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34781A -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781A
KR20080034781A KR1020070102911A KR20070102911A KR20080034781A KR 20080034781 A KR20080034781 A KR 20080034781A KR 1020070102911 A KR1020070102911 A KR 1020070102911A KR 20070102911 A KR20070102911 A KR 20070102911A KR 20080034781 A KR20080034781 A KR 2008003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ratchet
door
closed sta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869B1 (ko
Inventor
지로오 이노우에
아야 모로까따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E05B81/86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using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23Cross bars
    • Y10T292/24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 비용의 저감화 및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유효 활용하여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드 도어(2)를 차량 본체(1)에 대해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 기구(20)와,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 개방 동작함으로써 래치 기구(20)에 의해 유지된 상기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를 해제시키는 오픈 레버(30)를 구비한 래치 장치(10)에 있어서,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계기로 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의 해제를 보조하는 해제 보조 유닛(50)과,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일부를 축전하는 한편, 해제 보조 유닛(50)에 축전한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해제 보조 유닛(50)을 구동시키는 축전 장치(60)를 구비한 것이다.
래치 기구, 축전 장치, 보조 유닛, 오픈 레버, 래치 장치

Description

래치 장치{LATCH DEVICE}
본 발명은 래치(latch)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래치 기구에 의해 유지된 도어체의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래치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설치된 래치 장치로서는, 래치 기구와, 오픈 레버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래치 기구는, 래치와 래칫(ratchet)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래치는, 예를 들어 사이드 도어 등과 같은 도어체에 래치 축을 통해 축 지지되고,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하는 태양으로 상기 래치 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래치는, 가압 수단인 래치 스프링에 의해 상시 개방 동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도어체의 폐쇄 동작에 의해 래치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폐쇄 동작하여 예를 들어 차량 본체에 배치된 스트라이커와 맞물림 상태로 되는 것이다.
래칫은, 래치와 마찬가지로, 도어체에 래칫 축을 통해 축 지지되고, 결합 동작 및 해제 동작하는 태양으로 상기 래칫 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 어 있다. 이 래칫은, 가압 수단인 래칫 스프링에 의해 상시 결합 동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래칫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 동작함으로써 래치에 결합하여 상기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래칫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해제 동작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오픈 레버는, 도어체에 설치된 조작 핸들, 즉 사이드 도어의 아웃사이드에 설치된 아웃사이드 핸들 및 사이드 도어의 인사이드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의 각각에 연계되고, 또한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 개방 동작하는 태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오픈 레버는, 도어 개방 동작함으로써 래칫을 래칫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해제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래치 장치에서는, 도어체를 폐쇄 동작시켜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맞물림 상태로 하고, 래칫을 결합 동작시켜 상기 맞물림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체를 차량 본체에 대해 절반 폐쇄 상태 혹은 완전 폐쇄 상태로 하는 한편, 조작 핸들을 개방 조작하여 오픈 레버를 도어 개방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맞물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도어체가 개방 동작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런데, 상기 래치 장치에서는, 결합 동작시킨 래칫을, 스트라이커와 맞물림 상태에 있는 래치와 결합시켜 상기 맞물림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체를 차량 본체에 대해 절반 폐쇄 상태 혹은 완전 폐쇄 상태로 하고 있지만, 기종에 따라서는 특히 도어체가 차량 본체에 대해 완전 폐쇄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래치와 래칫의 결합 부분에는 래치 스프링의 반력(가압력) 및 차량 본체와 도어체 사이에 설치된 예를 들어 웨더스트립(Weather Strip) 등의 밀봉 부재의 반력이 작용하는 결과, 강 대한 마찰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조작 핸들(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개방 조작하여 오픈 레버를 도어 개방 동작시킴으로써 래칫을 해제 동작시키는 경우에, 상기 마찰력이 저항력으로서 작용하여, 이에 의해 조작 핸들의 조작 하중이 필요 이상으로 증대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조작 핸들의 조작 하중의 증대는, 예를 들어 고령자, 어린이, 장애인, 환자 등과 같은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곤란을 수반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보조하기 위해, 이용자에 의한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기인하여, 모터의 동력에 의해 래칫을 해제 동작시키는 파워 릴리스(power release) 기구를 구비한 래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7-2195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7842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4-68182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에 제안되어 있는 래치 장치에서는, 파워 릴리스 기구와 같은 모터 동력을 구비한 파워 기구는, 고가이며 과대한 장착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조작 핸들과 래치 기구와의 사이에는,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유효화하는 언로크 상태와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무효화하는 로크 상태 사이에서 절환되는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로크 기구의 구동원이 되는 액츄에이터에,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등의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로크 기구가 구동하게 되지만, 공급되는 구동 전류 중 로크 기구의 구동에 이용되는 것은 일부이며, 잔여분은 전혀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 및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유효 활용하여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래치 장치는, 차량 본체 및 도어체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체를 상기 차량 본체에 대해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 기구와, 상기 도어체에 설치된 조작 핸들에 연계되고, 또한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 개방 동작하는 태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 개방 동작함으로써 상기 래치 기구에 의해 유지된 상기 도어체의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를 해제시키는 오픈 레버를 구비한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계기로 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오픈 레버에 의한 상기 도어체의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의 해제를 보조하는 해제 보조 수단과, 상기 조작 핸들과 상기 래치 기구와의 사이에서,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유효화하는 언로크 상태와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무효화하는 로크 상태 사이에서 절환되는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일부를 축전하는 한편, 상기 해제 보조 수단에 축전한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해제 보조 수단을 구동시키는 축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래치 장치는, 상술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차량 본체 및 도어체 중 어느 한쪽에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하는 태양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압 수단에 의해 상시 개방 동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한편, 상기 도어체의 폐쇄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폐쇄 동작하여 상기 차량 본체 및 도어체 중 어느 다른 쪽에 배치된 스트라이커와 맞물림 상태로 되는 래치와, 결합 동작 및 해제 동작하는 태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결합 동작함으로써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상기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해제 동작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래칫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보조 수단은 상기 조작 핸들이 개방 조작된 후 상기 래칫이 해제 동작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맞물림 상태에 있는 래치에 접촉하여 상기 래치를 폐쇄 동작하는 방향으로 과잉 요동시켜,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칫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래치 장치는, 상술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제 보조 수단은, 상기 오픈 레버의 도어 개방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도어 개방 동작의 검출에 의해 상기 레버 부재를 구동시켜 상기 래치에 접촉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래치 장치에 따르면, 해제 보조 수단이,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계기로 하여 구동함으로써, 오픈 레버에 의한 도어체의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의 해제를 보조하므로,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축전 장치가, 조작 핸들과 래치 기구와의 사이에서,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유효화하는 언로크 상태와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무효화하는 로크 상태 사이에서 절환되는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일부를 축전하는 한편, 상기 해제 보조 수단에 축전한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해제 보조 수단을 구동시키므로, 로크 기구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와 같이 파워 릴리스 기구와 같은 고가의 것을 이용하지 않아, 과대한 장착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 및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유효 활용하여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 과를 발휘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래치 장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주요부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의 구성을 차량의 후방측으로부터 도시한 배면도이다. 여기에 예시하는 래치 장치(10)는, 예를 들어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차량 본체(1)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힌지 타입의 사이드 도어(도어체)(2)의 후방 모서리부에 설치된 것이며, 래치 기구(20)와, 오픈 레버(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래치 기구(20)는, 차량 본체(1)에 설치한 스트라이커(S)와 맞물림 상태로 된 경우에 사이드 도어(2)를 절반 폐쇄 상태 혹은 완전 폐쇄 상태로 하는 것이며, 래치 하우징(11)의 내부에 래치(21) 및 래칫(2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래치 하우징(11)은 스트라이커(S)가 통과할 수 있는 절결 홈(12)을 가진 것으로, 이 절결 홈(12)을 사이드 도어(2)의 개폐에 의해 스트라이커(S)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영역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도어(2)에 부착되어 있다.
래치(21)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하우징(11)에 마련한 절결 홈(12)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래치 축(21a)을 통해 상기 래치 축(21a)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개방 동 작하는 한편,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폐쇄 동작하는 태양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래치(21)는, 맞물림 홈(211), 훅부(212) 및 계지부(213)를 갖고 있다.
맞물림 홈(211)은 래치(21)의 외주면으로부터 래치 축(21a)을 향해 형성한 것으로, 스트라이커(S)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훅부(212)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 홈(211)을 하방을 향해 개방시킨 경우에 상기 맞물림 홈(211)보다도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훅부(212)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2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폐쇄 동작시킨 경우)에 래치 하우징(11)의 절결 홈(12)을 가로지르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한편,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개방 동작시킨 경우)에 절결 홈(12)을 개방하는 위치(개방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지부(213)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 홈(211)을 하방을 향해 개방시킨 경우에 상기 맞물림 홈(211)보다도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계지부(213)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절결 홈(12)을 가로지르고, 또한 이 절결 홈(12)의 안쪽(차량 외측)을 향해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21)와 래치 하우징(11)과의 사이에는, 도3 내지 도5에 있어서 래치(21)를 상시 시계 회전 방향(개방 동작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래치 스프링(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22)은, 래치 하우징(11)의 절결 홈(12)보다도 하방, 또한 래치 축(21a)보다도 차량 내측이 되는 위치에,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래칫 축(22a)을 통해 상기 래칫 축(22a)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결합 동작하는 한편, 시계 방향으로 해제 동작하는 태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래칫(22)은, 결합부(221) 및 작용부(222)를 갖고 있다.
결합부(221)는, 래칫 축(22a)으로부터 차량 외측을 향해 직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래칫(22)이 도3 내지 도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결합 동작한 경우)에 그 돌출 단부면을 통해 상술한 래치(21)의 훅부(212) 혹은 계지부(213)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용부(222)는 래칫 축(22a)으로부터 차량 내측을 향해 직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이러한 래칫(22)에는, 연결 핀(23)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래칫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래칫 레버는, 래칫(22)과 마찬가지로 래칫 축(22a)을 통해 상기 래칫 축(22a)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래칫(22)과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래칫 레버와 래치 하우징(11)과의 사이에는, 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래칫 레버를 상시 반시계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래칫 레버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래칫(22)은 상시 반시계 회전 방향(결합 동작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오픈 레버(30)는, 래치 하우징(11)에 있어서 래칫(22)(래칫 레버)보다도 하방에 오픈 레버 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상기 오픈 레버 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픈 레버(30)와 래치 하우징(11)과의 사이에는, 오픈 레버(30)를 도2에 있어서 상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오픈 레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오픈 레버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보통 때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계부(31)가 차량 내측, 제2 연계부(32)가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태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연계부(31)는, 사이드 도어(2)의 인사이드에 설치한 조작 핸들인 인사이드 핸들(3)에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의 연결 기구를 통해 연계되어 있고, 제2 연계부(32)는 사이드 도어(2)의 아웃사이드에 설치한 조작 핸들인 아웃사이드 핸들(4)에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의 연결 기구를 통해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오픈 레버(30)는 인사이드 핸들(3), 혹은 아웃사이드 핸들(4)이 개방 조작된 경우에, 도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 즉 오픈 레버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어 개방 동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픈 레버(30)가 도어 개방 동작(시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상기 오픈 레버(30)의 일단부면이 래칫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래칫 레버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래칫 레버를 래칫 레버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에 의해 래칫(22)은, 상기 래칫 레버와 일체적으로 해제 동작(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 핸들[인사이드 핸들(3), 아웃사이드 핸들(4)]이 개방 조작된 후 래칫(22)이 해제 동작할 때까지는, 연결 기구의 구동 및 오픈 레버(30)의 요동에 의한 타임 래그(time lag)가 있어, 이에 의해 조작 핸들과 래칫(22)과의 사이에는 연 결 기구 및 오픈 레버(30) 등의 기계적 유격이 마련되어 있다. 즉, 조작 핸들이 개방 조작되어, 기계적 유격이 흡수된 후에 래칫(22)이 해제 동작한다.
한편, 이러한 래치 기구(20)와 오픈 레버(30)와의 사이에는, 로크 기구(도6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는 종전부터 알려져 있는 것이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유효화하는 언로크 상태와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무효화하는 로크 상태 사이에서 절환되는 것이다.
이러한 래치 장치(10)는, 상기 구성 외에, 해제 보조 유닛(해제 보조 수단)(50) 및 축전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해제 보조 유닛(50)은, 레버 부재(51)와, 액츄에이터(52)와, 검출 스위치(5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레버 부재(51)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하우징(11)의 절결 홈(12)의 하방, 즉 래치(21)보다 하방이고, 또한 래칫(22)보다 차량 외측이 되는 위치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버 부재(51)는 판 형상체이고, 주위면의 일부분이 대략 편평하며 상기 주위면의 다른 부분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축부(511) 및 접촉부(512)를 갖고 있다. 축부(511)는 레버 부재(51)의 요동 중심이 되는 부위이고, 상기 레버 부재(5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주위면이 대략 편평해지는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512)는, 레버 부재(51)의 주위면 중, 축부(511)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 부재(51)는, 래치 하우징(11)과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에 도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보통 때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512)가 하방이 되는 태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레버 부재(51)는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접촉부(512)가 래치(21)의 계지부(213)의 회전 궤적 상으로 진출하여 상기 계지부(213)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래치(21)를 래치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즉 폐쇄 동작하는 방향으로 과잉 요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레버 부재(51)는 접촉부(512) 이외의 부위는, 레버 부재(51)가 요동해도 래치(21)의 계지부(213)의 회전 궤적 상으로는 진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은, 래치 스프링의 가압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2)는, 후술하는 제어부(70)로부터 구동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레버 부재(51)에 동력을 부여하여 상기 레버 부재(51)를 축부(511)의 축심 주위로 요동, 구체적으로는 도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구동 수단이다. 이 액츄에이터(52)는, 구동 모터나 웜 기어 등의 감속 기구를 갖고 있고, 구동 모터의 동력을 감속 기구를 통해 레버 부재(51)에 부여하는 것이다.
검출 스위치(53)는 오픈 레버(30)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픈 레버(30)의 도어 개방 동작을 검출하여, 이것을 검출 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부(70)에 출력하는 검출 수단이다. 여기서, 검출 스위치(53)에 의한 검출의 타이밍은, 래칫(22)이 해제 동작하기 전에,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 부재(51)가 래치(21)에 접촉하여 상기 래치(21)를 과잉 요동시키는 시점이 래칫(22)을 해제 동작시키는 시점보다도 빨라지도록 제어부(7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축전 장치(60)는, 액츄에이터(52)에 대해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 축전 장치(60)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EDLC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라 칭해지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전기 배선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6을 적절하게 참조하면서 축전 장치(60)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있어서, 축전 장치(60)는 상기 도어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 모터(6)와 직렬이 되는 태양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전원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모터(6)는, 제어 회로(7)를 통해 배터리(10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7)는 로크 기구가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로 절환되는 것에 따라서 구동 모터(6)를 정전(正轉) 및 역전(逆轉)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6)에의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축전 장치(60)를 이와 같이 접속함으로써, 배터리(100)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류 중, 구동 모터(6)에서 사용되지 않은 잔여분은 축전 장치(60)로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축전 장치(60)는 이러한 잔여분의 구동 전류를 축전할 수 있다. 여기서, 도6 중의 부호 8은 정류자이고, 부호 9는 축전 장치(60)에 인가되는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이다.
이러한 축전 장치(60)에는, 액츄에이터(52)가 접속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2)는, 후술하는 제어부(70)로부터 구동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구동 스위치(521)가 온(ON)이 되어, 축전 장치(60)로부터 축전한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52)가 구동하는 결과, 상기 레버 부재(51)가 요동하게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52)는, 제어부(7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구동 스위치(521)가 오프(OFF)가 된 경우에는, 축전 장치(60)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 어, 구동을 정지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래치 장치를 구성하는 해제 보조 유닛의 제어계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제 보조 유닛(50)은 제어부(7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70)는 메모리(M)에 저장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에 따라서 해제 보조 유닛(5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입력 처리부(71), 타이머부(72) 및 구동 처리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어부(70)는 래치 장치(1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있어도 좋고, 이러한 컨트롤러로부터 독립된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70)는 컨트롤러로부터 독립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입력 처리부(71)는 검출 스위치(53)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하는 것이다. 타이머부(7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을 계측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레버 부재(51)가 래치(21)를 과잉 요동시키고, 또한 래칫(22)이 해제 동작을 행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길이로 되어 있다. 구동 처리부(73)는 액츄에이터(52)에 구동 지령을 출력하여 액츄에이터(52)의 구동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래치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차량 본체(1)에 대해 사이드 도어(2)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래치 기구(20)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21)가 개방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사이드 도어(2)를 폐쇄 동작시키면, 차량 본체(1)에 설치한 스트라이커(S)가 래치 하우징(11)의 절결 홈(12)에 상대적으로 진입하여, 머지않아 스트라이커(S)가 래치(21)의 계지부(213)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래치(21)가 래치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즉 폐쇄 동작한다. 그동안 래칫(22)은, 래칫 레버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부(221)의 돌출 단부면이 래치(21)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상기 래치(21)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래칫 축(22a)의 축심 주위로 요동한다.
상술한 상태로부터 더욱 사이드 도어(2)를 폐쇄 동작시키면, 절결 홈(12)에 대한 스트라이커(S)의 상대적 진입량이 점차 증대하기 때문에, 래치(21)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고,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지않아 래칫(22)의 결합부(221)가 래치(21)의 맞물림 홈(211)에 이른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래치(21)의 계지부(213)가 래칫(22)의 결합부(221)에 접촉하게 되므로, 래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래치(21)의 시계 방향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게다가, 래치(21)의 훅부(212)가 절결 홈(12)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훅부(212)에 의해 스트라이커(S)가 절결 홈(1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태, 즉 사이드 도어(2)의 차량 본체(1)에 대한 개방 동작이 저지되게 된다. 즉, 사이드 도어(2)는 절반 폐쇄 상태가 된다(하프 래치 상태).
상술한 하프 래치 상태로부터 사이드 도어(2)를 더욱 폐쇄 동작시키면, 절결 홈(12)에 상대적으로 진입하는 스트라이커(S)에 의해, 계지부(213)를 통해 래치(21)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폐쇄 동작)하여, 스트라이커(S)가 절결 홈(12)의 안쪽(차량 외측)에 이른다. 그동안 래칫(22)은, 결합부(221)의 상면에 래치(21)의 훅부(212)가 접촉함으로써 래칫 레버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래치(21)의 훅부(212)가 통과한 시점에서 래칫 레버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가압력)에 의해 즉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21)의 훅부(212)가 래칫(22)의 결합부(221)에 접촉하게 되므로, 래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래치(21)의 시계 방향의 회전, 즉 개방 동작이 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래치(21)의 훅부(212)가 절결 홈(12)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훅부(212)에 의해 스트라이커(S)가 절결 홈(12)의 안쪽(차량 외측)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태가 저지되게 된다. 즉, 사이드 도어(2)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풀 래치 상태).
이 풀 래치 상태에 있어서, 조작 핸들[인사이드 핸들(3), 아웃사이드 핸들(4)]이 개방 조작되는 경우에는, 래치 장치(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8은 해제 보조 유닛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9 내지 도14는 각각 래치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풀 래치 상태, 즉 사이드 도어(2)가 차량 본체(1)에 대해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이용자가 조작 핸들[인사이드 핸들(3), 아웃사이드 핸들(4)]을 개방 조작하면, 상기 조작 핸들에 연계되는 오픈 레버(30)는 도어 개방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해제 보조 유닛(50)의 제어부(70)는 입력 처리부(71)를 통해 검출 스위치(53)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1). 즉, 검출 스위치(53)가 오픈 레버(30)의 도어 개방 동작을 검출하 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검출 신호가 입력 처리된 경우에는, 제어부(70)는 구동 처리부(73)를 통해 구동 스위치(521)를 온으로 하는 동시에, 타이머부(72)를 통해 시간을 계측한다(단계 S102, 단계 S103).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52)가 통전 상태, 즉 축전 장치(60)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 구동 상태가 되고, 액츄에이터(52)로부터의 동력이 레버 부재(51)에 전달되어, 레버 부재(51)는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이 레버 부재(51)가 요동함으로써, 상기 레버 부재(51)의 접촉부(512)가 래치(21)의 계지부(213)의 회전 궤적 상으로 진출하고, 그 후 풀 래치 상태에 있는 래치(21)의 계지부(213)에 접촉하여 압박함으로써,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21)를 반시계 방향으로 과잉 요동, 즉 폐쇄 동작하는 방향으로 과잉 요동시킨다. 이와 같이 래치(21)를 과잉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치(21)의 훅부(212)와, 래칫(22)의 결합부(221)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그 후 오픈 레버(30) 및 래칫 레버를 통해 래칫(22)이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 즉 해제 동작한다.
제어부(70)는 타이머부(72)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04), 이러한 시간이 경과한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어도 강제적으로 구동 스위치(521)를 오프로 하여(단계 S105), 금회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구동 스위치(521)를 오프로 함으로써, 액츄에이터(52)는 통전 상태가 해제되어, 즉 축전 장치(60)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구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52)가 구동을 정지하면,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51)는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512)가 계지부(213)의 회전 궤적 상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렇게 하면, 래치(21)는 래치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도13 및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 즉 개방 동작하고, 개방 위치에 위치하면 스트라이커(S)가 맞물림 홈(2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래치 장치(10)는 사이드 도어(2)가 차량 본체(1)에 대해 개방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10)에 있어서는, 해제 보조 유닛(50)이,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계기로 하여 구동함으로써, 오픈 레버(30)에 의한 사이드 도어의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의 해제를 보조하므로,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축전 장치(60)가, 조작 핸들과 래치 기구(20)와의 사이에서,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유효화하는 언로크 상태와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무효화하는 로크 상태 사이에서 절환되는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일부를 축전하는 한편, 상기 해제 보조 유닛(50)에 축전한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해제 보조 유닛(50)을 구동시키므로, 로크 기구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와 같이 파워 릴리스 기구와 같은 고가의 것을 이용하지 않아, 과대한 장착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 및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유효 활용하여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장치(10)에 따르면, 레버 부재(51)가, 인사이드 핸들(3) 혹은 아웃사이드 핸들(4)이 개방 조작된 후 래칫(22)이 해제 동작할 때까지의 동안에, 스트라이커(S)와 맞물림 상태에 있는 래치(21)에 접촉하여 상기 래치(21)를 폐쇄 동작하는 방향으로 과잉 요동시켜, 상기 래치(21)와 래칫(22)과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므로, 이용자에 의한 개방 조작에 의해 래치(21)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 래칫(22)을 해제 동작시킬 뿐이다. 즉, 래치 스프링의 반력(가압력) 및 차량 본체(1)와 사이드 도어(2)와의 사이에 설치된 예를 들어 웨더 스트립(WS) 등의 밀봉 부재의 반력으로부터 해방된 래칫(22)을 해제 동작시킬 뿐이며, 이에 의해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장치(10)에 따르면,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을 래치 스프링의 가압력보다도 작게 하고 있으므로, 가령 레버 부재(51)가 고장 등에 의해, 접촉부(512)가 래치(21)의 계지부(213)의 회전 궤적 상으로 진출한 상태에서 요동 정지해도, 래치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 동작을 하는 래치(21)에 접촉되어 요동하게 되므로, 래치(21)의 개방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이에 의해, 가령 레버 부재(51)가 고장나도 현행의 래치 장치(10)와 동등한 성능은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 부재(51)는 요동하고,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액츄에이터(52)의 구동에 의해 레버 부재는, 시계 방향으로 일주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래치 장치는, 예를 들어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도어체의 절반 폐쇄 상태 혹은 완전 폐쇄 상태를 해제하는 데 유용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주요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의 구성을 차량의 후방측으로부터 도시한 배면도.
도3은 도2에 도시하는 래치 기구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4는 도2에 도시하는 래치 기구의 하프 래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5는 도2에 도시하는 래치 기구의 풀 래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전기 배선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래치 장치를 구성하는 해제 보조 유닛의 제어계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8은 해제 보조 유닛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
도9는 래치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0은 래치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1은 래치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2는 래치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3은 래치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4는 래치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본체
2 : 사이드 도어
3 : 인사이드 핸들
4 : 아웃사이드 핸들
10 : 래치 장치
20 : 래치 기구
21 : 래치
22 : 래칫
30 : 오픈 레버
50 : 해제 보조 유닛
51 : 레버 부재
52 : 액츄에이터
53 : 검출 스위치
60 : 축전 장치
70 : 제어부
S : 스트라이커

Claims (3)

  1. 차량 본체 및 도어체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체를 상기 차량 본체에 대해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 기구와,
    상기 도어체에 설치된 조작 핸들에 연계되고, 또한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 개방 동작하는 태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 개방 동작함으로써 상기 래치 기구에 의해 유지된 상기 도어체의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를 해제시키는 오픈 레버를 구비한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계기로 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오픈 레버에 의한 상기 도어체의 절반 폐쇄 상태 및 완전 폐쇄 상태의 해제를 보조하는 해제 보조 수단과,
    상기 조작 핸들과 상기 래치 기구와의 사이에서,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유효화하는 언로크 상태와 상기 조작 핸들의 개방 조작을 무효화하는 로크 상태의 사이에서 절환되는 로크 기구의 구동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일부를 축전하는 한편, 상기 해제 보조 수단에 축전한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해제 보조 수단을 구동시키는 축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차량 본체 및 도어체 중 어느 한쪽에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하는 태양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압 수단에 의해 상시 개방 동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한편, 상기 도어체의 폐쇄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폐쇄 동작하여 상기 차량 본체 및 도어체 중 어느 다른 쪽에 배치된 스트라이커와 맞물림 상태가 되는 래치와,
    결합 동작 및 해제 동작하는 태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결합 동작함으로써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상기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해제 동작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래칫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보조 수단은, 상기 조작 핸들이 개방 조작된 후 상기 래칫이 해제 동작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맞물림 상태에 있는 래치에 접촉하여 상기 래치를 폐쇄 동작하는 방향으로 과잉 요동시켜,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칫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보조 수단은,
    상기 오픈 레버의 도어 개방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도어 개방 동작의 검출에 의해 상기 레버 부재를 구동시켜 상기 래치에 접촉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KR1020070102911A 2006-10-17 2007-10-12 래치 장치 KR100884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2403A JP4734212B2 (ja) 2006-10-17 2006-10-17 ラッチ装置
JPJP-P-2006-00282403 200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81A true KR20080034781A (ko) 2008-04-22
KR100884869B1 KR100884869B1 (ko) 2009-02-23

Family

ID=3852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911A KR100884869B1 (ko) 2006-10-17 2007-10-12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35883B2 (ko)
JP (1) JP4734212B2 (ko)
KR (1) KR100884869B1 (ko)
CN (1) CN101165300B (ko)
DE (1) DE102007041159B4 (ko)
FR (1) FR2907150B1 (ko)
GB (1) GB24430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2853C2 (sv) * 2007-02-23 2010-04-20 Phoniro Ab Anordning och metod för upplåsning av lås med hjälp av strömövervakning
JP5279075B2 (ja) * 2008-11-12 2013-09-04 株式会社Skb 窓換気用のステー
DE202009006211U1 (de) * 2009-04-29 2009-09-03 Beloxx Newtec Gmbh Einrichtung zum Betätigen des Schließmechanismus eines Schlosses
JP5423207B2 (ja) * 2009-07-24 2014-02-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5978484B2 (ja) * 2011-08-31 2016-08-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DE102014105873A1 (de) * 2014-04-25 2015-10-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Kraftfahrzeugschloss
DE102015108739A1 (de) *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JP6617128B2 (ja) * 2017-10-10 2019-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ラッチ装置
DE102018120551A1 (de) * 2018-08-23 2020-02-27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JP7420612B2 (ja) * 2020-03-23 2024-01-23 Ykk Ap株式会社 建具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50620C2 (de) * 1981-12-21 1986-12-18 Kiekert GmbH & Co KG, 5628 Heiligenhaus Türverschluß für eine Kraftfahrzeugtür
US4858971A (en) * 1988-03-07 1989-08-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nic vehicle door lock/unlatch control
JP2527802Y2 (ja) 1990-10-25 1997-03-05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開扉装置
EP0628682A1 (en) * 1993-06-14 1994-1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JP2558811Y2 (ja) 1993-09-28 1998-01-1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ドアロックの解除装置
FR2746838B1 (fr) * 1996-04-02 2004-11-26 Kiekert Ag Fermeture de portieres pour vehicules automobiles avec serrure d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support de serrure asservi
EP0808977B1 (de) 1996-05-21 2000-08-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elektrisch betätigten Kraftfahrzeug-Türschlosses od. dgl.
JP3465156B2 (ja) * 1997-03-28 2003-11-1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ハーフラッチ検出装置
US6386599B1 (en) * 1999-08-12 2002-05-14 John Phillip Chevalier Latch arrangement for automotive door
DE19904663C2 (de) * 1999-02-04 2001-02-15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mit elektrischer Schließhilfe und Öffnungshilfe
US6463773B1 (en) * 1999-03-05 2002-10-15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Electronic latch apparatus and method
DE19919765A1 (de) * 1999-04-29 2000-11-09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o.dgl. mit elektrischer Öffnungshilfe und Schließhilfe
DE19955882C2 (de) * 1999-11-20 2003-10-23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3980249B2 (ja) * 2000-05-25 2007-09-26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ラッチ装置
JP4583634B2 (ja) * 2001-02-26 2010-1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開閉装置
JP3964644B2 (ja) * 2001-10-10 2007-08-22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3588453B2 (ja) * 2001-12-25 2004-11-1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2003278426A (ja) 2002-03-20 2003-10-02 Aisin Seiki Co Ltd ドアロック解除装置
JP4267933B2 (ja) * 2003-02-18 2009-05-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019037B2 (ja) * 2003-11-07 2007-12-0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扉体のクローザー装置
JP4453351B2 (ja) * 2003-12-04 2010-04-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該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車載電動作動装置
JP2005166575A (ja) 2003-12-05 2005-06-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210228B2 (ja) * 2004-02-27 2009-01-1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後側ドア用車両ドアラッチ装置
GB2412692B (en) * 2004-03-30 2006-08-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Door lock system
US7243973B2 (en) * 2004-06-29 2007-07-17 Honda Motor Co., Ltd. Overstroke latch assembly
DE102004052599A1 (de) 2004-10-29 2006-05-0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loss an einer Tür oder Klappe, mit einer Öffnungshilfe, insbesondere für Fahrzeugtüren
JP4535856B2 (ja) * 2004-11-26 2010-09-0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DE102006024203B4 (de) * 2005-05-24 2013-08-29 Mitsui Kinzoku Act Corp. Sperreneinrichtung und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Öffnens/Schließens einer 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43041A (en) 2008-04-23
DE102007041159A1 (de) 2008-04-30
JP2008101337A (ja) 2008-05-01
KR100884869B1 (ko) 2009-02-23
US7735883B2 (en) 2010-06-15
CN101165300B (zh) 2011-04-06
FR2907150B1 (fr) 2013-07-26
GB2443041B (en) 2008-09-10
JP4734212B2 (ja) 2011-07-27
GB0714897D0 (en) 2007-09-12
US20080088137A1 (en) 2008-04-17
FR2907150A1 (fr) 2008-04-18
CN101165300A (zh) 2008-04-23
DE102007041159B4 (de)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869B1 (ko) 래치 장치
KR100907587B1 (ko) 래치 장치
JP2855557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4267934B2 (ja) 車両用のドアロック機構
CN110219525A (zh) 用于车门的闭合闩锁组件及用于致动该闩锁组件的方法
JPH0747586Y2 (ja) 自動ドア閉止装置
US6471259B1 (en) Electrically operated lock for doors of motor vehicles or the like
CN105735792A (zh) 用以打开汽车的辅助关闭电子锁
US20060267350A1 (en) Latch device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of door
CN110159104A (zh) 用于车门的闭合闩锁组件及致动该闭合闩锁组件的方法
KR100719144B1 (ko) 구동장치 및 도어클로저
US6409233B1 (en) Closure apparatus for vehicle door
JP3837047B2 (ja) 車両テールゲート用ラッチ装置とその組付方法
JP2864446B2 (ja) スライド式ドア用自動閉扉装置
JP4530912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4632436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2896301B2 (ja) スライド式ドア用オートクローズドアロック装置の電源コネクタ
JP4566065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3556050B2 (ja) ドアクロージャ
JP2006144367A (ja)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JP4459110B2 (ja) ドア開閉制御装置
JP2514489Y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6328704A (ja) ドアラッチ装置
JP2003232168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H0673287U (ja) 自動車用ドアの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