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88012A -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012A
KR20110088012A KR1020100007715A KR20100007715A KR20110088012A KR 20110088012 A KR20110088012 A KR 20110088012A KR 1020100007715 A KR1020100007715 A KR 1020100007715A KR 20100007715 A KR20100007715 A KR 20100007715A KR 20110088012 A KR20110088012 A KR 20110088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image data
request message
accident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수
김재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0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012A/ko
Publication of KR2011008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01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7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an event-triggered choice to display a specific image among a selection of captured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는,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주변 차량에 상기 자기 차량의 사고 시점에 상기 자기 차량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사고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주변 차량에 송신하고,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주변 차량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주변 차량으로부터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대한 과실 여부 등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는 객관적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vehicle accident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 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6-S-085-01, 과제명 : 자동차 센서노드용 초소형 운영체제 개발].
최근,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의 증거를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에 블랙 박스를 탑재시키고 있다. 차량용 블랙 박스는, 비행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기록된 운행 정보 등을 사고 경위 조사에 이용하는 블랙 박스 기술을 차량에 적용시킨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 박스 기술을 이용하면 교통 사고 발생시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목격자의 증언에만 의존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조사 결과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사고 처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 박스 기술은 속도계, 가속도 센서 및 범 지구 위치 결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등을 활용해 운행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은 사고가 발생한 자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가능하지만, 가해자와 피해자의 과실 정도를 판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촬영 영역 밖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전방만을 촬영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가 탑재된 차량의 후방에서 추돌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사고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객관적인 증거 확보를 위하여,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주변 차량으로부터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는,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주변 차량에 상기 자기 차량의 사고 시점에 상기 자기 차량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사고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주변 차량에 송신하고,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주변 차량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주변 차량으로부터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대한 과실 여부 등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는 객관적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영상 취득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이용되는 차량용 블랙 박스 기술 중 자기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은 객관적인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객관적인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영상, 즉 주변 차량에서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집하여 이를 저장하는 장치(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 상에 도시되고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차량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사고가 발생한 자기 차량(10a)과 상대 차량(10c) 및 사고 발생 지점 근처를 지나는 주변 차량(10b)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들(10a, 10b, 10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가 탑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는 설정된 시간마다 설정된 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저장한다. 도 1에 도시된 영역은 주변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의 촬영 영역(11b)을 나타낸다.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는 자기 차량(10a)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주변 차량(10b)으로부터 자기 차량(10a)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어를 시작한다.
즉, 자기 차량(10a)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는 자기 차량(10a)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줄 것을 주변 차량(10b)에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주변 차량(10b)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는 자기 차량(10a)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고,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자기 차량(10a)에 송신한다.
이후,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차량의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사고 발생에 대한 경위를 조사하는 데 있어서 객관적인 증거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의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는 사고가 발생한 자기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와 사고 지점을 지나는 주변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를 나누어 도시하였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함에 있어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 100b)는, 영상 취득부(110a, 110b), 센서부(120a, 120b), 제어부(130a, 130b), 통신부(140a, 140b), GPS 수신부(145a, 145b) 및 저장부(150a, 150b)를 포함한다.
영상 취득부(110a)는, 자기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설정된 시간마다 설정된 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저장부(150a)로 출력한다.
센서부(120a)는, 자기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센싱을 수행하여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센서로는 충격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충격 센서의 경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의 경우 순간적인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센싱 정보는 제어부(130a)로 출력되어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 활용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120a)는 자체 프로세서를 보유한 지능형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20a)는 자체적으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를 제어부(130a)로 출력한다.
제어부(130a)는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사고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0a)는 센서부(120a)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a)가 충격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센서부(120a)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센싱된 충격량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20a)가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센서부(120a)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센싱된 가속도 변화량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센서부(120a)가 지능형 센서들로 이루어진 경우 사고 발생 여부에 대판 판단 결과를 센서부(120a)로부터 입력받고 별도의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은 하지 않을 수 있다.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30a)는 GPS 수신부(145a)로부터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는 주변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에서 자기 차량의 사고 지점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제어부(130a)는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줄 것을 주변 차량에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는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시점의 시간 정보가 삽입된다.
제어부(130a)는 생성된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140a)를 통하여 출력하며, 이에 대한 주변 차량으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통신부(140a)를 통하여 수신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주변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의 제어부(130b)는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50b)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만약, 해당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이를 추출하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기 차량으로 전송한다.
통신부(140a)는, 무선 랜, 지그비 및 단거리 무선 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DSRC)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자기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의 통신부(140a)는 제어부(130a)로부터 수신된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주변 차량으로 출력하고, 주변 차량으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30a)로 출력한다. 한편, 주변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의 통신부(140b)는 자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130b)로 출력하고,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어부(130b)로부터 수신받아 자기 차량으로 출력한다.
GPS 수신부(145a)는,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제어부(130a)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부(130a)로 출력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GPS 수신부(145a)가 통신부(140a)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별도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저장부(150a)는, 영상 취득부(110a)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주변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자기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영상 취득부(110a)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개념을 도 3에 도시하였다.
저장부(150a)는 영상 취득부(110a)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방식에 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용량 등을 고려하여, 새로운 영상 데이터(151)의 저장시에 오래된 영상 데이터(155)는 자동으로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a)는 영상 취득부(110a)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시간을 나타내는 촬영 시간 정보, 상기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위치를 나타내는 촬영 위치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촬영 각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제어부(130b)가 자기 차량의 사고 지점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할 때 이용된다. 즉, 제어부(130b)는 자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인 시간 정보와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인 현재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정보들과 상기 메타 데이터(촬영 시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촬영 각 정보)들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30b)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경우 이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단계(401)에서,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는 자기 차량(10a)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센서부(120a)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제어부(130a)가 자기 차량(10a)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20a)가 자체적 프로세서를 보유한 지능형 센서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센서부(120a)에서 자체적으로 자기 차량(10a)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제어부(130a)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판단에 의하여 자기 차량(10a)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단계(403)로 진행한다.
단계(403)에서,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의 제어부(130a)는 자기 차량(10a)의 사고가 발생한 시점에서의 자기 차량(10a)의 현재 위치 정보를 GPS 수신부(145a)로부터 획득한 후, 단계(405)로 진행한다.
단계(405)에서,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는, 주변 차량(10b)에 자기 차량(10a)의 사고 시점에 자기 차량(10a)을 촬영하여 생성된 사고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는 GPS 수신부(145a)로부터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가 삽입된다. 현재 시간 정보는 차량 내에 설치된 타이머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단계(413)에서,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는, 주변 차량(10b)들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응답 메시지 내에 포함된 사고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저장한다.
즉,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의 제어부(130a)는 주변 차량(10b)들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통신부(140a)를 통하여 수신받고, 수신된 상기 응답 메시지 내에 포함된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이 촬영된 사고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a)로 출력한다.
이 때, 주변 차량(10b)들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저장부(150a)에는 이러한 메타 데이터가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단계(415)에서, 제어부(130a)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단계(413)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주변 차량(10b)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을 위한 제어를 종료한다.
한편, 주변 차량(10b)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는, 자기 차량(10a)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a)로부터 자기 차량(10a)의 사고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고, 해당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이를 상기 자기 차량에 출력한다.
이는, 상기 단계(405)에서 출력된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나타나며, 단계(407) 내지 단계(411)는 이러한 흐름을 보여준다.
단계(407)에서, 주변 차량(10b)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는, 자기 차량의 사고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면, 단계(409)로 진행한다.
단계(409)에서, 주변 차량(10b)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는, 수신된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자기 차량의 사고 시점에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즉, 주변 차량(10b)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100b)의 제어부(130b)는 수신된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자기 차량의 사고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50b)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자기 차량의 사고 장면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해당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기 차량으로 출력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추출된 영상 데이터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150b)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영상 취득부(110b)의 주기적인 촬영으로 생성된다. 즉, 영상 취득부(110b)는 설정된 시간마다 주변을 촬영하고, 이를 저장부(150b)에 저장하는데, 이러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은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영상 데이터의 저장시에 오래된 영상 데이터는 자동으로 폐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a : 자기 차량 10b : 주변 차량
10c : 상대 차량 11b : 촬영 영역
100a : 자기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100b : 상대 차량에 탑재된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110a, 110b : 영상 취득부 120a, 120b : 센서부
130a, 130b : 제어부 140a, 140b : 통신부
145a, 145b : GPS 수신부 150a, 150b : 저장부
151, 155 : 영상 데이터

Claims (1)

  1.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자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주변 차량에 상기 자기 차량의 사고 시점에 상기 자기 차량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사고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하는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주변 차량에 송신하고,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주변 차량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KR1020100007715A 2010-01-28 2010-01-28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Withdrawn KR20110088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15A KR20110088012A (ko) 2010-01-28 2010-01-28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15A KR20110088012A (ko) 2010-01-28 2010-01-28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12A true KR20110088012A (ko) 2011-08-03

Family

ID=4492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15A Withdrawn KR20110088012A (ko) 2010-01-28 2010-01-28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01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75A (ko) * 2012-10-30 2014-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24740B1 (ko) * 2013-05-31 2014-08-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버디차량 간의 녹화영상 공유를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공유 방법
KR101477523B1 (ko) * 2013-02-26 2014-12-3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협력 영상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1656808B1 (ko) * 2015-03-20 2016-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정보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사고 정보 관리 방법
KR20160112816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정보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사고 정보 관리 방법
KR20160144761A (ko) * 2015-06-09 2016-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사고 기록장치 및 그의 사고정보 생성 방법
US9779311B2 (en) 2012-01-31 2017-10-03 Hanwha Techwin Co., Ltd.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urveillance camera for vehicle
KR20180063734A (ko) 2016-12-02 2018-06-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9311B2 (en) 2012-01-31 2017-10-03 Hanwha Techwin Co., Ltd.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urveillance camera for vehicle
KR20140055175A (ko) * 2012-10-30 2014-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77523B1 (ko) * 2013-02-26 2014-12-3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협력 영상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1424740B1 (ko) * 2013-05-31 2014-08-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버디차량 간의 녹화영상 공유를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공유 방법
KR101656808B1 (ko) * 2015-03-20 2016-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정보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사고 정보 관리 방법
KR20160112816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정보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사고 정보 관리 방법
US9898667B2 (en) 2015-03-20 2018-02-20 Hyundai Motor Company Accident information management appratus,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ccid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160144761A (ko) * 2015-06-09 2016-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사고 기록장치 및 그의 사고정보 생성 방법
CN106251423A (zh) * 2015-06-09 2016-12-2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事故记录装置和生成其事故信息的方法
US9607518B2 (en) 2015-06-09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ccident record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ccident information thereof
CN106251423B (zh) * 2015-06-09 2020-01-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事故记录装置和生成其事故信息的方法
KR20180063734A (ko) 2016-12-02 2018-06-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8535B2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20110088012A (ko)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KR101783982B1 (ko) 차량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7905B1 (ko)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장치
JP6043470B2 (ja) 記録装置
CN103377494A (zh) 协同式行车记录系统与方法
JP2008152736A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JP2018180810A (ja) 交通違反検知装置、システム、交通違反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53268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이벤트 판정방법
WO2019146488A1 (ja) 運転状況監視装置、運転状況監視方法、および運転状況監視システム
JP5387847B2 (ja) 記録システム
CN111464736A (zh) 服务器、服务器控制方法、车辆、车辆控制方法以及存储程序的存储介质
KR20140126852A (ko) 사고 영상 수집 시스템 및 그의 사고 영상 수집 방법
KR101801921B1 (ko) 차량 운행 관리시스템 및 차량 운행 관리방법
KR1013919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WO201916805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
KR101976390B1 (ko)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1127511B1 (ko)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캐스팅 정보를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시스템
KR101350561B1 (ko) 주행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JP2021026457A (ja) 画像配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配信システム
KR200409673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CN116978144A (zh) 一种车载无人值守时发生意外取证方法及系统
KR20100043875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상태 저장 장치 및 방법
JP2023125360A (ja) 情報処理装置
CN113468358A (zh) 搜索辅助系统、搜索辅助方法、车载装置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