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4819A -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 Google Patents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819A
KR20060124819A KR1020050044349A KR20050044349A KR20060124819A KR 20060124819 A KR20060124819 A KR 20060124819A KR 1020050044349 A KR1020050044349 A KR 1020050044349A KR 20050044349 A KR20050044349 A KR 20050044349A KR 20060124819 A KR20060124819 A KR 20060124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veloper
transfer member
remain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9983B1 (ko
Inventor
경명호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983B1/ko
Priority to US11/390,171 priority patent/US7447455B2/en
Priority to CNB2006100878702A priority patent/CN100458581C/zh
Publication of KR2006012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9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이 개시된다.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감광체을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감광체의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와 화상전사부재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사전압 인가부재를 구비하는 전사부; 각각의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부;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선결된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여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하도록 함과 함께,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된 선결된 현상제화상을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역전사하도록 각각의 감광체, 대전부, 현상부, 전사부 및 제1클리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프린팅 모드 수행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공급해 줌으로써, 나머지 감광체와 클리닝부 사이의 윤활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감광체 또는 클리닝부의 손상 및 그에 따른 화상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감광체, 클리닝, 블레이드, 손상, 방지,

Description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no-pri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모노프린팅 방법이 적용되는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유닛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화상전사벨트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로 역전사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 설명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제1실시예의 모노프린팅 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제2실시예의 모 노프린팅 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제3실시예의 모노프린팅 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제4실시예의 모노프린팅 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화상형성 장치 101: 화상형성유닛
101k, 101m, 101c, 101y: 감광체
106k, 106m, 106c, 106y: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
111: 급지유닛 113: 화상전사벨트
115: 정착유닛 116: 배지유닛
120: 전사유닛 118k, 118m, 118c, 118y: 전사롤러
130, 130': 클리닝유닛 136: 벨트클리닝 블레이드
150, 150': 제어부 160, 160': 블레이드 작동부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랙(Black; K) 현상제만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mono-printing mode) 기능을 갖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벨트 또는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감광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고 이 정전잠상을 소정 칼라를 가진 현상제로 현상한 뒤 기록지와 같은 화상수용매체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텐덤형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1)를 예시한다.
급지 카세트(11)는 장치본체(M)의 하부에 장착된다.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용지(S)는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 롤러(14)에 이송된다.
레지스트 롤러(14)의 용지이송 방향 하류측에는 용지(S)를 이송하는 용지이송벨트(2)가 구동롤러(18), 제1 및 제2텐션롤러(20, 21), 피동롤러(19) 등의 복수의 회전롤러에 의해 용지이송 방향(도 1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용지이송 방향 최상류측에는 용지이송 벨트(2)를 피동롤러(19)에 압착하는 압착롤러(22)가 배치되어 있다.
압착롤러(22)에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14)에 의해 용지이송 벨트(2)로 이송되는 용지(S)가 용지이송 벨트(2)에 흡착되어 이송된다.
용지이송 벨트(2)에 대향하여 도 1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는 소정 칼라, 예컨대 옐로우(Yell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 및 블랙(K)의 4개의 감광체(1y, 1m, 1c, 1k)가 수직으로 배설되어 있다.
각 감광체(1y, 1m, 1c, 1k)의 주위에는 대전기(3y, 3m, 3c, 3k), 현상기(5y, 5m, 5c, 5k), 및 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 6k)가 배치되고 있고, 용지이송 벨트(2)의 내측에는 전사롤러(8y, 8m, 8c, 8k)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기(5y, 5m, 5c, 5k)의 현상제 용기의 내부에는 해당하는 각 칼라의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고, 각 칼라의 현상제화상이 일련의 화상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감광체(1y, 1m, 1c, 1k)에 형성되어 용지이송 벨트(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에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현상제화상이 형성된다.
현상제화상이 형성된 용지(S)는 정착기(15)의 정착롤러(15a) 및 가압롤러(15b)로 이송되고, 정착롤러(15a) 및 가압롤러(15b)에 의해 현상제화상이 정착된 후, 배출롤러(16)에 의해 장치본체(M)의 상부에 배치된 배출 트레이(17)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통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현상제를 모두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풀 칼라프린팅 모드(full color printing mode)와, 현상제 유지비용과 인쇄속도를 감안하여 블랙(K)의 현상제만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모노프린팅 모드로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1y, 1m, 1c)는 상응하는 현상기(5y, 5m, 5c)에 의해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상응하는 전사롤러(8y, 8m, 8c)에 의해 용지이송 벨트(2)와 일정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용지이송 벨트(2)와 기계적 마찰을 발생하지 않도록 공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감광체(1y, 1m, 1c)가 공회전하므로,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는 잔류하는 현상제화상이 없는 감광체(1y, 1m, 1c)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는 감광체(1y, 1m, 1c)와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 사이의 윤활도 저하로 인해 그 가장자리면이 쉽게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감광체(1y, 1m, 1c)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프린팅 모드 수행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 및 그것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감광체의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와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사전압인가부재를 구비하는 전사부; 각각의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부;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선결된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여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하도록 함과 함께,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된 선결된 현상제화상을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역전사하도록 각각의 감광체, 대전부, 현상부, 및 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화상전사부재의 선결된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된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한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아무런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는 화상전사부재의 선결된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대전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도 현상제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대전된 전위를 제거할 수 있는 제전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도록 제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어부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의 비 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대전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현상제화상이 형성된 후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한다.
제1클리닝부는 각각의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고정된 복수의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전사부재에 잔류하는 현상제와 오염을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부를 더 포함한다.
제2클리닝부는 선단부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도록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거 나, 선단부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피봇 고정된 벨트클리닝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의 선단부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피봇 고정될 경우, 제2클리닝부는 벨트클리닝 블레이드에 연결되고,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이 통과할 때 벨트클리닝 블레이드를 화상전사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블레이드 작동부를 더 포함한다.
블레이드 작동부는 벨트클리닝 블레이드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는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에 연결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블레이드 작동부는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와 접촉하는 캠, 및 벨트클리닝 브레이드가 캠과 접촉하도록 벨트클리닝 브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감광체의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를 구비하는 전사부; 각각의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부;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부;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한 감광체와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함과 함께,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화상전사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에 전사되도록 하고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화상수용매체에 전사되지 않도록 각각의 감광체, 대전부, 및 전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대전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도 현상제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대전된 전위를 제거할 수 있는 제전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도록 제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어부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대전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 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현상제화상이 형성된 후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감광체의 현상제화상이 전사되는 화상전사부재를 구비하는 전사부; 각각의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되고,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부; 및 제2클리닝부에 연결되고, 모노프린팅 모드시 제2클리닝부가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을 통과할 때 제2클리닝부를 화상전사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클리닝부는 일단부가 피봇 고정된 벨트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는 벨트클리닝 블레이드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솔레 노이드는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에 연결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작동부는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와 접촉하는 캠, 및 벨트클리닝 브레이드가 면과 접촉하도록 벨트클리닝 브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 프린팅방법은,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방법에 있어서, 모노프린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모노프린팅 모드일 경우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한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한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는 단계;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역전사하는 단계; 및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역전사된 현상제화상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화상수용매체가 이송되는 화상전사부재의 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는 단계는 화상전사부재의 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에 의해 이 송되는 화상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 및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역전사하는 단계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된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한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아무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및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다른 극성의 소정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 프린팅방법은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로 전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로 전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은 화상전사부재에 잔류하는 현상제화상을 제거하도록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은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이 통과할 때는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지 않는 단계, 및 인쇄종료후 화상전사부재에 잔류하는 현상제화상을 제거하도록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 프린팅방법은,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방법에 있어서, 모노프린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모노프린팅 모드일 경우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한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한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는 단계;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및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된 후 한 감광체에 잔류하는 현상제화상과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로 전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각각의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감광체와 접촉하는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은 화상전사부재의 오염을 제거하도록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를 도시한다.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는 급지유닛(111), 화상형성유닛(101), 전사유닛(120), 정착유닛(115), 배지유닛(116), 클리닝유닛(13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급지유닛(111)은 용지와 같은 화상수용매체(S)를 급지하는 것으로, 급지카세트(111a), 픽업롤러(112), 및 레지스트 롤러(114)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1a)는 장치본체(M1)의 하부에 장착된다. 급지 카세트(111a)에 적재된 화상수용매체(S)는 픽업롤러(112)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 롤러(114)에 이송된다.
화상형성유닛(101)은 급지유닛(111)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수용매체(S)에 소정의 칼라, 즉 각각 블랙(K), 마젠타(M), 시안(C), 옐로(Y)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유닛(101)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를 구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는 후술하는 전사유닛(120)의 화상전사벨트(113)에 대향하여 도 2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수직으로 배설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는, 각각 알루미늄제 실린더의 외주면에 유기 광도전층(organic photoconductive layer)이 코팅되어 있고, 양단부가 플랜지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으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는 후술하는 전사유닛(120)의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일정 압력으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트레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주위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 제1,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스캐닝부(104k, 104m, 104c, 104y),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기(105k, 105m, 105c, 105y), 제1, 제2, 제3, 및 제4제전기(102k, 102m, 102c, 102y) 및 제1, 제2, 제3, 및 제4클리닝부(107k, 107m, 107c, 107y)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는 각각 도전성롤러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과 접촉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대전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소정의 대전 바이어스 전압 을 인가되어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소정의 대전전위, 예를들면 현상제가 (-)극성일 경우 약 -600V의 대전전위를 형성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스캐닝부(104k, 104m, 104c, 104y)는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에 의해 대전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컴퓨터, 스캐너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대전전위 보다 낮은 소정의 전위, 예를들면 약 -50V의 저전위부를 갖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스캐닝부(104k, 104m, 104c, 104y)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 현상기(105k, 105m, 105c, 105y)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상응하는 칼라의 현상제를 부착시켜 가시적인 현상제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수용부(109k, 109m, 109c, 109y),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및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를 구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수용부(109k, 109m, 109c, 109y)는 각각, 소정 극성, 예를들면 (-)극성의 블랙(K),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1, 제2, 제3, 및 제 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감광체를 구동하는 기어트레인과 연결된 동력전달기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 보다 100-400V 낮은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25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는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와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의 일측면 하부와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블랙(K),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현상제는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수용부(109k, 109m, 109c, 109y)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교반수단에 의해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와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사이의 하부 공간으로 이송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현상제공급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보다 100-400V 높은 소정의 현상제공급 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500V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와 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사이의 하부 공간으로 이송된 현상제는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에 의해 전하를 주입받아 전하를 띄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전위가 낮은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에 부착되어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와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사이의 닙으로 이동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제전부(102k, 102m, 102c, 102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대전된 대전전위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전램프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크리닝부(107k, 107m, 107c, 107y)는 감광체(101k, 101m, 101c, 101y)가 1 주기 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는 것으로,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 106m, 106c, 106y)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k, 125m, 125c, 125y)를 구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 106m, 106c, 106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k, 125m, 125c, 125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 106m, 106c, 106y)에 의해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로부터 클리닝되어 제거된 폐현상 제를 저장하고,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와 제1, 제2, 제3, 및 제4 제전기(102k, 102m, 102c, 102y)를 도시하지 않는 격벽에 의해 구획하여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 제1,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스캐닝부(104k, 104m, 104c, 104y), 제1, 제2, 제3, 및 제4 현상기(105k, 105m, 105c, 105y), 제1, 제2, 제3, 및 제4제전기(102k, 102m, 102c, 102y), 및 제1, 제2, 제3, 및 제4 크리닝부(107k, 107m, 107c, 107y)는 일체로 모듈화된 프로세스 커트리지로 장치본체(M1) 착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전사유닛(120)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하는 것으로, 화상전사벨트(113), 및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를 구비한다.
화상전사벨트(113)는 화상수용매체(S)를 이송하는 것으로, 메체이송 방향 하류측(도 2의 상부)에서부터 구동롤러(123), 제1 및 제2텐션롤러(121a, 121b), 피동롤러(119) 등의 복수의 회전롤러에 의해 매체이송 방향(도 2의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화상전사벨트(113)의 표면에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유기 광도전층(organic photoconductive layer)이 코팅되어 있다.
화상전사벨트(113)의 매체이송 방향 최상류측(도2의 하부)에는 화상전사벨트 (113)를 피동롤러(119)에 압착하는 압착롤러(122)가 배치되어 있다.
압착롤러(122)에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114)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로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가 화상전사벨트(113)에 흡착되어 이송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는 화상전사벨트(113)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사전압 인가부재로서, 각각, 화상전사벨트(113)의 내측에서 화상전사벨트(113)를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에 대하여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정착유닛(115)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2)을 정착하는 것으로, 가열롤러(115a)와 가압롤러(115b)를 구비한다. 가열롤러(115a)는 고온의 열에 의해 현상제화상(132)을 화상수용매체(S)에 정착하도록 내부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있다. 가압롤러(115b)는 화상수용매체(S)를 가압하도록 탄성가압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롤러(115a)에 대해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배지유닛(116)은 현상제화상(132)이 정착된 화상수용매체(S)를 배출 트레이(117)로 배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지롤러(116a)와 백업롤러(116b)를 구비한다.
클리닝유닛(130)은 화상전사벨트(113) 하부에 배치되고,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와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38)를 구비한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는 제2텐션롤러(121b)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고, 화상전사벨트(113)에 대하여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는 화상전사벨트(113)가 1 주기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폐현상제를 클리닝하여 제거하고,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38)는 화상전사벨트(113)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수용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장치본체(M1)의 상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50)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블랙(K)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컴퓨터, 스캐너 등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상응하는 현상제화상(132)와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바와 같이 화상전사벨트(113)의 가로방향(제1감광체(101k)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선과 같은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 윤활을 위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유닛(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132, 133)이, 각각 화상수용매체(S)가 이송되는 화상전사벨트(113)의 화상형성구간(IA)과 화상수용매체(S)와 화상수용매체(S) 사이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되도록 전사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예를들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132, 133)이 화상전사벨트(113)로 전사될 경우, 제1전사롤러(118k)에는 현상제의 극성, 예를들면 (-)극성과 반대극성의 +1 내지 +1.2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전사 롤러(118k)에 인가된 (+)극성의 전압은 화상전사벨트(113)를 통하여 화상수용매체(S)에 전달되어 (-)극성의 현상제화상를 끌어 당기는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132, 133)은 전기장에 의하여 화상수용매체(S) 및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현상제화상을 공급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 사이의 윤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을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역전사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을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m, 101c, 101y)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노프린팅 모드 수행시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3)의 제1, 제2 및 제3부분(133a, 133b, 133c)이 각각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K)로 역전사될 경우,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m, 118c, 118y)에는 현상제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1 내지 -1.2V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전압인가가 차단된다. 도 6b 내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내지 -1.2V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m, 118c, 118y)에 인가된 (-)극성의 전압은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달되어 (-)극성의 현상제화상를 밀어내는 전기장을 형성한다. 그 결과, 화상 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극성의 현상제화상의 제1, 제2 및 제3부분(133a, 133b, 133c)은 전기장에 의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이동된다. 또한,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01m, 101c, 101y)에 전압인가가 차단될 경우,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3)의 제1, 제2 및 제3부분(133a, 133b, 133c)은 화상전사벨트(113)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 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동안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m, 118c, 118y)에 의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쪽으로 일정압력으로 압착되는 힘을 받게되고, 그 결과,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 쪽으로 부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가 구동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받는 기어트레인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로 회수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잔류현상제가 없는 감광체와 직접 접촉함에 따라 그 가장자리면이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노프린팅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또는 제어판넬을 통해 프린트명령이 입력되면(S1), 제어부 (150)는 블랙(K)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
단계 S2에서 판단결과, 모노프린팅 모드인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유닛(101)의 제1대전기(103k), 제1레이저 스캐닝부(104k), 및 제1현상기(105k)를 제어하여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첫 페이지의 데이터에 상응하는 블랙(K) 현상제화상(132)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3).
즉, 제1현상제 수용부(109k)에 저장된 소정 극성, 예를들면 (-)극성의 블랙(K) 현상제는 제1현상제 공급롤러(108k)에 의해 제1현상제 공급롤러(108k)와 현상롤러(110k) 사이의 닙으로 이동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공급 바이어스 전원부로부터 예를들면 약 -500V의 공급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제1현상제 공급롤러(108k)와 현상 바이어스 전원부로부터 예를들면 약 -250V의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제1현상롤러(110k)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제1현상롤러(110k)쪽으로 이동된다. 제1현상롤러(110k)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현상제규제 블레이드에 의해 제1현상롤러(110k)에 소정두께로 형성된 형성된 현상제층은 제1감광체(101k)와 접촉하는 닙을 형성하는 현상영역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1대전기(103k)를 통하여 일정한 대전전압, 예를들면 약-600V의 고전위로 대전된 제1감광체(101k)는 컴퓨터 또는 스캐너 등을 통해 입력된 첫 페이지의 데이터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신호에 따라 제1레이저 스캐닝부(104k)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된다. 이러한 노광에 의해 제1감광체(101k)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약 -50V로 감쇠된 저전위부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약 -50V의 저전위부와 약 -600V의 고전위부로 이루어진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후, 제1현상롤러(110k)에 형성된 현상제층이 제1감광체(101k)과 마주보는 현상영역으로 이송되어 서로 접촉할 때, 제1감광체(101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저전위부와 제1현상롤러(110k) 사이에는 -200V의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정전잠상의 저전위부는 제1현상롤러(110k)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극성의 전위가 형성된다. 이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 예를들면 (-)극성의 현상제는 제1감광체(101k)의 정전잠상의 저전위부로 이전되며, 이에 따라, 제1감광체(101k)의 정전잠상은 첫 페이지의 데이터의 블랙(K) 현상제화상(132)으로 현상된다.
한편, 급지 카세트(111a)에 장착된 화상수용매체(S)는 픽업롤러(112)에 의해 픽업된 후 레지스트 롤러(114)에 의해 소정 타이밍으로 흡착롤러(122)로 이송되고, 흡착롤러(122)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제1감광체(101k) 사이의 닙으로 이송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감광체(101)가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트레인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화상수용매체(S)가 이송되는 화상전사벨트(113)의 화상형성구간(IA)에 대응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첫 페이지의 데이터의 블랙(K) 현상제화상(132)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으로부터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1 내지 1.2KV의 전압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다(S4). 이때, 제어부(150)는 화상수용매체(S)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감지하도록 레지스터 롤러(114)와 압착롤러(122) 사이 등과 같은 적당 한 위치에 설치된 용지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에 의해 블랙(K) 현상제화상(132)을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하는 시작타이밍을 제어한다.
현상제화상(132)이 제1감광체(101k)에서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 후 제1감광체(101k)에 잔류하는 폐현상제 또는 오염물은 제1감광체(101k)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제1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1감광체 폐현상제저장부(125k)로 회수된다(S5).
한편, 블랙(K) 현상제화상(132)이 전사된 화상수용매체(S)는 화상전사벨트(113)에 의해 화상을 영구 고정하는 정착유닛(115)으로 이송되고, 정착유닛(115)의 정착롤러(115a)와 가압롤러(115b)에 의해 현상제화상(132)이 정착된 후, 배지유닛(116)의 배지롤러(116a)와 백업롤러(116b)에 의해 장치본체(M1)의 상부에 마련된 배출 트레이(117) 위로 배출된다(S6).
이어서, 제어부(150)는 단계 S3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화상형성유닛(101)의 제1대전기(103k), 제1레이저 스캐닝부(104k), 및 제1현상부(105k)를 제어하여 첫 페이지의 화상수용매체(S)와 다음 페이지의 화상수용매체(S) 사이의 화상전사벨트(113)상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대응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제1감광체(101K)의 전체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수평선과 같은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 윤활을 위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 도 6a 참조)를 형성하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7).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블랙(K) 현상제화상(133)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다(S8).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VIA)에 전사된 블랙(K)의 현상제화상(133)은, 화상전사벨트(113)가 구동롤러(123), 피동롤러(119), 및 제1 및 제2텐션롤러(121a, 121b)에 의해 도 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감광체(101m)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으로 이동된다.
현상제화상(133)이 제2감광체(101m)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에 도착하면, 제어부(150 )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3) 중 제2감광체(101m)로 역전사할 제1부분(133a)이 제2감광체(101m)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동안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 통해 제2전사롤러(118m)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현상제의 극성과 동일극성의 소정전압, 예를들면 -1내지 -1.2KV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그결과,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3)의 제1부분(133a)은 -1내지 -1.2KV의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제2감광체(101m)로 이동하거나, 제2전사롤러(118m)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제2감광체(101m)로 이동하게 된다(S9).
제2감광체(101m)로 이동한 현상제화상(133)의 제1부분(133a)은 제2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거되고, 제2감광체 폐현상수용부(125m)에 저장된다(S10). 따라서, 제2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와 같이 잔류현상제가 없는 감광체와 직접 접촉함에 따라 그가장자리면이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감광체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때, 제어부(150)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3) 중 제3 및 제4감광체(101c, 101y)로 역전사할 제2 및 제3부분(133b, 133c)이 제2감광체(101m)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 통해 제2전사롤러(118m)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으로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극성의 소정전압, 예를들면 +1내지 +1.2KV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 결과, 제3 및 제4감광체(101c, 101y)로 역전사할 제2 및 제3부분(133b, 133c)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내지 +1.2KV의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제2감광체(101m)로 이동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113)에 그대로 유지된다.
화상전사벨트(113)가 도 2의 화살표(A) 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및 제4감광체(101c, 101y)로 역전사할 현상제화상(133)의 제2 및 제3부분(133b, 133c)이 제3감광체(103c)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에 도착하면, 제어부(150)는 단계 S7와 마찬가지로, 현상제화상(133)이 제2감광체(101m)로 역전사된 제1부분(133a)과 제2부분(133a, 133b)이 제3감광체(101c)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동안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 통해 제3전사롤러(118c)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으로 -1내지 -1.2KV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화상(133)의 제1부분(133a)의 잔존 현상제와 제2부분(133b)은 제3감광체(101c)로 이동하게 된다(S11).
제3감광체(101c)로 이동한 현상제화상(133)의 제1부분(133a)의 잔존 현상제 와 제2부분(133b)는 제3감광체(101c)가 회전함에 따라 제3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c)에 의해 클리닝되고, 제3감광체 폐현상수용부(125c)에 저장된다(S12). 따라서, 제3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c)는 그가장자리면이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제3감광체(101c)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때, 제어부(150)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감광체(101y)로 역전사할 현상제화상(133)의 제3부분(133c)이 제3감광체(103c)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 통해 제3전사롤러(118c)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으로 +1내지 +1.2KV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 결과, 제4감광체(101y)로 역전사할 제3부분(133c)은 제3감광체(101c)로 이동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113)에 그대로 유지된다.
그후,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감광체(101y)로 역전사할 현상제화상(133)의 제3부분(133c)이 제4감광체(101y)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에 도착하면, 제어부(150)는 단계 S9 및 S11와 마찬가지로, 현상제화상(133)이 제2 및 제3감광체(101m, 101c)로 역전사된 제1 및 제2부분(133a, 133b)과 제3부분(133b)이 제4감광체(101y)와 화상전사벨트(113)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동안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 통해 제4전사롤러(101y)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으로 -1내지 -1.2KV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현상제화상(133)의 제1 및 제2부분(133a, 133b)의 잔존 현상제와 제3부분(133c)은 제4감광체(101y)로 이동하게 된다(S13).
제4감광체(101y)로 이동한 현상제화상(133)의 제1 및 제2부분(133a, 133b)의 잔존 현상제와 제3부분(133c)는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y)에 의해 클리닝되고, 제4감광체 폐현상수용부(125y)에 저장된다(S14). 따라서,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y)는 그가장자리면이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제4감광체(101y)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3)의 제1, 제2, 및 제3부분(133a, 133b, 133c)이 제1, 제2 및 제3감광체(101m, 101c, 101y)로 역전사된 후, 화상전사벨트(113)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화상전사벨트(113)가 화살표(A) 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에 의해 클리닝되어 벨트 폐현상제저장부(138)로 회수된다(S15).
그후, 제어부(150)는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6).
단계 S16에서 판단결과,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위의 단계 S3 내지 S15을 반복하고,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없으면, 프린팅 동작을 종료한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도는 별도로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를 제외한 급지유닛(111), 화상형성유닛 (101), 전사유닛(120), 정착유닛(115), 배지유닛(116) 및 클리닝유닛(130)은 구성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장치본체(M1)의 상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블랙(K)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컴퓨터, 스캐너 등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상응하는 현상제화상(132)와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바와 같이 화상전사벨트(113)의 가로방향(제1감광체(101k)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선과 같은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 윤활을 위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유닛(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132, 133)이, 각각 화상수용매체(S)가 이송되는 화상전사벨트(113)의 화상형성구간(IA)과 화상수용매체(S)와 화상수용매체(S) 사이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동작은 제1실시예의 제1실시예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5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어부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현상제화상을 공급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 사이의 윤활도 를 향상시키기 위해,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을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역전사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m, 101c, 101y)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의 동작은 제1실시예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5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어부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 사이의 윤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제3, 제4레이저 스캐닝부(104m, 104c, 104y)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 )와 제2, 제3, 및 제4현상기( 105m, 105c, 105y)만을 사용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는 대전 바이어스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에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대응하는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 바이어스 전압 인가를 차단하고, 제2, 제3, 및 제4제전기(102m, 102c, 102y)를 구동하여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대응하는 화상영역의 일부의 대전전위를 제거한다. 따라서, 제전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는 약 -600V의 대전전위를 갖는 주위의 화상영역 보다 낮 은 거의 0 V에 가까운 대전전위를 가지게 된다. 그 결과, 현상 바이어스 전원부로부터 약 -250V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m, 110c, 110y)에 형성된 현상제층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하여 닙을 형성할 때, 제전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와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m, 110c, 110y) 사이에는 약 -250V의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전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는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m, 110c, 110y)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극성의 전위를 갖게 된다. 이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 (-)극성의 현상제(13)는 제전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로 이동되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를 오염시킨다.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로 이동된 현상제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로 회수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잔류현상제가 없는 감광체와 직접 접촉함에 따라 그 가장자리면이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다.
모노프린팅 모드시 제2, 제3, 제4레이저 스캐닝부(104m, 104c, 104y)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 제어부는 제2, 제3, 및 제4대전 바이어스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 제 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에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대응하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화상전사벨트(113)와의 닙을 통과할 때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m, 118c, 118y)에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 예를들면 +2.2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는 화상전사벨트(113)를 통해 전달된 +2.2V의 전압에 의해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m, 110c, 110y)의 전위 보다 낮은 전위로 낮춰지게 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m, 110c, 110y)에 형성된 현상제층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닙을 형성하는 현상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와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m, 110c, 110y) 사이에는 일정한 전위차가 형성된다. 이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 (-)극성의 현상제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로 이동되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를 오염시킨다.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로 이동된 현상제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가 회전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로 회수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잔류현상제가 없는 감광체와 직접 접촉함에 따라 그 가장자리면이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표면 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또는 제어판넬을 통해 인쇄명령이 입력되면(S1), 제어부는 블랙(K)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
단계 S2에서 판단한 결과, 모노프린팅 모드인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화상형성유닛(101)의 제1대전기(103k), 제1레이저 스캐닝부(104k), 및 제1현상기(105k)를 제어하여 제1감광체(101k)에 첫 페이지의 데이터에 상응하는 블랙(K)의 현상제화상(132)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2, 제3, 제4레이저 스캐닝부(104m, 104c, 104y)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와 제2, 제3, 및 제4현상기(105m, 105c, 105y)만을 사용하여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대응하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S3').
한편, 급지 카세트(111a)에 장착된 화상수용매체(S)는 픽업롤러(112)에 의해 픽업된 후 레지스트 롤러(114)에 의해 소정 타이밍으로 흡착롤러(122)로 이송되고, 흡착롤러(122)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제1감광체(101k) 사이의 닙으로 이송된다.
제1감광체(101k)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화상수용매체(S)가 이송되는 화상전사벨트(113)의 화상형성구간(IA)에 대응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 영역에 형성된 첫 페이지의 블랙(K)의 현상제화상(132)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로부터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너스 전압, 예를들면 +1 내지 1.2KV의 전압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다(S4).
또한, 이때, 제어부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부재(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과 접촉할 때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 제3 및 제3전사롤러(118m, 118c, 118y)에 현상제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1 내지 -1.2KV의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으로 전사되지 않는다.
현상제화상(132)이 제1감광체(101k)에서부터 화상전사벨트(113)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 후 제1감광체(101k)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제1감광체(101k)가 회전함에 따라 제1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1감광체 폐현상제저장부(125k)로 회수된다. 또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저장부(125m, 125c, 125y)로 회수된다(S5').
그후, 제어부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 장치(100)의 모노프린팅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계 S6 내지 단계 S16까지의 동작을 수행하고, 프린팅동작을 종료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제3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도는 별도로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를 제외한 급지유닛(111), 화상형성유닛(101), 전사유닛(120), 정착유닛(115), 배지유닛(116) 및 클리닝유닛(130)은 구성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장치본체(M1)의 상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블랙(K)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컴퓨터, 스캐너 등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상응하는 현상제화상(132)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유닛(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132)이, 각각 화상전사벨트(113)의 화상형성구간(IA)상으로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로 전사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 사이의 윤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제3, 제4레이저 스캐닝부(104m, 104c, 104y)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 )와 제2, 제3, 및 제4현상기( 105m, 105c, 105y)만을 사용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동작은 제2실시예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5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또는 제어판넬을 통해 인쇄명령이 입력되면(S1), 제어부는 블랙(K)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
단계 S2에서 판단한 결과, 모노프린팅 모드인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계 S3' 내지 단계 S6까지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6을 수행한 후, 화상전사벨트(113)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트레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23)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텐션롤러(121) 일측하부에서 화상전사벨트(113)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는 화상전사벨트(113)의 오염을 클리닝하고, 클레닝된 오염물은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38)로 회수된다(S15).
그후, 제어부는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6).
단계 S16에서 판단결과,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으면, 제어부는 위의 단계 S3' 내지 S16을 반복하고,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없으면, 프린팅 동작을 종료한다.
(실시예4)
도 3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를 도시한다.
이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는 급지유닛(111), 화상형성유닛(101), 전사유닛(120), 정착유닛(115), 배지유닛(116), 클리닝유닛(13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클리닝유닛(130')과 제어부(150')를 제외한 급지유닛(111), 화상형성유닛(101), 전사유닛(120), 정착유닛(115), 및 배지유닛(116)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리닝유닛(130')은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 블레이드 작동부(160), 및 벨트 폐현상제수용부(138)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는 화상전사벨트(113)가 1주기 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폐현상제와 오염을 제거하는 것으로, 선단부가 화상전사벨트(113)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벨트 폐현상제수용부(138)의 고정브라켓(167)에 형성된 고정축(168)에 피봇식으로 고정된다.
블레이드 작동부(160)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이 통과할 때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를 화상전사벨트(113)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는 플런저(161), 코일(164), 플런저 스프링(162), 및 케이스(165)을 구비한다.
플런저(161)는 자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금속 또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고정홀(136a)에 슬라이딩되는 연결핀(161a)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164)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플런저(161)를 끌어당겨 우측(도 4의 화살표 방향(D))으로 이동시킨다. 코일(164)은 요크(16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플런저 스프링(162)은 코일(164)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플런저(161)를 좌측(도 4의 화살표 방향(C))으로 원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런저(161)의 와셔(161c)와 케이스(165)의 좌측부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가 온될 때, 즉 코일(164)에 전류가 인가될 때, 플런저(161)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를 고정축(16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며, 그 결과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선단부는 화상전사벨트(136)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솔레노이드가 오프될 때, 즉 코일(164)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플런저(161)는 플런저 스프링(162)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를 고정축(168)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키며, 그 결과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선단부는 화상전사벨트(113)에 잔류하는 폐현상제와 오염을 클리닝하여 제거하도록 화상전사벨트(113)와 접촉된다.
도 5는 블레이드 작동부(160')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변형예의 블레이드 작동부(160')는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몸체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캠면(173a, 173b)을 갖는 캠(173)을 구비한다. 캠스프링(172)은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몸체가 제1 및 제2캠면(173a, 173b)에 접촉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캠스프링(172)은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몸체에 형성된 제1지지부(178)와 벨트 폐현상제수용부(138)의 지지브라켓(177)의 제2지지부(177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캠(173)은 모터(171)의 구동축(174)에 고정되어 모터(171)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모터(171)의 구동축(174)이 도 5에 도시한 위치에서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때, 캠(173)은 제1캠면(173a)이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몸체와 접촉하게 되고,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몸체는 캠스프링(172)에 대항하여 고정축(16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그 결과, 벨트클리닝 브레이드(136)의 선단부는 화상전사벨트(113)로부터 이격된다.
반대로, 모터(171)의 구동축(174)이 180도 회전한 위치에서 타방향, 예를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때, 캠(17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캠면(173b)이 벨트클리닝 브레이드(136)의 몸체와 접촉하게 되고, 벨트클리닝 블레이 드(136)의 몸체는 캠스프링(172)에 의해 고정축(168)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하여 복귀되고, 그 결과,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의 선단부는 화상전사벨트(113)에 잔류하는 폐현상제와 오염을 클리닝하여 제거하도록 화상전사벨트(113)와 접촉된다.
벨트 폐현상제수용부(138)는 화상전사벨트(113)에서 제거된 폐현상제 및 오염물을 수용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블랙(K)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컴퓨터, 스캐너 등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상응하는 현상제화상(132)와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바와 같이 화상전사벨트(113)의 가로방향(제1감광체(101k)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선과 같은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 윤활을 위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유닛(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132, 133)이, 각각 화상수용매체(S)가 이송되는 화상전사벨트(113)의 화상형성구간(IA)과 화상수용매체(S)와 화상수용매체(S) 사이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제어동작은 제1실시예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50)의 제어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어부(150')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현상제화상을 공급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 사이의 윤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을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역전사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를을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m, 118c, 118y)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제어동작 역시 제1실시예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50)의 제어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선결된 현상제화상(133)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역전사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역전사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잔류하는 폐현상제(통상 역전사시 100%가 전사되지 않고 90-95%만 전사됨)가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에 의해 클리닝되어 벨트 폐상제수용부(138)로 제거되지 않도록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이 통과할 때 마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가 화상전사벨트(113 )로부터 이격되도록 블레이드 작동부(160, 또는 160')를 제어한다.
이 경우,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전사된 선결된 현상제화상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역전사된 후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 전사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 113)상에 잔류하는 폐현상제가 화상전사벨트(113)의 다음 회전주기시 추가로 제2, 제3 및 제4감광체 (101m, 101c, 101y)쪽으로 이동되어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36)에 의해 클리닝될 수 있으므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의 윤활을 위한 현상제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노프린팅 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또는 제어판넬을 통해 인쇄명령이 입력되면(S1), 제어부(15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노프린팅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계 S1 내지 단계 S14까지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14에서, 제4감광체(101y)로 역전사된 현상제화상이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y)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y)에 회수된 후,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이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를 통과할 때, 제어부(150')는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이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에 의해 클리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블레이드 작동부(160, 또는 160')를 제어하여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를 화상전사벨트(113)로부터 이격시킨다(S15'). 이때,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를 화상전사벨트(113)에 이격시키는 시작타이밍은, 레지스터 롤러(114)와 압착롤러(122) 사이 등에 설치된 용지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첫 페이지의 화상수용매체(S)의 후단부에 의해 동작한 시점에서부터, 용지감지센서의 동작시점을 비화상형성구간(UIA)의 시작지점으로하여 미리 측정한 비화상형성구간(UIA)의 시작지점이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에 도달할 때 까지의 시간을 지연한 시간으로 결정된다. 또한,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를 화상전사벨트(113) 로부터 이격시키는 시간은 용지감지센서가 첫 페이지의 화상수용매체(S)의 후단부에 의해 동작한 시점과 다음 페이지의 화상수용매체(S)의 선단부에 의해 동작한 시점 사이의 시간으로 결정된다.
그후, 제어부(150')는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6).
단계 S14에서 판단결과,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위의 단계 S1 내지 단계 S15'를 반복하고,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없으면, 제어부(150')는 화상전사벨트(113)의 비화상형성구간(UIA)에 잔류하는 폐현상제와 오염물을 클리닝하여 제거하기 위해 구동롤러(12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화상전사 벨트(113)를 1회전주기를 더 회전시킨다. 그 결과, 화상전사벨트(113)에 잔류하는 폐현상제와 오염물은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에 의해 클리닝되어 벨트 폐현상제저장부(138)로 회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은 모노프린팅 모드 수행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공급해 줌으로써, 나머지 감광체와 클리닝부 사이의 윤활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감광체 또는 클리닝부의 손상 및 그에 따른 화상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2)

  1.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의 상기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와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사전압인가부재를 구비하는 전사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부;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선결된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여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된 상기 선결된 현상제화상을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역전사하도록 각각의 상기 감광체, 상기 대전부, 상기 현상부, 및 상기 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선결된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된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한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하는것과 아무런 전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중의 하나가 되도록 상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선결된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대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에 대전된 전위를 제거할 수 있는 제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대전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현상제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잔류하는 현상제와 오염물을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리닝부는 각각의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고정된 복수의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클리닝부는 선단부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도록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과 선단부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피봇 고정된 것중의 하나로 고정된 벨트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클리닝 블레이드는 선단부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피봇 고정되고;
    상기 제2클리닝부는, 상기 벨트클리닝 블레이드에 연결되고, 모노프린팅 모드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이 통과할 때 상기 벨트클리닝 블레이드를 상기 화상전사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블레이드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는 상기 벨트클리닝 블레이드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에 연결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싱기 블레이드 작동부는,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와 접촉하는 캠; 및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드가 상기 캠과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5.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의 상기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를 구비하는 전사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부;
    상기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부;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한 감광체와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상기 화상전사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에 전사되도록 하고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상기 화상수용매체에 전사되지 않도록 각각의 상기 감광체, 상기 대전부, 및 상기 전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 록 상기 대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에 대전된 전위를 제거할 수 있는 제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대전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 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현상제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사기 전사전압 인가부재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1.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의 상기 현상제화상이 전사되는 화상전사부재를 구비하는 전사부;
    각각의 상기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부; 및
    상기 제2클리닝부에 연결되고, 모노프린팅 모드시 제2클리닝부가 상기 화상 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을 통과할 때 상기 제2클리닝부를 상기 화상전사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리닝부는 일단부가 피봇 고정된 벨트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벨트클리닝 블레이드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에 연결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드와 접촉하는 캠; 및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드가 상기 캠과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클리닝 브레이 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6.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방법에 있어서,
    모노프린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모노프린팅 모드일 경우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한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는 단계;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역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역전사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수용매체가 이송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화상을 상기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한 감광체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전사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일정부분씩 분할하여 역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된 상기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된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한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아무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전사된 상기 현상제화상의 부분이 역전사되도록 할당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할 때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다른 극성의 소정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벨트로 전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 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로 전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잔류하는 현상제화상과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이 통과할 때 상기 화상전사부재를 클리 닝하지 않는 단계; 및
    인쇄완료후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잔류하는 현상제화상과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7.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방법에 있어서,
    모노프린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모노프린팅 모드일 경우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한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는 단계;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상기 화상전사부재로 전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된 후 상기 한 감광체에 잔류하는 현상제화상과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계속 인가하다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대전전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상기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서 대전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상기 비화상형성구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가 상기 화상전사부재와 접촉할 때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의 극성과 다른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벨트로 전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나머지 감광체의 화상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비화상형성구간과 접촉할 때, 상기 현상제화상이 상기 화상전사부재로 전사되지 않도록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는 상기 화상전사부재에 현상제와 동일 극성의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사부재의 오염을 제거하도록 상기 화상전사부재를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
KR1020050044349A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349A KR100669983B1 (ko)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US11/390,171 US7447455B2 (en) 2005-05-26 2006-03-28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no color printing method thereof
CNB2006100878702A CN100458581C (zh) 2005-05-26 2006-05-26 彩色图像形成装置及其单色印刷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349A KR100669983B1 (ko)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19A true KR20060124819A (ko) 2006-12-06
KR100669983B1 KR100669983B1 (ko) 2007-01-19

Family

ID=3744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3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983B1 (ko)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47455B2 (ko)
KR (1) KR100669983B1 (ko)
CN (1) CN10045858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976B1 (ko) * 2007-08-03 2014-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343B2 (en) * 2003-08-27 2007-12-2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050961A1 (en) * 2004-08-13 2006-03-09 Mohanaraj Thiyagarajah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nd verifying a finder pattern in a two-dimensional machine-readable symbol
JP4725308B2 (ja) * 2005-11-30 2011-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07908A (ja) * 2009-06-24 2011-01-13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US20120008970A1 (en) * 2010-07-08 2012-01-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US20120141151A1 (en) * 2010-12-07 2012-06-0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ing method
JP6160595B2 (ja) * 2014-10-29 2017-07-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784011B2 (ja) * 2014-10-31 2020-1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82687B2 (ja) * 2015-07-31 2019-10-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3989B2 (ja) * 1989-03-17 1999-01-06 コニ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732310A (en) * 1995-04-21 1998-03-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5828926A (en) * 1995-08-17 1998-10-27 Ricoh Company, Ltd. Registration control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JPH09101666A (ja) 1995-10-04 1997-04-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515292B2 (ja) * 1996-02-17 2004-04-05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該クリーニング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0161426A (ja) 1996-12-05 1998-06-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192207B1 (en) * 1997-05-21 2001-02-20 Minolt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mage holding components
JP3569424B2 (ja) * 1997-10-13 2004-09-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1125456A (ja) * 1999-10-27 2001-05-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209252A (ja) * 2000-01-24 2001-08-03 Nec Niigata Ltd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機構
JP3625427B2 (ja) 2000-03-08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076103A (ja) * 2001-09-04 200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520511B1 (ko) * 2001-09-26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JP2003280318A (ja) 2002-03-25 2003-10-02 Canon Inc 多色画像形成装置
JP4059012B2 (ja) 2002-06-10 2008-03-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12218B1 (ko) * 2004-09-24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976B1 (ko) * 2007-08-03 2014-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9832A (zh) 2006-11-29
US20060269316A1 (en) 2006-11-30
CN100458581C (zh) 2009-02-04
US7447455B2 (en) 2008-11-04
KR100669983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42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94387A (ja) 画像形成装置
US7447455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no color printing method thereof
JP2011047971A (ja) 画像形成装置
JP5822460B2 (ja) 画像形成装置
US76684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JP200321587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68191A (ja) 画像形成装置
US76272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harging member cleaning capabilities
JP56458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312885A (ja) ベルト蛇行補正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86751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176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7114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19311A (ja) 画像形成装置
JP451958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4682607B2 (ja) 画像形成装置
JP455737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123769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200114757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9040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4828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34214A (ja) 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62208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6464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