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4138A - 전원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138A
KR20040044138A KR1020030080973A KR20030080973A KR20040044138A KR 20040044138 A KR20040044138 A KR 20040044138A KR 1020030080973 A KR1020030080973 A KR 1020030080973A KR 20030080973 A KR20030080973 A KR 20030080973A KR 20040044138 A KR20040044138 A KR 2004004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switching element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타겐이치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련된 전원장치는, 서로 다른 두 전위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단자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평활화하고 부하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 평활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 및 제어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출력 평활부보다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하는 출력전류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장치는, 입력전압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이 생성될 때,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모니터 결과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부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구동 및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급준한 부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원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OWER SUPPL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히 LCD 모니터용 전원과 대형 LCD TV용 전원, 온 보드용 전원 등과 같이, 입력전압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을 생성하고 변동 부하에 대한 고속 응답성이 요구되는 전원장치 전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DC/DC 컨버터는, 출력전압에 따라 변동하는 참조전압(monitored voltage)과 소정의 기준전압 사이의 차전압(差電壓)을 증폭하는 오차앰프를 구비하고, 이 오차앰프의 출력을 이용하여 출력 트랜지스터의 구동 및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DC/DC 컨버터를 사용하면, 부하가 다소 변동한다 하더라도, 출력전압이 설정치와 일치되도록 피드백되기 때문에, 안정된 출력전압을 확실하게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DC/DC 컨버터에서는 오차앰프가 적분기로서 구성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급준한 부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차앰프의 출력이 그 부하 변동을 따라갈 수 없고, 출력전압이 크게 변동하게 될 우려가 있다(도 3 참조). 큰 캐패시턴스를 갖는 출력 콘덴서를 사용하면 출력전압이 크게 변동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는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출력 콘덴서가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 및 설치면적의 측면에서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전원장치 중에는, 출력전압과 함께, 출력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스위칭 전류를 모니터하고, 또 출력 콘덴서의 충·방전 전류를 모니터함으로써, 이러한 모니터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에 따라 출력 트랜지스터의 구동 및 제어를 행하는 것도 있다(일본특허출원 특개2001-112250호 공보나 특개2000-299981호 공보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에서는, 오차앰프의 출력이 부하 변동을 따라갈 수 없어도, 스위칭 전류 및 충·방전 전류를 모니터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에 따라 출력 트랜지스터를 직접 구동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출력전압의 변동을 일정 레벨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모니터 대상은 출력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스위칭 전류와 출력 콘덴서의 충·방전 전류로 제한된다. 그 결과, 실제로 부하에 흐르는 출력전류가 모니터되지 않기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가 부하 변동을 따르도록 구동 및 제어될 수 없게 되어, 출력전압이 적잖이 변동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LCD [Liquid Crystal Display]라 칭함)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LCD에 데이터 신호(LCD를 구성하는 픽셀 트랜지스터의 소스 선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면, 픽셀 트랜지스터에는 데이터가 불충분하게 기록된다. 그 결과, 콘트라스트(contrast)의 저하나 휘도 경사(brightness decline)와 같은 화질 열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전원장치에는 부하 변동에 대한 고응답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급준한 부하 변동이 발생하는경우에도 안정된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저 비용의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픽셀 트랜지스터에의 데이터 기록 부족 가능성을 저감함으로써 콘트라스트 저하나 휘도 경사와 같은 문제가 적은 우수한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DC/DC 컨버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DC/DC 컨버터의 출력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DC/DC 컨버터의 출력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 : N채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출력 트랜지스터)
D1 : 역류방지용 다이오드(쇼트키 다이오드)
L1 : 출력 인덕터Co : 출력 콘덴서
Rs : 센스 저항To : 출력단자
A1 : 오차앰프A2 : gm 앰프
R1∼R3 : 저항C1 : 위상보상 콘덴서
E1 : 직류 전압원E2 : 가변 직류 전압원
ADD : 가산기SLOPE : 슬로프 보상회로
CMP : 비교기(comparator)LC : 리셋 우선형 RS 래치
BUF : 버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관련된 전원장치는 서로 다른 두 전위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단자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평활화하고 부하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 평활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 및 제어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출력 평활부보다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하는 출력전류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장치는, 입력전압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이 생성될 때,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모니터 결과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부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구동 및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계되어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DC/DC 컨버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서로 다른 전위를 갖는 2지점 사이(입력전압(Vi)과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N채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하며,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drain)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Vo)을 얻는 승압형(booster-type) DC/DC 컨버터이다. 트랜지스터(Q1)는, 출력 인덕터(L1)에 흐르는 인덕터 전류(IL)에 기초하여 제어가 행해지는 피크 커런트(peak current) 모드 제어 방식으로 제어된다.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은, 수(several) μH 정도의 출력 인덕터(L1)를 통해서 전원라인(입력전압(Vi))에 접속됨과 동시에,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 즉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의 애노드에도 접속된다.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0.1Ω이하의 저항값을 갖는 센스 저항(Rs)을 통해서 출력단자(To)에 접속됨과 동시에, 10 μF 정도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출력 콘덴서(Co)를 통해서 접지된다.
출력단자(To)는 저항(R1과 R2)을 통해서 접지된다. 저항(R1과 R2) 사이의 노드는 오차앰프(A1)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오차앰프(A1)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DC 전압원(E1)의 양극 단자(positive terminal)에 접속된다. DC 전압원(E1)의 음극 단자는 접지된다. 오차앰프(A1)의 출력단자는 가산기(ADD)의 하나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한편, 위상 보상 콘덴서(C1)를 통해서 그 자체의 반전 입력단자(-)에도 접속된다. 가산기(ADD)의 다른 입력단자는 슬로프 보상회로(SLOPE)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가산기(ADD)의 출력단자는 비교기(CMP)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의 소스는 저항(R3)을 통해서 접지됨과 동시에, 가변 DC 전압원(E2)을 통해서 비교기(CMP)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비교기(CMP)의 출력단자는 리셋 우선형의 RS 래치(LC)의 리셋 단자(R)에 접속된다. RS 래치(LC)의 세트 단자(S)는 클록 단자에 접속되며, 이 클록 단자를 통해서 200 kHz∼1 MHz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CLK)가 공급된다. RS 래치(LC)의 출력단자(Q)는 버퍼(BUF)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센스 저항(Rs)의 일측(입력측)은, gm 앰프(A2)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센스 저항(Rs)의 타측(출력측)은, gm 앰프(A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gm 앰프(A2)의 출력단자는 가변 DC 전압원(E2)의 전압 제어 단자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가변 DC 전압원(E2)이 생성하는 전압은, 센스 저항(Rs)의 양단에 걸리며 출력전류(Io)에 따라 변동하는 전압(Vs)에 따라서 변동하도록 제어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DC/DC 컨버터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차앰프(A1)는, 그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기준전압(Va)(DC 전압원(E1)에 의해 생성된 전압)과, 그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제1 참조전압(Vb)(출력전압(Vo)의 분압 전압) 사이의 차전압을 증폭하여 오차전압(Vc)을 생성한다. 그 결과, 목표전압으로부터의 출력전압(Vo)의 강하량이 클수록, 오차전압(Vc)은 더 하이 레벨이 된다.
비교기(CMP)는, 그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수정된 오차전압(Vc')(오차전압(Vc)과 경사보상 전압을 합한 값)과, 그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수정된 제2 참조전압(Vd')(저항(R3)의 양단에 걸리며 인덕터 전류(IL)에 따라 변동하는 제2 참조전압(Vd)과 가변 DC 전압원(E2)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합한 값)을 비교함으로써 RS 래치(LC)에 공급되는 리셋 신호(Ve)를 생성한다. 그 결과, 비교기(CMP)의 출력인 리셋 신호(Ve)는, 입력단자들 중 하나에 입력되는 수정된 오차전압(Vc')이 수정된 제2 참조전압(Vd')보다 소정 한계값 만큼 더 높으면, 로우 레벨로 전환되고, 낮으면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상기 리셋 신호(Ve)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에,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 상태는, RS 래치(LC)의 세트 단자(S)에 인가되는 클록 신호(CLK)에 따라 트랜지스터(A1)가 스위칭되도록 제어된다. 반대로, 리셋 신호(Ve)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클록 신호(CLK)에 관계없이 트랜지스터(Q1)는 오프 상태로 되고, 그 스위칭 동작은 정지된다.
이와 같이, 피크 커런트 모드 제어 방식의 DC/DC 컨버터에서는, 출력전압(Vo)과 인덕터 전류(IL)의 모니터 결과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구동 및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는, 출력전류(Io)를 모니터하기 위해서, 트랜지스터(Q1)의 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평활화하는 출력 평활부(L1, D1, Co로 구성됨)보다 후단에 배치된 부하에 연결된 전원 공급라인에, 센스 저항(Rs)을 구비한다. 또, DC/DC 컨버터는, 트랜지스터(Q1)를 구동 및 제어하는 그 드라이버부에 있어서는, 센스 저항(Rs)에 의한 모니터 결과에 따른 오프셋 전압이 비교기(CMP)에 입력되기 전에 제2 참조전압(Vd)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스 저항(Rs)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Vs)이 커질수록, gm 앰프(A2)에 의해 제2 참조전압(Vd)에 제공되는 오프셋 전압(가변 DC 전압원(E2)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은 작아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의 출력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도면에는 부하가 급준하게 변동할 때의, 출력전류(Io), 출력전압(Vo), 비교기(CMP)에 입력되는 수정된 제1 참조전압(Vc') 및 수정된 제2 참조전압(Vd'), 및 인덕터 전류(IL)의 거동이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의 도시에서, 실선은 본 발명 적용시의 파형을 나타내며, 파선(broken line)은 종래기술 적용시의 파형을 참고로 나타낸다.
본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DC/DC 컨버터는, 오차앰프(A1)의 출력이 급준한 부하 변동을 따라갈 수 없다 하더라도, 실제로 부하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모니터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에 따라 트랜지스터(Q1)를 직접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인덕터 전류(IL)를 급준하게 상승시켜서, 출력전압(Vo)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출력전압(Vo)의 전압강하는 종래의 200㎃로부터 80㎃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응답 시간도 종래의 10㎲ 정도로부터 1㎲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DC/DC 컨버터에 따르면, 대용량의 출력 콘덴서의 사용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비용의 증대 및 외부 출력 콘덴서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특히, LCD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대한 전원 공급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관계된 전원장치가 사용되면, 픽셀 트랜지스터에의 데이터 기록 부족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휘도 경사와 같은 문제가 적은 우수한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크 커런트 모드 제어 방식을 채용한 승압형DC/DC 컨버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국한되지 않고, 강압형이나 멀티-페이즈(multi-phase) 방식의 전원과 같이, 입력전압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장치 전반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쇼트키 다이오드가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로서 이용되는 경우만을 나타냈지만, 통상적인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위치 회로를 추가하면 다이오드는 없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Q1)를 구동 및 제어하는 드라이버부에 있어서, 센스 저항(Rs)에 의한 모니터 결과에 따른 오프셋 전압이 비교기(CMP)에 입력되기 전에 제2 참조전압(Vd)에 공급되는 구성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센스 저항(Rs)에 의한 모니터 결과에 따른 오프셋 전압이 비교기(CMP)에 입력되기 전에 오차전압(Vc)에 공급되는 구성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전원장치는, 서로 다른 두 전위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단자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평활화하고 부하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 평활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 및 제어하는 드라이버부로 이루어지며, 입력전압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이 생성될 때, 상기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하는 출력전류 검출부가 상기 출력 평활부보다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모니터 결과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부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구동 및 제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 장치에 있어서,상기 드라이버부는, 출력전압에 따라 변동하는 제1 참조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 사이의 차전압을 증폭하여 오차전압을 생성하는 오차앰프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구동 전류에 따라 변동하는 제2 참조전압과 상기 오차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와, 상기 비교기에 입력되기 이전의 제2 참조전압 또는 상기 비교기에 입력되기 이전의 상기 오차전압에 대하여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에 의한 모니터 결과에 따른 오프셋을 주는 오프셋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하가 급준하게 변동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저비용의 전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와 이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대한 전원공급 수단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원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픽셀 트랜지스터에의 데이터 기록 부족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휘도 경사와 같은 문제가 적은 우수한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전원장치로서,
    서로 다른 두 전위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단자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평활화하고 부하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 평활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 및 제어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출력 평활부보다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하는 출력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며,
    입력전압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이 생성될 때,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모니터 결과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부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구동 및 제어되는 전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부는,
    상기 출력전압에 따라 변동하는 제1 참조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 사이의 차전압을 증폭하여 오차전압을 생성하는 오차앰프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구동 전류에 따라 변동하는 제2 참조전압과 상기 오차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와,
    상기 비교기에 입력되기 이전의 제2 참조전압 또는 상기 비교기에 입력되기 이전의 상기 오차전압에 대하여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에 의한 모니터 결과에 따른 오프셋을 주는 오프셋부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신호를 수신하는 리셋 단자와, 클록 신호를 수신하는 세트 단자와,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갖는 리셋 우선형의 RS 래치 회로로 구성되는 전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는 센스 저항으로 구성되는 전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부는,
    상기 센스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증폭하는 앰프와
    상기 제2 참조전압 또는 상기오차 전압에 대하여 상기 앰프의 출력전압에 따른 오프셋 전압을 제공하는 가변 DC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6. 액정 표시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장치는 :
    서로 다른 두 전위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단자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평활화하고 부하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 평활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 및 제어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출력 평활부보다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며,
    입력전압으로부터 원하는 출력전압이 생성될 때,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모니터 결과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부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구동 및 제어되는, 전원장치.
KR1020030080973A 2002-11-18 2003-11-17 전원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40044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3550 2002-11-18
JP2002333550A JP3732173B2 (ja) 2002-11-18 2002-11-18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138A true KR20040044138A (ko) 2004-05-27

Family

ID=3229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973A KR20040044138A (ko) 2002-11-18 2003-11-17 전원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95105A1 (ko)
JP (1) JP3732173B2 (ko)
KR (1) KR20040044138A (ko)
CN (1) CN1259766C (ko)
TW (1) TW2005015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5752A (ja) * 2004-06-03 2005-12-15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
US7518351B2 (en) * 2005-05-18 2009-04-14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over voltage reduction circuit and method
US7656142B2 (en) * 2005-07-14 2010-02-02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with variable slope compensation
JP4781744B2 (ja) 2005-08-05 2011-09-28 ローム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US20070279350A1 (en) * 2006-06-02 2007-12-06 Kent Display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US7675239B2 (en) * 2006-08-11 2010-03-09 Kent Displays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low-power displays
GB2451467B (en) * 2007-07-28 2013-01-16 Zetex Semiconductors Plc Current driving method and circuit
US8946020B2 (en) 2007-09-06 2015-02-03 Spansion, Llc Method of forming controllably conductive oxide
JP5077080B2 (ja) 2008-06-02 2012-11-21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5115347B2 (ja) 2008-06-12 2013-01-09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dc−dcコンバータ、およ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5534508B2 (ja) * 2010-01-13 2014-07-02 株式会社三社電機製作所 直流電源装置
JP6009742B2 (ja) * 2011-08-08 2016-10-19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981723B2 (ja) * 2012-01-26 2016-08-31 ローム株式会社 電源装置
US9024610B2 (en) * 2012-05-01 2015-05-05 Intersil Americas LLC System and method of balanced slope compensation for switch mode regulators
JP6558977B2 (ja) * 2015-06-24 2019-08-14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0063140B2 (en) * 2016-08-30 2018-08-28 Astec International Limited Control circuits for selectively applying error offsets to improve dynamic response in switching power converters
JP6912300B2 (ja) * 2017-07-14 2021-08-0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10686379B2 (en) * 2018-02-06 2020-06-16 Linear Technology Holding, LLC Load current feedforward schemes for current-mode controlled power converters
JP7121637B2 (ja) * 2018-11-12 2022-08-18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子装置
JP7534599B2 (ja) * 2020-05-28 2024-08-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および電源ラインのノイズ抑制方法
JP7520668B2 (ja) 2020-09-30 2024-07-23 ローム株式会社 電流検出回路
US12105548B2 (en) * 2021-06-10 2024-10-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proving power supply rejection ratio across load and supply varian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9411B2 (ja) * 1990-12-19 1997-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出力変換器の並列運転制御装置
JP2000287439A (ja) * 1999-01-26 2000-10-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
US6865682B1 (en) * 1999-06-18 2005-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processor module with integrated voltage regulators
US6069807A (en) * 1999-09-15 2000-05-30 Lucent Technologies Inc. Compensation circuit method of operations thereof and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JP2002281742A (ja) * 2001-03-22 2002-09-27 Densei Lambda Kk カレントモードdc/dcコンバータ
TWI282658B (en) * 2001-10-23 2007-06-11 Delta Electronics Inc A parallel connection system of DC/AC voltage converter
US7098631B2 (en) * 2004-05-13 2006-08-29 Lambda Americas, Inc. Method and control circuit for power factor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32173B2 (ja) 2006-01-05
CN1259766C (zh) 2006-06-14
US20040095105A1 (en) 2004-05-20
TW200501538A (en) 2005-01-01
JP2004173353A (ja) 2004-06-17
CN1501573A (zh)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4138A (ko) 전원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4886364B2 (ja) 昇圧電源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ドライバic
US8766616B2 (en) Comparator, control circuit of switching regulator using the same, switching regul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7859511B2 (en) DC-DC converter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US6456050B1 (en) Virtual frequency-controlled switching voltage regulator
US7133038B2 (en) Highly efficient LCD driving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8736247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circuit
JP6328072B2 (ja) オン時間設定回路、電源制御ic、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090237047A1 (en) Switching power source
CN101133543A (zh) 开关稳压器和具有该开关稳压器的电子设备
US7180330B2 (en) Output circuit
US8036006B2 (en) Power supply circuit having resistance element changing its resistance value to limit current flowing to capacitive load
US8143938B2 (en) Boost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boost circuit
CN101262173B (zh) 用于以预定电压来监控充电电压以检测升压电压的升压电源电路以及升压电压控制方法
JP2010154655A (ja) 電源システム
JP4651428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80211979A1 (en) Voltage boosting power supply circuit for monitoring charging voltage with predetermined voltage to detect boosted voltage, and boosted voltage control method
EP0433724A2 (en) Voltage regulator with power boost system
JP6793772B2 (ja) 電圧ジェネレータ
KR102215287B1 (ko) 전압 제너레이터
JP4630165B2 (ja) Dc−dcコンバータ
US20100181979A1 (en) DC/DC converter circuit
US20060132113A1 (en) Synchronous buck DC/DC converter to perform an improved switching operation by adjusting variable resistor
KR20000020856A (ko) 구동 전원 안정화 회로를 가진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JP4357698B2 (ja) リセット回路及び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