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2218B1 -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218B1
KR100612218B1 KR1020040076894A KR20040076894A KR100612218B1 KR 100612218 B1 KR100612218 B1 KR 100612218B1 KR 1020040076894 A KR1020040076894 A KR 1020040076894A KR 20040076894 A KR20040076894 A KR 20040076894A KR 100612218 B1 KR100612218 B1 KR 10061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driving
bel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958A (ko
Inventor
김현수
신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218B1/ko
Priority to US11/170,039 priority patent/US7263313B2/en
Publication of KR2006002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03G2215/1661Cleaning of transfer member of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용지잼 발생시 화상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하는 동안 정착유닛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는 하나의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화상형성면을 구비한 화상벨트를 구동하는 벨트구동롤러를 구동하는 벨트구동기어를 구비하는 벨트유닛구동부,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착롤러를 구동하는 정착기어를 구비하는 정착유닛구동부, 구동모터의 동력을 벨트유닛구동부에서 정착유닛구동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차단부, 및 동력차단부를 동작하는 동력차단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잼 발생시 화상벨트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정착유닛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잼이 발생하더라도 토너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되지 못한 채 화상벨트상에 장시간 방치되어 발생하는 화상벨트에 대한 토너고착을 방지하여 화상벨트, 클리닝블레이드 또는 감광체의 손상과 화상품질 저하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잼을 더 악화시키지 않고 화상벨트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을 제거할 수 있다.
전사벨트유닛, 전사벨트, 전사벨트유닛, 정착유닛, 동력, 차단, 잼

Description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방법{driving apparatus with power disconnecting part,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와 감광체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구동장치의 정착유닛구동부의 일방향 동력전달부를 예시하는 부분 좌측 및 우측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구동장치의 동력차단부와 동력차단작동부를 예시하는 부분 좌측 및 우측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동력차단작동부의 솔레노이드의 단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구동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화상형성유닛 9: 감광체
10: 전사벨트유닛 17: 화상전사벨트
21: 정착유닛 50: 클리닝유닛
100: 프린터 101: 전사벨트유닛구동부
105: 전사벨트기어 115: 동력차단작동부
116: 액츄에이터 118: 플런저
119: 코일 120: 탄성스프링
125: 동력차단부 126: 고정기어
128: 스윙기어 130: 유동브라켓
137: 정착유닛구동부 148: 배지유닛구동부
132: 연결부재 170: 일방향 동력전달부
171, 175: 보스 173, 176: 래치치차
200: 구동장치 201: 제어부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잼 발생시 화상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하는 동안 정착유닛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벨트 또는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감광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현상제로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사용하는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나누어지며, 습식의 경우에는 휘발성분의 액상 캐리어에 분말상태의 토너가 섞여있는 액체현상제가 현상제로 사용된다.
도 1은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는 화상형성 유닛(5), 전사벨트유닛(10), 정착유닛(21), 배지유닛(30), 및 클리닝유닛(50)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유닛(5)는 4가지의 칼라, 즉 블랙(black), 옐로우(yellow), 시안(cyan), 마젠타(magenta)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11), 네 개의 대전롤러(12), 네 개의 감광체(9), 및 네 개의 현상장치(1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현상장치(13)는 저장부(6), 현상롤러(7), 디포지트(deposit)롤러(14), 메터링(metering)롤러(15), 및 클리닝롤러(16)를 구비한다. 저장부(6)는 액체현상제(48)를 저장한다. 현상롤러(7)는 감광체(9) 하부에 위치한다. 디포지트롤러(14)는 현상롤러(7) 하부에 설치되고 액체현상제(48)에 전 기력을 부가하여 현상롤러(7)에 대전 현상제층을 형성한다. 메터링롤러(15)는 디포지트롤러(14)에 의해 현상롤러(7)에 형성된 대전 현상제층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여 더 많은 양의 토너가 현상롤러(7)에 부착되도록 하면서 대전 현상제층을 일정한 토너량 또는 농도(% solid)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규제하여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nip)으로 공급한다. 크리닝롤러(16)는 현상롤러(7)를 클리닝한다.
디포지트롤러(14)와 메터링롤러(15)는 3-40 solid %의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48), 또는 사용중 변화되는 액체현상제(48)의 농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토너 량 또는 농도의 현상제층을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감광체(9)는 OPC 드럼으로 구성되고, 상응하는 각각의 현상장치(13)에 의해 각각 다른 색의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전사벨트유닛(10)는 제1전사롤러(8), 제2전사롤러(23) 및 화상전사벨트(17)로 구성된다. 화상전사벨트(17)는 벨트구동롤러(22)에 의해 제1, 및 제2, 및 제3지지롤러(19, 20, 21)을 따라 무한궤도 상의 경로에 따라 회전한다. 제1전사롤러(8)는 감광체(9)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하고, 제2전사롤러(23)는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전사한다.
정착유닛(21)는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 및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는 기록매체(P)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며,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는 기록매체(P)를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에 대해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제1 및 제2 가열 및 가압롤러(25, 27; 26, 28)의 열과 압력으로 장착된 기록매체(P)는 배지유닛(30)의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와 제1 및 제2배지백업롤러(33, 34)에 의해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다.
클리닝유닛(50)는 화상전사벨트(17)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51), 및 클리닝블레이드(51)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 저장부(5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명령이 인가 됨에 따라, 화상형성유닛(5)는 각 구성부분을 동작하여 네 가지 칼라를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화상형성 동작을 수행한다.
즉, 각각의 감광체(9)에는 각각의 대전롤러(12)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에 의해 인쇄할 칼라의 화상에 대응하는 전하층, 즉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는 디포지트롤러(14)와 메터링롤러(15)에 의해 저장부(6)의 액체현상제(48)로부터 현상롤러(7)에 형성된 일정한 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의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때, 액체현상제(48)는 디포지트롤러(14)의 전기력에 의해 현상롤러(7)에 대전 현상제층으로 형성되고, 메터링롤러(15)에 의해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서 일정한 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으로 현상롤러(7)에 형성된다.
각각의 현상장치(13)에 의해 각각의 감광체(9)에 현상된 화상은 화상전사벨트(17)의 내측에 위치한 제1전사롤러(8)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감광체(9)로부터 화상전사벨트(17)로 1차 전사된다.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화상전사 벨트(17)가 벨트구동롤러(22)에 의해 제1, 제2, 및 제3지지롤러(19, 20, 21)를 따라 회전 함에 따라 제2전사롤러(23)까지 이동하여 제2전사롤러(23)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기록매체(P)에 2차 전사된다.
기록매체(P)에 전사된 화상은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에 의해 기록매체(P)에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 후, 기록매체(P)는 배지유닛(30)의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와 제1 및 제2배지백업롤러(33, 34)에 의해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다.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된 후, 화상전사벨트(17)는 계속 회전하여 제3지지롤러(21)의 측면에서 화상전사벨트(17)의 화상형성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클리닝블레이드(51)까지 이동하며, 여기에서 화상전사벨트(17)의 표면에 잔존하는 현상제찌꺼기(통상 기록지로 100% 전사되지 않고 90-98%만 전사됨)는 다음 화상인쇄를 위해 클리닝블레이드(51)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7)로부터 제거되어 폐현상제 저장부(52)에 회수된다.
잔존 현상제찌꺼기가 제거된 화상전사벨트(17)는 다시 각각의 감광체(9), 레이저 스캐닝 유닛(11) 및 현상장치(13)를 통해 다음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린터(1)는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되는 2차 전사동작중이나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하는 동작중에 기록매체(P)의 걸림 또는 슬립에 의해 잼(Jam)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 사용자의 간단한 조치에 의해 쉽게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잼 발생시 미처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은 잼제거후 프린터의 재가동시 기록매체(P) 또는 폐현상제 저장부(52)로 회수될 수 있다.
그러나, 아코디언잼(Accordian jam)이나 랩잼(Lap jam)과 같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치에 의해 제거할 수 없는 심한 잼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잼을 제거하지 못하고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경우, 잼에 의해 미처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은 서비스맨에 의해 잼이 제거될 때 까지 장시간 방치된다. 그 결과,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17)상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은 그 내부에 함유된 휘발성분의 액상캐리어가 대기중으로 증발하게 되어 화상전사벨트(17) 표면에 고체토너로 고착된다. 따라서, 잼이 제거되어 프린터(1)가 재가동되더라도 화상전사벨트(17) 표면, 클리닝블레이드(51), 또는 감광체(9) 등의 다른 구성부품이 화상전사벨트(17) 표면에 고착된 고체토너에 의해 손상되게 되고, 그 결과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화성형성 동작중 기록매체(P)가 걸림 또는 슬립에 의해 잼이 발생할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잼이 제거되지 않으면, 강제적으로 화상전사벨트(17)를 더 회전시켜 미처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을 제거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프린터(1)는 화상전사벨트(17)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도 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벨트구동롤러(22)를 통해 정착유닛(21)의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잼을 제거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화상전사벨트(17)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잼된 기록매체(P)의 위치에 따라 기록매체(P)가 찢어지거나 잼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즉,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제2전사롤러(23)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기록매체(P)에 2차 전사되거나, 기록매체(P)에 전사된 화상이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에 의해 기록매체(P)에 정착될 때 아코디언잼 또는 랩잼이 발생할 경우, 화상전사벨트(17)를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구동되면, 구동모터와 연결된 벨트구동롤러(22)와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화상전사벨트(17)와 제2전사롤러(23) 사이 또는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 사이에 잼된 기록매체(P)는 사용자가 해결할 수 없을 정도로 더 악화될 수 있다. 심할 경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가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게되어 구동모터의 손상을 가져오거나, 제1 및 제2 가열롤러(25, 27)의 정착열에 의해 기록매체(P)가 연소되어 화재를 발생할 수도 있다. 이경우, 프린터(1)의 신뢰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잼이 제거될 때 까지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이 방치됨으로써 화상전사벨트(17)에 고체토너가 고착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프린터(1)는 화성형성 동작중 기록매체(P)가 걸림 또는 슬립에 의해 정착유닛(21)의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 사이에 잼될 경우, 사용자가 잼을 제거하기 위해 기록매체(P)를 손으로 잡아당길 때 잼을 제거하는 힘이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벨트구동롤러(22)를 통해 구동모터에 전달된다. 따라서, 기록매체(P)는 구동모터의 부하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못하고 찢어지거나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화상전사벨트(17)의 2차 전사동작 또는 정착동작시 잼이 발생하더라도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17)상에 방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을 제거하기 위해 화상전사벨트(17)가 더 회전하더라도 잼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발생된 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잼 발생시 화상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정착유닛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부를 구비한 구동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착유닛에서 용지잼이 발생할 때 잼을 제거하는 힘이 구동모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화상형성면을 구비한 화상벨트를 구동하는 벨트구동롤러를 구동하는 벨트구동기어를 구비하는 벨트 유닛구동부,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착롤러를 구동하는 정착기어를 구비하는 정착유닛구동부, 구동모터의 동력을 벨트유닛구동부에서 정착유닛구동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차단부, 및 동력차단부를 동작하는 동력차단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착유닛구동부는 기록매체를 배지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작용하는 힘이 정착유닛구동부에서부터 구동모터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동력전달부를 더 구비한다. 일방향동력전달부는 정착기어를 포함하는 정착유닛구동부의 기어 중 한 기어에 설치되며; 한 기어의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보스,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래치치차,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제2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회동보스를 회동할 수 있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보스, 및 제2치차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래치치차로 구성된다. 제1래치치차와 제2래치치차는 그 중 하나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맞물려 그 중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동력전달이 이루어 지고, 그 중 하나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엇갈리게 되어 그 중 하나에서 다른하나로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동력차단부는 벨트구동기어와 맞물리고 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된 고정기어, 고정기어와 맞물리는 스윙기어, 및 스윙기어가 정착유닛구동부와 맞물리거나 풀려지도록 스윙기어를 고정기어의 중심축에 관하여 선회할 수 있게 지지 고정하는 유동브라켓을 구비한다.
동력차단작동부는 유동브라켓과 연결된 연결부재, 및 유동브라켓에 고정된 스윙기어를 고정기어의 중심축에 관하여 선회시키도록 연결부재를 작동하는 액츄에 이터를 구비한다.
연결부재는 유동브라켓에서부터 고정기어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기어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연결바, 연결바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홀, 및 연결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연결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상단부에 연결핀을 형성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벨트는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로부터 기록매체에 토너화상을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와 감광체를 구성하는 감광벨트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 기록매체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각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구동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화상전사벨트를 구동하는 벨트구동롤러를 구동하는 벨트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구동부, 적어도 하나의 정착롤러를 구동하는 정착기어를 구비하는 정착유닛구동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사벨트유닛구동부에서 정착유닛구동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차단부, 및 동력차단부를 동작하는 동력차단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착유닛구동부는 기록매체를 배지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작용하는 힘이 정착유닛구동부에서부터 구동모터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일방향동력전달부는 정착기어를 포함하는 정착유닛구동부의 기어 중 한 기어에 설치되며; 한 기어의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보스,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래치치차,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제2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회동보스를 회동할 수 있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보스, 및 제2치차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래치치차로 구성된다. 제1래치치차와 제2래치치차는 그 중 하나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맞물려 그중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그 중 하나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엇갈리게 되어 그 중 하나에서 다른하나로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동력차단부는 벨트구동기어와 맞물리고 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된 고정기어, 고정기어와 맞물리는 스윙기어, 및 스윙기어가 정착유닛구동부와 맞물리거나 풀려지도록 스윙기어를 고정기어의 중심축에 관하여 선회할 수 있게 지지 고정하는 유동브라켓을 구비한다.
동력차단작동부는 유동브라켓과 연결된 연결부재, 및 유동브라켓에 고정된 스윙기어를 고정기어의 중심축에 관하여 선회시키도록 연결부재를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연결부재는 유동브라켓에서부터 고정기어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기어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연결바, 연결바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홀, 및 연결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연결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상단부에 연결핀을 형성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중 기록매체의 잼을 감지하는 단계, 벨트유닛구동부에서 정착유닛구동부로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벨트유닛의 화상벨트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클리닝하는 단계, 및 구동모터를 정지하고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록매체의 잼을 감지하는 단계는 잼 상태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는 액츄에이터를 온시켜 구동모터의 동력을 벨트유닛구동부에서 정착유닛구동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차단부의 스윙기어를 벨트유닛구동부의 벨트구동기어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차단부를 구비한 구동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표시하여 설명하였 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등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는 급지카세트(도시하지 않음)에 적재된 기록매체(P)를 급지하는 급지유닛(도시하지 않음),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감광체(9)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5), 각각의 감광체(9)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지와 같은 기록매체(P)에 순차적으로 전사하는 화상형성면을 갖는 화상전사벨트(17)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10), 기록매체(P)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롤러로써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를 구비하는 정착유닛(21), 토너화상이 정착된 기록매체(P)를 프린터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30),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된후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을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50), 및 각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장치(200)를 구비한다.
구동장치(200)를 제외한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 또는 다른 공지된 프린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장치(200)는 급지유닛구동부(도시하지 않음), 화상형성유닛구동부(도시하지 않음),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 정착유닛구동부(137), 배지유닛구동부(148), 동력차단부(125), 동력차단 작동부(115), 및 이들 구성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201)를 구비한다.
급지유닛구동부는 급지유닛용 제1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제1구동모터와 연결되고 급지유닛의 픽업롤러(도시하지 않음)와 급지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는 급지 기어트레인(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급지 기어트레인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형성유닛구동부는 화상형성용 제2구동모터(190), 및 제2구동모터(190)에 의해 구동되며, 각각의 감광체(9), 각각의 현상장치(13)의 현상롤러(7), 디포지트롤러(14), 및 메터링롤러(15) 등을 구동하는 화상형성 기어트레인(도시하지않음)으로 구성된다. 화상형성 기어트레인(도시하지않음) 역시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는 전사벨트유닛(1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전사 및 정착용 제3구동모터(103), 벨트구동기어(105), 클러치용 감속기어(173), 제1아이들기어(174), 제1클러치기어(175), 클러치(177), 제2클러치기어(176), 제1감속기어(178), 제2감속기어(179), 캠구동기어(180), 및 캠(181)으로 구성된다.
벨트구동기어(105)는 제3구동모터(103)의 구동기어(104)의 일측에 연결된다. 벨트구동기어(105)에 전달된 동력은 벨트구동롤러(22)를 통해 화상전사벨트(17)에 전달되며, 그 결과 화상전사벨트(17)는 제1, 제2, 및 제3지지롤러(19, 20, 21)을 따라 도 4의 화살표 방향(E)으로 회전된다.
구동기어(104)의 타측에 연결된 클러치용 감속기어(173)는 제1아이들기어(174)를 통해 제1클러치기어(175)에 연결되며,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제1클러치기어(175)에 전달한다. 제1클러치기어(175)에 전달된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은 클러치(177)에 의해 제2클러치기어(176)에 전달되거나 차단된다. 클러치(177)는 제2전사롤러(23)가 각각의 감광체(9)에서 화상전사벨트(17)에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2차 전사하기 위해 화상전사벨트(17)와 접촉해야 하거나, 2차 전사종료후 화상전사벨트(17)로부터 이격되어야할 때,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제2클러치기어(176)에 전달한다. 제2클러치기어(176)에 전달된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은 제1감속기어(178)와 제2감속기어(179)를 통해 캠구동기어(180)에 전달된다. 캠구동기어(180)와 동축형성된 캠(181)은 삼각형 형태를 가지며, 캠구동기어(180)의 회전에 따라 탄성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된 제2전사롤러(23)의 샤프트(23a)를 밀거나 후퇴시켜서 제2전사롤러(23)를 벨트구동롤러(22)와 접촉시키거나 벨트구동롤러(22)로부터 이격시킨다. 제2전사롤러(23)가 캠(181)에 의해 전사벨트롤러(22)와 접촉되고 화상전사벨트(17)가 벨트구동롤러(22)에 의해 회전될 때, 기록매체(P)를 화상전사벨트(17)에 대해 가압하는 제2전사롤러(23)는 화상전사벨트(17)와 함께 일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화상전사벨트(17)와 함께 기록매체(P)를 이송한다.
정착유닛구동부(137)는 정착유닛(21)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제3 및 제4감속기어(138, 139), 제2 및 제3아이들기어(140, 141), 제1태양기어(142), 제1가열롤러기어(143), 제5아이들기어(144), 및 제2가열롤러기어(146)로 구성된다. 제3감속기어(138)는 후술하는 동력차단부(125)를 통해 벨트구동기어(105)에 연결되고,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제4감속기어(139)와 제2 및 제3아이들기어(140, 141)를 통해 제1태양기어(142)에 전달한다. 제1태양기어(142)는 일측(도 4의 우측)에서 제1가열롤러(25)의 샤프트의 일단부에 동축 형성된 제1가열롤러기어(143)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가열롤러기어(143)가 제1태양기어(142)에 의해 회전할 때, 제1가열롤러기어(143)와 동축형성된 제1가열롤러(25)는 타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기록매체(P)를 제1가열롤러(25)에 대해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26)는 제1가열롤러(25)와 함께 기록매체(P)를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P)를 이송한다.
제1가열롤러기어(143)는 제5아이들기어(144)를 통해 제2가열롤러(27)의 샤프트의 일단부에 동축 형성된 제2가열롤러기어(146)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가열롤러기어(146)와 동축형성된 제2가열롤러(27)는 타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기록매체(P)를 제2가열롤러(27)에 대해 가압하는 제2가압롤러(28)는 제2가열롤러(27)와 함께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P)를 이송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유닛구동부(137)는 정착유닛(21)내에 기록매체(P)의 잼이 발생할 때 잼제거를 쉽게하기 위해 일방향 동력전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방향 동력전달부(170)는 제1태양기어(142)의 제1치차부(142a)와 제2치차부(142a) 사이에 설치된다. 제1치차부(142a)는 제3아이들기어(141)와 맞물리고, 제2치차부(142b)는 제1가열롤러기어(143)와 맞물린다.
일방향 동력전달부(170)는 회동보스(171), 제1래치치차(173), 고정보스(175), 및 제2래치치차(176)를 구비한다. 회동보스(171)와 제1래치치차(173)는 제1치차부(142a)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고정보스(175)와 제2래치치차(176)는 제1치차부(142a)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제2치차부(142b)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회동보스(171)는 및 제2치차부(142b)의 고정보스(175)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된다. 제2래치치차(176)는 고정브라켓(178)에 의해 제2치차부(142b)의 일측면에 형성된 브라켓수용홈(179)에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래치치차(173)와 제2래치치차(176)는 제1치차부(142a)가 일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맞물려 제1래치치차(173)에서부터 제2래치치차(176)로 동력전달이 이루어 지고, 제1치차부(142a)가 타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엇갈리게 되어 제1래치치차(173)에서부터 제2래치치차(176)로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제2치차부(142b)가 일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엇갈리게 되어 제2래치치차(176)에서부터 제1래치치차(173)로 동력전달이 차단되고, 제2치차부(142b)가 타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맞물려 제2래치치차(176)에서부터 제2래치치차(173)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의 제1태양기어(142)가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구동모터의 동력은 제1 및 제2래치치차(173, 176)에 의해 정상적으로 제1가열롤러기어(143)로 전달된다.
또한, 화성형성 동작중 기록매체(P)가 걸림 또는 슬립에 의해 정착유닛(21)의 제1 및/또는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또는 제2가압롤러(26, 28) 사이에 잼될 경우, 사용자가 잼을 제거하기 위해 기록매체(P)를 손으로 잡아당길 때 잼을 제거하는 힘은 제1 및 또는 제2가열롤러(25, 27)를 통해 제1태양기어(142)에는 전달되지만, 제2치차부(142b)가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1 및 제2래치치차(173, 176)에 의해 제4기어(138) 및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의 전사벨트기어(105)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잼을 제거하는 힘이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벨트구동롤러(22)를 통해 구동모터에 전달될 때, 제3구동모터(103)의 부하에 의해 기록매체(P)가 찢어지거나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는 방지된다.
이상에서, 일방향 동력전달부(170)는 제1태양기어(142)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제1태양기어(142)에 설치되는 대신 정착유닛(21)내에 기록매체(P)의 잼제거를 쉽게할 수 있는 다른 기어, 예를들면 정착유닛구동부(137)의 기어들 중 다른 한 기어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배지유닛구동부(148)는 배지유닛(3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제6, 제7, 제8, 및 제9아이들기어(149, 150, 151, 152), 제2태양기어(153), 및 제1 및 제2배지롤러기어(154, 155)로 구성된다. 제9아이들기어(149)는 제1태양기어(142)의 타 측, 즉 도 4의 좌측에 연결되고, 제7, 제8 및 제9아이들기어(150, 151, 152)를 통해 제2태양기어(153)와 연결된다. 제2태양기어(153)는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의 샤프트의 일단부에 동축 형성된 제1 및 제2배지롤러기어(154, 155)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태양기어(153)가 타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및 제2배지롤러기어(154, 155)와 동축 형성된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는 제2태양기어(153)에 의해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기록매체(P)를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에 대해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는 제1 및 제2배지백업롤러(33, 34)는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와 함께 기록매체(P)를 프린터 외부로 배출한다.
동력차단부(125)는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에서 정착유닛구동부(137)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벨트구동기어(105)와 제3감속기어(138) 사이에 설치된다.
동력차단부(125)는 고정기어(126), 스윙기어(128), 및 유동브라켓(130)을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기어(126)는 벨트구동기어(105)와 맞물리며 고정샤프트(127)와 동축 형성된다. 고정샤프트(127)는 제1단부(127a)가 전사벨트유닛(10)을 고정하는 메인프레임(135)의 고정홀(135a)에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스윙기어(128)는 고정기어(126)와 맞물리고 유동샤프트(129)와 동축 형성된다. 유동샤프트(129)는 후술하는 유동브라켓(130)에 제1 및 제2 단부(129a, 129b) 가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유동브라켓(13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측벽(130a, 130b), 및 제1 및 제2측벽(130a, 130b)을 연결하는 연결판(130c)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측벽(130a, 130b)에는 유동샤프트(129)의 제1 및 제2 단부(129a, 129b)를 회동할 수 있게 수용 및 지지하는 제1 및 제2 유동샤프트홀(130aa, 130ba), 및 고정샤프트(127)의 제1 및 제2단부(127a, 127b)를 회동할 수 있게 수용 및 지지하는 제1 및 제2 고정샤프트홀(130ab, 130b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동브라켓(130)이 고정샤프트(127)를 중심으로 도 7 및 도 8의 화살표(A, B)방향으로 선회할 때, 스윙기어(128)는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에서 정착유닛구동부(137)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정착유닛구동부(137)의 제3감속기어(138)와 맞물리거나 제3감속기어(138)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동력차단 작동부(115)는 동력차단부(125)를 작동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차단부(125)의 유동브라켓(130) 근처에서 메인프레임(135)에 설치된다.
동력차단 작동부(115)는 연결부재(132)와 액츄에이터(116)를 구비한다.
연결부재(132)는 연결바(133), 연결홀(134), 및 연결핀(136)으로 구성된다. 연결바(133)는 유동브라켓(130)의 제1측벽(130a)의 제1유동샤프트홀(130aa)근처에서 고정샤프트(127) 또는 유동샤프트(129)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샤프트(127)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단부(133a)를 갖는다. 연결홀(134)은 연결바(133)의 단부(133a)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연결핀(136)은 후술하는 액츄 에이터(116)의 플런저(118)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18b)에 삽입 지지되고, 일자형 홈(118a)을 가로질러 연결홀(134)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액츄에이터(116)는 유동브라켓(130)을 고정샤프트(127)에 관해 선회시키도록 연결부재(132)의 연결바(133)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16)는 플런저(118), 코일(119), 탄성스프링(120), 및 케이스(117)을 구비한다.
플런저(118)는 자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금속 또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연결부재(132)의 연결핀(136)이 고정되는 고정홀(180b)과 일자형 홈(180a)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119)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플런저(118)를 끌어당겨 도 9의 화살표 방향(D)으로 하강시킨다. 코일(119)은 요크(1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탄성스프링(120)은 코일(119)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플런저(118)를 위쪽으로 도 9의 화살표 방향(C)으로 상승시켜 원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런저(118)의 와셔(118c)와 케이스(117)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16)가 온될 때, 즉 코일(119)에 전류가 인가될 때, 플런저(118)는 아래로 하강하여 연결부재(132)를 통해 유동브라켓(130)을 고정샤프트(127)를 중심으로 도 7 및 도 8의 화살표(A)방향으로 선회시키며, 그 결과 유동브라켓(130)에 고정된 스윙기어(128)는 정착유닛구동부(137)의 제3감속기어(138)로부터 풀려져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에서 정착유닛구동 부(137)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액츄에이터(116)가 오프될 때, 즉 코일(119)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플런저(118)는 탄성스프링(120)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연결부재(132)를 통해 유동브라켓(130)을 고정샤프트(127)를 중심으로 도 7 및 도 8의 화살표(B)방향으로 선회시키며, 그 결과 유동브라켓(130)에 고정된 스윙기어(128)는 정착유닛구동부(137)의 제3감속기어(138)와 맞물려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에서 정착유닛구동부(137)로 전달한다.
제어부(201)는 제1 및 제2구동모터(103, 190)를 포함하는 각 유닛의 동작, 예를들면, 화상형성유닛(5)의 대전롤러(12), 레이저스캐닝 유닛(11), 제1 및 제2전사롤러(8, 23)에 대한 전압공급을 제어하며, 기록매체(P)의 잼을 감지하고 동력차단작동부(115)의 액츄에이터(1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1)는 기록매체(P)에 의해 급지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제1매체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동작한 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정착유닛(21) 앞쪽에 설치된 제2 매체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배지유닛(30)의 앞쪽에 설치된 제3매체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동작하지 않으면, 기록매체(P)가 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매체감지센서들이 동작하면 정상상태 인것으로 판단한다. 기록매체(P)가 잼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1)는 제어패널(도시하지 않음)의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잼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동장치(200)의 동력차단부(125)와 동력차단작동부(115)는 각각의 감광체(9)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전사하는 화상전사 벨트(17)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10)과 기록매체(P)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21)을 구비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에서 잼발시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를 제거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습식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구동장치(200)의 동력차단부(125)와 동력차단작동부(115)는, 감광체(9)로써 OPC 드럼대신 감광벨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고 화상전사벨트(17)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10)을 사용하지 않고 감광벨트에서 기록매체(P)로 바로 토너화상을 전사하여 정착하는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또는 전사/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프린터(도시하지 않음)에서도 잼발시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토너화상를 제거하기 위해 동일한 원리와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정착유닛(21)은 정착롤러로써 가열기능을 갖는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가압기능을 갖는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 및 갯수의 정착롤러, 예를들면 가열 및 가압기능으로 구분되지 않고 가열 및 가압기능을 모두 갖는 2개 이상의 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력차단부(125)를 갖는 구동장치(200)를 구비한 구비한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구동방법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명령이 인가 됨에 따라, 제어부(201)는 제1, 제2 및 제2구동모터(103, 190)를 구동한다.
그 결과, 급지카세트(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기록매체(P)는 급지 기어트레인에 의해 구동되는 급지유닛의 픽업롤러(도시하지 않음)와 급지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사벨트유닛(10)의 화상전사벨트(17)와 제2전사롤러(23) 사이로 이송된다.
또, 화상형성유닛구동부의 화상형성 기어트레인은 화상형성유닛(5)의 각각의 감광체(9), 각각의 현상장치(13)의 현상롤러(7), 디포지트롤러(14), 및 메터링롤러(15)를 구동한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프린터(10)의 화상형성동작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대전롤러(12)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에 의해 각각의 감광체(9)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액체현상제(48)의 의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등의 네 가지 칼라의 화상으로 순차적으로 현상되고, 각각의 감광체(9)에 현상된 토너화상은 화상전사벨트(17)의 내측에 위치한 제1전사롤러(8)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감광체(9)로부터 화상전사벨트(17)로 1차 전사된다.
또한,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의 클러치(177)는 온되어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제2클러치기어(176)에 전달한다. 그 결과, 제2클러치기어(176)에 전달된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은 제1감속기어(178)와 제2감속기어(179)를 통해 캠구동기어(180)에 전달되고, 캠(181)은 캠구동기어(180)의 회전에 따라 탄성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된 제2전사롤러(23)의 샤프트(23a)를 밀어서 제2전사롤러(23)를 전사벨트롤러(22)와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벨트구동기어(105)가 제3구동모터(103)의 구동기어(104)에 의해 타방향, 예를들면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구동기어(105)와 동축 형성된 벨트구동롤러(22)는 역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화상전사벨트(17)는 제1, 제2 및 제3지지롤러(19, 20, 21)를 따라 도 4의 화살표 방향(E)으로 회전한다.
화상전사벨트(17)가 회전함에 따라,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화상전사벨트(17)가 벨트구동롤러(22)에 의해 회전 함에 따라 제2전사롤러(23)까지 이동하여 기록매체(P)를 화상전사벨트(17)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2전사롤러(23)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기록매체(P)에 2차 전사된다.(S1)
만일, 이때 기록매체(P)가 걸림 또는 슬립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7)와 제2전사롤러(23) 사이에서 잼을 발생한다면, 정착유닛(21) 및/또는 배지유닛(30)의 앞쪽에 설치된 제2 및 제3매체감지센서는 기록매체(P)에 의해 급지유닛에 설치된 제1매체감지센서가 동작한 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동작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201)는 기록매체(P)의 잼을 감지한다.(S2)
기록매체(P)의 잼을 감지하면, 제어부(201)는 제어패널의 디스플레이부(203)을 통해 잼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제1구동모터, 화상형성유닛(5)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11), 및 제1 및 제2전사롤러(8, 23)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소정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사용자의 조치가 없으면, 액츄에이터(116)를 온시키게 된다. 액츄에이터(116)가 온됨에 따라, 코일(119)에 전류가 인가된다. 그 결과, 플런저(118)는 코일(119)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여 연결부재(132) 를 통해 유동브라켓(130)을 고정샤프트(127)를 중심으로 도 7 및 도 8의 화살표(A)방향으로 선회시킨다, 따라서, 유동브라켓(130)에 고정된 스윙기어(128)는 정착유닛구동부(137)의 제3감속기어(138)로부터 풀려져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을 전사벨트유닛구동부(101)에서 정착유닛구동부(137)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S3)
이때, 제3구동모터(103)는 계속 구동되므로,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은 벨트구동기어(105)에 계속 전달되고, 벨트구동기어(105)와 동축 형성된 벨트구동롤러(2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화상전사벨트(17)는 제1 , 제2 및 제3지지롤러(19, 20, 21)를 따라 계속 회전하여 제3지지롤러(21)의 측면에서 화상전사벨트(17)의 화상형성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클리닝블레이드(51)까지 이동하며, 여기에서 잼에 의해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17)의 표면에 잔존하는 토너화상이 클리닝된다.(S4)
이와 같이, 소정시간, 예를들면 화상전사벨트(17)가 약 1회전하는 동안 토너화상이 클리닝된 후, 제어부(201)는 액츄에이터(116)를 오프하여 플런저(118)를 원위치시켜 스윙기어(128)를 제3감속기어(138)와 맞물리게 한 후, 제2, 및 제3구동모터(103, 190)의 동작을 중지하고, 사용자의 조치를 기다린다.(S5)
사용자는 제어패널의 디스플레이부(203)에 디스플레이된 잼상태 메시지를 보고 잼을 제거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거나 서비스를 요청한다.(S6) 따라서, 화상전사벨트(17)의 2차 전사동작시 화상전사벨트(17)와 제2전사롤러(23) 사이에 잼이 발생하더라도,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17)상에 방치됨으로써 발생하는 토너고착문제는 방지된다.
만일 S2 단계에서, 기록매체(P)가 화상전사벨트(17)와 제2전사롤러(23) 사이에서 잼을 발생하지 않으면, 제3감속기어(138)에 전달된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은 제4감속기어(139), 제2 및 제3아이들기어(140, 141), 제1태양기어(142)의 제1치차부(142a), 일방향동력전달부(170), 및 제2치차부(142b)를 통해 제1가열롤러기어(143)에 전달된다. 이때, 제1치차부(142a)는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일방향동력전달부(170)의 제1래치치차(173)와 제2래치치차(176)는 서로 맞물리며, 이에 따라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은 제1치차부(142a)에서 제2치차부(142b)로 전달된다.
제1태양기어(142)에 전달된 동력은 제1가열롤러기어(143)에 전달된다. 그 결과, 제1가열롤러기어(143)와 동축 형성된 제1가열롤러(25)는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기록매체(P)를 제1가열롤러(25)에 대해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26)는 제1가열롤러(25)와 함께 기록매체(P)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열과 압력으로 1차 정착시키면서 기록매체(P)를 배지방향으로 이송한다.(S7)
또한, 제1가열롤러기어(143)에 전달된 구동모터의 동력은 제5아이들기어(144)를 통해 제2가열롤러기어(146)에 전달되고, 그 결과, 제2가열롤러(27)와 제2가압롤러(28)는 기록매체(P)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열과 압력으로 2차 정착시키면서 기록매체(P)를 배지방향으로 이송한다.
만일 이때 기록매체(P)가 걸림 또는 슬립에 의해 정착유닛(21)의 제1 및/또는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또는 제2가압롤러(26, 28) 사이에서 잼을 발생한다면, 제어부(201)는 제3매체감지센서에 의해 기록매체(P)의 잼을 감지하고(S8), 화상전사벨트(17)와 제2전사롤러(23) 사이에 잼이 발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정시간 경과한 후 액츄에이터(116)를 동작시켜 잼에 의해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17)의 표면에 남아았는 토너화상을 클리닝하고, 제2 및 제3구동모터(103, 190)의 동작을 중지하고, 사용자의 조치를 기다린다.(S3-S5) 이때,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은,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이 동력차단부(125)에 의해 정착유닛(21)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 사이의 잼을 더 이상 악화시키지 않고 클리닝된다.
사용자는 제어패널의 디스플레이부(203)에 디스플레이된 잼상태 메시지를 보고 잼을 제거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거나 서비스를 요청한다.(S6) 따라서, 2차 전사동작시의 잼과 마찬가지로, 잼이 발생하더라도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17)상에 방치됨으로써 발생하는 토너고착 문제는 방지된다. 또한, 이때, 사용자가 잼을 제거하기 위해 기록매체(P)를 손으로 잡아당길 경우, 잼을 제거하는 힘은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 또는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를 통해 제1태양기어(142))에 전달되지만, 일방향 동력전달부(170)의 제1 및 제2래치치차(173, 176)에 의해 제2아이들기어(14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잼을 제거하는 힘이 제1 및 제2 가열롤러(25, 27) 또는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를 통해 제3구동모터(103)에 전달될 때, 제3구동모터(103)의 부하에 의해 기록매체(P)가 찢어지거나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는 방지된다.
만일 S8 단계에서, 기록매체(P)가 정착유닛(21)의 제1 및/또는 제2 가열롤러(25, 27)와 제1 및/또는 제2가압롤러(26, 28) 사이에서 잼을 발생하지 않으면, 제1 태양기어(142)에서 제6아이들기어(149)에 전달된 제3구동모터(103)의 동력은 제7, 제8, 및 제9아이들기어(150, 151, 152)와 제2태양기어(153)를 통해 제1 및 제2배지기어(154, 55)에 전달된다. 그 결과,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와 기록매체(P)를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에 대해 가압하는 제1 및 제2 배지백업롤러(33, 34)는 기록매체(P)를 프린터 외부로 배출한다.(S9)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차단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잼 발생시 화상전사벨트 또는 감광벨트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정착유닛 및/또는 전사/정착유닛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잼이 발생하더라도 토너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되지 못하고 화상전사벨트 또는 감광벨트상에 장시간 방치되어 발생하는 화상전사벨트, 클리닝블레이드 또는 감광벨트에 대한 토너고착을 방지하여 화상전사벨트, 클리닝블레이드 또는 감광체나 감광벨트의 손상과 화상품질 저하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잼을 더 악화시키지 않고 화상전사벨트 또는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토너화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차단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유닛에서 잼이 발생할 때 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일방향 동력전달부를 구비함으로써, 잼제거시 기록매체가 찢어지거나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 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화상벨트를 구동하는 벨트구동기어를 구비하는 벨트유닛구동부;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하는 정착롤러를 구동하는 정착기어를 구비하는 정착유닛구동부;
    상기 벨트유닛구동부의 구동상태는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정착유닛 구동부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부; 및
    용지 잼 발생시 상기 동력차단부를 동작하는 동력차단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구동부는 기록매체를 배지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작용하는 힘이 상기 정착유닛구동부에서부터 상기 구동모터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부는,
    상기 정착유닛구동부의 기어 중 한 기어에 설치되며;
    상기 한 기어의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보스, 상기 제1치차부의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제1래치치차, 상기 제1치차부의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제2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보스를 회동할 수 있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보스, 및 상기 제2치차부의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제2래치치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치차와 상기 제2래치치차는 그 중 하나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맞물려 그 중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동력전달이 이루어 지고, 그 중 하나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엇갈리게 되어 그 중 하나에서 다른하나로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는,
    상기 벨트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기어와 맞물리는 스윙기어; 및
    상기 스윙기어가 상기 정착유닛구동부와 맞물리거나 풀려지도록 상기 스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의 중심축에 관하여 선회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유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작동부는,
    상기 유동브라켓과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유동브라켓에서부터 상기 고정기어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기어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단부에 상기 연결핀을 형성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벨트는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로부터 기록매체에 토너화상을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와 상기 감광체를 구성하는 감광벨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
  10.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
    기록매체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각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화상전사벨트를 구동하는 벨트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구동부, 정착롤러를 구동하는 정착기어를 구비하는 정착유닛구동부, 상기 벨트유닛구동부의 구동상태는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정착유닛 구동부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차단부 및 상기 동력차단부를 동작하는 동력차단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구동부는 기록매체를 배지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작용하는 힘이 상기 정착유닛구동부에서부터 상기 구동모터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동력전달부는,
    상기 정착유닛구동부의 기어 중 한 기어에 설치되며;
    상기 한 기어의 제1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보스, 상기 제1치차부의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제1래치치차, 상기 제1치차부의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제2치차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보스를 회동할 수 있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보스, 및 상기 제2치차부의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제2래치치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치차와 상기 제2래치치차는 그 중 하나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맞물려 그 중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그 중 하나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서로 엇갈리게 되어 그 중 하나에서 다른하나로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는,
    상기 벨트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기어와 맞물리는 스윙기어; 및
    상기 스윙기어가 상기 정착유닛구동부와 맞물리거나 풀려지도록 상기 스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의 중심축에 관하여 선회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유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작동부는,
    상기 유동브라켓과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유동브라켓에서부터 상기 고정기어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기어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단부에 상기 연결핀을 형성한 플런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기록매체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기록매체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중 기록매체의 잼을 감지하는 단계;
    벨트유닛구동부에서 정착유닛구동부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벨트유닛의 화상벨트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클리닝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하고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잼을 감지하는 단계는 잼 상태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는 액츄에이터를 온시켜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벨트유닛구동부에서 상기 정착유닛구동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차단부의 스윙기어를 상기 벨트유닛구동부의 벨트구동기어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40076894A 2004-09-24 2004-09-24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KR10061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94A KR100612218B1 (ko) 2004-09-24 2004-09-24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US11/170,039 US7263313B2 (en) 2004-09-24 2005-06-30 Driving apparatus with power disconnecting par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94A KR100612218B1 (ko) 2004-09-24 2004-09-24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58A KR20060027958A (ko) 2006-03-29
KR100612218B1 true KR100612218B1 (ko) 2006-08-16

Family

ID=3609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94A KR100612218B1 (ko) 2004-09-24 2004-09-24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63313B2 (ko)
KR (1) KR100612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83B1 (ko) * 2005-05-26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JP5958014B2 (ja) * 2012-03-29 2016-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定着部保持機構、および定着装置
JP6263933B2 (ja) 2013-10-03 2018-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
JP6149662B2 (ja) * 2013-10-03 2017-06-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シート製造方法
JP6225868B2 (ja) * 2014-09-30 2017-11-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72604B2 (ja) 2020-04-01 2024-04-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81218A (ja) * 2021-11-30 2023-06-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766A (ja) * 1983-03-28 1984-10-06 Mita Ind Co Ltd トナ−像定着装置
JPS61267076A (ja) 1985-05-21 1986-11-26 Canon Inc クリ−ニング装置
JPH03261964A (ja) 1990-03-13 1991-11-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050670B2 (ja) 1991-10-24 2000-06-12 株式会社リコー 転写装置
US5740503A (en) * 1996-03-23 1998-04-14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machine including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necting a rotary brush to a motor
JPH1130925A (ja) 1997-07-11 1999-02-02 Canon Inc 定着装置
JPH11231670A (ja) 1998-02-10 1999-08-2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673642B2 (ja) 1998-06-10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2004045999A (ja) 2002-07-15 2004-02-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465332B1 (ko) 2002-08-2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 장치의 정착유니트 동력연결 해제장치
JP4387740B2 (ja) * 2003-09-24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58A (ko) 2006-03-29
US7263313B2 (en) 2007-08-28
US20060067736A1 (en)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5646B2 (en) Gear system with transmission pathway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267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and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US20050286947A1 (en) Sheet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0610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12218B1 (ko) 동력차단부를 갖는 구동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구동방법
JP4484647B2 (ja) 画像形成装置
JP5011730B2 (ja) 画像形成装置、サブユニットの交換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保守方法
US20160159590A1 (en)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924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55101A (ja) 転写装置
US9709928B2 (en) Drive mechanism for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module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device
JP4900581B2 (ja) 駆動装置、オフセット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85573B2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6694117B2 (en) Color photographic apparatus
US20170320700A1 (en) Removable duplexer tray module for an imaging apparatus
JP6419272B2 (ja) 画像形成装置
JP4739559B2 (ja) 画像形成装置
JP4252929B2 (ja) 被記録体給送装置、及び、その被記録体給送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4126156A (ja) 画像形成装置
JP3969629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US20250102950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18512A (ja)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2009300864A (ja) 画像形成装置
JP4772372B2 (ja) 動力伝達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7879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