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95882A - 액체 화장료 - Google Patents

액체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882A
KR20080095882A KR1020087020249A KR20087020249A KR20080095882A KR 20080095882 A KR20080095882 A KR 20080095882A KR 1020087020249 A KR1020087020249 A KR 1020087020249A KR 20087020249 A KR20087020249 A KR 20087020249A KR 20080095882 A KR20080095882 A KR 2008009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smetics
liquid cosmetic
liquid cosmetics
cosm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644B1 (ko
Inventor
마사아키 모리타
히로시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6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적어도 무기 안료, 분산제, 피막 형성제 및 물로 이루어진 액체 화장료로서, 상기 분산제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이며, 상기 피막 형성제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또는 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단, 폴리스티렌만의 호모폴리머를 제외함) 혹은 공중합체의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

Description

액체 화장료{LIQUID COSMETIC}
본 발명은 액체 화장료, 특히 수성 액체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액체 화장료 도포구용 용기에 충전하고, 붓 모양의 도포용 부분을 이용하여 도포되는 화장 용도에 적합한 액체 화장료로서, 내수성 및 피부 밀착성이 뛰어난 액체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포구(塗布具)에 내장되어 사용하는 타입의 액체 화장료는 착색제로서, 염료를 물 및 수용성 유기 용제 등에 용해한 것이나 안료를 계면활성제나 수용성 수지와 함께 물 및 수용성 유기 용제 등에 분산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액체 화장료에 염료를 사용했을 경우는 일반적으로 액체 화장료에 의한 묘선 자국에 대한 내구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안료를 색재로 하고, 계면활성제를 분산제로 사용하는 동시에, 수용성 수지를 액체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안료의 분산성과 정착성을 향상시켜, 액체 화장료에 의한 묘선 자국의 색 농도의 균일화와 내수성 향상이 도모되어 오고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은 모두 본 출원인 자신에 의한 특허출원에 관련된 것이나, 이들은 수성 분산액으로 이루어진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및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 용기에 내장한 액체 화장료 도포구를 제시하고 있다. 이들에 개시된 화장료는 모두 도포 성능이 뛰어나 충분한 묘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들에 개시된 화장료는 레시틴이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물티슈로 완전하게 닦아낼 수 있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나, 그 반면, 특히 내수 고착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4도 본 출원인 자신에 의한 특허출원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펄 안료를 사용한 액상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내장한 액체 화장료 도포구가 제시되어 있다. 해당 액체 화장료 도포구에서는 미려한 아이라이너액이 충전되어 있으며, 그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특정 전단 속도(shear rate)에 의한 점도를 소정의 수치 범위로 설정하고, 또한 분산 안정제로서 수첨 레시틴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개시된 액체 화장료는 미려한 아이라인을 그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큰 입자를 사용하기도 하며, 또, 안정화제로서 수첨 레시틴을 0.5%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0.5% 첨가하고 있는 경우도 있어 내수 고착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5에는 안료, 물, 수용성 고분자 및 글리콜류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료로서, 점도가 1 ~ 50 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액상 화장료에는 이와 같은 저점도를 실현하기 위해 에멀젼 등의 첨가가 없고, 저점도이기 때문에 스며나옴 내성이나 내수성에 어려움이 있음이 용이하게 추측된다.
특허문헌 6에는 폴리아스파라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및 그들 염으로 무기 안료를 분산시키고, 추가로 폴리머에멀젼을 배합한 아이라이너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 다.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양호한 분산성을 갖는 취지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아이라이너 화장료에는 분산제로 음이온계의 계면활성제인 폴리아스파라긴산염이 다량 배합되며, 또, 액체의 점도를 낮게 억제한 화장료이기 때문에, 스며나옴 내성이나 강고한 내수성을 부여하는 것은 어려우리라 추측된다. 이 점에 있어서, 특허문헌 7도 마찬가지이다.
특허문헌 8에 기재된 액체 화장료는 저점도 범위에 속하는 점도값을 갖는 것이며, 무기 안료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체 화장료에서는 비중이 높은 무기 안료의 대부분이 신속하게 침강하여 실사용에 견딜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8에 개시되어 있는 액체 화장료에서는 함유되는 분산제가 베타인형 양성 수지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수성에 대해서도 또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공평 제2-1292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공평 제4-6644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공평 제10-2312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 제2000-247833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공평 제7-47529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개 제2004-175709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개 제2003-231614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개 제2003-7322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착색제에 안료를 사용하여 정착용 수용성 수지를 첨가한 액상 화장료나 분산제로 수용성 수지를 사용한 액상 화장료는 내수성이 불충분하며 땀을 흘렸을 때 등에 화장료는 서서히 화장이 지워져서 없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극복된 내수성이 뛰어난 액상 화장료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적어도 무기 안료, 분산제, 피막 형성제 및 물로 이루어진 액체 화장료로서, 분산제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이며, 상기 피막 형성제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또는 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단, 폴리스티렌만의 호모폴리머를 제외함) 혹은 공중합체의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는 액체 화장료 도포용 용기에 충전하여 붓 모양의 도포 부분에 의해서 도포되는 화장 용도에 적합한 액체 화장료로서, 내수성, 피부 밀착성, 침강 안정성, 도포성이 모두 뛰어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에서, 분산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는 그 반복 구조 중 측쇄로서 산성 잔기를 갖는 것으로, 중화에 의해서 물에 용해될 수 있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아크릴 수지로는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공중합체(하기 식)가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Luvimer 100P 등을 들 수 있다.
[화 1]
Figure 112008058950481-PCT00001
중화에 의한 물에 대한 용해시에는 유리된 부피가 큰 유기기를 갖는 유기 잔기와 쌍을 이루어 염을 형성할 수 있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L-아르기닌 등의 유기 염기성 화합물이나, 암모니아수, 수산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성 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염기성 화합물은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다.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에서는 이들 염기성 화합물을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작용시켜서 염 구조의 중합체 구조를 형성시킨 후, 용해시키는데 필요 최소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수용액으로 한 것을 상기 분산제로 사용한다.
또한, 여기서 본 발명 액체 화장료에서 분산제로 사용하는 상기 아크릴 수지계의 중합체는 일본 특개 제2003-73220호에 기재된 액체 화장료에서 안료 분산제로 사용되고 있는 베타인형 아크릴산계 양성 수지와는 구조가 다른 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에서, 상기 분산제의 배합량은 액체 화장료 전체의 0.5 ~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2 ~ 4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5 중량% 미만에서는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불충분해지며 한편, 5 중량%을 초과해서 첨가해도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분산 안정성의 향상을 볼 수 없어 경제적이지 않다.
피막 형성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및 스티렌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단, 폴리스티렌만으로 이루어진 호모폴리머를 제외함) 혹은 공중합체의 에멀젼(단독 중합체, 공중합체의 어느 경우라도 모노머를 중합 용매인 물 속에서 유화 중합시켜 얻어진 것으로 물 현탁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막 형성제로서의 에멀젼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로 이루어진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의 에멀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NSC사제 요도졸 GH800이나 다이토화성공업사제 COVACRYL MS1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멀젼의 배합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액체 화장료 전체의 2 ~ 15 중량%가 바람직하다. 2 중량% 미만에서는 내수성이 나쁘고, 15 중량%를 넘으면 도포구의 도포부가 건조하여 도포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피막 형성제의 에멀젼에 대해, 이들 에멀젼 자체를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의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의 성능인 내수성 및 피부 밀착성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수성 및 피부 밀착성에 대한 영향이 적음을 생각할 수 있는 이유로는, 어쩌면 계면활성제가 유리된 채의 상태로 존재하여 에멀젼과의 정전적 내지는 입체 전자적인 상호 작용을 일으키기 어려운 것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에서, 무기 안료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적산화철(벵가라), 산화크롬, 흑산화철, 황산화철 등의 산화물이나 티탄블랙, 티탄산리튬코발트, 티탄·산화티탄 소결물 등의 소결 안료, 감청, 군청, 카본블랙 등의 안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차 입자 지름은 예를 들어, 흑산화철의 경우 0.2㎛ ~ 1㎛ 정도, 적산화철의 경우 0.02 ~ 0.7㎛ 정도이다. 이들 안료를 함유한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의 비중은 크며, 함유하는 안료의 양에 따라서도 다르나, 아이라이너용 화장액으로서 조제하는 경우에는 그 비중은 대략 1 ~ 1.4의 범위가 된다.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에서, 무기 안료의 배합량은 액체 화장료 전체의 1 ~ 30 중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5 ~ 25 중량%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에서는 발색이 연하여 화장료로서 불충분하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더라도 발색의 향상은 그다지 없으며 제조 비용이 증대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중 어느 종류의 계면활성제도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인산(인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황산염(술폰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액체 화장료 전체의 0.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내수성이 떨어져서 충분한 고착력을 얻을 수 없다.
[액체 화장료의 점도값]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의 점도값(25℃)은 50 ~ 200 mPa·s의 범위 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50 mPa·s의 범위 내이다. 또한, 여기서의 점도값은 토키멕사제 EMD형 점도계 표준 콘 로터 20rpm(전단 속도 76.8s-1)로 측정한 값이다. 액체 화장료의 점도값이 50 mPa·s 미만에서는 고형 성분이 경시적인 침강을 일으켜서, 도포구에 충전된 액체 화장료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게 되거나, 도포구 내에서 덩어리가 생겨서 도포가 불가능해지는 일조차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액체 화장료의 점도값이 200 mPa·s를 넘으면, 그 높은 점성에 의해 도포구에 충전된 액체 화장료의 도포에 따른 추종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원활한 도포를 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일본 특개 제2003-73220호(특허문헌 8)에서는 50 mPa·s 미만의 점도값인 경우에는 (주)토키멕제 ELD형 점도계 표준 콘 로터 10rpm, 즉 측정시의 전단 속도 38.3s-1로, 50 mPa·s 이상 600 mPa·s 미만의 점도값인 경우에는 표준 콘 로터 1rpm, 즉 측정시의 전단 속도 3.83s-1로 점도값을 계측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를 특허문헌 8에서 사용되고 있는 점도값 측정 조건의 하나인 전단 속도 3.83s-1로 점도값을 측정하면 400 mPa·s ~ 2000 mPa·s의 값이 된다고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8 기재의 액체 화장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는 수십 ~ 수백 배나 점도값이 크다.
표 1에,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와 특허문헌 8에 기재된 액체 화장료에 대한 각 전단 속도값에서의 점도값 [mPa·s]을 비교를 위해 나타낸다.
[표 1]
전단 속도(s-1) 일본 특개 2003-73220호 본 발명
3.83 50 ~ 300 400 ~ 2000
38.3 1 ~ 50
76.8 50 ~ 200
단위: [mPaㆍs]
상기한 바와 같이 전단 속도 3.83 s-1에서의 점도값이 400m Pa·s 보다 작으면, 액체 화장료 중의 무기 안료 등의 침강 속도가 커져서, 보존에 따른 시간 경과에 의해서 침강한 입자가 하드 케익화를 일으키거나 재균일 분산화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불리한 점이 있다. 또, 전단 속도 3.83s-1에서의 점도값이 200O mPa·s보다 크면 액체 화장료 중의 무기 안료 등의 침강은 억제되나 도포감이 나빠진다고 하는 불리한 점이 있다.
이에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는 점도를 상기 소정 범위로 함으로써, 내수성이 뛰어나고 비중이 높은 무기 안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특허문헌 8 기재의 액체 화장료와는 현저하게 다르다.
[액체 화장료의 도포 성능]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는 적어도 무기 안료, 분산제, 피막 형성제 및 물로 이루어진 액체 화장료로서,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서 추가로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분산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에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서 염 구조로 하고 수용액으로 한 것을 의미한다. 또, 피막 형성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및 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단, 폴리스티렌만으로 이루어진 호모폴리머를 제외함) 혹은 공중합체의 에멀젼(단독 중합체, 공중합체 모두, 모노머를 중합 용매인 물속에서 유화 중합시켜 얻어진 것으로, 물 현탁액)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는 내수 고착성이 매우 뛰어나고, 또한 가는 선을 그리기 쉬우며, 이 때문에 아이라이너나 아이브로우 등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비교예 중의 각 액체 화장료의 점도는 측정시 온도 25℃에서 토키멕사제 EMD형 점도계 표준 콘 로터 20rpm(전단 속도 76.8s-1)로 측정하였다. 또한, 이하에서 단순히 「부」라고 되어 있는 것은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흑산화철 10.0 부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0.6 부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젼 20.0 부
(상기 에멀젼 중의 수지분) 9.0 부
에데트산이나트륨 0.3 부
1,3-부틸렌글리콜 8.0 부
크산탄 검 0.3 부
메틸파라벤 0.4 부
디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0.1 부
정제수 잔여 (51.3 부)
합계 100.0 부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실온하에서 3시간 교반하여 점도 84 mPa·s의 흑색의 액체 화장료를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액체 화장료는 고착성, 침강성, 도포성이 모두 뛰어난 성상(性狀)이었다.
상기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 2 및 표 3 기재의 각 혼합 비율로 액체 화장료를 제조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해당하는 각 액체 화장료에 대해 점도 측정 및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를 하여, 표 2 및 3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상기 표 2 및 표 3 중 분산제의 배합량에 대해서는 사용한 분산제 중에 포함되는 수지분의 양(액체 화장료 전체에 대한 중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내고 있다.
[표 2]
배합조성의 종별 화합물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안료 흑산화철 10 10 10 0 0
안료 산화철피막운모 티탄 (Iron oxide-coated titanuim Oxide-coated mica) 0 0 0 10 10
분산제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1 0.6 3 4.5 3 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 C15) 에테르인산(10E.O.) 0 0 0 0.3 0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0 0 0 0 0.5
피막형성제 에멀젼 (상기 에멀전 중 수지분)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젼*2 20 9 15 6.75 10 4.5 15 6.75 10 4.5
킬레이트제 에데트산이나트륨 0.3 0.3 0.3 0.3 0.3
보습제 1,3-부틸렌글리콜 8 8 8 8 8
증점제 크산탄 검 0.3 0.25 0.5 0.5 0.6
방부제 메틸파라벤 0.4 0.4 0.4 0.4 0.4
방부제 디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0.1 0.1 0.1 0.1 0.1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각 실시예의 평가
점도[mPaㆍs] 점도측정조건: 전단 속도 76.8(1/s) 점도측정조건: 전단 속도 3.83(1/s) 84 780 55 510 145 1346 136 1263 180 1671
고착성
침강성
도포감
*1: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ㆍㆍㆍBASF사제 Luvimer 100P
*2: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젼ㆍㆍㆍ일본 NSC사제 요도졸 GH800
[표 3]
배합조성의 종별 화합물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안료 흑산화철 10 10 10 10 0 0 10
안료 산화철피막운모 티탄 0 0 0 0 10 10 0
분산제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1 3 3 3 0 3 3 0
분산제 N-메타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ㆍ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베타인형 알킬산계 양성수지) 7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 C15) 에테르인산(10E.O.) 1.5 1 0.5 0.5 0 0 0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0 0 0 0 0.3 0.5 0
피막형성제 에멀젼 (상기 에멀전 중 수지분)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젼*2 20 9 20 9 0 0 10 4.5 15 6.75 15 6.75 15 6.75
킬레이트제 에데트산2나트륨 0.3 0.3 0.3 0.3 0.3 0.3 0.3
보습제 1,3-부틸렌글리콜 8 8 8 8 8 8 8
증점제 크산탄 검 0.5 0.25 0.5 0.5 0.1 0.7 0.2
방부제 메틸파라벤 0.4 0.4 0.4 0.4 0.4 0.4 0.4
방부제 디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0.1 0.1 0.1 0.1 0.1 0.1 0.1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각 실시예의 평가
점도[mPaㆍs] 점도측정조건: 전단 속도 76.8(1/s) 점도측정조건: 전단 속도 3.83(1/s) 136 1251 54 498 130 1207 130 1203 40 371 230 2135 53 492
고착성 × × × ×
침강성 ×
도포감 ×
*1: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ㆍㆍㆍBASF사제 Luvimer 100P
*2: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젼ㆍㆍㆍ일본 NSC사제 요도졸 GH800
[평가 기준]
(고착성) 평가
고착성에 대해서는 액체 화장료를 손등에 도포하고 10분간 자연 건조시킨 후에 도포부에 흐르는 물을 맞추어 손가락으로 문질러서 도포물이 떨어지는 정도를 육안과 손가락 끝의 감촉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 : 도포부의 박리가 전혀 없고 지극히 양호하다.
○ : 도포부의 박리가 적고 양호하다.
△ : 부분적으로 도포부의 박리가 있다.
× : 도포부가 대부분 박리된다.
(침강성) 평가
침강성에 대해서는 펜형 액상 화장료 도포용 용기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액체 화장료를 충전하고, 1개월간 수직으로 세워 정치한 후의 도포 용기 내의 액체 화장료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침강성의 평가로는 용기 내의 화장료가 전혀 층 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를 우(優), 층 분리가 일어났다 하더라도 용기 내의 화장료의 상부에 상청액으로서 생긴 투명한 용액상의 층이 2㎜ 미만이었을 경우를 침강성 양호,
용기 내의 화장료에 색 분리나 층 분리 등이 약간 관찰되며, 사용하기 전에 그저 용기를 약간 흔들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침강성 보통이라고 하고,
용기 내의 화장료에 색 분리나 층 분리 등이 명확하게 관찰되며, 사용하기 전에 다소 용기를 흔들어서 색이나 농도의 불균일함이 발생하여 화장료로서의 실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를 침강성 불량으로 하였다.
◎ : 전혀 층 분리가 생기지 않는다.
○ : 용기 내의 화장료의 상부에 상청액으로서 생긴 층 분리가 2㎜ 미만이 다.
△ : 용기 내의 화장료에 색 분리나 층 분리가 약간 관측되나, 용기를 약간 흔들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 : 용기 내의 화장료에 색 분리나 층 분리가 관측되며, 용기를 다소 흔들어도 발생한 농도 불균형이 개선되지 않아 실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도포성) 평가
상기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액체 화장료를 화장 경험 5년 이상의 여성 패널 20명에게 실제로 사용하게 하여 도포시의 사용감(매끈함, 발림감 등)을 감응 평가하였다.
◎ : 패널 20명 중 15명 이상이 사용감이 뛰어나다고 회답한 것.
○ : 패널 20명 중 10명 이상 14명 이하가 사용감이 뛰어나다고 회답한 것.
△ : 패널 20명 중 6명 이상 9명 이하가 사용감이 뛰어나다고 회답한 것.
× : 패널 20명 중 5명 이하 밖에 사용감이 뛰어나다고 회답하지 않은 것.
일본 특개 2003-73220(특허문헌 8)에서, 안료 분산제로 사용되고 있는 베타인형 아크릴산계 양성(amphoteric) 수지인 미츠비시화학(주)제의 유카포머를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에서의 분산제로 사용했을 경우가 비교예 7이다. 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분산제로서, 상기 베타인형 아크릴산계 양성 수지를 사용하면 고착성 평가는 낮은 것이었다.
본 발명에 의해 내수성 및 피부 밀착성이 뛰어난 수성 액체 화장료로서, 액 체 화장료 도포구용 용기에 충전하여 붓 모양의 도포용 부분을 이용하여 도포되는 화장 용도에 적절한 수성 액체 화장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액체 화장료는 수용성이면서 내수성 및 스며나옴 내성이 뛰어나고, 게다가 고착성이 뛰어나며 동시에 안료의 침강성이나 도포감도 뛰어나서, 화장품으로서의 실사용에 있어서 그 사용 용이성이나 쾌적한 사용감으로 인하여 화장료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다.

Claims (8)

  1. 적어도 무기 안료, 분산제, 피막 형성제 및 물로 이루어진 액체 화장료로서, 상기 분산제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 (C1 ~ C4 및 C8) 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이며, 상기 피막 형성제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C1 ~ C4 및 C8)의 알킬에스테르, 또는 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의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산제의 배합량이 액체 화장료 전체의 0.5 ~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피막 형성제의 배합량이 고형분 환산으로 액체 화장료 전체의 2 ~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0.5 중량% 이하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점도가 50 mPa·s ~ 200m 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액체 화장료로 이루어진 아이라이너.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액체 화장료로 이루어진 아이브로우.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액체 화장료의 도포구용 용기.
KR1020087020249A 2006-01-20 2007-01-19 액체 화장료 Expired - Fee Related KR101363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2874 2006-01-20
JPJP-P-2006-00012874 2006-01-20
PCT/JP2007/050813 WO2007083753A1 (ja) 2006-01-20 2007-01-19 液体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882A true KR20080095882A (ko) 2008-10-29
KR101363644B1 KR101363644B1 (ko) 2014-02-14

Family

ID=3828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2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3644B1 (ko) 2006-01-20 2007-01-19 액체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8369B2 (ko)
EP (1) EP1977733B1 (ko)
JP (1) JP5241239B2 (ko)
KR (1) KR101363644B1 (ko)
WO (1) WO20070837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6229B2 (en) 2010-07-12 2017-02-14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Liquid cosmetic
KR20200131274A (ko) * 2018-03-12 2020-11-23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용 안료 분산액, 그것을 이용한 수계 액체 화장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2285B2 (ja) 2011-04-28 2016-04-27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化粧料
JP5864134B2 (ja) * 2011-05-30 2016-02-17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化粧料
JP5916438B2 (ja) * 2012-03-01 2016-05-11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化粧料
JP6521627B2 (ja) 2014-02-04 2019-05-29 三菱鉛筆株式会社 水性液体化粧料組成物
FR3026619B1 (fr) * 2014-10-01 2018-03-02 L'oreal Applicateur rigide a tete floquee et zone de flexibilite
JP6692158B2 (ja) * 2015-12-25 2020-05-13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化粧料塗布具
KR20180095688A (ko) 2015-12-25 2018-08-2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화장료 조성물
JP6641174B2 (ja) * 2015-12-25 2020-02-05 三菱鉛筆株式会社 アイメイク用液体化粧料塗布具
EP3454829B1 (en) * 2016-01-27 2021-11-03 Kao Germany GmbH Composition for reduction of hair split ends, use and process thereof
JP2017210437A (ja) * 2016-05-25 2017-11-30 三菱鉛筆株式会社 睫毛装飾用化粧料
JP2022099835A (ja) * 2020-12-23 2022-07-05 株式会社トキワ 水性液状化粧料及びペン型化粧品
CN114948763A (zh) * 2021-02-24 2022-08-30 株式会社常盘 水性液状化妆料以及笔型化妆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9572A (en) 1967-02-27 1972-02-01 Pfizer & Co C Eyeliner composition
JPH0747529B2 (ja) * 1986-03-28 1995-05-24 ぺんてる株式会社 ペン型化粧具用メイクアップ液状化粧料
JPS63307809A (ja) * 1987-06-08 1988-12-15 Mitsubishi Pencil Co Ltd アイメイクアツプ化粧料
JPH10231233A (ja) 1997-02-20 1998-09-02 Mitsubishi Pencil Co Ltd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FR2787321A1 (fr) * 1998-12-18 2000-06-2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table comprenant un copolymere particulier, des particules solides non enrobees et un polymere dispersant huileux
JP4036560B2 (ja) 1999-02-23 2008-01-23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化粧料
JP4066447B2 (ja) 1999-05-27 2008-03-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の処理方法
JP4518683B2 (ja) 2001-02-20 2010-08-04 三菱鉛筆株式会社 アイブロウ化粧料
JP2003073220A (ja) 2001-08-31 2003-03-12 Pentel Corp 液状化粧料
JP4287636B2 (ja) 2001-12-03 2009-07-01 御国色素株式会社 化粧料用顔料分散液
DE20207329U1 (de) * 2002-05-10 2002-10-24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90562 Heroldsberg Zubereitung
JP2004175709A (ja) 2002-11-26 2004-06-24 Mikuni Color Ltd 化粧料用顔料分散液
JP7047529B2 (ja) 2018-03-28 2022-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6229B2 (en) 2010-07-12 2017-02-14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Liquid cosmetic
KR20200131274A (ko) * 2018-03-12 2020-11-23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용 안료 분산액, 그것을 이용한 수계 액체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28369B2 (en) 2014-09-09
EP1977733A1 (en) 2008-10-08
EP1977733A4 (en) 2010-12-22
JPWO2007083753A1 (ja) 2009-06-11
KR101363644B1 (ko) 2014-02-14
JP5241239B2 (ja) 2013-07-17
EP1977733B1 (en) 2017-03-01
US20100221204A1 (en) 2010-09-02
WO2007083753A1 (ja)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644B1 (ko) 액체 화장료
JP5430149B2 (ja) 水系液体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101612998B1 (ko) 액체 화장재료
KR20180095688A (ko) 액체 화장료 조성물
EP2164447B1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JP5791424B2 (ja) 水性化粧料組成物
JP4767034B2 (ja) 水系液体アイライナー化粧料
US9445982B2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WO2019176801A1 (ja) 化粧料用顔料分散液、それを用いた水系液体化粧料
WO2019176800A1 (ja) 化粧料用顔料分散液、それを用いた水系液体化粧料
US12220471B2 (en) Aqueous liquid cosmetic
JP7211718B2 (ja) 液体化粧料
EP3269351B1 (en) Composite powder having surface of inorganic powder cover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090054635A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JP7252985B2 (ja) 黒酸化鉄の水分散体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液状化粧料
KR20110041741A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0423A (ko) 치아 코팅용 조성물
JPS62281809A (ja) 水性メ−クアツプ化粧料
US9775795B2 (en) Copolymers in cosmetic compositions
JP2008174460A (ja) 水分散無機増粘剤を含有する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を利用した焼成タイプメーキャップ化粧料組成物及び製造方法
CN111714379A (zh) 通过使用成膜剂来形成图案的固体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70050565A (ko) 지속력이 우수한 립메이크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2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