이송부(201)는 교반실(2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교반실(220)은 격벽(230)에 의하여 현상실(210)과 구분된다.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에는 각각 제1, 제2교반부재(241)(24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교반부재(241)(242)는 각각 현상실(210)과 교반실(220) 내부의 현상제를 현상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운반하면서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시킨다. 제1, 제2교반부재(241)(242)는 예를 들어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는 오거(auger)일 수 있다. 제1, 제2교반부재(241)(242)는 현상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반한다. 예를 들어, 제1, 제2교반부재(241)(242)는 각각 현상제를 제1, 제2방향(D1)(D2)으로 운반한다. 격벽(23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제, 제2개구(231)(232)가 각각 마련되어,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제1교반부재(241)에 의하여 현상실(210) 내의 현상제는 제1방향(D1)으로 운반된다. 격벽(230)의 제1방향(D1)의 단부에 마련된 제1개구(231)를 통하여 현상제는 교반실(220)로 운반된다. 제2교반부재(242)에 의하여 교반실(220) 내의 현상제는 제2방향(D2)으로 운반된다. 격벽(230)의 제2방향(D2)의 단부에 마련된 제2개구(232)를 통하여 현상제는 현상실(210)로 운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제는 현상실(210)-제1개구(231)-교반실(220)-제2개구(232)-현상실(2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된다. 현상실(210) 내에서 제1방향(D1)으로 운반되는 현상제 중 일부는 현상롤러(13)에 의하여 감광드럼(14)으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는 현상제 공급구(250)를 구비한다.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가 현상기(10) 내부, 즉 현상제 이송부(201)로 공급된다. 현상제 공급구(250)는 현상롤러(13)의 유효 화상 영역(C)의 외측에 위치된다. 유효 화상 영역(C)이란, 현상롤러(13)의 길이 중 화상형성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영역을 말한다. 유효 화상 영역(C)의 길이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최대 크기의 기록매체(P)의 폭보다 약간 길 수 있다. 유효 화상 영역(C)은 제1개구(231)와 제2개구(232)의 내측일 수 있다. 현상제 공급구(250)는 제1개구(231)와 제2개구(23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기(10)는 현상제 이송부(201)로부터 현상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급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구(250)는 공급부(221)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부(221)는 교반실(220)로부터 제1개구(231)를 넘어서 제1방향(D1)으로 유효 화상 영역(C)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교반부재(242)는 공급부(22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교반실(220)로 공급된 현상제는 제2교반부재(242)에 의하여 제2방향(D2)으로 운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급부(221)는 교반실(220)로부터 제2개구(232)를 넘어서 제2방향(D2)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교반부재(242)의 공급부(22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현상제를 제1방향(D1)으로 운반하기 위한 구조, 예를 들어 역나선 날개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교반실(220)로 공급된 현상제는 역나선 날개에 의하여 제1방향(D1)으로 운반된 후 제2개구(232)를 통하여 현상실(210)로 운반된다.
트리클 현상 방식을 채용한 본 실시예의 현상기(10)는 현상제 배출구(260)를 구비한다.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잉여 현상제가 현상기(10)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잉여 현상제는 폐현상제 용기(2)에 수용된다. 현상제 배출구(260)는 현상롤러(13)의 유효 화상 영역(C)의 외측에 위치된다. 현상제 배출구(260)는 제1개구(231)와 제2개구(23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기(10)는 현상제 이송부(201)로부터 현상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배출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260)는 배출부(211)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211)는 현상실(210)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유효 화상 영역(C)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교반부재(241)는 배출부(21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잉여 현상제는 제1교반부재(241)에 의하여 운반되어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에서는 배출부(211)와 공급부(221)가 각각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에 마련되나, 배출부(211)와 공급부(221)는 각각 교반실(220)과 현상실(2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트리클 현상방식을 채용한 현상기(10)에서, 현상기(10)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으로 포화되어 유지되지 않고,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등의 변동이 있는 경우 또는 사용 시간과 사용 환경에 따라서 현상제의 이송/순환 형태가 변하면서 현상제 배출이 불안정해져서 현상기(10)의 현상제량이 인쇄품질을 보장할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 인쇄시에는 현상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현상제가 과다배출될 수 있다.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현상제의 특성이 열화가 된 상태, 혹은 환경 조건에 따른 현상제의 유동 특성의 변화로 인하여 현상제 배출량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유동성이 가장 좋은 저온/ 저습 환경에서 현상제 배출량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현상기(10) 내부의 현상제 양이 부족해질 수 있다. 반대로, 현상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서 내부 압력이 약한 경우에는 현상제 배출량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현상제의 유동성이 가장 나쁜 고온/고습 환경에서 현상제 배출량이 과도하게 감소되어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양이 과도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기(10) 내부의 현상제 양이 적정 수준 미만이거나 적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화상 품질 저하 및 화상형성장치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속도의 변화, 환경조건의 변화 등에 따른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도 4는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상제 이송부(201)에는 현상제 유입구(251)가 마련된다. 현상제 유입구(251)는 예를 들어 공급부(221)에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 유입구(251)는 현상제 공급구(250)일 수 있으며, 공급부(221)에는 현상제 공급구(250)와 별도로 현상제 유입구(251)가 마련될 수도 있다. 현상제 순환부(300)는 현상제 이송부(201)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폐현상제 용기(2)와 현상제 이송부(201)로 선택적으로 안내한다. 현상제 순환부(300)에는 제1, 제2연결구(310)(320)와 폐기구(330)가 마련된다. 제1연결구(310)는 현상제 배출구(260)와 연결되며, 제2연결부(320)는 현상제 유입구(252)와 연결된다. 폐기구(330)는 폐현상제 용기(2)와 연결된다. 현상제 순환부(300)는 제1연결구(310)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340)를 구비한다. 안내부재(340)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로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순환부(300)는 현상롤러(13)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안내부재(340)는 현상롤러(13)와 나란하게 연장된 회전축(341)과, 회전축(341)을 따라 연장된 나선 날개(3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안내부재(340)를 오거(auger)라 칭할 수 있다. 안내부재(340)는, 현상기(1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구동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안내부재(340)는 현상기(10)에 마련된 액추에이터(350)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에터(350)는 예를 들어 회전모터일 수 있다.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는 안내 부재(340)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안내 부재(34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연결구(310)는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이송부(201)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 순환부(300)로 유입된다. 안내부재(34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현상제는 제2연결구(320)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재유입되거나 폐기구(330)를 통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될 수 있다.
현상제의 재유입과 폐기는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양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현상제의 양은 현상제 중의 토너 농도를 검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물론, 현상기(10) 내의 현상제의 수위를 직접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제 이송로(201)에는 현상제 센서(270)가 마련된다. 현상제 센서(270)는 예를 들어 교반실(220)에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 센서(270)는 예를 들어 현상제 중의 토너 농도를 검출하는 토너농도센서일 수 있다. 토너 농도는 현상제의 총중량에 대한 토너의 중량의 비로 표시될 수 있다. 현상제 센서(270)는 예를 들어, 캐리어에 의한 자기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토너 농도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자기센서일 수 있다. 현상제 센서(270)의 검출영역에 캐리어가 상대적으로 많고 토너가 적으면 현상제 센서(270)에 의하여 검출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커지지며, 반대로 검출영역에 토너가 상대적으로 많으면 현상제 센서(270)에 의하여 검출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작아진다. 현상제 센서(270)는 검출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토너농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토너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현상제 센서(270)는 캐리어와 토너의 유전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토너농도를 검출하는 정전용량센서일 수도 있다. 현상제 센서(270)는 현상제 이송로(201)의 현상제의 수위(level)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제 센서(270)는 현상제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판(미도시)과 승강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광센서,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가 현상제 순환부(300)로 배출된다. 제어부(400)는 현상제 센서(270)로부터 전달되는 현상제 수위 정보에 기반하여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수위값을 얻는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높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정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안내부재(34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제 순환부(300) 내의 현상제는 폐기구(330) 쪽으로 운반되며, 폐기구(330)를 통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된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낮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안내부재(3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제 순환부(300) 내의 현상제는 제2연결구(320) 쪽으로 운반되며, 제2연결구(320)와 현상제 유입구(251)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재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쇄속도, 환경 조건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품질의 인쇄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순환부(300)가 현상기(10)에 마련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순환부(300)는 폐현상제 용기(2)에 마련될 수도 있다. 현상제 순환부(300)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상기(10)의 레이아웃(layout)은 다양할 수 있으며, 현상제 순환부(300) 역시 현상기(10)의 레이아웃에 맞추어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유입구(251)는 현상실(210)과 교반실(2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된 공급부(221)에 마련되며, 현상제 배출구(260)는 현상실(210)과 교반실(220) 중 다른 하나로부터 연장된 배출부(211)에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 순환부(300)의 제1, 제2연결구(310)(320), 및 폐기구(330) 역시 현상제 배출구(260)와 현상제 유입구(251)의 위치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상제 순환부(300a)가 마련된다. 현상제 순환부(300a)는 현상제 이송부(201)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폐현상제 용기(2)와 현상제 이송부(201)로 선택적으로 안내한다. 현상제 순환부(300a)에는 제1, 제2연결구(310)(320)와 폐기구(330)가 마련된다. 제1연결구(310)는 현상제 배출구(260)와 연결되며, 제2연결부(320)는 현상제 유입구(251)와 연결된다. 폐기구(330)는 폐현상제 용기(2)와 연결된다. 현상제 순환부(300a)는 제1연결구(310)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340a)를 구비한다. 안내부재(340a)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로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현상제 순환부(300a)는 현상롤러(13)의 축방향과 나란하지 않다. 예를 들어, 현상제 순환부(300a)는 현상롤러(13)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안내부재(340a)는 회전축(341a)과, 회전축(341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운반날개(34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안내부재(340a)를 패들(paddle)이라 칭할 수 있다. 회전축(341a)은 현상롤러(13)의 축방향과 나란하지 않다. 예를 들어, 회전축(341a)은 현상롤러(13)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안내부재(340a)는, 현상기(1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구동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안내부재(340a)는 현상기(10)에 마련된 액추에이터(350)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에터(350)는 예를 들어 회전모터일 수 있다.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는 안내 부재(340a)의 회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이송부(201)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 순환부(300a)로 유입된다. 안내부재(340a)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현상제는 제2연결구(320)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재유입되거나 폐기구(330)를 통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될 수 있다.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가 현상제 순환부(300a)로 배출된다. 제어부(400)는 현상제 센서(270)로부터 전달되는 현상제 수위 정보에 기반하여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수위값을 얻는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높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정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안내부재(340a)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제 순환부(300a) 내의 현상제는 폐기구(330) 쪽으로 운반되며, 폐기구(330)를 통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된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낮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안내부재(340a)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제 순환부(300a) 내의 현상제는 제2연결구(320) 쪽으로 운반되며, 제2연결구(320)와 현상제 유입구(251)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재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쇄속도, 환경 조건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품질의 인쇄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순환부(300a)가 현상기(10)에 마련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순환부(300a)는 폐현상제 용기(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상제 순환부(300b)에는 제1, 제2연결구(310)(320)와 폐기구(330)가 마련된다. 제1연결구(310)는 현상제 배출구(260)와 연결되며, 제2연결부(320)는 현상제 유입구(251)와 연결된다. 폐기구(330)는 폐현상제 용기(2)와 연결된다. 현상제 순환부(300b)는 제1연결구(310)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340b)를 구비한다. 안내부재(340b)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로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현상제 순환부(300b)는 현상롤러(13)의 축방향과 나란하다. 예를 들어, 현상제 순환부(300b)는 현상롤러(13)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안내부재(340b)는 회전축(341b)과, 회전축(341b)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운반날개(34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안내부재(340b)를 패들(paddle)이라 칭할 수 있다. 회전축(341b)은 현상롤러(13)의 축방향과 나란하다. 안내부재(340b)는, 현상기(1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구동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안내부재(340b)는 현상기(10)에 마련된 액추에이터(350)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에터(350)는 예를 들어 회전모터일 수 있다.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는 안내 부재(340b)의 회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이송부(201)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 순환부(300)로 유입된다. 안내부재(340b)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현상제는 제2연결구(320)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재유입되거나 폐기구(330)를 통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될 수 있다.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가 현상제 순환부(300b)로 배출된다. 제어부(400)는 현상제 센서(270)로부터 전달되는 현상제 수위 정보에 기반하여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수위값을 얻는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높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정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안내부재(340b)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제 순환부(300b) 내의 현상제는 폐기구(330) 쪽으로 운반되며, 폐기구(330)를 통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된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낮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안내부재(340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제 순환부(300b) 내의 현상제는 제2연결구(320) 쪽으로 운반되며, 제2연결구(320)와 현상제 유입구(251)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재유입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순환부(300b)가 현상기(10)에 마련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순환부(300b)는 폐현상제 용기(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은 현상제 양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현상제 순환부(300c)에는 제1, 제2연결구(310)(320)와 폐기구(330)가 마련된다. 제1연결구(310)는 현상제 배출구(260)와 연결되며, 제2연결부(320)는 현상제 유입구(251)와 연결된다. 폐기구(330)는 폐현상제 용기(2)와 연결된다. 현상제 순환부(300c)는 제1연결구(310)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제2연결구(320)와 폐기구(330)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340b)를 구비한다.
현상제 순환부(300c)는 현상롤러(13)의 축방향과 나란하다. 예를 들어, 현상제 순환부(300c)는 현상롤러(13)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안내부재(340c)는 전환축(341c)과, 전환축(341c)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안내 블레이드(342c)를 구비하는 밸브 부재이다. 이하에서, 안내부재(340c)를 밸브부재(340c)로 지칭한다.
밸브부재(340c)는, 현상기(1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구동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밸브부재(340c)는 현상기(10)에 마련된 액추에이터(350)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에터(350)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350)에 의하여 밸브부재(340c)는 제1연결구(310)와 제2연결구(320)를 연결하는 제1위치(도 7)와, 제1연결구(310)와 폐기구(330)를 연결하는 제2위치(도 8)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이송부(201)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 순환부(300)로 유입된다. 밸브부재(340c)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제1연결구(310)를 통하여 현상제 순환부(300c)로 유입된 현상제는 밸브부재(340c)에 의하여 제2연결구(320)로 안내되며, 현상제 유입구(251)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유입된다. 밸브부재(340c)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제1연결구(310)를 통하여 현상제 순환부(300c)로 유입된 현상제는 밸브부재(340c)에 의하여 폐기구(330)로 안내되며,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된다.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제가 현상제 순환부(300c)로 배출된다. 제어부(400)는 현상제 센서(270)로부터 전달되는 현상제 수위 정보에 기반하여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수위값을 얻는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높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구동하여 벨브부재(340c)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현상제 순환부(300c) 내의 현상제는 폐기구(330) 쪽으로 안내되며, 폐기구(330)를 통하여 폐현상제 용기(2)로 배출된다. 현상제 수위값이 적정값보다 낮으면,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350)를 구동하여 밸브부재(340c)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현상제 순환부(300c) 내의 현상제는 제2연결구(320) 쪽으로 안내되며, 제2연결구(320)와 현상제 유입구(251)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1)로 재유입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순환부(300c)가 현상기(10)에 마련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순환부(300c)는 폐현상제 용기(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본체 10...현상기
13...현상롤러 14...감광드럼
15...대전롤러 16...규제부재
17...클리닝 부재 20...현상제 카트리지
30...현상제 공급유닛 40...공급 관로
50...노광기 60...중간전사벨트
61...중간전사롤러 70...전사롤러
80...정착기 90...급지수단
110...현상 케이싱 201...현상제 이송부
211...배출부 220...교반실
221...공급부 230...격벽
231, 232...제1, 제2개구 241, 242...제1, 제2교반부재
250...현상제 공급구 251...현상제 유입구
260...현상제 배출구 270...현상제 센서
300, 300a, 300b, 300c...현상제 순환부
310...제1연결구 320...제2연결구
330...폐기구 340, 340a, 340b, 340c...안내 부재
350...액추에이터 400...제어부

Claims (19)

  1. 현상제가 교반 및 운반되며, 현상제가 유입되는 현상제 유입구와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제 이송부;
    상기 현상제 이송부에 설치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제 배출구와 상기 현상제 유입구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폐기하는 폐기구를 구비하는 현상제 순환부;
    상기 현상제 순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하여 유입된 현상제를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로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운반하는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현상 롤러와 나란하게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된 나선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는 상기 안내 부재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 사이에 위치되는 현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운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는 상기 안내 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현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현상롤러와 나란한 현상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현상롤러와 나란하지 않은 현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를 서로 연결하는 제2위치로 전환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현상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부는,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실과, 상기 현상실과 나란한 교반실과,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구분하며 그 양단부에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연통시키는 제1, 제2개구가 마련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유입구는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된 공급부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 중 다른 하나로부터 연장된 배출부에 마련되는 현상기.
  10.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기;
    폐현상제가 수용되는 폐현상제 용기;
    상기 현상기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상기 폐현상제 용기와 상기 현상기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현상제 순환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가 교반 및 운반되며, 현상제가 유입되는 현상제 유입구와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제 이송부;
    상기 현상제 이송부에 설치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순환부는,
    상기 현상제 배출구와 상기 현상제 유입구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연결구;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하여 들어온 현상제를 폐기하는 폐기구;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하여 유입된 현상제를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로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운반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현상 롤러와 나란하게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된 나선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는 상기 안내 부재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 사이에 위치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운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는 상기 안내 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폐기구를 서로 연결하는 제2위치로 전환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부는,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실과, 상기 현상실과 나란한 교반실과,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구분하며 그 양단부에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연통시키는 제1, 제2개구가 마련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유입구는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된 공급부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 중 다른 하나로부터 연장된 배출부에 마련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8.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순환부는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9.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순환부는 상기 폐현상제 용기에 마련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70125416A 2017-09-27 2017-09-27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Withdrawn KR20190036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16A KR20190036322A (ko) 2017-09-27 2017-09-27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S18862731T ES2927543T3 (es) 2017-09-27 2018-03-19 Circulador de revelador para guiar el revelador
PCT/KR2018/003138 WO2019066171A1 (en) 2017-09-27 2018-03-19 REVEILER CIRCULATION DEVICE FOR GUIDING A REVELATOR
EP18862731.9A EP3580614B1 (en) 2017-09-27 2018-03-19 Developer circulator to guide developer
US16/609,468 US10845733B2 (en) 2017-09-27 2018-03-19 Developer circulator to guide developer
CN201880058668.8A CN111051999B (zh) 2017-09-27 2018-03-19 用于引导显影剂的显影剂循环器
PL18862731.9T PL3580614T3 (pl) 2017-09-27 2018-03-19 Cyrkulator wywoływacza do prowadzenia wywoływacz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16A KR20190036322A (ko) 2017-09-27 2017-09-27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322A true KR20190036322A (ko) 2019-04-04

Family

ID=6590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416A Withdrawn KR20190036322A (ko) 2017-09-27 2017-09-27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5733B2 (ko)
EP (1) EP3580614B1 (ko)
KR (1) KR20190036322A (ko)
CN (1) CN111051999B (ko)
ES (1) ES2927543T3 (ko)
PL (1) PL3580614T3 (ko)
WO (1) WO2019066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2038A (ja) * 2020-05-18 2021-11-25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排出路用の弁体を有する現像装置、及び、現像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6666B2 (ja) * 1989-02-13 2000-01-1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5592270A (en) * 1992-07-21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in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discharge of deteriorated developer and method of discharging deteriorated developer
EP0608812B1 (en) * 1993-01-26 1998-12-0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432673B2 (ja) 1996-04-04 2003-08-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1119531A (ja) 1997-10-08 1999-04-30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4377512B2 (ja) * 1999-09-30 2009-1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JP2001255743A (ja) 2000-03-09 2001-09-21 Konica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345124A (ja) 2002-05-22 2003-12-03 Canon Inc 現像装置
JP4188115B2 (ja) * 2003-03-14 2008-1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202317A (ja) 2004-01-19 2005-07-28 Ricoh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88339B2 (ja) * 2005-04-26 2008-11-26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10760B2 (ja) 2006-08-29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65229A (ja) 2006-09-11 2008-03-21 Fuji Xerox Co Ltd トナー格納部品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98733B2 (ja) * 2006-09-25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7904001B2 (en) * 2007-02-16 2011-03-0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nveyor members, a supply part, and a discharge part
US7792465B2 (en) * 2007-02-20 2010-09-07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1489B2 (ja) * 2009-03-19 2012-05-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55280B2 (ja) 2009-10-30 2013-03-06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装置、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4127B2 (ja) * 2010-02-10 2014-12-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現像装置
JP5003779B2 (ja) * 2010-03-19 2012-08-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67581B2 (ja) * 2011-01-20 2013-08-2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0025B2 (ja) *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683520B2 (ja) 2012-03-28 2015-03-1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体、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79573B2 (ja) * 2012-12-12 2015-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33516B2 (ja) * 2013-12-20 2016-06-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5868438B2 (ja) * 2014-01-27 2016-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308812B2 (ja) * 2014-03-04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5925240B2 (ja) * 2014-04-18 2016-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搬送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11462B2 (ja) * 2014-05-12 2017-04-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11518B2 (ja) * 2014-07-31 2018-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444668B2 (en) * 2014-09-25 2019-10-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22288B1 (ko) * 2014-11-24 2016-05-18 주식회사 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배출 장치
JP6365391B2 (ja) * 2015-04-27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JP6566723B2 (ja) * 2015-05-27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39758B2 (en) * 2016-05-20 2018-04-10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KR20180064819A (ko) * 2016-12-06 2018-06-1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0614A1 (en) 2019-12-18
EP3580614A4 (en) 2021-01-20
WO2019066171A1 (en) 2019-04-04
ES2927543T3 (es) 2022-11-08
CN111051999B (zh) 2022-12-30
EP3580614B1 (en) 2022-08-10
CN111051999A (zh) 2020-04-21
PL3580614T3 (pl) 2022-09-19
US20200192245A1 (en) 2020-06-18
US10845733B2 (en)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8970B2 (ja) 現像剤量検知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872359B1 (ko) 폐기물 용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847883B2 (ja) 搬送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184658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20190006726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919255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791389B (zh) 显影单元和使用该显影单元的电子照相成像装置
KR20190036322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90009173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04971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現像装置
US11892783B2 (en) Powder transporting devic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2585543A (zh) 具有防止调色剂散落的结构的显影设备
JP5407451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20040114966A1 (en) Developing appaaratus
JP4081367B2 (ja) 現像装置
JP501240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3555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6618740B2 (ja) 搬送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3913438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2412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27504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891554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505818B (zh) 显影装置以及图像形成设备
KR20200088996A (ko)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JP200622101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